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388B1 -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 Google Patents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388B1
KR102193388B1 KR1020200099386A KR20200099386A KR102193388B1 KR 102193388 B1 KR102193388 B1 KR 102193388B1 KR 1020200099386 A KR1020200099386 A KR 1020200099386A KR 20200099386 A KR20200099386 A KR 20200099386A KR 102193388 B1 KR102193388 B1 KR 102193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mesh
marine waste
lower cover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대은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유)에스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유)에스에이치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유)에스에이치
Priority to KR1020200099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surrounded by a 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56Gates or closures operating by deformation of flexibl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에 있어서, 해양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된 상면부; 상기 상면부로 하여 투입된 해양쓰레기를 임시 저장하고, 배출부를 마련하여 필요 시 해양쓰레기에 포함된 바닷물을 배출하는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여 해양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Ton bag for marine waste collection}
본 발명은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에 관한 발명으로서, 해양에서 발생하는 해양쓰레기 또는 해양부유물을 수거함에 있어, 해양쓰레기와 함께 톤백에 담기는 바닷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고, 강도가 우수한 장점을 가지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에 관한 것이다.
미래사회 자원의 보고라고 여겨지고 있는 바다는 현재 해양쓰레기로 인해 큰 몸살을 앓고 있다.
단적인 예를 들어, 이러한 해양쓰레기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플라스틱이며, 해양쓰레기 실태보고(퍼퓰러 사이언스, 2015)에 따르면 현재 해수면 근처에만 26만 8,940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떠다니고 있는데, 이는 대왕고래 1,400마리에 해당하는 엄청난 중량이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10년내 해양쓰레기 유입량이 2배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해양 자원의 중요성과 해양쓰레기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선진국은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면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여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바다에 떠다니고 있는 해양쓰레기인 플라스틱은 자연분해에만 500년 이상이 걸리기 때문에 자연분해가 되길 기다리는 것은 현실성과 거리가 멀고, 선진국이나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여러 나라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대량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해양쓰레기 처리 시설로 이송하기 위한 톤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플렉서블 벌크 백(Flexible Bulk Bag)이라고도 하는 톤백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제사 제직을 거쳐 만들어지는 포장용 백으로서 보통 1톤 정도의 분체 및 그래뉴얼(granual) 타입 물량을 담아 운송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그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278982호 "열선 절단식 수중 공사용 톤백"과, 한국등록특허 제10-1704209호 "톤백"과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톤백의 하부 조임 장치는 내용물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안된 장치로서, 톤백 하부에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구성을 갖추고 규격에 맞게 자른 폴리프로필렌 로프와 PVC 호스를 사용하여 단단히 조임을 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톤백의 내용물을 배출할 때는 묶인 로프를 풀거나 로프를 끊어서 하부를 개봉한다.
그러나 종래의 조임 장치의 경우 조임 장치 사용에 로프, PVC호스, 보강패치 등 부속품이 3가지나 들어가고, 재사용 시 시간적, 경제적, 육체적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임 장치 사용 시 로프를 구매해서 사용할 때마다 그 규격에 맞게 커팅해서 한 장씩 좁은 구멍에 로프를 끼워 조여서 묶어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양을 처리하게 되면 오랜 시간이 걸리며 심지어 일용직 용역을 고용해서 진행하기도 하므로 관련 경비가 발생하게 되며, 현장 직원에게 작업을 시키는 경우 그 작업이 힘들고 어려워 꺼리기가 쉽고 심지어 톤백 자체를 찢어버려서 못쓰게 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1톤 정도의 제품을 담아서 운송을 하거나 장기 보관이 되어 있으면 그 무게에 짓눌려서 밑의 조임 장치가 찌그러지고 뒤틀어져 잡아당길 때 제대로 풀리지 않는다.
이때에는, 중량물을 담은 톤백 밑에서 그 조임 장치를 풀어야 하는데, 자칫 잘못하면 인명 사고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조임 장치가 바로 풀리지 않으면 급한 마음에 끈을 끊어 버리거나 아예 톤백 하부를 다른 장비를 가지고 찢어서 사용하여 제2, 제3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닷물을 다량 머금고 있는 해양쓰레기의 특성상, 바닷물이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할 경우, 톤백이 찢어지거나 지나치게 가중된 무게로 인하여, 운송상 큰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해양쓰레기를 대상으로 하여 효과적인 톤백에 관한 개발과 보급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은, 해양쓰레기를 저장함에 있어 물빠짐이 우수하고, 종래의 톤백보다 사용이 용이하여, 보다 넓은 범위의 현장에서 쉽게 사용될 수 있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에 있어서, 해양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된 상면부; 상기 상면부로 하여 투입된 해양쓰레기를 임시 저장하고, 배출부를 마련하여 필요 시 해양쓰레기에 포함된 바닷물을 배출하는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여 해양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는, 해양쓰레기에 포함된 바닷물이 통과하는 면적의 메쉬를 형성하며, 하면부 중심부에 마련되는 메쉬망 및 상기 메쉬망 상측에 마련되어 메쉬망을 덮는 하단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부는, 상기 투입구의 끝단에 마련되어, 양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투입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투입구 조임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이 견인될 시 이용되는 견인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측면부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하부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덮개는, 하부 덮개 둘레를 따라 연결된 조임끈에 의해 조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덮개는, 십자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에 구비되는 메쉬망과 하단 덮개는, 면을 이루는 면체의 측방 일선만이 하면부에 고정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는, 메쉬로 형성되되, 상기 메쉬로 형성된 측면부를 측면부 외각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측면부를 감싸는 측면부 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 가림막의 양 단부에는, 상기 메쉬로 형성된 측면부의 메쉬 사이로 결속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은, 해양쓰레기를 임시 저장하는 상부 몸통과 해양쓰레기에서 토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하부 몸통으로 분할되어 연결되며, 상기 상부 몸통과 하부 몸통 사이에는 물 빠짐을 위한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몸통과 하부 몸통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몸통과 하부 몸통은, 측단면이 원형 또는 마름모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은,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으로 투입된 해양쓰레기를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거름망이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의 복층으로 구비되되, 상기 복층으로 구비되는 거름망은, 각기 다른 메쉬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은, 메쉬망으로 형성된 하면부로 하여, 해양쓰레기에 포함된 바닷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면부 및 하면부에는 해양쓰레기를 투입 및 배출시키는 데 있어서 입출구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하면부는, 2중으로 구비되는 해양쓰레기 받침수단(메쉬망, 하단 덮개)으로 하여, 보다 강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부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측면에서 탈부착되는 측면부 가림막으로 하여, 보다 용이한 물빠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은, 상부와 하부 몸통이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종래 일체형의 톤백보다 용이한 사용 편의성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이 직사각형 박스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하단 덮개와 메쉬망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 분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덮개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덮개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내부 투상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하면부를 이루는 메쉬망과 하단 덮개가 구비되는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에 구비되는 측면부 가림막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이 격판으로 분할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투영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름망이 구비된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 은 측단면이 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부, 하부 몸체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 는 측단면이 마름모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부, 하부 몸체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12 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이 직사각형 박스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하단 덮개와 메쉬망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임시 저장하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은, 상면부(100), 하면부(200), 측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형상의 하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도 2 에 도시된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의 형상과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하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면부(100), 하면부(200) 및 측면부(300)를 형성하기 위한 재질로는, 톤백을 제조하는데 널리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면직물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 톤백을 제조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직물 및 방수성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상면부(100)에는 해양쓰레기를 톤백(1) 내부의 저장 공간으로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구(110)는 끝단 내측에 마련되는 투입구 조임끈(110L)으로 하여, 상면부(100)가 개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입구 조임끈(100L)은, 투입구(110)의 끝단 내측에 마련되어,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끈 방식으로 투입구(1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구(110)는, 다이얼 방식의 조임 수단으로 하여, 조임끈의 길이가 조절되는 방식으로 그의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투입구(110)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을 제조하고자 하는 제작자의 요구에 따라, 그의 구성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200)는, 상기 상면부(100)의 투입구(110)를 통해 들어오는 해양쓰레기를 전달받아, 측면부(300)로 하여 형성된 공간에 임시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밀폐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면부(200)는, 바닷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부는, 메쉬망(210), 하단 덮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메쉬망(210)은, 해양쓰레기의 하중을 버틸 수 있으며,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 하면부(200)의 면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판(B)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판(B)은 상기 메쉬망(210)이 결합되기 위하여 바닥판(B) 중심의 소정 면적이 삭제, 제거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쉬망(210)이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쉬망(210)이 구비된 하면부(200)로 하여, 해양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던 바닷물을 하면부(200)의 메쉬망(210)을 통해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해양쓰레기를 저장함에 있어서, 해양쓰레기에 포함된 바닷물로 인한 하중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단 덮개(220)는 상기 메쉬망(210)을 덮을 수 있도록 면적을 가진 면체이며, 메쉬망(210)을 빈틈없이 가릴 수 있는 상태로써, 바닥판(B)의 모서리 일측 혹은 사면에 접합됨으로써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단 덮개(220)가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의 하면부(200) 바닥면(B)에 부착되되, 일측의 모서리만 접합되도록 구비될 경우, 하단 덮개(220)를 상측으로 젖힘으로써 메쉬망(210)의 상부를 개방 시키거나, 다시 하단 덮개(220)로 메쉬망(210)을 덮도록 하여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의 하부를 밀폐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단 덮개(220)에는 십자 형상의 절개부(220C)가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을 참조하여 상기 하단 덮개(220)를 자세히 서술하자면, 상기 하단 덮개(220)에는 열십자(+) 혹은 'X' 자 형상의 절개부(220C)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절개부(220C)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절삭선이 수직으로 맞물리는 방식으로'X'자 형상으로 절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하단 덮개(220)가 메쉬망(210)의 상부를 덮고 있는 와중에도 하단 덮개(220)에 형성된 절개부(220C)로 하여,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을 이동시키거나, 트레일러에 적재하고 있는 와중에도, 해양쓰레기에 포함된 바닷물이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 하면부(200)의 메쉬망(210)으로 꾸준히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면부(100)와 하면부(200)의 사이에는 상기 상면부(100)와 하면부(200)를 연결하여 해양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300)는, 상면부(100)의 둘레에서 하면부(200)의 둘레까지 연장되는 형상, 즉, 상면부(100)와 하면부(200)가 원의 형상을 가질 경우,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면부(100)와 하면부(200)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경우,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이 도 1 의 형성과 같이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부(300)에 형성되는 모서리의 상측, 혹은 측면부(300) 상방의 면 일측에는, 지게차 또는 크레인과 같은 작업으로 하여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을 견인하기 위한 수단인 견인고리(3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견인 고리(31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 개가 부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다른 개수로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하면부(200)의 바닥판(B)은 측면부(300)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해양쓰레기 수산물을 저장하고 있던 톤백의 하면부(200)를 측면부(300)에서 탈부착 하는 방식으로 하여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의 내부에 임시 저장된 해양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B)은, 상기 측면부(300)의 하단에서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바닥판(B)의 둘레에는, 측면부(3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탈부착 수단으로 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탈부착 수단은, 밀고 당기는 방식으로 체결력을 형성하는 자크 혹은 바닥판(B)의 둘레와 측면부(300)의 둘레를 결속할 수 있는 끈의 매듭으로 체결력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적인 예일 뿐, 바닥판(B)을 측면부(300)에서 탈거시키지 않고,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을 뒤집는 방식으로도 해양쓰레기가 투입되었던 투입구(110)로 하여 해양쓰레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덮개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덮개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 예시도이다.
도 4 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은,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하면부(200)가 하부 덮개(230)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면부(200)는 상기의 바닥판(B)이 구성되지 않고 뚫린 상태로 형성되되, 하부 덮개(230)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에 임시 저장되어 있던 해양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때, 상기 하부 덮개(230)의 재질은 유연성을 가지되, 무거운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하부 덮개(23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의 하부에서 늘어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 덮개(230)에는 앞서 서술되었던 하단 덮개(220) 및 메쉬망(210)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하부 덮개(230) 자체가 메쉬로 이루어진 면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덮개(230)에 메쉬망(210)과 하단 덮개(220)의 구성이 동일하게 구비될 경우, 하부 덮개(230)를 통해 해양쓰레기가 배출되기 위하여 앞서 서술되었던 'X' 자 형상의 절개부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덮개(230)에는, 하부 덮개(230)를 조임으로서 하단부(200)를 밀폐시키거나, 하부 덮개(230)의 개방면을 생성하여, 해양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하부 덮개 조임끈(230L)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덮개 조임끈(230L)은, 앞서 서술된 투입구 조임끈(110L)과 기술이 공유되나,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다시 한번 설명하자면, 상기 하부 덮개 조임끈(230L)은, 하부 덮개(230)의 끝단 내측에 마련되어,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끈 방식으로 하부 덮개(23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덮개 조임끈(230L)이 구비되는 방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덮개(230)의 중심에는 'X'자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된 부분을 하부 덮개(230)의 내측 혹은 외측으로 접어, 하부 덮개(230)에 사각형의 배출구(H)를 마련하고, 이후 모서리를 하부 덮개(230)에 고정시킨 후, 상기 모서리 부분과 하부 덮개(230)가 고정됨으로 인해 이들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하부 덮개 조임끈(230L)을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상술된 하부 덮개 조임끈(230L)으로 하부 덮개(230)를 개방, 밀폐시키는 수단과 방법은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하부 덮개(230)의 하방에 구비되는 지퍼 또는 벨크로와 같은 개폐 수단으로 하여, 하부 덮개(230)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하부 덮개(230)의 하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측면부(300)의 하부에서 늘어지도록 구비되되, 하부 덮개(230) 최하단부의 소정 길이가 하부 덮개(23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접힌 상태로 하부 덮개(230)의 소정 높이에 고정됨으로 인해 형성되는 공간에 하부 덮개 조임끈(230L)이 삽입되어, 이를 조이거나 풀도록 하여 하부 덮개(230)를 개방 및 폐쇄 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내부 투상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하면부를 이루는 메쉬망과 하단 덮개가 구비되는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6 내지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단부(200)에 구비되는 메쉬망(210)과 하단 덮개(220)는, 바닥판(B)을 이루는 면에서 사방 혹은 일방향의 모서리, 면이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쉬망(210)과 하단 덮개(220)는,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메쉬망(210)과 하단 덮개(220)의 결합 방식과 역순일 수 있으며, 즉, 사각형상의 하단 덮개(220)가 바닥판(B)에 먼저 부착된 후, 메쉬망(210)이 이를 덮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판(B)에 결합되는 하단 덮개(220)는, 사각 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바닥판(B)에 형성된 사각형으로 뚫린 공란에 소정 각도로 교차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판(B)에 부착되는 하단 덮개(220)는, 바닥판(B)과 맞닿게되는 모서리의 사방이 바닥판(B)에서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단 덮개(220)와 바닥판(B)이 바느질되어 고정력을 형성하는 제 1 고정부(S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B)에는, 삭제된 면으로 인해 바닥판(B)이 해양쓰레기의 하중에 항복하여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삭제된 면의 사방 모서리에서 강화 섬유가 덧되어진 상태로 부착 또는 바느질되는 제 2 고정부(S2)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에 구비되는 측면부 가림막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부(300)는 메쉬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해양쓰레기가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에 적재될 시, 하면부(200)로만 바닷물을 배출시키는 것이 아닌, 메쉬로 형성된 측면부(300)로 하여, 바닷물을 배출시키도록 하여, 해양쓰레기에 포함된 바닷물을 보다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메쉬로 형성되는 측면부(300)에는, 측면부(300) 외각의 둘레 방향을 따라 측면부(300)를 감싸는 측면부 가림막(32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부 가림막(320)은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이 이루는 높이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측면부 가림막(320)는 고정부(3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330)에는, 고정 고리(330a) 및 결속 고리(330b)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측면부 가림막(320)의 일단부에는, 고정 고리(330a)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 고리(330a)가 구비된 측면부 가림막(320)의 반대편 단부에는 결속 고리(330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 고리(330a) 및 결속 고리(330b)는, 측면부(300)를 이루는 메쉬를 이루는 프레임에 각각 결합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사용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작업자가 하단부(200)로만 물빠짐을 원하고자 할 경우, 측면부 가림막을 측면부(320)에 두르고 고정시켜 작업을 이행하거나, 보다 빠른 바닷물 처리를 원할 경우, 측면부(300)에 부착되어 있던 측면부 가림막(320)을 탈거하여, 측면으로도 바닷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이 격판으로 분할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투영사시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름망이 구비된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1 은 측단면이 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부, 하부 몸체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2 는 측단면이 마름모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부, 하부 몸체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은, 상부 몸통(100A)과 하부 몸통(200A)으로 분할될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몸통(100A)과 하부 몸통(200B)의 연결구 사이에는 물 빠짐을 위한 격벽(300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몸통(100A)과 하부 몸통(200A)은,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몸통(100A)과 하부 몸통(200A)은, 각기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상부 몸통(100A)의 재질은, 톤백을 제조하는데 널리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몸통(100B)은, 내부에 저장된 바닷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재질의 천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해양쓰레기를 저장하는 공간과, 해양쓰레기에서 토출되는 물을 따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상부 몸통(100A)에 저장된 해양쓰레기의 바닷물이 모두 빠졌을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해양쓰레기가 담긴 상부 몸통(100A)과, 해양쓰레기에서 토출된 바닷물이 저장된 하부 몸통(100B)을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상부 몸통(100A)과 하부 몸통(100B)의 분리 방식은,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지퍼 혹은 끈의 방식으로 탈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은, 거름망(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름망(500)은,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의 내부에 수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으로 투입된 해양쓰레기를 크기에 따라 분류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거름망(500)은,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되, 서로 평행하도록 구비되어, 복층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로 구비되는 거름망(500)은, 각기 다른 메쉬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0 을 자세히 살펴보며 설명하자면, 상측에 위치한 거름망(500a)은, 보다 큰 부피를 가지는 해양쓰레기가 투과될 수 있을 정도의 규격으로 구비되고, 하측에 위치한 거름망(500b)은, 보다 세밀한 부피를 가지는 해양쓰레기가 투과될 수 있을 정도의 규격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층층이 나눠진 거름망을 통해, 해양쓰레기를 크기별로 용이하게 나눌 수 있으며, 제일 하층면에 구비되는 거름망의 경우, 바닷물과 작은 입자의 해양쓰레기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11 내지 도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몸통(100A)과 하부 몸통(200A)은, 측단면이 원의 형상 또는 마름모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해양쓰레기가 톤백의 하방의 넓은 부분에 전체적으로 하중이 가해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의 하방부(200)의 약해진 부분을 통해 해양쓰레기가 새다가, 결국에는 찢어지거나 재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형상으로 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 11 과 같이 상부 몸통(100A)과 하부 몸통(200A)이 원형을 가진 상태로 연접되어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을 이룰 경우, 오뚜기의 형상, 상부 몸통(100A)과 하부 몸통(200A)이 다각형으로 구비될 경우, 도 12 와 같이 각진 굴곡이 형성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톤백의 효과를 서술하자면, 해양쓰레기가 측단면이 마름모 혹은 원형의 형상을 갖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은, 상부 몸통(100A)과 하부 몸통(200A) 각각에 담기는 해양쓰레기 또는 바닷물을 몸통(100A, 200A)의 하부 일점에 모이도록 하여,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의 하면부(200)에 전체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아닌, 일부분에만 하중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상부 몸통(100A)과 하부 몸통(200A)의 하방부의 둘레 혹은 상부 몸통(100A)과 하부 몸통(100B)의 측방의 둘레에는, 보강력을 형성하기 위한 보강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일점에 모인 하중을 보다 용이하게 견디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몸통(100A)과 하부 몸통(200A)의 연접부에는, 앞서 상술된 조임끈이 구비되어, 상부 몸통(100A)에 출입한 해양쓰레기에 함유된 바닷물만 하부 몸통(200A)으로 이동시키고, 하부 몸통(200A)에 구비된 배출캡(C)을 이용해 이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1)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100 : 상면부
100A : 상부 몸통
110 : 투입구
110L : 투입구 조임끈
200 : 하면부
200A : 하부 몸통
210 : 메쉬망
220 : 하단 덮개
220C : 절개부
230 : 하부 덮개
230L : 하부 덮개 끈
300 : 측면부
310 : 견인고리
320 : 측면부 가림막
330 : 고정부
330a : 고정 고리
343b : 결속 고리
300A : 격판
400 : 보강재
500 : 거름망
500a : 제 1 거름망
500b : 제 2 거름망
C : 배출캡
H : 배출구
S1 : 제 1 박음질 선
S2 : 제 2 박음질 선

Claims (11)

  1. 해양쓰레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에 있어서,
    해양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된 상면부;
    상기 상면부로 하여 투입된 해양쓰레기를 임시 저장하고, 배출부를 마련하여 필요 시 해양쓰레기에 포함된 바닷물을 배출하는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여 해양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부는,
    해양쓰레기에 포함된 바닷물이 통과하는 면적의 메쉬를 형성하며, 하면부 중심부에 마련되는 메쉬망;
    상기 메쉬망 상측에 마련되어 메쉬망을 덮되, 두개의 절삭선이 수직으로 맞물리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십자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된 하단 덮개 및
    하방의 중심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측면부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덮개는,
    상기 십자 형상의 절개부를 통해 외측으로 접히는 하단 덮개의 모서리가 하부 덮개의 방향으로 접혀 고정되고, 상기 모서리 부분과 하부 덮개가 고정됨으로 인해 모서리의 내측으로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는 조임끈에 의해 해양쓰레기를 배출 또는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투입구의 끝단에 마련되어, 양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투입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투입구 조임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이 견인될 시 이용되는 견인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에 구비되는 메쉬망과 하단 덮개는,
    면을 이루는 면체의 측방 일선만이 하면부에 고정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8. 해양쓰레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에 있어서,
    해양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된 상면부;
    상기 상면부로 하여 투입된 해양쓰레기를 임시 저장하고, 배출부를 마련하여 필요 시 해양쓰레기에 포함된 바닷물을 배출하는 하면부 및
    메쉬로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여 해양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부는,
    해양쓰레기에 포함된 바닷물이 통과하는 면적의 메쉬를 형성하며, 하면부 중심부에 마련되는 메쉬망;
    상기 메쉬망 상측에 마련되어 메쉬망을 덮되, 두개의 절삭선이 수직으로 맞물리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십자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된 하단 덮개 및
    하방의 중심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측면부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덮개는,
    상기 십자 형상의 절개부를 통해 외측으로 접히는 하단 덮개의 모서리가 하부 덮개의 방향으로 접혀 고정되고, 상기 모서리 부분과 하부 덮개가 고정됨으로 인해 모서리의 내측으로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는 조임끈에 의해 해양쓰레기를 배출 또는 저장하고,
    상기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은,
    상기 메쉬로 형성된 측면부를 측면부 외각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측면부를 감싸는 측면부 가림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 가림막의 양 단부에는,
    상기 메쉬로 형성된 측면부의 메쉬 사이로 결속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9. 해양쓰레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에 있어서,
    해양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된 상면부;
    상기 상면부로 하여 투입된 해양쓰레기를 임시 저장하고, 배출부를 마련하여 필요 시 해양쓰레기에 포함된 바닷물을 배출하는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되, 해양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인 상부 몸통과 물 빠짐을 위한 공간인 하부 몸통을 분단하는 격벽이 중단에 형성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부는,
    해양쓰레기에 포함된 바닷물이 통과하는 면적의 메쉬를 형성하며, 하면부 중심부에 마련되는 메쉬망;
    상기 메쉬망 상측에 마련되어 메쉬망을 덮되, 두개의 절삭선이 수직으로 맞물리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십자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된 하단 덮개 및
    하방의 중심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의 측면부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덮개는,
    상기 십자 형상의 절개부를 통해 외측으로 접히는 하단 덮개의 모서리가 하부 덮개의 방향으로 접혀 고정되고, 상기 모서리 부분과 하부 덮개가 고정됨으로 인해 모서리의 내측으로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는 조임끈에 의해 해양쓰레기를 배출 또는 저장하고,
    상기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은,
    상기 메쉬로 형성된 측면부를 측면부 외각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측면부를 감싸는 측면부 가림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 가림막의 양 단부에는,
    상기 메쉬로 형성된 측면부의 메쉬 사이로 결속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높이방향 중단에 구비되는 격벽에 의해 분단되는 상부 몸통과 하부 몸통은,
    측단면이 원형 또는 마름모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11. 삭제
KR1020200099386A 2020-08-07 2020-08-07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KR102193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86A KR102193388B1 (ko) 2020-08-07 2020-08-07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86A KR102193388B1 (ko) 2020-08-07 2020-08-07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388B1 true KR102193388B1 (ko) 2020-12-21

Family

ID=7409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386A KR102193388B1 (ko) 2020-08-07 2020-08-07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3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441A (ko) 2021-10-18 2023-04-26 주식회사 포엠 항내 연안 환경 보호를 위한 소형 부유물 수거장치
KR20230153871A (ko) 2022-04-29 2023-11-07 주식회사 드론고 날개없는 해양드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995U (ja) * 1991-07-30 1993-04-20 畑山 栄 脱水又は収納搬送用収納体
JP2009001296A (ja) * 2007-06-20 2009-01-08 Hokuryo Co Ltd 静電気帯電防止型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090014043A (ko) * 2007-08-03 2009-02-06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소금운반용포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995U (ja) * 1991-07-30 1993-04-20 畑山 栄 脱水又は収納搬送用収納体
JP2009001296A (ja) * 2007-06-20 2009-01-08 Hokuryo Co Ltd 静電気帯電防止型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090014043A (ko) * 2007-08-03 2009-02-06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소금운반용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441A (ko) 2021-10-18 2023-04-26 주식회사 포엠 항내 연안 환경 보호를 위한 소형 부유물 수거장치
KR20230153871A (ko) 2022-04-29 2023-11-07 주식회사 드론고 날개없는 해양드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388B1 (ko) 해양쓰레기 수거용 톤백
US7922421B2 (en) Shoreline erosion and floo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340218A (en) Bulk storage bag with remotely openable discharge spout
US6186662B1 (en) Weighted bag
US9056710B1 (en) Containment bag for use in a commercial disposal container
US8777034B1 (en) Containment bag system for use in a commercial disposal container
US6758596B2 (en) Disposal bag system
CA1309990C (en) Receptacle having improved hopper
US10934089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bottomless waste disposal bag
JP2002225977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0480316Y1 (ko) 하역 보자기
JP6760634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US6431230B1 (en) Yard waste storage and disposal system
US4781470A (en) Flexible container with separate lifting area
JP2017007613A (ja) 貨物自動車荷台に用いる覆いシート状物およびシート構造物
JP2004345710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0052898A (ja) ゴミ収集ネット
CN213169545U (zh) 散装饲料包装用吨袋
JP3010718U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用キャップ
US20230182995A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collection skirt
JP3162150U (ja) ゴミ収集ネット
JP2004352267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用防水カバー
CZ1121U1 (cs) Víceúčelová plážová podložka
JP3067708U (ja) コンテナ用バッグ
JP3082728U (ja) 土木工事用土塊収容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