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516B1 - 통지 제어 방법, 유저 단말 장치 및 통지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통지 제어 방법, 유저 단말 장치 및 통지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516B1
KR102193516B1 KR1020187004006A KR20187004006A KR102193516B1 KR 102193516 B1 KR102193516 B1 KR 102193516B1 KR 1020187004006 A KR1020187004006 A KR 1020187004006A KR 20187004006 A KR20187004006 A KR 20187004006A KR 102193516 B1 KR102193516 B1 KR 10219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information
area
operable area
user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258A (ko
Inventor
케니치 우에노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유저 단말 장치 100은, 표시부(160)에 소정의 통지 정보를 표시할 때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받을 수 있는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유저로부터의 조작이 통지 정보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통지 제어부 1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지 제어 방법, 유저 단말 장치 및 통지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NOTIFICATION CONTROL METHOD, USER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HAVING NOTIFICATION CONTROL PROGRAM STORED THEREIN}
본 발명은, 통지 제어 방법, 유저 단말 장치 및 통지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관련된다.
현재, 정보처리 단말에서, 유저에게 새로운 정보를 통지하고 싶은 경우에,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의 일부에게 통지 정보를 수시로 표시하는 기능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메일의 수신, 부재 착신 등의 이벤트 정보를 유저에게 표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유저가 LCD 모니터에게 표시된 메뉴 중 임의의 메뉴를 비표시로 하는 것으로, 자신이 이용하기 쉬운 메뉴 표시를 휴대 단말에 실시하게 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특개 2014-164682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 2010-108145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지 정보는, 유저에게 있어서는 디스플레이에 갑자기 표시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유저가 정보처리 단말을 사용중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상에 통지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유저가 정보처리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조작 버튼을 조작하려고 할 때에 통지 정보가 표시되면, 조작 버튼이 통지 정보에서 가려 안 보이게 되어, 조작 버튼을 조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런 경우에, 유저는 통지 정보가 사라질 때까지 기다린다거나, 통지 정보를 터치하여 통지 정보를 지우는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예를 들면, 유저가 정보처리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조작 버튼을 조작하는 타이밍에서 통지 정보가 표시되면, 조작 버튼에 대해 수행할 예정이었던 조작이 통지 정보에 대한 조작으로 되어 버린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유저에게 통지 정보를 표시할 때에, 유저가 의도하는 조작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형태에 의하면, 표시부에 소정의 통지 정보를 표시할 때에, 해당 표시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받을 수 있는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상기 유저로부터의 조작이 상기 통지 정보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지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표시부에 소정의 통지 정보를 표시할 때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받을 수 있는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상기 유저로부터의 조작이 상기 통지 정보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통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덧붙여,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기록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등 사이에서 변경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저에게 통지 정보를 표시할 때에, 유저가 의도하는 조작이 저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저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저 단말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정 방법 기억부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지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지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덧붙여,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는 것에 의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저 단말 장치 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유저 단말 장치 100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스마트 폰, 게임용 콘솔, 퍼스널 컴퓨터, 터치 패드, 전자 서적 리더, 웨어러블 단말 등의 정보처리 장치이다.
유저 단말 장치 100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302, ROM(Read Only Memory) 304, RAM(Random Access Memory) 306, 기억부 308, 입출력부 310, 통신부 312 및 디스플레이 160(표시부)를 구비한다. 덧붙여, 유저 단말 장치 100의 각부는, 버스 314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기억부 308은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CPU 302는, 기억부 308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이다.
ROM 304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ROM 304는, 기억부 308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CPU 302가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RAM 306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나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주기억장치이다. RAM 306은, 각종 프로그램이 CPU 302에 의해 실행될 때에 전개되는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입출력부 310은, 유저 단말 장치 100에 대한 각종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유저 단말 장치 100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의 기능을 포함한다. 입출력부 310은, 디스플레이 160에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160은, 터치 반응형 디스플레이(터치 패널)으로 할 수 있다. 통신부 312는, 미도시의 네트워크를 통해 유저 단말 장치 100과 다른 단말의 통신을 실시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저 단말 장치 10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유저 단말 장치 100은, 제어부 102, 프로그램 기억부 104, 표시 처리부 110, 조작 접수부 112, 통지 제어부 114,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 음성 출력 처리부 118, 화면 정보 기억부 140, 검출 영역 기억부 142 및 조정 방법 기억부 144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기억부 104는, 유저 단말 장치 100에서 실행되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프로그램 기억부 104는, 이하의 통지 제어 처리를 실시하는 통지 제어 프로그램도 기억한다. 유저 단말 장치 100의 각 기능 구성은, 통지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어부 102는, 유저 단말 장치 100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부 102는, 프로그램 기억부 104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표시 처리부 110은, 디스플레이 160에 각종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표시 처리부 110이 표시하는 화면은,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받을 수 있는 조작 가능 영역을 포함한다. 조작 가능 영역은, 예를 들면, 각종 조작 버튼 등의 버튼 요소, 입력 박스 등의 입력 요소, 다른 페이지나 사이트에 대한 링크 정보 등, 유저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유저 단말 장치 100에 있어서 인터랙티브한 동작이 행해지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조작 접수부 112는, 유저 단말 장치 100의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 접수부 112는,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된 화면에 포함되는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유저로부터의 터치 등의 조작을 받아들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유저의 조작은 주로 디스플레이 160에 대한 터치 등의 동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음성 출력 처리부 118은, 각종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화면 정보 기억부 140은, 표시 처리부 110에 의해 디스플레이 160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화면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화면의 배경, 화상, 게임 캐릭터, 각종 조작 버튼 등의 버튼 요소, 입력 박스 등의 입력 요소, 텍스트 등, 화면상의 화소가 있는 한 덩어리의 무언가를 나타내고 있는 각종 표시 요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표시 요소에 관한 정보는, 각 표시 요소의 기능, 위치, 사이즈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의 구성에도 따르지만, 화면 정보 기억부 140은, 각 화면에 포함되는 표시 요소에 관한 정보를 트리 구조로 기억할 수 있다. 덧붙여, 화면에 관한 정보는, 제어부 102의 제어 하에, 표시 처리부 110이 디스플레이 160에 화면을 표시할 때에 프로그램 기억부 104에서 독출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화면 정보 기억부 140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구성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통지 제어부 114는, 유저에게 통지를 할 필요가 있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다. 그러한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면, 통지 제어부 114는, 유저에게 통지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유저에 대한 통지가 필요한 이벤트는, 예를 들면, 유저가 유저 단말 장치 100 내에 인스톨하고 있는 SNS 등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른 유저로부터의 메시지의 수신이나, 다른 유저의 액션의 발생, 메일의 수신, 부재 통지, 알람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지 제어부 114는, 유저에 대한 통지로서, 소정의 통지 정보(이하, "디폴트 통지 정보"라고 함)를 디스플레이 160의 소정의 영역(이하, "디폴트 영역"이라고 함)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단, 통지 제어부 114는, 디스플레이 160에 디폴트 통지 정보를 표시할 때에, 디스플레이 160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받을 수 있는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유저로부터의 조작이 통지 정보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통지 정보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영역내에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폴트 통지 정보를 그대로 해당 디폴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영역내에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디폴트 통지 정보를 조정한다. 여기서, 디폴트 통지 정보의 조정은, 디폴트 통지 정보의 외형을 조정하는 것 및/또는 기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디폴트 통지 정보의 외형을 조정하는 것은, 위치, 사이즈, 형태를 다르게 하는 것, 표시 형태나 출력 형태를 다르게 하는 것이나, 통지를 보류하는 것이나, 통지를 하지 않는 것 등을 포함한다. 조정 방법 기억부 144는, 디폴트 통지 정보의 조정 방법을 기억한다. 통지 제어부 114는, 통지 제어부 114를 참조하여, 디폴트 통지 정보를 조정한다. 디폴트 통지 정보의 조정 방법의 구체적인 예는 후술한다.
통지 제어부 114는, 통지 정보를 표시할 때에,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여기서,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때라는 것은, 실제로 통지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통지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하여, 통지 정보를 표시하려고 하는 때를 나타낸다.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은, 통지 제어부 114로부터의 통지를 받아, 표시 처리부 110에 의해 디스플레이 160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각 조작 가능 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은, 화면 정보 기억부 140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160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에 포함되는 표시 요소에 관한 정보를 탐색하고, 각 표시 요소의 기능 등에 기초하여, 해당 표시 요소가 조작 가능 영역인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상술한 것처럼 표시 요소에 관한 정보가 트리 구조로 기억되고 있는 경우,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은, 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전체 표시 요소에 관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는, 각 표시 요소에 어떤 기능을 부여할지를 개발자가 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통지 제어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 각 표시 요소에 해당 표시 요소가 조작 가능 영역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연관시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은, 조작 가능 영역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각 표시 요소가 조작 가능 영역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은, 예를 들면, 상술한 표시 요소 중, 각종 조작 버튼 등의 버튼 요소, 입력 박스 등의 입력 요소, 텍스트 중 링크 정보가 부여되고 있는 것 등을 조작 가능 영역으로 판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OS 등, 개별적인 전제가 곤란한 경우나, 조작 가능 영역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연관되지 않은 경우,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은 예를 들면, 조작 가능한 표시 요소에 부여되는 표준적인 클래스와 프로퍼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표시 요소가 조작 가능 영역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은, 조작 가능 영역으로서 판단해야 하는 표준적인 클래스 또는 프로퍼티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고, 해당 기억부에 기억된 클래스 또는 프로퍼티에 관한 정보와 각 표시 요소에 부여된 클래스 또는 프로퍼티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각 표시 요소가 조작 가능 영역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이 게임 화면 등으로, 화면내의 임의의 위치를 유저가 터치 등의 조작을 하면, 유저 단말 장치 100 측에서 인터랙티브한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은 화면 전체가 조작 가능 영역임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은,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이 게임 화면 등으로, 화면 전체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라도, 예를 들면, 보류 버튼이 눌러져 있어서, 화면 전체에 대한 조작이 무효가 되는 경우에는 화면 전체를 조작 가능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유효한 조작 가능 영역만을 조작 가능 영역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은, 조작 가능 영역을 검출하면, 그 조작 가능 영역의 위치와 사이즈를 취득하여 검출 영역 기억부 142에 기억한다.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은 검출한 모든 조작 가능 영역의 위치와 사이즈를 검출 영역 기억부 142에 기억할 수 있다.
통지 제어부 114는, 검출 영역 기억부 142를 참조하여,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이 검출한 조작 가능 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에 기초하여 디폴트 영역에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상술한 것처럼,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영역에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폴트 통지 정보를 표시하고, 디폴트 영역에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유저로부터의 조작이 디폴트 통지 정보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디폴트 통지 정보를 조정한다.
다음으로, 통지 제어부 114가 디폴트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160의 디폴트 영역 210a에 표시되는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을 일정시간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하고, 유저가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을 터치 등으로 조작하면,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의 표시를 중지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은, 디폴트 영역 210a에 표시되는 배경과 배경내에 표시되는 "A씨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습니다. ..." 등의 문자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통지 제어부 114는, 유저가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을 터치 등으로 조작하면, 그 통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나타낸 예의 경우, 유저가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을 조작하면, 통지 제어부 114는, 메시지 송수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열어, "A씨로부터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 2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화면 200은, 조작 가능 영역으로서 백 버튼 202(도면에서 "Back"으로 표시), OK 버튼 204 및 캔슬 버튼 206(도면에서 "Cancel"로 표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디폴트 영역 210a 내에 조작 가능 영역인 백 버튼 202가 존재한다.
이 경우에, 통지 제어부 114는, 도 3에서 나타낸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을 조정한다. 일례로서, 통지 제어부 114는, 조작 가능 영역인 백 버튼 202가 유저에게 보여지게 될 수 있도록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을 조정한 조정완료 통지 정보를 백 버튼 202와 함께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통지 제어부 114는, 조정완료 통지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사이에 유저에 의해 백 버튼 202가 조작된 경우, 백 버튼 202에 대한 유저에 조작이 유효하게 되도록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을 조정한다.
도 5는, 통지 제어부 114에 의해 조정된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이 백 버튼 202와 겹치지 않도록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의 백 버튼 202와 겹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도려낸)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2를 생성하여, 백 버튼 202가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2 내에 배치되도록 이들을 함께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유저가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2를 조작하면, 조작 접수부 112는,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이 조작된 것과 같은 조작으로서 받아들인다. 한편, 유저가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2에 둘러싸인 백 버튼 202를 조작하면, 조작 접수부 112는,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2에 대한 조작으로서 받아들인다.
(변형예 1)
도 6은, 통지 제어부 114에 의해 조정된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4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통지 제어부 114는,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의 백 버튼 202와 겹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의 문자가 백 버튼 202와 겹치지 않도록 문자의 배치 위치를 밀어낸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2b를 생성하고, 백 버튼 202가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2b 내에 배치되도록 이들을 함께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한다.
(변형예 2)
도 7은, 통지 제어부 114에 의해 조정된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4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의 백 버튼 202와 겹치는 부분의 투명도가 높아지도록 그라디에이션화한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4를 생성하여,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4를 백 버튼 202에 겹쳐서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통지 제어부 114는, 백 버튼 202의 위치에 기초하여, 백 버튼 202의 중심 위치를 중심으로, 디폴트 통지 정보 210에 투명화의 그라디에이션을 나타내고, 백 버튼 202가 유저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는, 통지 제어부 114는,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4를 백 버튼 202 상에 겹쳐서 표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백 버튼 202 부분에,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4의 "A씨로부터"라고 하는 문자가 예를 들면, 반투명 상태로 표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유저가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4의 백 버튼 202와 겹친 부분 이외의 영역을 조작하면, 조작 접수부 112는,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이 조작된 것과 같은 조작으로서 받아들인다. 한편, 유저가 백 버튼 202 부분을 조작하면, 조작 접수부 112는,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2에 대한 조작으로서 받아들인다. 즉, 도 5 및 도 7에서 나타낸 예에서는,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의 외형도, 기능도 조정되어 있다.
(변형예 3)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의 외형 자체는 그대로로 하고 기능만을 조정하여, 백 버튼 202와 겹치는 영역에서, 디폴트 통지 정보 210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하고 백 버튼 202에 조작으로서 받아들이는(작용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을 백 버튼 202와 겹쳐서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하고,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의 백 버튼 202와 겹치는 영역이 유저에게 조작된 경우에, 해당 조작을 백 버튼 202에 대한 조작으로서 작용시키도록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을 조정할 수 있다.
도 8은, 통지 제어부 114에 의해 조정된 조정완료 통지 정보 226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중 파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백 버튼 202가 표시되고 있는 영역이다.
도 8에서 나타낸 조정완료 통지 정보 226은, 외형은 디폴트 통지 정보 210과 같지만, 백 버튼 202와 겹치는 영역이 유저에게 조작된 경우에, 해당 조작을 백 버튼 202에 대한 조작으로서 작용시키도록 조정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유저가 도 4에서 나타낸 표시 화면을 보고 있고, 백 버튼 202에 터치하려고 하는 순간에 조정완료 통지 정보 226이 표시되어, 유저가 조정완료 통지 정보 226을 터치하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유저의 조작이 백 버튼 202에 대한 조작으로서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변형예 4)
덧붙여, 이 경우, 통지 제어부 114는, 백 버튼 202와 겹치는 영역뿐만 아니라, 백 버튼 202의 주위의 소정의 영역에 대해서도, 그 영역이 유저에 의해 조작된 경우에, 해당 조작을 백 버튼 202에 대한 조작으로서 작용시키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9는 이러한 예시를 나타낸다. 통지 제어부 114는, 백 버튼 202의 주위의 영역도 포함하는 일점 파선 240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유저에게 조작된 경우에, 해당 조작을 백 버튼 202에 조작으로서 작용시키도록 조정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유저의 조작이 백 버튼 202로부터 다소 어긋났다고 하더라도, 유저의 조작이 백 버튼 202에 대한 조작으로서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서 나타낸 예에 대해서도 이와 같이, 통지 제어부 114는, 백 버튼 202가 표시된 영역뿐만 아니라, 백 버튼 202의 주위의 소정의 영역에 대해서도, 그 영역이 유저에 의해 조작된 경우에, 해당 조작을 백 버튼 202에 조작으로서 작용시키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이러한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에서 나타낸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2a는, 외형은 도 5에서 나타낸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2와 같지만, 백 버튼 202에 대한 조작으로 인식되는 영역이 백 버튼 202 보다 넓게 설정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2a에 표시되는 통지 내용의 표시 영역을 넓게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유저의 조작이 백 버튼 202로부터 다소 어긋났다고 하더라도, 유저의 조작이 백 버튼 202에 대한 조작으로서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7에서 나타낸 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변형예 5)
게다가 다른 예로서, 통지 제어부 114는, 통지 정보가 조작 가능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위치를 변경하거나, 통지 정보의 사이즈나 형태를 변경하거나, 통지 정보의 출력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영역 210a 내에 백 버튼 202 등의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통지 정보가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표시되도록 통지 정보의 사이즈와 형태를 조정하여, 해당 조정한 조정완료 통지 정보를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통지 제어부 114에 의해 조정된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6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나타낸 예에서는, 백 버튼 202와 겹치지 않는 사이즈 및 형태로 축소된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6이 디폴트 영역 210a 내에 표시된다. 통지 제어부 114는,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이 검출한 각 조작 가능 영역의 위치와 사이즈에 기초하여, 디폴트 영역 210a 내의 조작 가능 영역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을 검출하고, 해당 영역에 맞춘 사이즈에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을 조정하여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6을 생성할 수 있다.
(변형예 6)
도 12는, 통지 제어부 114에 의해 조정된 조정완료 통지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에서 나타낸 것처럼, 디폴트 영역 210a 내에 복수의 조작 가능 영역(버튼 202a 및 202b)이 존재하는 경우, 통지 제어부 114는, 이들과 겹치지 않도록 디폴트 통지 정보보다 사이즈가 작게 조정된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8을 디폴트 영역 210a에 표시할 수 있다.
(변형예 7)
또한,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영역 210a 내에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통지 정보를, 디스플레이 160에 있어서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다른 영역에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2(b)는 이러한 예시를 나타낸다. 도 12(b)에서 나타낸 것처럼, 디폴트 영역 210a 내에 조작 가능 영역(버튼 202a)이 존재하는 경우, 통지 제어부 114는,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다른 영역에 조정완료 통지 정보 220을 표시할 수 있다. 조정완료 통지 정보 220은, 도 3에서 나타낸 디폴트 통지 정보 210과 외형이 같고, 배치 위치만이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2(b)에서는, 화면의 하부에 조정완료 통지 정보 220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하부로 한정되지 않고, 화면 내의 조작 가능 영역이 배치되지 않은 임의의 위치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변형예 8)
또한, 도 12(c)에서 나타낸 것처럼, 디폴트 영역 210a 내에 조작 가능 영역(버튼 202a)이 존재하는 경우, 통지 제어부 114는, 조작 가능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디폴트 통지 정보의 위치와 방향(형태)을 바꾼 조정완료 통지 정보 222를 표시할 수 있다.
[0051]
또한, 통지 제어부 114는, 도 12(b)나 도 12(c)에서 나타낸 것처럼 통지 정보의 표시 위치를 바꾼 경우에, 바꾼 위치에서도 조작 가능 영역이 조작하는 경우에는 통지 정보의 사이즈나 형태를 적절히 축소하는 등의 조정을 할 수 있다.
(변형예 9)
또한, 통지 제어부 114는,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되고 있는 조작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160 내에 디폴트 통지 정보 210으로서 표시해야 하는 내용을 표시 가능한 충분한 영역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지 제어부 114는, 표시 가능한 충분한 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디폴트 통지 정보 210을 디스플레이 160에 있어서 소정 방향으로 흐르는 표시 정보로 조정하여, 조정완료 통지 정보를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게임 화면 등에서, 화면 전체가 조작 가능 영역임이 검출된 경우, 통지 제어부 114는 표시 가능한 충분한 영역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통지 정보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디폴트 통지 정보의 사이즈, 예를 들면, 50% 미만 등과 같이 소정 비율의 영역밖에 없는 경우에는, 표시 가능한 충분한 영역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2(d)는 이러한 예시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12(d)에서 나타낸 것처럼, 화면 전체에 조작 가능 영역(버튼 202a~202c ...)이 포함되는 경우 등, 표시 화면 200에 통지 정보를 조작 가능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표시하는 충분한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 통지 제어부 114는, 화면에, 예를 들면, 오른쪽에서 왼쪽 등의 소정 방향으로 흐르는 형태의 조정완료 통지 정보 224를 표시할 수 있다. 덧붙여, 이러한 경우에는, 조정완료 통지 정보 224는 터치 등의 조작을 하더라도 인터랙티브한 동작이 발생하지 않는 비조작 가능 요소로 할 수 있다. 또한, 통지 제어부 114는, 조정완료 통지 정보 224가 흐르고 있는 동안에 그 배면의 화면에 조작하는 조작 가능 영역을 조작하는 경우, 그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조작이 유효해지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변형예 10)
또한, 화면 전체에 조작 가능 영역이 포함되는 경우 등, 통지 정보를 조작 가능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표시하는 충분한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 통지 제어부 114는, 통지 정보의 출력 형태를 표시가 아니라, 음성 출력 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통지 제어부 114는, 음성 출력 처리부 118을 통해 통지 정보를 소리 정보로서 출력한다.
(변형예 11)
게다가 화면 전체에 조작 가능 영역이 포함되는 경우 등, 통지 정보를 조작 가능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표시하는 충분한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 통지 제어부 114는, 통지 정보의 표시를 보류로 하고, 화면의 상태를 감시하여, 통지 정보를 조작 가능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표시하는 충분한 스페이스가 발생하고 나서 통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변형예 12)
게다가 화면 전체에 조작 가능 영역이 포함되는 경우 등과 같이, 통지 정보를 조작 가능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표시하는 충분한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 통지 제어부 114는, 통지 정보를 실시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형예 11에서 설명한 것처럼, 통지 정보의 표시를 보류로 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통지 정보를 조작 가능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표시하는 충분한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에 통지 정보를 실시하지 않는 것 등으로 할 수 있다.
도 13은, 조정 방법 기억부 144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정 방법 기억부 144는, 정보의 항목으로서 "우선 순위", "조건", "조정 방법" 등을 포함한다. "조정 방법"은,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조정 방법을 나타낸다. "조건"은, 그 조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다. "우선 순위"는, 조정 방법 기억부 144가 복수의 조정 방법을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 어느 조정 방법을 우선적으로 실행할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통지 제어부 114는, 조정 방법 기억부 144를 참조하여, 우선도가 높은 조정 방법부터 순서대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그 조정 방법을 채용한다. 예를 들면, 도 13에서 나타낸 예에서는, 우선 순위 "1"로서, 조건 "디폴트 겹침 20% 이하", 조정 방법 "그라디에이션하여 겹침"이 기억되어 있다. 이 경우에,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통지 정보와 조작 가능 영역과의 겹침이 디폴트 영역의 20%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겹침이 디폴트 영역의 20% 이하인 경우, 통지 제어부 114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4를 생성하고, 조정완료 통지 정보 214를 백 버튼 202 등의 조작 가능 영역과 겹쳐서 표시한다.
한편, 겹침이 디폴트 영역의 20%를 넘는 경우, 통지 제어부 114는, 우선 순위 "1"의 조정 방법을 채용하지 않고, 우선 순위 "2"의 조정 방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우선 순위 "2"로서는, 조건 "별도 영역 1에 겹침 없음", 조정 방법 "별도 영역 1에 표시"가 기억되어 있다. 이 경우에,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통지 정보를 별도 영역 1에 표시하는 경우에, 별도 영역 1에 조작 가능 영역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겹침이 없는 경우(별도 영역 1에 조작 가능 영역이 없는 경우), 통지 제어부 114는, 예를 들면,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한 조정완료 통지 정보 220을 생성하고, 별도 영역 1(표시 화면 200의 하부)에 표시한다.
덧붙여, 도 13에서 나타낸 조정 방법의 우선 순위는, 예를 들면, 유저가 소망하는 순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통지 제어부 114는, 유저로부터의 설정을 받아들여, 조정 방법 기억부 144에 기억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 나타낸 조정 방법은,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마다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 가능 영역이 특정의 패턴으로 배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조작 가능 영역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통지 정보를 이동시키는 조정 방법의 우선 순위가 높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디폴트 영역도,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 가능 영역이 특정의 패턴으로 배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조작 가능 영역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디폴트 영역이 마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통지 정보를 이동시키는 위치는, 조정 방법 기억부 144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기억하지 않고,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160의 상방부터 순서대로 표시 가능한 영역을 검출하는 것 등의 순서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저 단말 장치 100의 처리 순서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저 단말 장치 100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전제로서, 제어부 102의 제어의 하에, 표시 처리부 110에 의해 현재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의 화면에 관한 정보가 화면 정보 기억부 140에 기억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통지 제어부 114가 통지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단계 S102의 YES), 통지 제어부 114는 그 취지를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에 통지한다.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은, 화면 정보 기억부 140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160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에 포함되는 조작 가능 영역을 검출한다(단계 S104).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6은, 검출한 조작 가능 영역의 위치와 사이즈를 검출 영역 기억부 142에 기억한다(단계 S106).
통지 제어부 114는, 검출 영역 기억부 142를 참조하여, 디폴트 통지 정보를 표시해야 하는 디폴트 영역에 겹치는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108).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108의 NO), 통지 제어부 114는, 디폴트 통지 정보를 표시한다(단계 S116).
한편, 단계 S108에서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단계 S108의 YES), 통지 제어부 114는, 조정 방법 기억부 144를 참조하여 설정된 조정 방법으로 디폴트 통지 정보를 조정하고(단계 S112), 조정완료 통지 정보를 통지한다(단계 S114).
덧붙여, 단계 S102에서,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S102의 YES), 통지 제어부 114는, 유저 단말 장치 100이 액티브 상태인지 아닌지(화면이 표시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유저 단말 장치 100이 액티브하지 않은 경우(화면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단계 S116으로 진행하여, 디폴트 통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되고 있는 조작 가능 영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160 내에 디폴트 통지 정보 210으로서 표시해야 하는 내용을 표시 가능한 충분한 영역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표시 가능한 충분한 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통지 제어부 114는, 통지 정보의 표시를 보류하고, 통지 정보의 내용을 표시 가능한 충분한 영역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재차 실시하는 처리를 소정 시간 반복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4는, 이러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서 도 13과 같은 순서에는 같은 단계 번호를 교부하여, 적절하게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08에서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단계 S108의 YES), 통지 제어부 114는, 통지 정보의 내용을 표시 가능한 충분한 영역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110). 통지 정보의 내용을 표시 가능한 충분한 영역이 있는 경우(단계 S110의 YES), 도 15와 같이 단계 S114로 진행하여, 동일한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단계 S110에서 통지 정보의 내용을 표시 가능한 충분한 영역이 없는 경우(단계 S110의 YES), 통지 제어부 114는, 통지 정보의 통지를 보류하고(단계 S118), 단계 S104로 돌아와,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덧붙여, 같은 처리를 반복하여, 통지를 보류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화면 전체가 조작 가능 영역인 경우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통지 정보를 음성으로 통지하거나, 로그 등으로서 기록하거나, 통지를 실시하지 않는 등의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디스플레이 160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이 게임 화면 등 화면 전체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 통지 제어부 114는, 단계 S110에서 통지 정보의 내용을 표시 가능한 충분한 영역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에라도, 예를 들면, 유저가 보류 버튼을 눌러, 화면 전체에 대한 조작이 무효가 되는 경우에는, 통지 제어부 114는, 단계 S110에서 통지 정보의 내용을 표시 가능한 충분한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 때문에,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의 조작 상태에 따라, 예를 들면, 유저가 게임을 보류하고 있는 타이밍 등에서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 등의 대응을 취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조작을 저해하는 일 없이, 효과적으로 통지를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지 제어 방법에 의하면, 유저가 유저 단말 장치 100을 사용 중에서 어느 하나의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해 조작을 실시하려고 할 때에, 통지 정보에 의해 그 조작 가능 영역이 안 보이게 되는 등의 폐해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저가 어느 하나의 조작 가능 영역에 터치 등의 조작을 한 타이밍에서 통지 정보가 표시되었다고 하더라도,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조작이 올바르게 인식되어, 유저가 의도하는 조작이 저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로 든 구성 등에 대한, 그 외의 요소의 조합 등, 여기에서 나타낸 구성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점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이 가능할 수 있고, 그 응용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 160이 터치 반응형 디스플레이(터치 패널)이며, 디스플레이 160이 유저 단말 장치 100과 일체적으로 구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디스플레이 160은, 유저 단말 장치 100과는 별도로 마련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와는 별도로 조작부가 마련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조작 접수부 112는, 조작부를 통한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조작으로서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접수부 112가 디스플레이 160에 대한 터치 등을 조작으로서 받아들이는 예를 나타냈지만, 조작 접수부 112는, 손가락질, 포인터에 의한 지시, 시선 등을 유저로부터의 조작으로서 받아들이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이상의 실시 형태는, 유저의 조작을 손가락질이나 시선 등으로 파악 가능한 유저 단말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통지 제어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 각 표시 요소에 해당 표시 요소가 조작 가능 영역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연관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조작 가능 영역마다, 그 조작 가능 영역이 통지 정보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설정이나, 우선도를 연관시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통지 제어부 114는, 통지 정보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설정된 조작 가능 영역이나 우선도의 높은 조작 가능 영역만, 통지 정보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통지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조작 빈도가 높고, 통지 정보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해서만 통지 정보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통지 정보를 조정할 수 있어, 통지를 실시하는 점의 편리성을 확보하면서, 유저가 의도하는 조작이 저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 도 2에서 나타낸 유저 단말 장치 100의 각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단위의 구성이 아니라,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유저 단말 장치 100의 각 구성요소는, 임의의 컴퓨터의 CPU, 메모리, 메모리에 로드된 본 도면의 구성요소를 실현하는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유닛, 네트워크 접속용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그리고, 이러한 실현 방법, 장치에는 여러가지 변형예가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국제 출원은 2015년 9월 15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2015-182021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체의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100 유저 단말 장치
102 제어부
104 프로그램 기억부
110 표시 처리부
112 조작 접수부
114 통지 제어부
116 조작 가능 영역 검출부
118 음성 출력 처리부
140 화면 정보 기억부
142 검출 영역 기억부
144 조정 방법 기억부
160 디스플레이
200 표시 화면
202, 202a 백 버튼
204 OK 버튼
206 캔슬 버튼
210 디폴트 통지 정보
210a 디폴트 영역
212, 212a, 214 내지 226 조정완료 통지 정보

Claims (17)

  1. 표시부에 소정의 통지 정보를 표시할 때에, 상기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앞서, 상기 표시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에 포함되는 표시 요소 중, 유저로부터 조작을 받을 수 있는 표시 요소를 조작 가능 영역으로서 검출하는 단계;
    상기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앞서, 상기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상기 유저로부터의 조작이 상기 통지 정보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한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조작 가능 영역이 유저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상기 통지 정보의 상기 조작 가능 영역과 겹치는 부분 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통지 정보에 포함된 문자가 상기 조작 가능 영역과 겹쳐지지 않도록 상기 문자의 배치 위치를 밀어 낸 조정완료 통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조정완료 통지 정보를 상기 조작 가능 영역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통지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정보는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디폴트 영역에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디폴트 영역에 상기 조작 가능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통지 제어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조정완료 통지 정보를 상기 조작 가능 영역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 가능 영역에 해당되는 영역에 대한 상기 유저의 조작을 검출한 경우에, 해당 조작을 상기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조작으로서 작용시키도록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하여 상기 조정완료 통지 정보를 생성하는, 통지 제어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정보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통지 제어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정보를 표시할 때에, 해당 표시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기 조작 가능 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조작 가능 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통지 제어 방법.
  14. 표시부에 소정의 통지 정보를 표시할 때에, 상기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앞서, 상기 표시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에 포함되는 표시 요소 중,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받을 수 있는 표시 요소를 조작 가능 영역으로서 검출하고, 상기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앞서, 상기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상기 유저로부터의 조작이 상기 통지 정보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통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함에 있어서, 상기 조작 가능 영역이 유저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상기 통지 정보의 상기 조작 가능 영역과 겹치는 부분 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통지 정보에 포함된 문자가 상기 조작 가능 영역과 겹쳐지지 않도록 상기 문자의 배치 위치를 밀어 낸 조정완료 통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통지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조정완료 통지 정보를 상기 조작 가능 영역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유저 단말 장치.
  15. 컴퓨터를, 표시부에 소정의 통지 정보를 표시할 때에, 상기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앞서, 상기 표시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에 포함되는 표시 요소 중,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받을 수 있는 표시 요소를 조작 가능 영역으로서 검출하고, 상기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앞서, 상기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상기 유저로부터의 조작이 상기 통지 정보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통지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통지 제어 수단은,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함에 있어서, 상기 조작 가능 영역이 유저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상기 통지 정보의 상기 조작 가능 영역과 겹치는 부분 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통지 정보에 포함된 문자가 상기 조작 가능 영역과 겹쳐지지 않도록 상기 문자의 배치 위치를 밀어 낸 조정완료 통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통지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조정완료 통지 정보를 상기 조작 가능 영역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통지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조작 가능 영역에 해당되는 영역 및 그 주위의 소정의 영역에 대한 상기 유저의 조작을 검출한 경우에도, 상기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조작으로서 작용시키도록 상기 통지 정보를 조정하는 통지 제어 방법.
  17. 삭제
KR1020187004006A 2015-09-15 2016-09-14 통지 제어 방법, 유저 단말 장치 및 통지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193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2021 2015-09-15
JP2015182021A JP6129261B2 (ja) 2015-09-15 2015-09-15 通知制御方法、ユーザ端末装置及び通知制御プログラム
PCT/JP2016/077085 WO2017047630A1 (ja) 2015-09-15 2016-09-14 通知制御方法、ユーザ端末装置及び通知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258A KR20180043258A (ko) 2018-04-27
KR102193516B1 true KR102193516B1 (ko) 2020-12-21

Family

ID=5823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006A KR102193516B1 (ko) 2015-09-15 2016-09-14 통지 제어 방법, 유저 단말 장치 및 통지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075553A1 (ko)
JP (1) JP6129261B2 (ko)
KR (1) KR102193516B1 (ko)
CN (1) CN107924270A (ko)
WO (1) WO2017047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4728B2 (ja) * 2017-04-11 2021-0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7277240A (zh) * 2017-06-09 2017-10-20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事件处理方法、装置及终端
JP6876557B2 (ja) * 2017-07-18 2021-05-26 株式会社富士通アドバンストエンジニアリング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装置
JP7062913B2 (ja) * 2017-10-13 2022-05-09 株式会社Nttドコモ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21189987A (ja) * 2020-06-04 2021-12-13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294A (ja) * 2006-11-07 2008-05-22 Fujitsu Ltd メッセージ表示装置、演算装置、メッセージ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演算プログラム
JP2009187454A (ja) * 2008-02-08 2009-08-20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メッセージ通知方法およびメッセージ通知プログラム
JP2012083831A (ja) * 2010-10-07 2012-04-26 Pioneer Electr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タッチパネルの表示方法、タッチパネルの表示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3034189A (ja) * 2011-06-28 2013-02-14 Kyocera Corp 電子機器、報知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9217A (ja) * 1993-03-02 1994-09-16 Toshiba Corp マルチウィンドウシステム
US6760048B1 (en) * 1999-06-15 2004-07-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of occluded display elements on a computer display
US6587128B2 (en) * 1999-07-15 2003-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hidden objects by varying the transparency of overlapping objects
JP3946461B2 (ja) * 2001-05-16 2007-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オンデマンド・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US7890960B2 (en) * 2003-03-26 2011-02-15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ble user context system for delivery of notifications
JPWO2006080068A1 (ja) * 2005-01-27 2008-06-1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着信通知制御方法、着信通知制御プログラム
US7437678B2 (en) * 2005-10-27 2008-10-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ximizing window display area using window flowing
JP4894727B2 (ja) * 2007-10-31 2012-03-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ヘルプ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16401B1 (ko) * 2008-01-30 2017-03-1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디바이스 이벤트의 통지
JP5097680B2 (ja) * 2008-10-29 2012-12-1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157946B2 (ja) * 2009-02-09 2013-03-06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の画面表示方法
US20110117886A1 (en) * 2009-11-18 2011-05-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livery of notifications in real-time communications based on communication channel state
DE112013001340T5 (de) * 2012-03-06 2014-11-20 Apple Inc. Gemeinsame Netzwerk-Musik-Jam-Session und Aufzeichnung davon
CN104063114B (zh) * 2013-03-18 2017-12-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通信终端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通信终端
JP2015007832A (ja) * 2013-06-24 2015-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04236B1 (ko) * 2013-07-23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213490B1 (ko) * 2013-09-03 202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3685763A (zh) * 2013-12-31 2014-03-26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消息处理方法及终端
CN103793137B (zh) * 2014-01-23 2017-12-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4571806A (zh) * 2014-02-01 2015-04-29 北京智膜科技有限公司 智能信息设备界面层次控制方法
CN103955330B (zh) * 2014-05-08 2017-11-14 可牛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04202460B (zh) * 2014-09-19 2017-12-05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基于副号码的呼叫电话的来电显示方法、客户端及系统
JP6458513B2 (ja) * 2015-01-30 2019-0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294A (ja) * 2006-11-07 2008-05-22 Fujitsu Ltd メッセージ表示装置、演算装置、メッセージ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演算プログラム
JP2009187454A (ja) * 2008-02-08 2009-08-20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メッセージ通知方法およびメッセージ通知プログラム
JP2012083831A (ja) * 2010-10-07 2012-04-26 Pioneer Electr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タッチパネルの表示方法、タッチパネルの表示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3034189A (ja) * 2011-06-28 2013-02-14 Kyocera Corp 電子機器、報知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258A (ko) 2018-04-27
US20170075553A1 (en) 2017-03-16
JP6129261B2 (ja) 2017-05-17
CN107924270A (zh) 2018-04-17
WO2017047630A1 (ja) 2017-03-23
JP2017058851A (ja)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516B1 (ko) 통지 제어 방법, 유저 단말 장치 및 통지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20240036706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AU2017204611B2 (en) Widget sett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9785327B1 (en) Interactive user interface
US1088460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hidden information on a web page
US10503255B2 (en) Haptic feedback assisted text manipulation
US9035887B1 (en) Interactive user interface
US7643012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selecting displayed items
KR102069862B1 (ko) 가상 키패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893095A1 (en) Mobile device having a touch-lock stat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device
US2014011551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bar of user equipment, and user equipment
EP2487555A2 (en)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based on multiple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20190100339A (ko) 애플리케이션 스위칭 방법, 디바이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6293395A (zh) 一种虚拟现实眼镜及其界面交互方法
KR102095912B1 (ko) 보안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7766108A (zh) 一种截取图像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EP2908234A1 (en) User interface device, user interface method and program
JP2014134867A (ja) 情報処理端末
US201403583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energy management system
JP2017120674A (ja) 通知制御プログラム
JP2014209331A (ja) 通知情報表示装置及び通知情報表示方法
KR2013003259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013964A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US20200310544A1 (en) Standing wave pattern for area of interest
TW201423556A (zh) 依據輸入操作調整控制元件形狀之系統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