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200B1 -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200B1
KR102193200B1 KR1020180131330A KR20180131330A KR102193200B1 KR 102193200 B1 KR102193200 B1 KR 102193200B1 KR 1020180131330 A KR1020180131330 A KR 1020180131330A KR 20180131330 A KR20180131330 A KR 20180131330A KR 102193200 B1 KR102193200 B1 KR 102193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biogas
hydrogen
metha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814A (ko
Inventor
이도연
서명원
고강석
류호정
진경태
조원철
조현석
박정호
박영철
이창근
선도원
박재현
문종호
배달희
조성호
이동호
남형석
이승용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1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2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3/00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to produce an improved fuel, e.g. one of different calorific value, which may be free from carbon monoxide
    • C10K3/02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to produce an improved fuel, e.g. one of different calorific value, which may be free from carbon monoxide by catalyt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3/00Gaseous fuels;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 C10L3/06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C10G, C10K3/02 or C10K3/04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어 생성된 메탄이나 산화탄소로 구성된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는 바이오가스공급부,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전기가 생산되는 전기생산부, 상기 전기생산부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수전해에 이용하여 수소와 산소를 분리하는 수전해부,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를 통해 생성된 바이오가스를 상기 수전해부를 통해 분리된 수소와 결합시켜 메탄을 생산하도록 메탄화하는 메탄화부 및 상기 메탄화부를 통해 생산된 메탄을 포집하여 저장하거나 외부로 수송하는 메탄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THERMOCHEMICAL UPGRADING SYSTEM OF BIO-GAS}
본 발명은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오가스를 추가적인 가공없이 그대로 수소와 반응시켜 메탄을 생산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메탄은 산업 현장, 취사 및 연료, 운송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메탄을 기반한 인프라가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현대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메탄의 대부분은 화석연료에 기반한 천연가스로부터 얻어지고 있다. 화석연료의 유한성과 기후 변화 등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단순히 자원을 소비하는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메탄 공급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특히, 메탄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산화탄소로부터 메탄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메탄 생산은 혼합 탱크 반응기 등에서 진행되는 70℃ 이하의 저온반응과 촉매를 이용한 고정층 반응기에서 진행되는 250℃ 이상의 반응으로 나눌 수 있다. 저온반응은 반응 수율이 낮고 반응속도가 낮아, 촉매를 이용한 고정층 반응기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촉매를 이용한 메탄화 반응은 일산화탄소를 이용한 반응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반응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반응식은 하기와 같다.
CO + 3H2 ↔ CH4 + H2O(g) -206kJ/mol (at 298K)
CO2 + 4H2 ↔ CH4 + 2H2O(g) -164kJ/mol (at 298K)
상기 반응은 모두 발열반응으로서 공통적으로 물이 생성된다. 촉매를 이용하여 상기 반응을 진행할 경우 400℃ 내지 500℃의 고온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반응이 빠르게 진행되나, 생성되는 반응열에 의해서 전환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메탄을 생산하기 위해서 온실가스로부터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를 별도로 포집하거나 바이오가스로부터 흡습법, 흡착법, 막분리법 및 심냉분리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별도로 분리하여 수소와 결합시켰다.
따라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를 별도로 포집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장치와 비용이 발생되고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 10- 2007-0015564호(2007.02.0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산화탄소와 메탄을 포함하는 바이오가스를 추가적인 공정을 통해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산화탄소를 별도로 포집 또는 분리시키지 않고 그대로 수소와 결합시켜 메탄을 생산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은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어 생성된 메탄이나 산화탄소로 구성된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는 바이오가스공급부,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전기가 생산되는 전기생산부, 상기 전기생산부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수전해에 이용하여 수소와 산소를 분리하는 수전해부,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를 통해 생성된 바이오가스를 상기 수전해부를 통해 분리된 수소와 결합시켜 메탄을 생산하도록 메탄화하는 메탄화부 및 상기 메탄화부를 통해 생산된 메탄을 포집하여 저장하거나 외부로 수송하는 메탄처리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탄화부는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오가스를 가공없이 그대로 사용하여 메탄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생산부는 풍력, 수력 및 태양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탄처리부는 상기 바이오가스 및 상기 수소의 결합을 통해 생성된 물을 상기 바이오가스 및 상기 수소의 결합과정에서 발생되는 열로 가열시켜 스팀을 생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팀은 발전기와 연결된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를 통해 생산된 바이오가스는 저장성을 향상시키도록 수소와 결합되어 메탄으로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탄화부는 바이오가스 중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가 수소와 함께 촉매에 의해 촉매 전환 반응에 의해서 메탄으로 합성되도록 반응기가 구비되고,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챔버에 의해서 메탄으로 합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니켈성분을 기반으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의 산소 운반체 입자로 사용되어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가 효과적으로 반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는 바이오가스와 수소가 유동되고, 유동방향을 따라 챔버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고온에서 저온으로 각 챔버에서 촉매 전환 반응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챔버들은 제 1 챔버, 제 2 챔버 및 제 3 챔버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챔버는 400℃~500℃, 제 2 챔버는 350℃~400℃ 및 제 3 챔버는 250℃~350℃의 온도로 설정되어 바이오가스와 수소가 촉매 전환 반응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 제 2 챔버 및 제 3 챔버는 하나의 반응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바이오가스와 수소가 상기 반응기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반응기의 내부의 제 1 챔버, 제 2 챔버 및 제 3 챔버에 순차적으로 유동되며 촉매 전환 반응이 수행되어 상기 반응기의 타측으로 반응된 결과물로 메탄과 물이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은 농장의 가축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공급받아 수소와의 반응을 통해 메탄을 생산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농장의 바이오가스의 메탄화 연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은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산화탄소와 메탄을 포함하는 바이오가스를 추가적인 공정을 통해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산화탄소를 별도로 포집 또는 분리시키지 않고 그대로 수소와 결합시켜 메탄을 생산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의 구상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이 적용된 반응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의 구상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100)은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어 생성된 메탄이나 산화탄소로 구성된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는 바이오가스공급부(110),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전기가 생산되는 전기생산부(120), 상기 전기생산부(120)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수전해에 이용하여 수소와 산소를 분리하는 수전해부(130),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110)를 통해 생성된 바이오가스를 상기 수전해부(130)를 통해 분리된 수소와 결합시켜 메탄을 생산하도록 메탄화하는 메탄화부(140) 및 상기 메탄화부(140)를 통해 생산된 메탄을 포집하여 저장하거나 외부로 수송하는 메탄처리부(15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어 생성된 메탄이나 산화탄소로 구성된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는 바이오가스공급부(11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110)는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하수나 동물의 분변 등을 분해할 때 생산되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와 같은 산화탄소와 메탄 등을 포함하는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전기가 생산되는 전기생산부(12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기생산부(120)는 풍력, 수력 및 태양과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 추가적인 장비나 에너지의 투입없이 풍력, 수력 및 태양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전기생산부(120)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수전해에 이용하여 수소와 산소를 분리하는 수전해부(13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전해부(130)는 상기 전기생산부(120)를 통해 생산된 전기를 사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고, 이를 통해 산소와 수소를 분리한다. 상기 신재생에너지는 바람직하게는 잉여전기를 통해서 분해하여 산소 및 수소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산소 및 수소를 이용한다.
또한, 바이오가스공급부(110)를 통해 생성된 바이오가스를 상기 수전해부(130)를 통해 분리된 수소와 결합시켜 메탄을 생산하도록 메탄화하는 메탄화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메탄화부(140)는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110)를 통해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수소와 결합시켜 메탄화함으로써 메탄을 생산할 수 있다.
즉,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110)에서는 미생물의 분해에 의해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및 메탄이 생산되고, 상기 수전해부(130)에서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된 수소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를 수소와 촉매를 통해 촉매전환반응시키면 메탄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메탄화부(140)를 통해 생산된 메탄을 포집하여 저장하거나 외부로 수송하는 메탄처리부(15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탄처리부(150)는 상기 메탄화부(140)를 통해 생산된 메탄을 저장소로 보내 저장하거나, 가정용 또는 산업용으로 바로 사용하도록 메탄을 처리한다.
또한, 메탄화부(140)는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오가스를 가공없이 그대로 사용하여 메탄을 생산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110)는 상기 메탄화부(140)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산화탄소와 메탄을 포함하는 바이오가스를 추가적인 공정을 통해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산화탄소를 별도로 포집 또는 분리시키지 않고 그대로 수소와 결합시켜 메탄을 생산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생산부(120)는 풍력, 수력 및 태양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기생산부(120)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도록 풍력, 수력 및 태양광과 같은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에너지의 공급없이 수전해를 통해 산소 및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메탄처리부(150)는 상기 바이오가스 및 상기 수소의 결합을 통해 생성된 물을 상기 바이오가스 및 상기 수소의 결합과정에서 발생되는 열로 가열시켜 스팀을 생산하고, 상기 스팀은 발전기와 연결된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탄화부(140)에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의 촉매전환반응 시에 반응과정에서 다량의 열이 발생하게 되고, 지속적인 반응을 위해서 냉각이 필요하다.
따라서, 냉매와의 열교환과정에서 온도가 높아진 냉매를 통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산하거나 냉매를 물로 사용함으로써, 뜨거워진 물이 스팀으로 변하여 스팀을 생산할 수 있고, 상기 스팀으로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가스공급부(110)를 통해 생산된 바이오가스는 저장성을 향상시키도록 수소와 결합되어 메탄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오가스에는 메탄과 같은 가스도 존재하나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도 존재하므로, 발연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오가스를 수소와 결합시켜 메탄으로 합성함으로써, 상기 메탄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또한, 촉매는 니켈성분을 기반으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의 산소 운반체 입자로 사용되어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가 효과적으로 반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탄화부(140)는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가 수소와 함께 촉매에 의해 촉매 전환 반응에 의해서 메탄으로 합성되도록 반응기가 구비되고,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챔버에 의해서 메탄으로 합성될 수 있다.
또한, 반응기의 내부에는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가 유동되고, 유동방향을 따라 챔버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고온에서 저온으로 각 챔버에서 촉매 전환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들은 제 1 챔버, 제 2 챔버 및 제 3 챔버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챔버는 400℃~500℃, 제 2 챔버는 350℃~400℃ 및 제 3 챔버는 250℃~350℃의 온도로 설정되어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가 촉매 전환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 1 챔버, 제 2 챔버 및 제 3 챔버는 하나의 반응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바이오가스와 수소가 상기 반응기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반응기의 내부의 제 1 챔버, 제 2 챔버 및 제 3 챔버에 순차적으로 유동되며 촉매 전환 반응이 수행되어 상기 반응기의 타측으로 반응된 결과물로 메탄과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이 적용된 반응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반응기(200)는 메탄화를 위한 일체형 다단 반응기(200)로 구비될 수 있고, 이와 관련하여 도3을 참조하면, 메탄화를 위한 일체형 다단 반응기(200)는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반응시켜 메탄화하기 위한 반응기에 있어서, 내부에 기체가 유동되도록 중공의 관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210),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혼합가스와 고온의 촉매 전환 반응이 일어나도록 구비된 제 1 챔버(221), 상기 본체부(210)의 하단에 구비되고, 제 1 챔버(221)의 하단으로 혼합가스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공급부(231), 상기 공급부(231) 및 제 1 챔버(221)의 하단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부(231)로부터 공급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상기 제 1 챔버(221)에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구비된 제 1 가스분배기(241), 상기 제 1 챔버(221)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챔버(221)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통해 열교환을 수행하여 낮추도록 구비된 제 1 열교환장치(251), 상기 제 2 가스분리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챔버(221)로부터 유동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혼합가스가 촉매와 함께 촉매 전환 반응이 일어나도록 구비된 제 2 챔버(222),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와 상기 제 2 챔버(222)의 하단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챔버(221)로부터 유동된 탄소, 물,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상기 제 2 챔버(222)에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구비된 제 2 가스분배기(242), 상기 제 2 챔버(222)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챔버(222)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통해 열교환을 수행하여 낮추도록 구비된 제 2 열교환장치(261), 상기 제 3 가스분리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챔버(222)로부터 유동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혼합가스가 촉매와 함께 촉매 전환 반응이 일어나도록 구비된 제 3 챔버(223), 상기 제 2 열교환장치(261)와 상기 제 3 챔버(223)의 하단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챔버(222)로부터 유동된 탄소, 물,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상기 제 3 챔버(223)에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구비된 제 3 가스분배기(243), 상기 제 3 챔버(223)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3 챔버(223)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통해 열교환을 수행하여 낮추도록 구비된 제 3 열교환장치(271), 상기 본체부(2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열교환장치(271)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와 촉매의 반응으로 생성된 메탄 및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232)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에 기체가 유동되도록 중공의 관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21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부(210)는 내부에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산화탄소와 수소가 유동되도록 중공의 긴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산화탄소와 수소가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에 유동되며 반응하여 메탄이 생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혼합가스와 고온의 촉매 전환 반응이 일어나도록 제 1 챔버(221)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챔버(221)는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공급받아 고온의 촉매 전환 반응을 통해 메탄이 생산된다.
이때, 촉매 전환 반응은 고온에서 전환 반응이 일어나고, 이때 내부 흐름은 고속유동층(fast fluidized bed) 영역이고, 상기 촉매는 일반적으로 니켈계 촉매가 사용되나, 상기 산화탄소와 수소의 반응을 촉진시켜 메탄을 생산할 수 있다면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체부(210)의 하단에 구비되고, 제 1 챔버(221)의 하단으로 혼합가스를 공급하도록 공급부(231)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급부(231)는 상기 본체부(2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산화탄소 및 수소로 구성된 혼합가스를 상기 제 1 챔버(221)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231)는 관과 같은 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부(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챔버(221)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급부(231) 및 제 1 챔버(221)의 하단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부(231)로부터 공급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상기 제 1 챔버(221)에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제 1 가스분배기(241)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가스분배기(241)는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에서 상기 공급부(231) 및 제 1 챔버(221)의 하단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부(231)로부터 공급된 혼합가스를 상기 제 1 챔버(221)에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스분배기(241)는 상기 혼합가스를 균일하게 분배하여 촉매 전환 반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 1 챔버(221)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챔버(221)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통해 열교환을 수행하여 낮추도록 제 1 열교환장치(251)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는 혼합가스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챔버(221)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챔버(221)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통해 열교환됨으로써 냉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냉매는 상기 혼합가스를 냉각시킬 수 있다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메탄화공정을 통해 생산된 메탄과 물 중 물을 냉매로 다시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챔버(221)로부터 유동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혼합가스가 촉매와 함께 촉매 전환 반응이 일어나도록 제 2 챔버(222)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챔버(222)는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를 통해 냉각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혼합가스가 촉매와 함께 촉매 전환 반응을 통해 메탄이 생산된다.
즉, 상기 제 2 챔버(222)는 상기 제 1 챔버(221)로부터 유동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혼합가스가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를 통해 냉각되고, 이와 함께 촉매를 통해 촉매 전환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제 1 열교환장치(251)와 상기 제 2 챔버(222)의 하단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챔버(221)로부터 유동된 탄소, 물,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상기 제 2 챔버(222)에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제 2 가스분배기(242)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가스분배기(242)는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와 제 2 챔버(222)의 하단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를 상기 제 2 챔버(222)에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가스분배기(242)는 상기 혼합가스를 균일하게 분배하여 촉매 전환 반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 2 챔버(222)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챔버(222)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통해 열교환을 수행하여 낮추도록 제 2 열교환장치(261)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열교환장치(261)는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에서 상기 제 2 챔버(222)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챔버(222)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통해 열교환됨으로써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제 3 가스분리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챔버(222)로부터 유동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혼합가스가 촉매와 함께 촉매 전환 반응이 일어나도록 제 3 챔버(223)가 구비된다.
상기 제 3 챔버(223)는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에서 상기 제 2 열교환장치(261)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열교환장치(261)를 통해 냉각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혼합가스가 촉매와 함께 촉매 전환 반응을 통해 메탄이 생산된다.
또한, 제 2 열교환장치(261)와 상기 제 3 챔버(223)의 하단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챔버(222)로부터 유동된 탄소, 물,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상기 제 3 챔버(223)에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제 3 가스분배기(243)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3 가스분배기(243)는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에서 상기 제 2 열교환장치(261)와 제 3 챔버(223)의 하단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열교환장치(261)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를 상기 제 3 챔버(223)에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가스분배기(243)는 상기 혼합가스를 균일하게 분배하여 촉매 전환 반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 3 챔버(223)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3 챔버(223)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통해 열교환을 수행하여 낮추도록 제 3 열교환장치(271)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3 열교환장치(271)는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에서 상기 제 3 챔버(223)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3 챔버(223)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통해 열교환됨으로써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본체부(2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열교환장치(271)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와 촉매의 반응으로 생성된 메탄 및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232)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부(210)의 하단에 구비된 공급부(231)를 통해 유입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혼합가스가 제 1 챔버(221), 제 2 챔버(222) 및 제 3 챔버(223)를 지나 촉매와 반응되어 메탄과 물이 생성되고, 상기 본체부(210)의 상단에 형성된 배출부(232)를 통해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부(232)는 상기 본체부(210)의 상단과 관과 같은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메탄 및 물을 배출한다.
또한, 제 3 열교환장치(271)는 상기 제 3 챔버(223)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의 온도를 낮추도록 코일형상의 긴관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도록 일측 끝단에 냉매가 유입되는 제 1 유입구(252)가 구비되고, 타측 끝단에 열교환이 수행되고 냉매가 배출되도록 제 1 배출구(253)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3 열교환장치(271)는 코일형상의 긴관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고, 상기 냉매에 의해서 상기 제 3 열교환장치(271)는 상기 제 3 챔버(223)로부터 상기 배출부(232)로 유동되는 혼합가스를 열교환에 의해서 냉각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열교환장치(271) 일측 끝단에는 외부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 1 유입구(252)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유입구(252)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코일형상으로 형성된 관을 지남으로써, 상기 제 3 열교환장치(271)의 외부를 지나가는 혼합가스를 냉각시키고, 열교환이 수행된 후 타측 끝단의 제 1 배출구(253)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제 2 열교환장치(261)는 상기 제 2 챔버(222)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의 온도를 낮추도록 코일형상의 긴관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도록 일측 끝단에 상기 제 1 배출구(253)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 2 유입구(262)가 구비되고, 타측 끝단에 열교환이 수행되고 냉매가 배출되도록 제 2 배출구(263)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열교환장치(261)는 코일형상의 긴관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고, 상기 냉매에 의해서 상기 제 2 열교환장치(261)는 상기 제 2 챔버(222)로부터 상기 제 3 챔버(223)로 유동되는 혼합가스를 열교환에 의해서 냉각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열교환장치(261) 일측 끝단에는 상기 제 1 배출구(253)와 연결되어 제 1 배출구(253)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 2 유입구(262)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유입구(262)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코일형상으로 형성된 관을 지남으로써, 상기 제 2 열교환장치(261)의 외부를 지나가는 혼합가스를 냉각시키고, 열교환이 수행된 후 타측 끝단에 구비된 제 2 배출구(263)를 통해 냉매가 배출된다.
또한, 제 1 열교환장치(251)는 상기 제 1 챔버(221)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의 온도를 낮추도록 코일형상의 긴관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도록 일측 끝단에 상기 제 2 배출구(263)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 3 유입구(272)가 구비되고, 타측 끝단에 열교환이 수행되고 냉매가 배출되도록 제 3 배출구(273)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는 코일형상의 긴관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고, 상기 냉매에 의해서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는 상기 제 1 챔버(221)로부터 상기 제 2 챔버(222)로 유동되는 혼합가스를 열교환에 의해서 냉각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 일측 끝단에는 상기 제 2 배출구(263)와 연결되어 제 2 배출구(263)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 3 유입구(272)가 구비되고, 상기 제 3 유입구(272)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코일형상으로 형성된 관을 지남으로써,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의 외부를 지나가는 혼합가스를 냉각시키고, 열교환이 수행된 후 타측 끝단에 구비된 제 3 배출구(273)를 통해 냉매가 배출된다.
또한, 제 1 챔버(221)는 400℃ 내지 500℃의 온도에서 전환반응이 일어나고,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에서 혼합가스가 일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챔버(221)는 공급부(231)를 통해 유입된 혼합가스 및 촉매가 반응속도를 높이기 위해 400℃ 내지 500℃의 고온에서 촉매전환반응이 일어나고, 가열된 혼합가스가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냉각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챔버(221)는 고온에서 촉매전환반응이 실행되어 효율적으로 메탄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챔버(222)는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에 의해 냉각된 혼합가스 및 촉매가 35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전환반응이 일어나고, 상기 제 2 열교환장치(261)에서 혼합가스 및 촉매가 이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챔버(222)는 상기 제 1 챔버(221)를 통해 유입된 혼합가스 및 촉매가 35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전환반응이 일어나고, 상기 제 1 챔버(221)보다 낮은 온도에서 전환반응이 일어남으로써, 반응속도보다 높은 평형 전환율을 달성할 수 있으며, 가열된 혼합가스가 상기 제 2 열교환장치(261)에 의해서 이차적으로 냉각되어 효율적으로 메탄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제 3 챔버(223)는 상기 제 2 열교환장치(261)에 의해 냉각된 혼합가스 및 촉매가 250℃ 내지 350℃의 온도에서 전환반응이 일어나고, 상기 제 3 열교환장치(271)에서 혼합가스가 삼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3 챔버(223)는 상기 제 2 챔버(222)를 통해 유입된 혼합가스 및 촉매가 250℃ 내지 350℃의 온도에서 전환반응이 일어나고, 상기 제 2 챔버(222)보다 낮은 온도에서 전환반응이 일어남으로써, 반응속도보다 높은 평형 전환율을 달성할 수 있으며, 가열된 혼합가스가 상기 제 3 열교환장치(271)에 의해서 삼차적으로 냉각되어 효율적으로 메탄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제 1 챔버(221), 제 2 챔버(222) 및 제 3 챔버(223)를 통과한 혼합가스는 상기 제 1열교환장치, 제 2 열교환장치(261) 및 제 3 열교환장치(271)로 인해 순차적으로 냉각되어 점차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챔버(221), 제 2 챔버(222) 및 제 3 챔버(223)는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챔버(221)와 제 2 챔버(222)의 사이에는 제 1열교환장치가 배치되고, 제 2 챔버(222)의 제 3 챔버(223) 사이에는 제 2열교환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 3 챔버(223)의 상부에는 제 3열교환장치가 배치되고, 혼합가스가 상기 제 1 챔버(221), 제 2 챔버(222) 및 제 3 챔버(22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촉매와 함께 촉매전환반응이 수행됨으로써, 상기 제 1열교환장치, 제 2 열교환장치(261) 및 제 3 열교환장치(271)를 통해 상기 혼합가스가 순차적으로 냉각된다.
따라서, 초기의 고온의 조건에서 촉매전환반응을 수행하여 높은 반응속도를 갖고 순차적으로 낮은온도에서 촉매전환반응을 수행하여 높은 평형 전환율을 갖게 되어 효율적으로 메탄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냉매는 제 3열교환장치를 시작으로 제 2 열교환장치(261)와 제 1 열교환장치(251)의 순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 3 챔버(223), 제 2 챔버(222) 및 제 1 챔버(221)에 의해 순차적으로 가열되어 점차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3 열교환장치(271), 제 2 열교환장치(261) 및 제 3 열교환장치(271)가 서로 연결되어 냉매가 순차적으로 유동하고, 냉매는 제 3 챔버(223), 제 2 챔버(222) 및 제 1 챔버(221) 순으로 냉각됨에 따라 냉매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하단으로 공급되어 상단으로 이동될수록 온도가 감소하게 되고, 상기 냉매는 상기 본체부(210)를 기준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될수록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된 잉여 전기로 수전해를 통해 산소와 수소를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소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소와 수소를 분리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신재생에너지 또는 발전소를 통해 생산된 잉여전기를 통해 얻을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섬과 같은 독립된 공간에 풍력발전이나 태양광발전을 통해 발생되는 잉여에너지를 통해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소와 수소를 분리하고, 생산된 산소는 판매하고, 나머지 수소를 통해 산화탄소를 메탄화하여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는 온실가스를 통해 배출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산화탄소를 자동차의 매연이나 화석연료의 사용을 통해 손쉽게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산화탄소를 포집하여 메탄화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열교환장치(251)는 상기 제 1 챔버(221)를 냉각시켜 온도가 상승된 냉매를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의 반응을 통해 생성된 물을 가열시켜 스팀을 생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챔버(221)는 400℃ 내지 500℃의 온도에서 혼합가스 및 촉매가 전환반응이 일어나고,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가 이를 냉각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열교환장치(251)의 냉매는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물을 가열시킴으로써 스팀을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된 스팀을 판매하거나 또는 이를 발전시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메탄화를 위한 일체형 다단 반응기(200)는 이산화탄소와 수소의 반응을 통해 생성된 메탄을 생산하도록 메탄화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탄화를 위한 일체형 다단 반응기(200)에서 촉매는 혼합가스와 고정층이 아닌 유동층으로 반응함으로써, 반응과 동시에 열회수 및 촉매 고열(반응열)을 방지할 수 있는데 제 1 가스분배기(241), 제 2 가스분배기(242) 및 제 3 가스분배기(243)를 통한 촉매의 투입에 따른 최소유동화속도 계산식인
Figure 112018107539457-pat00001
는 아래의 계산식을 따른다.
Figure 112018107539457-pat00002
Figure 112018107539457-pat00003
= minimum fluidizing condition,
Figure 112018107539457-pat00004
= screen size
Figure 112018107539457-pat00005
= gas density
Figure 112018107539457-pat00006
= coefficient of viscosity
Figure 112018107539457-pat00007
= bed voidage
Figure 112018107539457-pat00008
= (
Figure 112018107539457-pat00009
) of same volume
Figure 112018107539457-pat00010
(sheres), 0<
Figure 112018107539457-pat00011
<1(all other particle shapes)
Figure 112018107539457-pat00012
= particle density or catalyst density
Figure 112018107539457-pat00013
= gravitational acceleration
또한, 상기 제 1 가스분배기(241), 제 2 가스분배기(242) 및 제 3 가스분배기(243)를 통해 투입되는 촉매입자의 크기, 밀도를 제어함으로써,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의 유량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110: 바이오가스공급부
120: 전기생산부
130: 수전해부
140: 메탄화부
150: 메탄처리부
200: 반응기
210: 본체부
221: 제 1 챔버
222: 제 2 챔버
223: 제 3 챔버
231: 공급부
232: 배출부
241: 제 1 가스분배기
242: 제 2 가스분배기
243: 제 3 가스분배기
251: 제 1 열교환장치
252: 제 1 유입구
253: 제 1 배출구
261: 제 2 열교환장치
262: 제 2 유입구
263: 제 2 배출구
271: 제 3 열교환장치
272: 제 3 유입구
273: 제 3 배출구

Claims (12)

  1.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어 생성된 메탄이나 산화탄소로 구성된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는 바이오가스공급부;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전기가 생산되는 전기생산부;
    상기 전기생산부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수전해에 이용하여 수소와 산소를 분리하는 수전해부;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를 통해 생성된 바이오가스를 상기 수전해부를 통해 분리된 수소와 결합시켜 메탄을 생산하도록 메탄화하는 메탄화부; 및
    상기 메탄화부를 통해 생산된 메탄을 포집하여 저장하거나 외부로 수송하는 메탄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탄화부는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와 연통함에 따라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로부터 상기 바이오가스를 가공없이 그대로 사용하여 메탄을 생산하며,
    상기 메탄화부는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바이오가스와 상기 수전해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수소를 결합시켜 상기 메탄을 생산하고,
    상기 메탄화부는 상기 바이오가스 중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가 상기 수소와 함께 촉매에 의해 촉매 전환 반응에 의해서 메탄으로 합성되도록 반응기가 구비되고,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챔버에 의해서 메탄으로 합성되며,
    상기 반응기는,
    내부에 기체가 유동되도록 중공의 관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혼합가스와 고온의 촉매 전환 반응이 일어나도록 구비된 제 1 챔버;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챔버의 하단으로 상기 혼합가스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 및 상기 제 1 챔버의 하단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상기 제 1 챔버에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구비된 제 1 가스분배기;
    상기 제 1 챔버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챔버로부터 유동된 상기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통해 열교환을 수행하여 낮추도록 구비된 제 1 열교환장치;
    제 2 가스분리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챔버로부터 유동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혼합가스가 촉매와 함께 촉매 전환 반응이 일어나도록 구비된 제 2 챔버;
    상기 제 1 열교환장치와 상기 제 2 챔버의 하단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챔버로부터 유동된 탄소, 물,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상기 제 2 챔버에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구비된 제 2 가스분배기;
    상기 제 2 챔버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챔버로부터 유동된 상기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통해 열교환을 수행하여 낮추도록 구비된 제 2 열교환장치;
    제 3 가스분리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챔버로부터 유동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구성된 혼합가스가 촉매와 함께 촉매 전환 반응이 일어나도록 구비된 제 3 챔버;
    상기 제 2 열교환장치와 상기 제 3 챔버의 하단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챔버로부터 유동된 탄소, 물,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상기 제 3 챔버에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구비된 제 3 가스분배기;
    상기 제 3 챔버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3 챔버로부터 유동된 혼합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통해 열교환을 수행하여 낮추도록 구비된 제 3 열교환장치;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열교환장치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와 촉매의 반응으로 생성된 메탄 및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가스분배기를 통한 상기 촉매의 투입에 따른 최소유동화속도는 하기의 계산식에 의해 연산되며,
    Figure 112020503235981-pat00016

    Figure 112020503235981-pat00017

    상기 촉매는 상기 계산식에 따라 혼합가스와 고정층이 아닌 유동층으로 반응하여 열회수 및 반응열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생산부는 풍력, 수력 및 태양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처리부는 상기 바이오가스 및 상기 수소의 결합을 통해 생성된 물을 상기 바이오가스 및 상기 수소의 결합과정에서 발생되는 열로 가열시켜 스팀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은 발전기와 연결된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가스공급부를 통해 생산된 바이오가스는 저장성을 향상시키도록 수소와 결합되어 메탄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니켈성분을 기반으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의 산소 운반체 입자로 사용되어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가 효과적으로 반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는 바이오가스와 수소가 유동되고, 유동방향을 따라 챔버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고온에서 저온으로 각 챔버에서 촉매 전환 반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는 400℃~500℃, 상기 제 2 챔버는 350℃~400℃ 및 상기 제 3 챔버는 250℃~350℃의 온도로 설정되어 바이오가스와 수소가 촉매 전환 반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 상기 제 2 챔버 및 상기 제 3 챔버는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바이오가스와 수소가 상기 반응기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반응기의 내부의 상기 제 1 챔버, 상기 제 2 챔버 및 상기 제 3 챔버에 순차적으로 유동되며 촉매 전환 반응이 수행되어 상기 반응기의 타측으로 반응된 결과물로 메탄과 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12. 제 1 항에 따른, 상기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은 농장의 가축으로부터바이오가스를 공급받아 수소와의 반응을 통해 메탄을 생산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장의 바이오가스의 메탄화 연료.
KR1020180131330A 2018-10-30 2018-10-30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KR102193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330A KR102193200B1 (ko) 2018-10-30 2018-10-30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330A KR102193200B1 (ko) 2018-10-30 2018-10-30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814A KR20200048814A (ko) 2020-05-08
KR102193200B1 true KR102193200B1 (ko) 2020-12-18

Family

ID=7067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330A KR102193200B1 (ko) 2018-10-30 2018-10-30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2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7300A (ja) * 2010-10-19 2012-05-10 General Electric Co <Ge> 代替天然ガス生成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08405B1 (ko) 2013-03-06 2013-09-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메탄을 이용한 합성 연료 생산 장치 및 방법
JP5804464B2 (ja) 2010-10-05 2015-11-04 ティッセンクルップ・ウーデ・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合成ガスからメタンに富むガス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6995735A (zh) * 2017-05-03 2017-08-01 江苏天楹环保能源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填埋气或沼气的处置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7281B2 (en) 2004-04-06 2007-07-24 Fuelcell Energy, Inc. Methanation assembly using multiple reactors
KR20140080661A (ko) * 2012-12-13 2014-07-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발열량의 합성천연가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4464B2 (ja) 2010-10-05 2015-11-04 ティッセンクルップ・ウーデ・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合成ガスからメタンに富むガス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2087300A (ja) * 2010-10-19 2012-05-10 General Electric Co <Ge> 代替天然ガス生成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08405B1 (ko) 2013-03-06 2013-09-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메탄을 이용한 합성 연료 생산 장치 및 방법
CN106995735A (zh) * 2017-05-03 2017-08-01 江苏天楹环保能源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填埋气或沼气的处置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814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96561B (zh) 生物质燃料二氧化碳循环无氧气化方法及设备
CN104445066B (zh) 一种甲烷二氧化碳催化制氢装置及方法
CN203096014U (zh) 一种利用工厂废气制天然气的装置
CN113461027B (zh) 一种低压合成氨塔及可再生能源低压合成氨系统
KR20180030679A (ko) 합성 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188895B2 (ja) メタノール合成反応器およびメタノール合成方法
Prananto et al. Combined dehydrogenation and hydrogen-based power generation
CN113005475B (zh) 一种基于氨基热化学能储能的太阳能高温电解水耦合制氢的系统及工艺
CN104017604B (zh) 一种生物质气化催化重整制生物氢的装置及方法
CN109095438B (zh) 一种生物质多级转换联合制氢装置及其工作方法
CN106160240A (zh) 一种储存和释放电能的系统和工艺
KR102193200B1 (ko)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CN101745350B (zh) 一种副产蒸汽催化反应设备
CN101966472B (zh) 一步法催化合成二甲醚催化剂还原装置
CN112004594A (zh) 用于实施减少平衡的反应的反应器
KR102413872B1 (ko) 순환유동층보일러 및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순환 시스템
CN201436064U (zh) 一种副产蒸汽催化反应设备
CN103911196A (zh) 一种利用工厂废气制天然气的方法和装置
CN210393751U (zh) 基于制氨工艺的二低变触媒升温还原系统
CN110436413B (zh) 一种沼气和太阳能互补的两段式合成气制备系统及方法
KR102118313B1 (ko) 순산소연소발전과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자립시스템
KR102118318B1 (ko) 산화탄소의 메탄화를 위한 일체형 다단 반응기
AU2012244041A1 (en) Non-CO2 emitting manufacturing method for synthesis gas
KR102255606B1 (ko) 신재생 전력이용 메탄화 시스템과 가스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메탄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메탄가스 제조방법
IT202100012551A1 (it) Processo per la conversione della co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