KR102193575B1 -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3575B1 KR102193575B1 KR1020180167545A KR20180167545A KR102193575B1 KR 102193575 B1 KR102193575 B1 KR 102193575B1 KR 1020180167545 A KR1020180167545 A KR 1020180167545A KR 20180167545 A KR20180167545 A KR 20180167545A KR 102193575 B1 KR102193575 B1 KR 1021935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water
- weight
- viscosity
- ph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수상부에 정제수, 보습제, 킬레이트제, 점증제, 양이온 공급제(전해질),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며, 유상부에 에스테르류 오일, 탄화수소류 오일, 실리콘계류 오일,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여, 수상부 내에 오일이 구상으로 분산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점증제는 젤란검과 잔탄검으로 구성되어 다량의 색소에도 점도가 무너지지 않고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수상부에 착색효과를 낼 수 있는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며 이 수상부 내에 다량의 오일 방울이 고르고 안정적으로 분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산형, 유분산형, 혹은 수상과 유상을 혼합시킨 유화형으로 나뉠 수 있다. 그 중 착색 효과를 내는 수용성 색소를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수분산형과 유화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수분산형은 착색 지속력과 가벼운 사용감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도포 후 건조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보습 지속력을 지닌 유화형은 유화제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사용감이 무겁고 두껍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유상과 수상을 분리한 화장품이 주목받고 있다.
상기와 같이 유상과 수상이 분리된 화장품의 예로는 이층 분리형 화장품이 있다. 상기 이층 분리형 화장품은 외관상의 독특성을 가지며, 흔들어서 유상부가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층 분리형 화장료는 사용 후에는 유상과 수상으로 분리되어 다시 층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이층 분리형 화장료는 유상부로 인하여 미끈거리고 답답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심미성이 부족하였으며, 사용시 여러 회 흔들어서 혼합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제10-2017-0065947호에 오일-볼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었는데, 이는 유상의 구형입자가 수상에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더 자세하게는 상기 유상의 구형입자의 지름은 10 내지 1000㎛이고, 상기 유상의 구형 입자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30 중량% 포함되며, 상기 수상은 폴리올을 포함하고, 유상은 에스테르류 오일, 실리콘계류 오일, 탄화수소류 오일 및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수상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의 폴리올을 포함하되, 점증제가 0.1 내지 0.5 중량% 더 포함되며, 상기 점증제는 카보머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수상부 내에 오일 방울을 분산시킨 화장료는 색소에 의해 점증제의 점도가 무너지는 문제로 인해 색소가 다량으로 함유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단순히 외관상의 미적 효과를 위한 소량의 색소는 함유될 수 있으나, 도포부위에 색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량의 색소를 투입할 경우 점도가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수상부 내에 오일 방울을 분산시킨 화장료는 색을 부여하는 용도로는 부적절하였으며, 다량의 색소를 포함해도 점도가 무너지지 않으면서 더 많은 유상의 구형입자를 붙잡아둘 수 있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용성 색소에 의해 점도가 무너지지 않는 점증제를 사용하여 수상부 내에 다량의 오일 방울이 고르고 안정적으로 분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점증제는 젤란검과 잔탄검으로 구성됨으로써 다량의 색소에도 점도가 무너지지 않고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도 충분히 보여지는 오일 드롭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장기간 동안 안정하게 제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성을 한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로써, 도포부위에 가벼운 사용감과 착색 지속력을 부여하면서 보습 지속력도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상부에는 정제수, 보습제, 킬레이트제, 점증제, 양이온 공급제(전해질),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며, 유상부에는 에스테르류 오일, 탄화수소류 오일, 실리콘계류 오일,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여, 수상부 내에 오일이 구상으로 분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점증제는 젤란검과 잔탄검으로 구성되어 다량의 색소에도 점도가 무너지지 않고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용성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6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상부는 오일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화장품, 의약품등의 성분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일 성분 중 100 내지 20,000 cP의 점도를 갖는 오일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일은 디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부틸렌글라이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류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이지-60 캐스터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스쿠알렌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 오일, 호호바 오일, 아보카도 오일, 로즈힙오일, 썬플라워 오일, 유채꽃 오일, 코코넛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다이페닐다이메티콘, 사이클로페닐메티콘, 다이메티콘, 페닐프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실리콘계류 오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상부의 오일은 굴절률 1.5 이상의 고굴절률 오일을 사용하여 오일 방울이 선명하게 보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상부에는 정제수, 보습제, 킬레이트제, 점증제, 양이온 공급제(전해질),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며, 유상부에는 에스테르류 오일, 탄화수소류 오일, 실리콘계류 오일,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여 수상부 내에 다량의 오일 방울이 고르고 안정적으로 분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점증제는 젤란검과 잔탄검으로 구성됨으로써 다량의 색소에도 점도가 무너지지 않고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일 드롭이 조성물에 고르게 분산되어 감각적인 느낌을 부여할 수 있는 외관상 차별화된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습 지속력과 착색 지속력을 동시에 부여하면서 가벼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상부의 오일은 굴절률 1.5 이상의 고굴절률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오일 방울이 더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6에 따른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
도 2은 본 발명의 제조예 1의 현미경 촬영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 2의 현미경 촬영 사진.
도 4은 본 발명의 제조예 3의 현미경 촬영 사진.
도 5은 본 발명의 제조예 4의 현미경 촬영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예 5의 현미경 촬영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 1과 비교예 2 조성물의 관찰된 형상을 촬영한 사진.
도 2은 본 발명의 제조예 1의 현미경 촬영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 2의 현미경 촬영 사진.
도 4은 본 발명의 제조예 3의 현미경 촬영 사진.
도 5은 본 발명의 제조예 4의 현미경 촬영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예 5의 현미경 촬영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 1과 비교예 2 조성물의 관찰된 형상을 촬영한 사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상부에는 정제수, 보습제, 킬레이트제, 점증제, 양이온 공급제(전해질),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며,
유상부에는 에스테르류 오일, 탄화수소류 오일, 실리콘계류 오일,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여, 수상부 내에 오일이 구상으로 분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정제수는 상수를 증류하거나 이온교환수지를 통하여 정제한 물을 말한다. 우물물이나 수돗물에는 용존무기물, 용존유기물, 미립자, 미생물 등의 불순물이 포함되고 있어 그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정제한 것을 말한다. 상기 정제수의 정제법으로 흔한 방법은 증류법과 이온교환법이지만, 그 외에 역침투막을 쓰는 역침투법. 분말활성탄을 쓰는 흡착법. 멤브레인 필터를 쓰는 여과법. 정제한 아르곤이나 질소에 의한 바이브링, 끓임에 의한 탈기법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정제수는 상기한 방법 외에도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제조가능한 모든 방법을 통해 제조된 정제수를 칭한다.
상기 보습제는 도포부위에 수분을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용해성 성분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글리세린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용해성 성분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킬레이트제는 EDTA라고도 불리며, 금속이온의 분석, 분리, 제거, 미량 금속이온의 계기 등 분석화학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센물연화, 희토류 원소의 분리, 신장결석의 제거, 비타민C의 산화 방지, 식품의 금속에 의한 변질방지, 세척제, 중금속 이온의 침전 방지제 등 그 용도가 매우 넓다. 물에 대한 용해도는 22도에서 100ml의 물에 0.2g 녹는다. 무색의 결정성 분말로 거의 모든 금속과 수용성 킬레이트를 만드는 특징을 갖고 있어 분석화학의 응용으로 널리 개발되었다. 화장품과 관련해서는 화장품에 생길 수 있는 금속이온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점증제는 화장품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질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 점증제는 젤란검과 잔탄검을 포함한다.
상기 젤란검은 CP Kelco사에서 근래에 개발한 새로운 hydrocolloid로서 여러가지 뛰어난 특징으로 인하여 미국, 일본, 유럽 등 각국에서 새로운 용도가 개발되어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는 차세대 gum이다. 젤란검은 1978년 처음 발견되었으며 Pseudomonas elodea를 사용하여 탄수화물을 순수 배양 발효시켜 얻은 고분자 다당류이다. 젤란검은 glucose : glucuronic acid : rhamnose가 2 : 1 : 1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선으로 4개의 당의 단위가 반복적으로 연결이 되는 기본구조를 갖고 있다. 두 개의 acyl기 acetate와 glycerate가 존재하고 두 개의 Acyl기는 하나의 glucose기에 붙어 있으며 하나의 단위당 하나의 glycerate, 두 개의 단위 당 하나의 acetate가 평균적으로 반복된다. Low acyl 젤란검은 acyl기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이며, Acyl기의 유무에 따라서 겔의 물성이 달라진다. high acyl 젤란검은 soft, elastic, non-brittle한 겔을 만들며, low acyl 젤란검은 firm, non-elastic, brittle한 겔을 만든다. 본 발명에서는 low acyl 젤란검을 이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적절하나,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젤란검은 수소이온을 포함한 거의 모든 양이온들과 작용하여 겔을 형성한다. 각 양이온들과의 친화력이 서로 달라 2가 양이온들이 1가 양이온보다 훨씬 더 강한 친화력을 갖는 화학적 특성이 있다. 또한, 젤란검은 낮은 농도에서도 겔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는데, 흐르는 유체와 같은 겔을 만들 수 있고, 이는 뛰어난 suspension 능력을 부여한다. 이는 다양한 제품에 있어서 과도한 점증제의 증진없이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잔탄검은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품첨가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식품에서 안정제, 증점제, 결착제, 유화제, 고결제, 발포제 등으로 사용된다. 천영 증점제인 잔탄검은 양배추의 엽소병 원인균인 잔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균을 사용하여 탄수화물을 순수배양 발효하여 얻은 고분자 다당류 검물질을 아이소프로필알코올에 정제, 건조, 분쇄한 것으로서 포도당, 마노스 및 글루크론산의 나트륨, 칼륨 및 칼슘염 등으로 구성된 혼합물이다. 엷은 노란색 가루로서 수용액은 중성이다. 잔탄검은 물에 녹으며 에탄올에는 녹지 않는다.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빙초산 시트르산 등이 있으면 가열하더라도 점도 저하가 적은 편이다. 잔탄검과 같은 천연증점제는 산성 또는 알칼리 물질이 공존하면 점도가 저하하는데 잔탄검은 pH에 의한 점도 저하가 없으며 pH 2~13의 범위 내에서도 안정한 편이다. 잔탄검은 다른 증점제에 비교하여 점도가 좋은 편이며 농도에 따라 점차 점도가 증가된다. 소량으로도 점도를 상당히 상승시킬 수 있어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는 점증제이다.
상기 양이온 공급제(전해질)는 조성물에 양이온을 공급하는 것으로, 점증제에 양이온이 있어야 겔이 형성되기 때문에 투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공급제는 칼륨,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양이온이 포함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칼슘 락테이트를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칼륨,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양이온이 포함된 화합물이면 모두 사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수용성 색소는 물에 용해되는 성질의 색소를 일컫는다. 시중에 판매되는 색소 혹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에 따른 모든 종류의 수용성 색소는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물에 용해되는 색소의 것이면 인체에 유해한 효과를 가지지 않는 한 모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유상부는 디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부틸렌글라이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류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이지-60 캐스터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스쿠알렌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 오일, 호호바 오일, 아보카도 오일, 로즈힙오일, 썬플라워 오일, 유채꽃 오일, 코코넛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다이페닐다이메티콘, 사이클로페닐메티콘, 다이메티콘, 페닐프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실리콘계류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부의 오일은 100cp ~ 20,000cp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유상부의 오일은 젤란검과 잔탄검에 의해 100cp ~ 20,000cp의 범위를 갖는 점도에도 선명한 오일 방울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100cp의 낮은 점도의 오일에서도 젤란검과 잔탄검에 의해 구상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점도는 브루클린 점도계 20rpm의 회전속도에서 4번 스핀들바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유상부의 오일은 굴절률 1.5 이상의 고굴절률 오일을 사용할 수 있는데, 굴절률 1.5 이상의 고굴절률 오일을 사용할 경우 외관에서 오일 드롭의 형태가 더욱 선명하게 보여지는 효과가 있다.
오일의 굴절률은 화장료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인데, 오일을 1.5 이상의 고굴절률 오일로 사용할 경우 60 중량%의 높은 오일 함량에도 투명도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솔대와 도포부재의 형상이 육안으로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데, 다이페닐다이메티콘은 굴절률 1.506, 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은 굴절률 1.526, 디페닐실록실 페닐 트리메티콘은 굴절률 1.526, 페닐포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는 굴절률 1.5135, 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네이트는 1.5375, 메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로지네이트는 굴절률 1.514를 갖는 바, 이를 참고하여 적절히 사용하면 보다 선명한 오일 드롭의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다이페닐다이메티콘은 KF-54HV 혹은 KF-54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 디페닐실록실 페닐 트리메티콘은 BRB PB152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페닐포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는 Shilshine 151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네이트는 LEXFEEL SHINE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메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로지네이트는 SN 265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오일 드롭을 선명하게 관찰하기 위하여 KF-54를 사용하는 것으로 진행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질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점증제는 젤란검과 잔탄검으로 구성되어 다량의 색소에도 점도가 무너지지 않고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데, 점증제로 사용되는 카보머의 경우 수용성 색소에 의해 점도가 완전히 무너질 수 있어서, 일정량 이상의 색소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카보머의 경우 단순히 화장품에 색상을 부여해서 심미적인 효과를 갖추는 정도의 색소의 양은 상관이 없으나, 피부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의 색조 화장품으로 이용할 수 있을 정도의 다량의 색소에는 점도가 무너질 수 있다.
카보머 외에도 대다수의 점증제는 상기와 같은 색소에 의해 점도가 무너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점증제는 젤란검과 잔탄검으로 구성되어 다량의 색소에도 점도가 무너지지 않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젤란검과 잔탐검에 의해 본 발명의 수용성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색소가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본 발명 조성물이 함유하는 색소의 양이 너무 미미하여 색을 부여하는 효과가 미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색소가 5 중량%를 초과하면, 색소의 양이 너무 과도하게 많아 젤란검이나 잔탄검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점도가 무너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있다.
본 발명의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6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상부는 수상부 내부에 볼 형태로 자리잡게 되며 도 2 내지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오일의 함량에 따라 오일 방울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다만, 유상부의 함량이 높아질 시 조성물의 투명도가 낮아질 수 있어 너무 과도한 양의 유상부는 심미적으로 적절하지 않다.
이에 따라, 유상부의 함량은 0.0001 내지 60 중량%가 적절한데, 상기 유상부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상부의 함량이 너무 낮아 화장부위가 건조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화장의 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상기 유상부의 함량이 6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오일부와 수상부가 분리되어 제형이 무너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와 유상부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상부 구성요소인 정제수, 보습제, 킬레이트제, 젤란검, 잔탄검, 양이온 공급제(전해질), 수용성 색소는 크게 세 가지 그룹으로 나뉘어져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세 그룹은 제1수상부원료, 제2수상부원료, 제3수상부원료로 나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상부원료는 정제수, 보습제, 킬레이트제, 젤란검, 양이온 공급제(전해질)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수상부원료는 잔탄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수상부원료는 정제수, 수용성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제1수상부원료를 용기에 넣고 분산시키는 단계(S10);
상기 제1수상부원료가 분산된 용기에 제2수상부원료를 투입시키는 단계(S20);
제3수상부원료를 별도의 용기에서 용해한 후 상기 제2수상부원료가 투입된 용기에 투입시키는 단계(S30);
상기 제3수상부원료가 투입된 용기에 유상부를 투입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우선, 제1수상부원료를 용기에 넣고 분산시키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제1수상부원료를 용기에 넣고 분산시키는 단계(S10);에서는 정제수, 보습제, 킬레이트제, 젤란검, 양이온 공급제(전해질)로 이루어진 제1수상부원료를 용기에 넣고 아지믹서로 10 ~ 20분간 고르게 분산시킨다.
상기 단계(S10)는 원료들의 용해도를 위해 80 ~ 85℃에서 수행되는 것이 적절하다.
다음으로, 제1수상부원료가 분산된 용기에 제2수상부원료를 투입시키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제1수상부원료가 분산된 용기에 제2수상부원료를 투입시키는 단계(S20);에서는 상기 단계(S10)에서 분산된 제1수상부원료가 수용된 용기에 잔탄검으로 이루어진 제2수상부원료를 투입하고 5 ~ 15분간 고르게 분산시킨다.
다음으로, 제3수상부원료를 별도의 용기에서 용해한 후 상기 제2수상부원료가 투입된 용기에 투입시키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제3수상부원료를 별도의 용기에서 용해한 후 상기 제2수상부원료가 투입된 용기에 투입시키는 단계(S30);에서는 수용성 색소를 정제수에 용해한 후, 상기 단계(S20)의 제2수상부원료가 투입된 용기에 투입하고 3 ~ 7분간 고르게 분산시킨다.
상기 제3수상부원료에서 정제수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10.0 ~ 2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색소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01 ~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3수상부원료가 투입된 용기에 유상부를 투입시키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제3수상부원료가 투입된 용기에 유상부를 투입시키는 단계(S40);에서는 제3수상부원료까지 투입하여 분산이 완료된 용기에 유상부를 서서히 투입하여 완전 교반한 다음 탈포한 후 배출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와 같은 조성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는 조성물 총 중량대비 1.00 ~ 20.00 중량%, 킬레이트제는 0.001 ~ 0.1 중량%, 젤란검은 0.001 ~ 1.0 중량%, 양이온 공급제는 0.001 ~ 1.0 중량%, 잔탄검은 0.001 ~ 1.0 중량%, 수용성 색소는 0.0001 ~ 5.0 중량%, 유상부는 0.0001 ~ 60.0 중량%, 그리고 정제수를 잔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수용성 색소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도의 정제수는 조성물 총 중량대비 10.0 ~ 20.0 중량%로 포함되며, 그 외의 투입 정제수가 잔량으로써 포함된다. 다시 말해, 투입 가능한 정제수의 총량은 10.0 ~ 98.9958 중량% 이다.
상기한 조성비에 의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오일이 선명한 구형의 오일 방울로 형성되어 유상부가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어도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분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유상부가 최대 60.0 중량% 포함됨에도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조예
1.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해당 제조예에서 보습제로는 글리세린을 사용하였고, 양이온 공급제(전해질)로는 칼슘락테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상부의 오일로는 다이페닐다이메티콘을 택하여 사용하였다.
S10 : 정제수, 글리세린, 킬레이트제(EDTA), 젤란검, 칼슘락테이트로 이루어진 제1수상부원료를 용기에 넣고 85℃ 상태에서 아지믹서로 15분간 고르게 분산시켰다.
S20 : 상기 단계(S10)에서 분산된 제1수상부원료가 수용된 용기에 잔탄검으로 이루어진 제2수상부원료를 투입하고 10분간 고르게 분산시켰다.
S30 : 수용성 색소(UNICERT RED K7008-J)를 정제수에 용해한 후, 상기 단계(S20)의 제2수상부원료가 투입된 용기에 투입하고 5분간 고르게 분산시켰다.
S40 : 제3수상부원료까지 투입하여 분산이 완료된 용기에 다이페닐다이메티콘을 서서히 투입하여 완전 교반한 다음 탈포한 후 배출하였다.
상기 제조예 1에서 투입된 배합성분과 조성비는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 배합성분 | 함량(중량%) | |
수상부 | 제1수상부원료 | 정제수 | 잔량 |
보습제(글리세린) | 5.00 | ||
킬레이트제(EDTA) | 0.02 | ||
점증제(젤란검) | 0.10 | ||
양이온 공급제(칼슘락테이트) | 0.05 | ||
제2수상부원료 | 점증제(잔탄검) | 0.10 | |
제3수상부원료 | 정제수 | 15.00 | |
수용성 색소 | 적량 | ||
유상부 | 오일(다이페닐다이메티콘) | 5.0 |
상기 제조예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용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제조예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수용성 색소는 0.0001 ~ 5 중량%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상부는 0.0001 ~ 60.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원하는 양만큼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상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투명도가 다소 떨어지지만, 60.0 중량%까지는 솔대와 도포부재의 형상이 보이는 바, 투명도가 유지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유상부의 함량이 더 높아져서 60.0 중량%를 초과하면 제형이 무너져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유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01 ~ 60.0 중량%로 투입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조예2
. 유상부가 10.0
중량%
포함된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을 바탕으로 유상부를 10.0 중량%로 적용하여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3
. 유상부가 20.0
중량%
포함된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을 바탕으로 유상부를 20.0 중량%로 적용하여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4
. 유상부가 40.0
중량%
포함된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을 바탕으로 유상부를 40.0 중량%로 적용하여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5
. 유상부가 60.0
중량%
포함된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을 바탕으로 유상부를 60.0 중량%로 적용하여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5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은 도 1과 같은 외형적 특징을 보여주었다. 유상부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투명도는 다소 떨어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이를 이용한 실험예에 따라 본 발명의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특성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잔탄검과 젤란검을 점증제로 사용하였을 때와 카보머를 점증제로 사용하였을 때, 색소에 의해 점도가 무너지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 조성물을 달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 색소가 첨가되지 않은
잔탄검
및
젤란검
조성물의 제조
점증제를 잔탄검과 젤란검으로 두고 젖산칼슘을 투입한 후 잔량을 증류수로 채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과 그에 따른 조성비는 다음 표 2와 같다.
배합성분 | 함량(중량%) |
잔탄검 | 0.140 |
젤란검 | 0.140 |
젖산칼슘 | 0.028 |
증류수 | 잔량 |
비교예
1. 색소가 첨가된
잔탄검
및
젤란검
조성물의 제조
점증제를 잔탄검과 젤란검으로 두고 젖산칼슘을 투입한 후 색소를 넣고 잔량을 증류수로 채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과 그에 따른 조성비는 다음 표 3과 같다.
배합성분 | 함량(중량%) |
잔탄검 | 0.140 |
젤란검 | 0.140 |
젖산칼슘 | 0.028 |
색소 | 2.000 |
증류수 | 잔량 |
실시예
2. 색소가 첨가되지 않은
카보머
조성물의 제조
점증제를 카보머로 두고 중화제를 투입한 후 잔량을 증류수로 채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과 그에 따른 조성비는 다음 표 4와 같다.
배합성분 | 함량(중량%) |
카보머 | 0.100 |
중화제 | 0.080 |
증류수 | 잔량 |
비교예
2. 색소가 첨가된
카보머
조성물의 제조
점증제를 카보머로 두고 중화제를 투입한 후 색소를 넣고 잔량을 증류수로 채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과 그에 따른 조성비는 다음 표 5와 같다.
배합성분 | 함량(중량%) |
카보머 | 0.100 |
중화제 | 0.080 |
색소 | 2.000 |
증류수 | 잔량 |
실험예
1. 각 조성물의 점도 비교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차이는 색소의 투입 유무이다. 실시예는 색소를 포함하지 않았으며, 비교예는 색소를 포함한 것으로,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도차이를 이용하여 색소에 의해 점도가 무너지는 정도를 알아보았다.
점도의 측정은 점도계(Brookfield DV-E)를 이용하여 1rpm의 회전 속도에서 2번 스핀들 바를 이용하여 1분간 점도를 측정하고 그 값을 표 6에 나타내었다.
점도(cP, centipoise) | |
실시예 1 | 12,690 |
비교예 1 | 12,540 |
실시예 2 | 21,660 |
비교예 2 | 90 |
그 결과, 잔탄검과 젤란검을 점증제로 사용한 실시예 1은 점도가 12,690 cP였으며, 색소가 추가된 비교예 1에서 점도가 12,540 cP로 나타나 색소에 의해 점도가 거의 무너지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카보머를 점증제로 사용한 실시예 2는 점도가 21,660 cP로 나타났으나, 색소를 추가한 비교예 2는 점도가 90 cP로 확연하게 떨어져 색소에 의해 점도가 거의 완전하게 무너졌음을 나타낼 수 있었다.
실험예
2. 점도 육안 평가
색소에 의해 점도가 무너진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조성물의 관찰된 형상을 도 7에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도 7에서 우측의 점도가 유지되고 있는 조성물은 비교예 1의 잔탄검과 젤란검을 점증제로 사용한 조성물이며, 좌측의 점도가 무너진 조성물은 비교예 2의 카보머를 점증제로 사용한 조성물이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 조성물에 대한 육안 평가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 비교예 2 | |
퍼짐성 | 적음 | 심함 |
점도 | 높음 | 낮음 |
비교예 1의 경우 색소가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퍼짐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조성물이 뭉쳐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높은 점도를 유추할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경우 색소가 투입됨으로 인하여 퍼짐성이 심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낮은 점도를 유추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유상함량에 따른 현미경 관찰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5 조성물의 내부에 포함된 오일 방울의 모습을 촬영하여 오일방울의 특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촬영은 현미경을 통해 이루어졌고 그 사진을 도 2 내지 6에 나타내으며, 관찰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유상부 5.0 중량% | 유상부 10.0 중량% | 유상부 20.0 중량% | 유상부 40.0 중량% | 유상부 60.0 중량% | |
형태 | 구상 유지 | 구상 유지 | 구상 유지 | 구상 유지 | 구상 유지 |
크기 | 아주 작음 | 작음 | 보통 | 큼 | 매우 큼 |
그 결과, 총 조성물 대비 유상부가 5.0 중량%, 10.0 중량%, 20.0 중량%, 40.0 중량%, 60.0 중량%로 늘어날수록 오일 방울의 크기도 커졌으며, 크기가 커짐에도 불구하고 일그러짐이나 깨짐없이 그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유상부 함량 최대 60.0 중량% 까지 오일방울의 형태변화 없이 선명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한 실험예로부터 본 발명은 색소에 의해 점도가 무너지지 않으면서 오일 드롭을 유지할 수 있는 신규한 조성물을 개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점증제는 젤란검과 잔탄검으로 구성되어, 다량의 색소에도 점도가 무너지지 않아, 퍼짐성이 낮으며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성 색소는 5.0 중량% 까지 포함 가능하여 색조화장품의 화장료로 사용 가능한 색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점도로 인하여 최대 60.0 중량%까지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오일은 고굴절률을 갖는 오일로서 최대 60.0 중량%까지도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본 발명인은 색소에 의해 점도가 무너지지 않으면서 오일 드롭을 유지할 수 있는 신규한 조성물로써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Claims (5)
- 수상부에는 정제수, 보습제, 킬레이트제, 점증제, 양이온 공급제,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며, 유상부에는 오일을 포함하여, 수상부 내에 오일이 구상으로 분산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점증제는 젤란검과 잔탄검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상부는 제1수상부원료, 제2수상부원료, 제3수상부원료로 나뉘되, 제1수상부원료는 정제수와, 보습제, 킬레이트제, 젤란검 및 양이온 공급제를 포함하고, 제2수상부원료는 잔탄검을 포함하며, 제3수상부원료는 정제수 및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며,
상기 보습제는 조성물 총 중량대비 1.00 ~ 20.00 중량%, 킬레이트제는 0.001 ~ 0.1 중량%, 젤란검은 0.001 ~ 1.0 중량%, 양이온 공급제는 0.001 ~ 1.0 중량%, 잔탄검은 0.001 ~ 1.0 중량%, 수용성 색소는 0.0001 ~ 5.0 중량%, 유상부는 0.0001 ~ 60.0 중량%, 상기 정제수는 잔량으로 포함하며,
상기 유상부의 오일은 100cP ~ 20,000cP의 점도를 가지되, 상기 젤란검과 잔탄검에 의해 100cP ~ 20,000cP의 점도의 범위를 갖는 점도에도 오일 방울을 유지하며, 다량의 색소에도 점도가 무너지지 않고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류 오일, 탄화수소류 오일, 실리콘계류 오일,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의 오일은 100 ~ 20000cP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7545A KR102193575B1 (ko) | 2018-12-21 | 2018-12-21 |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7545A KR102193575B1 (ko) | 2018-12-21 | 2018-12-21 |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8783A KR20200078783A (ko) | 2020-07-02 |
KR102193575B1 true KR102193575B1 (ko) | 2021-01-04 |
Family
ID=7159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7545A KR102193575B1 (ko) | 2018-12-21 | 2018-12-21 |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357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6250A (ko) | 2021-04-23 | 2022-11-01 | 이주완 | 베이스 메이크업 기능을 갖는 캡슐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4583A (ko) | 2021-04-20 | 2022-10-27 | 주식회사 가나씨앤피 | 에스테르계 유지로 팔미트산 부틸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527425A (ja) | 2009-05-18 | 2012-11-08 | シグモイド・ファーマ・リミテッド | 油滴含有組成物 |
JP2017031092A (ja) * | 2015-07-31 | 2017-02-09 | 花王株式会社 | 水中油型乳化化粧料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73902A (ko) * | 2012-12-07 | 2014-06-17 | 코웨이 주식회사 |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
KR102498845B1 (ko) * | 2015-12-04 | 2023-02-09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오일-볼 화장료 조성물 |
KR20180055678A (ko) * | 2016-11-17 | 2018-05-25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젤란검을 이용한 계면활성제 없는 마크로에멀젼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제 제형 |
-
2018
- 2018-12-21 KR KR1020180167545A patent/KR1021935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527425A (ja) | 2009-05-18 | 2012-11-08 | シグモイド・ファーマ・リミテッド | 油滴含有組成物 |
JP2017031092A (ja) * | 2015-07-31 | 2017-02-09 | 花王株式会社 | 水中油型乳化化粧料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6250A (ko) | 2021-04-23 | 2022-11-01 | 이주완 | 베이스 메이크업 기능을 갖는 캡슐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8783A (ko) | 2020-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69600017T2 (de) | Verwendung von amphiphilen Verbindungen als Verdickungsmittel in nichtwässrigen Medien und die so hergestellte Zusammensetzungen | |
CN111096912B (zh) | 一种双连续相型眼唇卸妆液及其制备方法 | |
DE3710292A1 (de) | Wasserfeste sonnenschutz-zusammensetzung | |
KR102193575B1 (ko) |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
KR20090010768A (ko) |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 |
CN105658224A (zh) | 一种作为中间体化妆品的乳膏状固体水包琼脂糖凝胶颗粒悬浮液 | |
CN1931121A (zh) | 一种黄芩甙纳米乳化妆品及其制备方法 | |
KR20170065947A (ko) | 오일-볼 화장료 조성물 | |
JP2010202596A (ja) | カプセル入り化粧料 | |
CN115154366A (zh) | 具有悬浮油珠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KR102673707B1 (ko) | 고체 유성 성분을 안정화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 |
KR102557610B1 (ko) | 수중 유적형 피부 외용제 | |
CN111803427B (zh) | 一种水包油型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KR20170084457A (ko) |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 |
KR20130033774A (ko) | 입술화장료 조성물 | |
KR20150121409A (ko) | 아스코빅애씨드 2-글루코사이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및 안정화된 아스코빅애씨드 2-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CN113242748B (zh) | 可再分散的两层化妆品 | |
KR102255510B1 (ko) | 분사용 에멀젼 타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50577B1 (ko) | 계면활성제 없이 오일상을 함유한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 | |
JP2023507892A (ja) | 超吸収性ポリマーを含む組成物 | |
KR102076302B1 (ko) |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마스크팩 | |
KR20210032142A (ko) | 가용화된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JPH08119853A (ja) | 白濁入浴剤 | |
KR102369268B1 (ko) | 셀룰로오스로 형성된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80115121A (ko) |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