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485A -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 - Google Patents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485A
KR20140120485A KR20130036267A KR20130036267A KR20140120485A KR 20140120485 A KR20140120485 A KR 20140120485A KR 20130036267 A KR20130036267 A KR 20130036267A KR 20130036267 A KR20130036267 A KR 20130036267A KR 20140120485 A KR20140120485 A KR 20140120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inforcing member
commercial vehicle
loading box
ou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석
이상욱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주) 지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우테크 filed Critical (주) 지우테크
Priority to KR2013003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0485A/ko
Publication of KR2014012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3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re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2Trucks; L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한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은, 서로 크기로 제작되어 서로 조립됨으로써 상용차의 적재함으로 완성되는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패널(12)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외측패널부(12a)와,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골격을 형성하여 강성을 발휘하도록 상기 외측패널부(12a)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보강부재(12b)와, 상기 외측패널부(12a)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보강부재(12b)가 배치되지 않은 공간을 채우도록 충전되는 충전재(1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Panel for cargo box of commercial vehicle}
본 발명은 상용차의 적재함을 구성하는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한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상용차에는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이 구비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상용차의 적재함(110)을 차량에 장착하고, 상기 적재함(110)의 내부에 화물을 적재함으로써, 상기 상용차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이러한 상용차, 특히 소형 상용차에서는 철판을 사용하되, 얇은 두께의 철판으로 강도가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을 반복하여 절곡하여 복수의 홈을 형성하여 패널부재를 형성한다. 이렇게 제작된 패널부재를 필요한 사이즈로 절단하여, 적재함 프레임(120)에 용접하여 플로워 패널(111)이 되도록 하거나, 마찬가지로 절곡된 패널부재를 적재함 프레임에 용접하여 상기 플로워 패널(111)의 전후에 각각 연결되는 프런트 패널(112), 리어 게이트(114) 또는 사이드 게이트(113)를 제작하고, 이들을 서로 조립하여 상용차 적재함을 완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용차의 적재함(110)은 그 재질이 철판으로 재질로 하기 때문에 부식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패널의 재질이 스틸(steel)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부식에 취약하고, 상기 패널부재를 적재함 프레임(120)에 용접으로 접합하기 때문에 용접부위에서 특히 부식에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부식이 발생하면, 프레임과 각 패널의 연결부위가 서로 분리되거나, 패널를 구성하는 철판의 두께가 더 얇아 지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발휘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상용차의 적재함(110)에서 부식이 발생하면, 상기 적재함(110)을 차량으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이 적재함(110)을 교체해야 했다.
아울러, 패널이 중량(重量)의 철판을 재질로 하는 바, 차량의 연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기도 하였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차량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적재함으로 화물(물건)을 적재하기 용이하도록 적재함으로 유출입되는 모서리에 지지구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구에서 회전되는 로울러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적재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20-1999-0017309 U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용차의 중량이 감소되도록 하여 상용차의 적재함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은, 서로 크기로 제작되어 서로 조립됨으로써 상용차의 적재함으로 완성되는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복합패널은, 상기 프런트 패널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외측패널부와, 상기 프런트 패널의 골격을 형성하여 강성을 발휘하도록 상기 외측패널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외측패널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보강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공간을 채우도록 충전되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패널부와 상기 보강부재는, 내부에 섬유재가 함침된 상태에서 합성수지를 경화시킨 섬유강화수지(FRP: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패널부 또는 상기 보강부재는 저압분사-수지이송성형(LPI-RTM; Low pressure injection resin transfer molding)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단면이 중공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는 단면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재는 발포 합성수지 폼(foa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은, 외표면이 섬유강화수지로 형성되어 있어서, 수분 또는 부식을 유발하는 물질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부식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적재함에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복합패널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전체 적재함의 중량이 감소되어, 차량의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적재함을 구성하는 복합패널들은 부식에 강하여, 부식된 적재함을 새로운 적재함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상용차의 적재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상용차의 적재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이 적용된 상용차의 적재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의 일례인 프런트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런트 패널에서 외측패널부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외측패널부(12a)와, 상기 외측패널부(12a)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보강부재(12b)와, 상기 외측패널부(12a)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보강부재(12b)가 위치하지 않은 나머지 공간을 채우는 충전재(12c)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은 상용차의 적재함(10)을 적절한 크기로 제작되어, 상용차 적재함을 구성하는 패널 중의 하나가 되고, 이들을 서로 조립하여 상용차의 적재함(10)이 완성된다. 즉, 상기 복합패널은 플로워 패널(11), 프런트 패널(12), 사이드 게이트(13) 또는 리어게이트(14)로 제작되고,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상용차 적재함(10)을 완성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의 일례인 프런트 패널(12)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의 일례인 상기 프런트 패널(12)은 외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단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패널부(12a)는 프런트 패널(12), 즉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외측패널부(12a)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외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외측패널부(12a)는 상용차의 적재함(10)에서 외형을 형성하기 때문에, 2개의 외측패널부(12a)가 서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후술되는 보강부재(12b)와 충전재(12c)가 채워짐으로써, 상용차의 적재함(10)을 구성하게 된다.
보강부재(12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외측패널부(12a)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12b)는 상용차 적재함(10)에서 골격을 형성하여 강성을 발휘하는 구조체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부재(12b)는 그 단면구조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12b)의 단면형상이 내부가 중공이 사각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어느 일측이 개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강부재(12b)는 성형과정에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기 전에, 상기 경화된 수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섬유매트 또는 직물과 같은 섬유재(12aa)를 미리 위치시켜야 하는데, 단면이 폐곡선의 형태를 갖는다면, 수지를 주입하기에도 용이하지 않고, 상기 섬유재(12aa)를 위치시키기 용이하지 아니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어느 한 면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측패널부(12a)와 보강부재(12b)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섬유재(12aa)가 함침된 상태에서 경화된 섬유강화수지(FRP: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7에는 외측패널부(12a)의 단면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외측패널부(12a)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의 내부에 섬유재(12aa)가 포함된 섬유강화수지(FRP)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재(12b)도 상기 외측패널부(12a)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의 내부에 섬유재(12aa)가 함침된 상태에 경화시켜 섬유강화수지(FRP)가 된다.
또한, 상기 외측패널부(12a)와 보강부재(12b)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저압분사-수지이송성형(LPI-RTM; Low pressure injection resin transfer molding)공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압분사-수지이송성형법은 몰드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섬유매트 또는 직물등과 같은 섬유재(12aa)를 미리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몰드의 내부로 저점도의 수지를 주입한 후, 상기 수지가 상기 섬유매트 또는 직물과 함침된 상태에서 경화시킨 후 탈형되도록 하는 수지 성형 공법이다.
상기와 같이, 저압분사-수지이송성형법에 의해서, 상기 외측패널부(12a) 또는 보강부재(12b)를 성형함으로써, 상기 외측패널부(12a) 또는 보강부재(12b)가 섬유강화수지(FRP)가 되도록 한다.
충전재(12c)는 상기 외측패널부(12a) 사이에서 상기 보강부재(12b)가 배치되는 않은 공간을 채우도록 충전된다. 상기 충전재(12c)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재(12c)는 발포 합성수지 폼(foam)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외측패널부(12a)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 중에서, 보강부재(12b)가 배치되지 않은 공간을 채우게 된다.
상기 프런트 패널(12)에는 운전자가 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윈도우(12d)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런트 패널(12)과 마찬가지로 상용차의 적재함(10)을 구성하는 플로워 패널(11), 사이드 게이트(13) 및 리어게이트(14)도 상기의 구성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인 플로워 패널(11), 프런트 패널(12), 사이드 게이트(13) 및 리어게이트(14)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외측패널부와, 상기 외측패널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강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에 의해서 채워지지 않은 나머지 공간을 채우는 충전재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인 플로워 패널(11), 프런트 패널(12), 사이드 게이트(13) 및 리어게이트(14)를 서로 조립함으로써, 상용차 적재함(10)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에 따르면, 상기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을 형성하는 외측패널부(12a), 보강부재(12b) 및 충전재(12c)가 합성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재질이기 때문에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적재함(10)을 구성하는 플로워 패널(11), 프런트 패널(12), 사이드 게이트(13) 및 리어게이트(14)가 경량화됨으로써, 차량의 중량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주행에 따른 연료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경량화를 달성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외측패널부(12a)와 보강부재(12b)는 섬유강화수지(FRP)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의 강성이 기존의 철판을 재질로 한 적재함(110)에 비하여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10 : 적재함 11 : 플로워 패널
12 : 프런트 패널 12a : 외측패널부
12aa : 섬유재 12b : 보강부재
12c : 충전재 12d : 윈도우
13 : 사이드 게이트 14 : 리어게이트
110 : 적재함 111 : 플로워 패널
112 : 프런트 패널 113 : 사이드 게이트
114 : 리어게이트 120 : 적재함 프레임

Claims (6)

  1. 서로 크기로 제작되어 서로 조립됨으로써 상용차의 적재함으로 완성되는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복합패널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외측패널부와,
    상기 복합패널의 골격을 형성하여 강성을 발휘하도록 상기 외측패널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외측패널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보강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공간을 채우도록 충전되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패널부와 상기 보강부재는,
    내부에 섬유재(12aa)가 함침된 상태에서 합성수지를 경화시킨 섬유강화수지(FRP: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패널부 또는 상기 보강부재는 저압분사-수지이송성형(LPI-RTM; Low pressure injection resin transfer molding)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단면이 중공(中空)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단면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발포 합성수지 폼(fo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
KR20130036267A 2013-04-03 2013-04-03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 KR20140120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6267A KR20140120485A (ko) 2013-04-03 2013-04-03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6267A KR20140120485A (ko) 2013-04-03 2013-04-03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485A true KR20140120485A (ko) 2014-10-14

Family

ID=5199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6267A KR20140120485A (ko) 2013-04-03 2013-04-03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04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681A (ko) * 2018-02-07 2019-08-1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적용된 차량의 적재함 게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681A (ko) * 2018-02-07 2019-08-1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적용된 차량의 적재함 게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4490B2 (en) Frame structure with at least one console for connecting further components, method for producing and motor vehicle body
US11787272B2 (en) Hybrid composite tailgate
CA3015252C (en) Composite floor structure with embedded hardpoint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70174055A1 (en) Structural component for motor vehicle part and motor vehicle part including the component
CN103979016A (zh) 轻量化电动汽车车身骨架
JP5384094B2 (ja) 構造体及びレジントランスファモールディング成形方法
US11046253B2 (en) Storage bin for assembly on a motor vehicle body structure
CN114945505A (zh) 用于机动车辆的由热塑性塑料材料制成的结构构件、具有结构构件的机动车辆以及用于制造结构构件的方法
WO2018177388A1 (en) A Composite Tailgate
DE102011120903A1 (de) Faserverbund-Halb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andwichbauteilen
US9862254B2 (en) Functionally optimized fiber composite compon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3625039B1 (en) Multi-stage resin delivery
KR20140120485A (ko) 상용차 적재함용 복합패널
CN110385860B (zh) 制造增强部件的方法和部件
KR102429065B1 (ko) 차량의 루프 패널 어셈블리
WO2014156682A1 (ja) 繊維強化樹脂製車両用フロア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753080B2 (en) Vehicle structural component, modular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vehicle structural components
KR102192940B1 (ko)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용차 적재함
KR101552769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제조방법
CN105818870A (zh) 用于生产复合结构类型的机动车辆车身的方法
KR20140120486A (ko) 상용차 적재함용 보강부재
DE10201721395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stärkten Bauteils für ein Kraftfahrzeug
KR101144008B1 (ko)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수지 이송 성형방법
WO2014163297A1 (ko) 상용차 적재함의 패널부재
JP2011224939A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