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472B1 -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472B1
KR102193472B1 KR1020180089649A KR20180089649A KR102193472B1 KR 102193472 B1 KR102193472 B1 KR 102193472B1 KR 1020180089649 A KR1020180089649 A KR 1020180089649A KR 20180089649 A KR20180089649 A KR 20180089649A KR 102193472 B1 KR102193472 B1 KR 102193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water
pipe
drip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474A (ko
Inventor
민기홍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9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4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25C1/20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by agi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제빙 장치가 개시된다. 제빙 장치는, 제빙 물받이, 상기 제빙 물받이에 수용된 제빙수의 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빙관, 상기 제빙관으로부터 연장하여 제빙수에 침지되는 복수의 침지관, 상기 제빙 물받이에 수용된 제빙수에 침지되어 제빙수를 분출하도록 구성되는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에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체는 외주 및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Ice maker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를 비롯한 수처리 장치는 물을 정수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로서 가정, 사무실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제빙 장치가 내장된 수처리 장치는 얼음도 공급할 수 있는데, 혼탁도가 높은 얼음은 미관상 선호되지 않는다. 따라서 혼탁도가 낮은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혼탁도가 낮은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제빙 장치는, 제빙 물받이, 상기 제빙 물받이에 수용된 제빙수의 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빙관, 상기 제빙관으로부터 연장하여 제빙수에 침지되는 복수의 침지관, 상기 제빙 물받이에 수용된 제빙수에 침지되어 제빙수를 분출하도록 구성되는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에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체는 외주 및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상기 제빙 물받이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분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상기 제빙 물받이의 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분출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상기 제빙 물받이의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3 분출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분출공의 각각의 제1 분출공은 상기 복수의 침지관의 각각의 침지관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분출공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분출공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침지관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침지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분출공의 각각의 제1 분출공은, 상기 제1 분출공에 가장 가까운 두 개의 침지관 사이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제빙수 배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 물받이에 수용된 제빙수가 상기 제빙수 배출관을 통해 상기 제빙 물받이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펌프는 상기 구조체에 정수를 압송하도록 구성되며, 압송된 정수는 상기 구조체의 상기 복수의 관통공을 통해 분출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펌프와 연통하는 제빙수 배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빙수 배출관을 통해 제빙수를 흡인하여 상기 구조체에 제빙수를 압송하도록 구성되며, 압송된 정수는 상기 구조체의 상기 복수의 관통공을 통해 분출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상기 제빙관은,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에 연결되는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에 연결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는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상기 구조체는,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에 연결되는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에 연결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관은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제빙 장치는, 제빙 물받이, 상기 제빙 물받이에 수용된 제빙수의 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빙관, 상기 제빙관으로부터 연장하여 제빙수에 침지되는 복수의 침지관, 상기 제빙 물받이에 수용된 제빙수에 침지되어 제빙수를 흡인하도록 구성되는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에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체는 외주 및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펌프와 연통하는 제빙수 입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구조체와 연통하여 제빙수를 흡인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흡인된 제빙수는 상기 펌프 및 상기 제빙수 입수관을 통해 상기 제빙 물받이에 압송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상기 제빙관은,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에 연결되는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에 연결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는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상기 구조체는,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에 연결되는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에 연결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관은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상기 제빙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혼탁도가 낮은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제빙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제빙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사용된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각각 도 4a 내지 도 4d의 구조체를 사용하여 생성된 얼음을 나타내는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라 생성된 얼음을 나타내는 사진,
도 7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사용된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구조체를 사용하여 생성된 얼음을 각각 나타내는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라 생성된 얼음을 나타내는 사진,
도 12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빙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빙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빙 장치(100)는 제빙 물받이(110), 제빙관(120), 구조체(130), 제빙수 배출관(140) 및 펌프(P)를 포함한다.
제빙 물받이(110)는 제빙수를 수용하는 용기이다.
제빙관(120)은 제빙 물받이(110)에 수용된 제빙수를 결빙시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빙관(120)의 내부에는 냉매가 흐른다. 제빙관(120)은 제빙수의 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빙관(120)은 대체로 U자 형상이며, 제1 직선부(121), 만곡부(123) 및 제2 직선부(125)를 포함한다. 제1 직선부(121)와 제2 직선부(125)는 서로 평행하며, 제1 직선부(121)와 제2 직선부(125)는 만곡부(12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빙관(120)은 복수의 침지관(127)을 포함한다. 복수의 침지관(127)은 제1 직선부(121) 및 제2 직선부(123)로부터 연장하여 제빙수에 침지된다. 복수의 침지관(127)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침지관(127)은 제빙관(120)과 연통하므로 침지관(127)의 내부에는 냉매가 흐른다. 따라서 침지관(127)의 외표면에서 제빙수가 결빙하여 얼음(A, 도 1)이 생성된다. 생성된 얼음은 탈빙되어 추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침지관(127)의 외표면에 얼음이 생성되고 생성된 얼음을 탈빙하는 구성은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조체(130)는 제빙수에 침지되어 제빙수를 분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조체(130)는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구조체(130)는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타원인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조체(130)에는 복수의 관통공(131)이 구비된다. 복수의 관통공(131)은 복수의 제1 분출공(133) 및 복수의 제2 분출공(135)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분출공(133)은 제빙 물받이(110)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제1 분출공(133)은 각각의 침지관(127)과 엇갈리게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분출공(133)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분출공(133) 사이의 거리는 복수의 침지관(127)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침지관(127)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분출공(133)은, 제1 분출공(133)에 가장 가까운 두 개의 침지관(127) 사이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분출공(135)은 제빙 물받이(110)의 저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조체(130)는 복수의 제3 분출공(137, 도 4a 참조)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3 분출공(137)은 제빙 물받이(110)의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빙수 배출관(140)은 제빙 물받이(110)에 수용된 제빙수를 제빙 물받이(110)의 외부로 배출한다.
펌프(P)는 구조체(130)에 연결되어 구조체(130)에 정수를 압송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펌프(P)에는 제빙수 배출관(140)과 제빙수 배수관(160)도 연결된다.
제빙수 배수관(160)에는 배수 밸브(V)가 구비된다. 배수 밸브(V)는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되는데, 예컨대, 배수 밸브(V)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얼음 생성이 완료되기 전에는 제어부(180)가 배수 밸브(V)를 차단함으로써, 제빙수 배출관(140)을 통해 흐르는 제빙수가 펌프(P)로 보내진다.
얼음 생성이 완료된 후에는 제어부(180)가 배수 밸브(V)를 개방함으로써, 제빙 물받이(110)에 남아 있는 제빙수가 제빙수 배출관(140) 및 제빙수 배수관(160)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100)의 작동 과정은 아래와 같다.
제어부(180)가 배수 밸브(V)를 차단하고 제빙 물받이(110)에 정수(제빙수)가 공급된다. 제빙수가 정해진 용량만큼 채워지면 정수 공급이 중단된다. 제빙관(120)에 냉매가 공급됨에 따라 침지관(127)의 외표면에 얼음이 생성되기 시작한다.
펌프(P)가 작동됨에 따라, 제빙 물받이(110)에 수용된 제빙수가 제빙수 배출관(140)을 통해 배출되어 펌프(P)에 공급된다. 펌프(P)에 공급된 제빙수는 펌프(P)에 의해 구조체(130)로 압송된다. 구조체(130)로 압송된 제빙수는 구조체(130)의 복수의 관통공(131)을 통해 분출된다. 복수의 제1 분출공(133)을 통해 분출되는 제빙수는 제빙 물받이(110)의 측면을 향해 분출되고, 복수의 제2 분출공(135)을 통해 분출되는 제빙수는 제빙 물받이(110)의 저면을 향해 분출된다. 이렇게 분출된 제빙수 중 적어도 일부가 제빙수 배출관(140)을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되고, 이어서 펌프(P) 및 구조체(130)를 통해 제빙 물받이(110)에 재공급될 수 있다. 이 과정이 반복되는 동안 제빙 물받이(110)에 수용된 제빙수 내의 기포가 제거되므로, 침지관(127)의 외표면에는 혼탁도가 낮은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험예들에 사용된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각각 도 4a 내지 도 4d의 구조체를 사용하여 생성된 얼음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구조체(130a)에는 복수의 제1 분출공(133)이 구비된다. 복수의 제1 분출공(133) 중 일부는 침지관(127, 도 1 참조)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제1 분출공(133) 사이의 간격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침지관(127)의 간격의 절반이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분출공(133)에서 분출되는 제빙수는 침지관(127)을 직접 향하기도 하고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침지관(127)의 중간 지점을 향하기도 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구조체(130b)에는 복수의 제1 분출공(133), 복수의 제2 분출공(135) 및 복수의 제3 분출공(137)이 구비된다.
복수의 제1 분출공(133) 중 일부는 침지관(127, 도 1 참조)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제1 분출공(133) 사이의 간격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침지관(127)의 간격의 절반이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분출공(133)에서 분출되는 제빙수는 침지관(127)을 직접 향하기도 하고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침지관(127)의 중간 지점을 향하기도 한다. 복수의 제2 분출공(135) 및 복수의 제3 분출공(137)의 배치 간격은 복수의 제1 분출공(133)의 배치 간격과 같다.
도 4c를 참조하면, 구조체(130c)에는 복수의 제1 분출공(133) 및 복수의 제2 분출공(135)이 구비된다.
각각의 제1 분출공(133)은 각각의 침지관(127, 도 1 참조)과 엇갈리게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분출공(133)에서 분출되는 제빙수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침지관(127)의 중간 지점을 향한다. 복수의 제2 분출공(135)의 배치는 도 4a와 같다.
도 4d를 참조하면, 구조체(130d)에는 복수의 제1 분출공(133), 복수의 제2 분출공(135) 및 복수의 제3 분출공(137)이 구비된다. 복수의 제1 분출공(133)의 배치는 도 4c와 같고 복수의 제3 분출공(137)의 배치는 도 4b와 같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각 경우에 혼탁도가 낮은 얼음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4c의 구조체를 사용한 경우 혼탁도가 가장 많이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A, B, C, D, E, F는 각각의 침지관에서 생성된 얼음을 나타내고, ○는 혼탁도가 매우 낮아져서 투명해진 얼음을 나타내며, △는 혼탁도가 다소 낮아진 얼음을 나타낸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라 생성된 얼음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즉,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구조체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A, B, C, D, E, F는 각각의 침지관에서 생성된 얼음을 나타내고, X는 혼탁도가 낮아지지 않은 얼음을 나타낸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빙관(220)은 직선형이고 구조체(230)는 U자 형상이다. 즉, 구조체(230)는 제1 직선부(231), 만곡부(233) 및 제2 직선부(235)를 포함한다. 제1 직선부(231)와 제2 직선부(235)는 서로 평행하며, 제1 직선부(231)와 제2 직선부(235)는 만곡부(23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빙관(220)에는 복수의 침지관(227)이 구비되며, 제빙관(220)은 제1 직선부(231)와 제2 직선부(235)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빙관(220)의 양측에서 구조체(230)가 복수의 제1 분출공(237) 및 복수의 제2 분출공(239)을 통해 제빙수를 분출할 수 있다.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빙 장치(300)는 제빙 물받이(310), 제빙관(320), 구조체(330), 제빙수 입수관(340) 및 펌프(P)를 포함한다.
구조체(330)는 제빙수에 침지되어 제빙수를 흡인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조체(330)는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구조체(330)는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타원인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조체(330)에는 복수의 관통공(331)이 구비된다. 복수의 관통공(331)은 구조체(330)의 외주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펌프(P)는 구조체(330)와 연통하여 제빙수를 흡인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펌프(P)의 작동에 따라 제빙수는 구조체(330)의 복수의 관통공(331)을 통해 흡인되어 펌프(P)로 보내진다.
제빙수 입수관(340)은 제빙 물받이(310)에 제빙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펌프(P)에 연결된다.
구조체(330)를 통해 흡인된 제빙수는 펌프(P) 및 제빙수 입수관(340)을 통해 제빙 물받이(310)에 압송된다. 이에 따라 제빙수가 제빙 물받이(310)에 재공급될 수 있다. 이 과정이 반복되는 동안 제빙 물받이(110)에 수용된 제빙수 내의 기포가 제거되므로, 침지관(327)의 외표면에는 혼탁도가 낮은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펌프(P)에는 제빙수 배수관(360)도 연결된다.
제빙수 배수관(360)에는 배수 밸브(V)가 구비된다. 배수 밸브(V)는 제어부(380)에 의해 제어되는데, 예컨대, 배수 밸브(V)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얼음 생성이 완료되기 전에는 제어부(380)가 배수 밸브(V)를 차단함으로써, 구조체(330)를 통해 흡인된 제빙수가 펌프(P)를 거쳐 제빙수 입수관(340)으로 보내진다.
얼음 생성이 완료된 후에는 제어부(380)가 배수 밸브(V)를 개방함으로써, 제빙 물받이(110)에 남아 있는 제빙수가 구조체(330) 및 제빙수 배수관(360)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사용된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구조체를 사용하여 생성된 얼음을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구조체(330)에는 복수의 관통공(331)이 구비된다. 복수의 관통공(331)은 구조체(330)의 외주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관통공(331)을 통해 제빙수가 흡인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각 경우에 혼탁도가 낮은 얼음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A, B, C, D, E, F는 각각의 침지관에서 생성된 얼음을 나타내고, ○는 혼탁도가 매우 낮아져서 투명해진 얼음을 나타내며, △는 혼탁도가 다소 낮아진 얼음을 나타낸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라 생성된 얼음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즉, 도 11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구조체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A, B, C, D, E, F는 각각의 침지관에서 생성된 얼음을 나타내고, X는 혼탁도가 낮아지지 않은 얼음을 나타낸다.
도 12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제빙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빙관(420)은 직선형이고 구조체(430)는 U자 형상이다. 즉, 구조체(430)는 제1 직선부(431), 만곡부(433) 및 제2 직선부(435)를 포함한다. 제1 직선부(431)와 제2 직선부(435)는 서로 평행하며, 제1 직선부(431)와 제2 직선부(435)는 만곡부(43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빙관(420)에는 복수의 침지관(427)이 구비되며, 제빙관(420)은 제1 직선부(431)와 제2 직선부(435)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빙관(420)의 양측에서 구조체(430)가 복수의 관통공(437, 439)을 통해 제빙수를 흡인할 수 있다.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처리 장치(500)는 필터부(510), 정수 탱크(520), 제빙 장치(530) 및 얼음 저장고(540)를 포함한다.
필터부(510)는 수돗물 등과 같은 원수를 여과하여 정화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필터부(510)는 세디먼트(sediment) 필터, 프리카본(pre-carbon) 필터, 역삼투막 필터 및 포스트카본(post-carbon)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필터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510)를 통과한 정수는 정수 탱크(520)에 공급된다. 정수 탱크(520)를 거친 정수는 정수 취출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필터부(510)를 통과한 정수는 제빙 장치(530)에도 공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필터부(510)를 통과한 정수가 제빙 장치(530)에 직접 공급되지 않고 정수 탱크(520)를 거쳐서 제빙 장치(530)에 공급될 수도 있다.
제빙 장치(53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의 변형예, 제2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변형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빙 장치이다. 따라서 제빙 장치(530)에 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빙 장치(530)에서 생성된 얼음은 혼탁도가 낮아진 것이다. 이 얼음은 얼음 저장고(540)로 보내지고 얼음 취출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빙 장치 110: 제빙 물받이
120: 제빙관 121: 제1 직선부
123: 만곡부 125: 제2 직선부
127: 침지관 130: 구조체
131: 관통공 133: 제1 분출공
135: 제2 분출공 137: 제3 분출공
140: 제빙수 배출관 160: 제빙수 배수관
A: 얼음 P: 펌프
V: 배수 밸브

Claims (18)

  1. 제빙 물받이,
    상기 제빙 물받이에 수용된 제빙수의 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빙관,
    상기 제빙관으로부터 연장하여 제빙수에 침지되는 복수의 침지관,
    상기 제빙 물받이에 수용된 제빙수에 침지되어 제빙수를 분출하도록 구성되는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에 연결되는 펌프
    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체는 외주 및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제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상기 제빙 물받이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분출공
    을 포함하는, 제빙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상기 제빙 물받이의 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분출공
    을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상기 제빙 물받이의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3 분출공
    을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분출공의 각각의 제1 분출공은 상기 복수의 침지관의 각각의 침지관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빙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분출공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분출공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침지관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침지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제빙 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분출공의 각각의 제1 분출공은, 상기 제1 분출공에 가장 가까운 두 개의 침지관 사이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빙 장치.
  9. 제1항에서,
    제빙수 배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 물받이에 수용된 제빙수가 상기 제빙수 배출관을 통해 상기 제빙 물받이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펌프는 상기 구조체에 정수를 압송하도록 구성되며,
    압송된 정수는 상기 구조체의 상기 복수의 관통공을 통해 분출되는, 제빙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펌프와 연통하는 제빙수 배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빙수 배출관을 통해 제빙수를 흡인하여 상기 구조체에 제빙수를 압송하도록 구성되며,
    압송된 정수는 상기 구조체의 상기 복수의 관통공을 통해 분출되는, 제빙 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제빙관은,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에 연결되는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에 연결되는 제2 직선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는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빙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구조체는,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에 연결되는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에 연결되는 제2 직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관은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빙 장치.
  13. 제빙 물받이,
    상기 제빙 물받이에 수용된 제빙수의 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빙관,
    상기 제빙관으로부터 연장하여 제빙수에 침지되는 복수의 침지관,
    상기 제빙 물받이에 수용된 제빙수에 침지되어 제빙수를 흡인하도록 구성되는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에 연결되는 펌프
    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체는 외주 및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제빙 장치.
  14. 삭제
  15. 제13항에서,
    상기 펌프와 연통하는 제빙수 입수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구조체와 연통하여 제빙수를 흡인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흡인된 제빙수는 상기 펌프 및 상기 제빙수 입수관을 통해 상기 제빙 물받이에 압송되는, 제빙 장치.
  16. 제13항에서,
    상기 제빙관은,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에 연결되는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에 연결되는 제2 직선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는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빙 장치.
  17. 제13항에서,
    상기 구조체는,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에 연결되는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에 연결되는 제2 직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관은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빙 장치.
  18. 제1항, 제3항 내지 제13항,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빙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1020180089649A 2018-08-01 2018-08-01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102193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649A KR102193472B1 (ko) 2018-08-01 2018-08-01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649A KR102193472B1 (ko) 2018-08-01 2018-08-01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474A KR20200014474A (ko) 2020-02-11
KR102193472B1 true KR102193472B1 (ko) 2020-12-21

Family

ID=6956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649A KR102193472B1 (ko) 2018-08-01 2018-08-01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4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868A (ja) 2003-12-26 2005-07-14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JP2005308367A (ja) * 2004-04-26 2005-11-0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製氷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897A (ko) * 2008-06-30 2010-01-07 이혁재 살균장치를 구비한 제빙기 및 그 제빙기의 청소방법
KR20150128111A (ko) * 2014-05-08 2015-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얼음 생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868A (ja) 2003-12-26 2005-07-14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JP2005308367A (ja) * 2004-04-26 2005-11-0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製氷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474A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172B1 (ko) 수처리 시스템
KR100932739B1 (ko)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KR20150052307A (ko) 산기 장치, 산기 방법, 및 수처리 장치
CN111282370B (zh) 空气净化一体型浸没式中空纤维膜模块装置
CN105050697B (zh) 中空丝膜组件的清洗方法
JP2011088053A (ja) 淡水化処理設備及び方法
KR20120047954A (ko) 침지형 분리막 장치의 세정 방법 및 침지형 분리막 장치의 세정 시스템
US10071924B2 (en) Diffusion pipe and method for cleaning diffusion pipe
KR102193472B1 (ko)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EP2905065B1 (en) Aerator device and filter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15123424A (ja) 濾過装置、それを用いた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CN102791364A (zh) 被处理水的过滤方法
JP2012157849A (ja) 膜分離活性汚泥装置
JP2004025111A (ja) 加圧型浸漬膜濾過装置
JP6060762B2 (ja) 水処理装置
KR101594197B1 (ko) 세정기능을 갖는 일체형 여과장치
JP5455942B2 (ja) オゾン液生成器、浄水器及びその洗浄方法
JP2011189308A (ja) 活性汚泥処理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1838993B1 (ko) 유수분리기
JP4676267B2 (ja) 水槽設備
JP4943662B2 (ja) 膜分離装置の運転方法
CN216458069U (zh) 一种超滤净水设备
KR20110064683A (ko) 해수처리장치
CN108025258A (zh) 过滤单元
JP3172148U (ja) 逆浸透膜浄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