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940B1 -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 Google Patents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940B1
KR102192940B1 KR1020140025249A KR20140025249A KR102192940B1 KR 102192940 B1 KR102192940 B1 KR 102192940B1 KR 1020140025249 A KR1020140025249 A KR 1020140025249A KR 20140025249 A KR20140025249 A KR 20140025249A KR 102192940 B1 KR102192940 B1 KR 102192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commercial vehicle
loading box
mold
vehicl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3616A (ko
Inventor
장동석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주)지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우테크 filed Critical (주)지우테크
Priority to KR1020140025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940B1/ko
Priority to PCT/KR2015/001403 priority patent/WO2015133743A1/ko
Publication of KR20150103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54Load carrying floors for commerci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은: 상용차 적재함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플로워 패널와, 플로워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플로워 패널은, 보강부재가 거치되는 하부몰드와, 하부몰드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몰드와, 하부몰드와 상부몰드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측면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몰드에 의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내부 공간으로 용융된 수지가 주입된 후, 수지의 경화 후 상부몰드를 상승시키고 측면몰드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탈형함으로써, 보강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CARGO BOX OF COMMERCIAL VEHICLE WITH REINFORCING MEMBER}
본 발명은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상용차 적재함에 대비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하고 강도를 보강해주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상용차에는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상용차에 적용되는 적재함은 그 재질이 얇은 철판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식 등에 취약하고 강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용차에 적용되는 적재함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U자형의 철판 보강재를 부착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재는 제작 비용, 제작 시간, 차량의 무게를 증가시켜 차량 유지 비용 증가와 차량 연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7309호(1999.05.25. 공개, 고안의 명칭: 차량용 적재함)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상용차 적재함에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적재함용 보강부재를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하여 상용차 적재함을 경량화하면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은: 상용차 적재함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플로워 패널와, 상기 플로워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워 패널은, 상기 보강부재가 거치되는 하부몰드와, 상기 하부몰드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몰드와, 상기 하부몰드와 상기 상부몰드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측면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몰드에 의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내부 공간으로 용융된 수지가 주입된 후, 상기 수지의 경화 후 상기 상부몰드를 상승시키고 상기 측면몰드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탈형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플로워 패널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한 쌍의 다리부와, 각각의 상기 다리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머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머리부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몰드에는 상기 보강부재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플로워 패널과 상기 보강부재는, 내부에 섬유재가 함침된 상태에서 합성수지를 경화시킨 섬유강화수지(FRP;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플로워 패널과 상기 보강부재는 저압분사-수지이송성형(LPI-RTM; Low pressure injection resin transfer molding)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몰드, 상기 상부몰드, 및 상기 측면몰드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몰드, 상기 상부몰드, 및 상기 측면몰드의 사이에는 기밀을 위해 고무패킹이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재함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상용차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은 합성수지의 내부에 섬유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가벼우면서도 우수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에서 적용되는 보강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의 재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조 과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에서 적용되는 보강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10)은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로워 패널(11), 프런트 패널(12), 사이드 게이트(13), 및 리어 게이트(14)를 포함한다.
플로워 패널(11)은 화물 등이 적재되는 일정 크기로 이루어지는 상용차 적재함(10)의 바닥면을 구성한다. 프런트 패널(12)은 플로워 패널(11)의 전면에 설치되어, 화물이 차량의 운전석을 침범하지 못하게 막는 일정 높이로 이루어진다. 사이드 게이트(13)는 플로워 패널(11)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리어 게이트(14)는 플로워 패널(11)의 후면에 설치되어, 플로워 패널(11)에 적재된 화물이 상용차 적재함(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사이드 게이트(13) 또는 리어 게이트(14)를 플로워 패널(11)에 고정된 상태에서 해방하여 화물을 이송할 수 있다. 플로워 패널(11), 프런트 패널(12), 사이드 게이트(13), 및 리어 게이트(14)는 합성수지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가볍고 부식에 강하며,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용차 적재함(10)에서 하부면을 형성하는 플로워 패널(11)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보강부재(20,20a)가 설치된다.
보강부재(20,20a)는 상용차 적재함(10)의 플로워 패널(11)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설치되어 플로워 패널(11)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보강부재(20,20a)는 합성수지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가볍고 부식에 강하며,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진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번호 20과 20a는 보강부재를 의미하고, 이 중 도시번호 20a인 보강부재는 플로워 패널(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차량의 기름통(미도시) 등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짧게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강부재(20,20a)는 다리부(21)와 머리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리부(21)는 상용차 적재함(10)의 플로워 패널(11)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다리부(21)는 상용차 적재함(10)의 플로워 패널(11)의 폭의 길이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머리부(22)는 다리부(21)의 양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게 이루어진다. 머리부(22)는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개구된다. 머리부(22)는 길이방향으로 다리부(21)가 형성된 길이에 상응되게 이루어진다.
보강부재(20,20a)는 다리부(21)의 일정 면적에 의하여 상용차 적재함(10)의 플로워 패널(11)에 부착되어, 상용차 적재함(10)의 플로워 패널(11)에서 가해지는 하중은 면접촉되는 다리부(21)에서 머리부(22)로 전달되면서 하중이 분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로워 패널(11)과 보강부재(20,20a)는 각각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플로워 패널(11)과 보강부재(20,20a)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내부에 섬유재(25)가 함침된 상태에서 경화시킨 후, 섬유강화수지(FRP;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보강부재(20,20a)의 내부에 섬유매트 또는 직물과 같은 섬유재(25)가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을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조 과정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20,20a)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10)을 제조하기 위해서, 보강부재(20,20a)가 거치되는 하부몰드(31)와, 하부몰드(31)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몰드(32)와, 하부몰드(31)와 상부몰드(32)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측면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몰드(33)로 이루어지는 성형장치가 이용된다. 하부몰드(31)에는 보강부재(20,20a)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홈(31a)이 형성된다. 즉, 보강부재홈(31a)은 보강부재(20,20a)의 다리부(21)와 머리부(22)의 형상이 삽입될 수 있는 그 형상에 상응하는 일정 깊이로 홈이 형성된다.
고정된 상태의 하부몰드(31)에 대하여 상부몰드(32)와 측면몰드(33)가 닫힌 상태에서 수지가 몰드들(31,32,33)에 의해서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주입된다. 몰드들(31,32,33)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이 플로워 패널(11)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고, 그 내부 공간으로 용융된 수지가 공급된 후, 경화됨으로써, 플로워 패널(11)은 보강부재(20,20a)가 부착된 상태로 완성된다.
하부몰드(31), 상부몰드(32), 및 측면몰드(33)는 변형이 적고, 변형이 적어 치수규제가 용이한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몰드(31), 상부몰드(32), 및 측면몰드(33)의 사이, 즉 각 몰드(31,32,33)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는 고무패킹이 삽입되어 각 몰드(31,32,33) 사이에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수지가 경화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섬유재(25)를 포함하는 용융된 수지는 몰드들(31,32,33)의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주입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몰드들(31,32,33)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주입된 수지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경화되면, 상부몰드(32), 측면몰드(33)를 각각 상측 방향과 외측 방향으로 탈형함으로써, 보강부재(20,20a)가 부착된 플로워 패널(11)을 제조할 수 있다. 즉, 하부몰드(31)에 대하여 상부몰드(32)는 상승되고, 측면몰드(33)은 외측으로 향하여 이동되어 탈형됨으로써, 경화된 보강부재(20,20a)가 부착된 플로워 패널(11)을 취출할 수 있다.
여기서, 몰드들(31,32,33)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수지가 주입될 때, 저압분사-수지이송성형(LPI-RTM; Low pressure injection resin transfer molding) 공법에 의해 제조된다. 저압분사-수지이송성형법은 각 몰드(31,32,33)에 의해 형성된 형성된 내부 공간에 섬유매트 또는 직물등과 같은 섬유재(25)를 미리 위치시킨 상태에서, 각 몰드(31,32,33)에 의해 이루어진 내부 공간으로 저점도의 수지를 주입한 후, 수지가 섬유매트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재(25)에 함침된 상태에서 경화시킨 후 탈형되도록 하는 수지 성형 공법이다. 저압분사-수지이송성형법에 의해서, 보강부재(20,20a)가 부착된 플로워 패널(11)이 섬유강화수지(FRP)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보강부재(20,20a)가 부착된 플로워 패널(11)로 상용차 적재함(10)의 하부를 형성으로써, 상용차 적재함(10)이 가벼우면서도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20,20a)를 플로워 패널(11)의 하부에 부착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강부재(20,20a)를 플로워 패널(11), 프런트 패널(12), 사이드 게이트(13), 또는 리어 게이트(14)의 외측면 또는 내부 공간에 각각 설치하여 상용차 적재함(1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상용차 적재함 11: 플로워 패널
12: 프런트 패널 13: 사이드 게이트
14: 리어 게이트
20, 20a: 보강부재 21: 다리부
22: 머리부 25: 섬유재
31: 하부몰드 31a: 보강부재홈
32: 상부몰드 33: 측면몰드

Claims (8)

  1. 상용차 적재함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플로워 패널; 및
    상기 플로워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워 패널은,
    상기 보강부재가 거치되는 하부몰드와,
    상기 하부몰드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몰드와,
    상기 하부몰드와 상기 상부몰드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측면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몰드에 의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내부 공간으로 용융된 수지가 주입된 후,
    상기 수지의 경화 후 상기 상부몰드를 상승시키고, 상기 측면몰드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탈형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 취출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플로워 패널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한 쌍의 다리부; 및
    각각의 상기 다리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머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몰드에는 상기 보강부재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워 패널과 상기 보강부재는,
    내부에 섬유재가 함침된 상태에서 합성수지를 경화시킨 섬유강화수지(FRP;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워 패널과 상기 보강부재는 저압분사-수지이송성형(LPI-RTM; Low pressure injection resin transfer molding)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몰드, 상기 상부몰드, 및 상기 측면몰드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몰드, 상기 상부몰드, 및 상기 측면몰드의 사이에는 기밀을 위해 고무패킹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KR1020140025249A 2014-03-03 2014-03-03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KR102192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249A KR102192940B1 (ko) 2014-03-03 2014-03-03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PCT/KR2015/001403 WO2015133743A1 (ko) 2014-03-03 2015-02-12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249A KR102192940B1 (ko) 2014-03-03 2014-03-03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616A KR20150103616A (ko) 2015-09-11
KR102192940B1 true KR102192940B1 (ko) 2020-12-18

Family

ID=5405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249A KR102192940B1 (ko) 2014-03-03 2014-03-03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2940B1 (ko)
WO (1) WO2015133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5300B1 (en) 2020-04-20 2021-10-2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ular body structural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4879A (ja) * 1992-09-30 1994-04-26 Itoki Crebio Corp 加飾性シート被覆の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950014118U (ko) * 1993-11-12 1995-06-16 화물 트럭용 적재함 바닥판
JPH08164878A (ja) * 1994-12-15 1996-06-25 Isuzu Motors Ltd エアデフレクタのレインフォース構造
JPH10236339A (ja) * 1997-02-27 1998-09-08 Isuzu Motors Ltd トラック荷台の床板構造
KR200324112Y1 (ko) * 2003-04-04 2003-08-21 김완규 차량용 적재함의 착탈식 합성수지 보강판
JP4370917B2 (ja) * 2004-01-19 2009-11-25 東レ株式会社 繊維強化樹脂製外板部材の製造方法
KR101308763B1 (ko) * 2011-01-11 2013-09-17 (주)엘지하우시스 3차원 표면 패턴을 쉽게 형성할 수 있는 몰드를 이용한 고분자 성형물 제조 방법 및 3차원 표면 패턴을 갖는 가전제품용 성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3743A1 (ko) 2015-09-11
KR20150103616A (ko) 2015-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4490B2 (en) Frame structure with at least one console for connecting further components, method for producing and motor vehicle body
KR20160106606A (ko) 자동차 부품용 구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
WO2013033024A3 (en) Manufacturing a vehicle trim component via compression and injection molding
CN114945505A (zh) 用于机动车辆的由热塑性塑料材料制成的结构构件、具有结构构件的机动车辆以及用于制造结构构件的方法
US11214025B2 (en) Fibre-reinforced components
US11046253B2 (en) Storage bin for assembly on a motor vehicle body structure
Baskaran et al. Manufacturing cost comparison of RTM, HP-RTM and CRTM for an automotive roof
WO2017164323A1 (ja) Frpシートプレス成形方法及び装置、並びにfrp成形品
KR102192940B1 (ko)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KR20130105013A (ko) 상하 금형을 이용한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수지 이송 성형방법
JP4548243B2 (ja) 成形品の成形方法
US20200094496A1 (en) Multi-stage resin delivery
US20180104871A1 (en) Co-injection molding of the structural portion of a vehicle liftgate inner panel
CN104802424B (zh) 用于制造纤维增强的空心型材构件的方法
CN104321221B (zh) 形成机动车辆座椅的坐垫支架的轻质装置,带有不同坐垫高度的该支架的制造方法
KR20130105017A (ko) 상하 금형을 이용한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수지 이송 성형장치
KR101051215B1 (ko) 구조화 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프로세스 및 몰드
US2021027628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ressure accumulator
KR20150103618A (ko) 상용차의 적재함용 보강부재
CN110682550B (zh) 具有支撑结构的车辆门或后背门及其制造方法
CN211334659U (zh) 用于车身和底盘部件的自支撑复合结构
KR20140120486A (ko) 상용차 적재함용 보강부재
KR101144008B1 (ko)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수지 이송 성형방법
KR20140120485A (ko)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
JP2011224939A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