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752B1 -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752B1
KR102192752B1 KR1020200095080A KR20200095080A KR102192752B1 KR 102192752 B1 KR102192752 B1 KR 102192752B1 KR 1020200095080 A KR1020200095080 A KR 1020200095080A KR 20200095080 A KR20200095080 A KR 20200095080A KR 102192752 B1 KR102192752 B1 KR 102192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fermentor
fermenter
euclidean norm
driving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택
Original Assignee
정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택 filed Critical 정상택
Priority to KR1020200095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93Arrangements for measuring process parameters, e.g. temperature, pressure or hum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6Matrix or vector computation, e.g. matrix-matrix or matrix-vector multiplication, matrix factoriz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는 축분 발효기로부터 수신된 구동 전류 값과 온도 값을 기초로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고, 축분 발효기의 이상이 심각하여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 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를 축분 발효기로 전송하여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시키며, 소정의 메시지 전송 주기에 따라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로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반복해서 전송함으로써, 축분 발효기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CATTLE EXCREMENTS FERMENTER MONITOR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FERMENTER FOR CATTLE EXCREMENTS WHICH MONITORS MALFUNCTIONS OF THE FERMENTER AND THE OPE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8618호에 "축분 발효기의 관리 제어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축분 발효기의 관리 제어장치는 회전축을 구동하는 유압펌프의 구동 전류를 측정하는 유압펌프전류측정부; 송풍기의 구동전류를 측정하는 송풍기 전류측정부;버킷구동모터의 구동전류를 측정하는 투입버킷구동모터 전류측정부; 외기온도센서를 통해 탱크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온도감지부; 입기온도센서를 통해 투입구로 투입되는 축분의 초기온도를 감지하는 입기온도감지부; 제1 내지 제3온도센서를 통해 탱크 내부온도를 상중하로 각각 감지하는 탱크온도감지부; 축분 발효기의 운전 상태가 자동 또는 수동 상태인가를 체크하는 자동/수동 운전상태감지부; 투입구의 덮개가 개방 또는 폐쇄상태인가를 개폐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하는 투입구개폐상태감지부; 취출구의 덮개가 개방 또는 폐쇄상태인가를 개폐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하는 취출구개폐상태감지부; 배기팬이 현재 구동중인가를 체크하는 배기팬 구동감지부; 유압펌프 또는 송풍기등이 고장 등으로 작동 불능이거나 오류가 발생될시 경보알람을 구동시키는 유압펌프/송풍기 알람구동부; 계측된 데이터를 전송할 시간과, 각 구동부가 고장 등으로 작동 불능이거나 오류가 발생될 시의 구동전류값을 설정하는 키입력부; 상기 각종 측정 및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계측데이터와, 현재 각 구동부의 상태를 체크하여 이를 저장하여 두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전송시간이 도래하면 그 저장된 계측데이터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PC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받은 계측데이터 정보를 저장 및 표시하고, 이를 인터넷을 통해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는 PC; 및 상기 PC로부터 전송받은 계측데이터 정보를 지정된 이메일주소 및 휴대폰 전화번호로 이메일발송하거나 휴대폰 문자 전송하여 주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축분 발효기의 관리 제어장치에는 축분 발효기에서 측정한 온도와 전류를 이용하여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이상 여부를 판단에 따른 후속 조치가 기술되지 않았다.
보통,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축분 발효기에 구비된 발효 탱크 내부의 온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그리고, 축분 발효기에서는 축분을 배합 및 교반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축분의 배합과 교반은 유압 펌프에 의해서 구동되는 회전축에 구비된 교반 날개를 통해서 수행된다는 점에서 유압 펌프의 정상 구동 여부가 축분 발효기의 성능을 좌우할 수 있다. 따라서,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데 있어서, 유압 펌프의 구동 전류가 정상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도 있다.
따라서, 축분 발효기에 구비된 유압 펌프의 구동 전류와 발효 탱크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기초로, 축분 발효기의 이상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8618호(2009.03.11)
본 발명은 축분 발효기로부터 수신된 구동 전류 값과 온도 값을 기초로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고, 축분 발효기의 이상이 심각하여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 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를 축분 발효기로 전송하여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시키며, 소정의 메시지 전송 주기에 따라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로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반복해서 전송함으로써, 축분 발효기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 - 상기 축분 발효기에는 상기 축분 발효기에 구비된 유압 펌프의 구동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센서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축분 발효기에 구비된 발효 탱크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온도 센서들이 상기 발효 탱크 내부의 사전 설정된 k개의 지점에 분산 배치되어 있음 - 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상기 전류 센서에서 측정된 구동 전류 값을 사전 설정된 제1 주기 간격으로 수신하는 구동 전류 값 수신부, 상기 제1 주기 간격으로 수신되는 상기 구동 전류 값을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 값 범위와 비교하여, 제1 시점에서 수신된 제1 구동 전류 값이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부,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서 상기 k개의 온도 센서들을 통해 측정된 k개의 온도 값들을 수신하는 온도 값 수신부, 상기 k개의 온도 값들 각각에 대해, 사전 설정된 기준 온도 값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온도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을 할당하고, 상기 기준 온도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0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k차원의 열벡터를 생성하는 열벡터 생성부, 상기 열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제2 주기 -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짧음 - 간격으로 상기 전류 센서를 통해 연쇄적으로 측정된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을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추가 수신하고, 상기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 각각을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 각각에 대해,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을 할당하고,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0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k차원의 행벡터를 생성하는 행벡터 생성부, 상기 k차원의 열벡터와 상기 k차원의 행벡터를 서로 곱하여, k x k의 크기를 갖는 행렬을 생성한 후, 상기 행렬의 유클리드 노름(Euclidean norm)을 연산하는 노름 연산부 및 상기 유클리드 노름을 상기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화면 상에 이상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 - 상기 축분 발효기에는 상기 축분 발효기에 구비된 유압 펌프의 구동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센서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축분 발효기에 구비된 발효 탱크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온도 센서들이 상기 발효 탱크 내부의 사전 설정된 k개의 지점에 분산 배치되어 있음 - 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상기 전류 센서에서 측정된 구동 전류 값을 사전 설정된 제1 주기 간격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주기 간격으로 수신되는 상기 구동 전류 값을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 값 범위와 비교하여, 제1 시점에서 수신된 제1 구동 전류 값이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서 상기 k개의 온도 센서들을 통해 측정된 k개의 온도 값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k개의 온도 값들 각각에 대해, 사전 설정된 기준 온도 값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온도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을 할당하고, 상기 기준 온도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0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k차원의 열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열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제2 주기 -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짧음 - 간격으로 상기 전류 센서를 통해 연쇄적으로 측정된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을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추가 수신하고, 상기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 각각을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 각각에 대해,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을 할당하고,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0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k차원의 행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k차원의 열벡터와 상기 k차원의 행벡터를 서로 곱하여, k x k의 크기를 갖는 행렬을 생성한 후, 상기 행렬의 유클리드 노름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유클리드 노름을 상기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화면 상에 이상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축분 발효기로부터 수신된 구동 전류 값과 온도 값을 기초로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고, 축분 발효기의 이상이 심각하여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 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를 축분 발효기로 전송하여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시키며, 소정의 메시지 전송 주기에 따라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로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반복해서 전송함으로써, 축분 발효기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11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100)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로, 구동 전류 값 수신부(111), 이벤트 발생부(112), 온도 값 수신부(113), 열벡터 생성부(114), 행벡터 생성부(115), 노름 연산부(116) 및 출력부(117)를 포함한다.
먼저, 축분 발효기(100)에는 축분 발효기(100)에 구비된 유압 펌프의 구동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센서가 탑재되어 있고, 축분 발효기(100)에 구비된 발효 탱크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온도 센서들이 상기 발효 탱크 내부의 사전 설정된 k개의 지점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
구동 전류 값 수신부(111)는 축분 발효기(100)로부터 전류 센서에서 측정된 구동 전류 값을 사전 설정된 제1 주기 간격으로 수신한다.
예컨대, 사전 설정된 제1 주기가 '1분'이라고 하는 경우, 구동 전류 값 수신부(111)는 축분 발효기(100)로부터 전류 센서에서 측정된 구동 전류 값을 '1분' 간격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부(112)는 상기 제1 주기 간격으로 수신되는 상기 구동 전류 값을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 값 범위와 비교하여, 제1 시점에서 수신된 제1 구동 전류 값이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축분 발효기(100)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상기 제1 주기를 '1분'이라고 하고,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 값 범위가 '15A이상 17A이하'라고 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부(112)는 축분 발효기(100)로부터 '1분' 간격으로 상기 구동 전류 값이 수신되면, 상기 구동 전류 값이 수신될 때마다, 상기 구동 전류 값이 '15A이상 17A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시점에서 수신된 제1 구동 전류 값이 '20A'라고 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부(112)는 상기 제1 구동 전류 값이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하여, 축분 발효기(100)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온도 값 수신부(113)는 이벤트 발생부(112)에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축분 발효기(100)로부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서 상기 k개의 온도 센서들을 통해 측정된 k개의 온도 값들을 수신한다.
예컨대, k가 '6'이라고 하는 경우, 온도 값 수신부(113)는 축분 발효기(100)로부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서 6개의 온도 센서들을 통해 측정된 6개의 온도 값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온도 값 수신부(113)에서 상기 k개의 온도 값들이 수신되면, 열벡터 생성부(114)는 상기 k개의 온도 값들 각각에 대해, 사전 설정된 기준 온도 값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온도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을 할당하고, 상기 기준 온도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0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k차원의 열벡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k가 '6'이라고 함에 따라, 온도 값 수신부(113)를 통해 축분 발효기(100)로부터 6개의 온도 값들이 수신되었다고 하고, 상기 6개의 온도 값들 중 두 번째, 세 번째 및 네 번째 온도 값이 상기 기준 온도 값 범위를 벗어난다고 하며, 첫 번째, 다섯 번째 및 여섯 번째 온도 값이 상기 기준 온도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고 하는 경우, 열벡터 생성부(114)는 상기 두 번째, 세 번째 및 네 번째 온도 값에 각각 1을 할당하고, 상기 첫 번째, 다섯 번째 및 여섯 번째 온도 값에 각각 0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
Figure 112020079983642-pat00001
'이라는 6차원의 열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행벡터 생성부(115)는 열벡터 생성부(114)에서 상기 열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제2 주기(여기서,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짧음) 간격으로 상기 전류 센서를 통해 연쇄적으로 측정된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을 축분 발효기(100)로부터 추가 수신한다. 그러고 나서, 행벡터 생성부(115)는 상기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 각각을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 각각에 대해,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을 할당하고,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0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k차원의 행벡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k를 '6'이라고 하고, 상기 제2 주기를 '1초'라고 하는 경우, 행벡터 생성부(115)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1초' 간격으로 상기 전류 센서를 통해 연쇄적으로 측정된 6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을 축분 발효기(100)로부터 추가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6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 중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및 여섯 번째 구동 전류 값이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난다고 하고, 다섯 번째 구동 전류 값이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고 하는 경우, 행벡터 생성부(115)는 상기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및 여섯 번째 구동 전류 값에 각각 1을 할당하고, 상기 다섯 번째 구동 전류 값에 0을 할당함으로써, '[1 1 1 1 0 1]'이라는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6차원의 행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노름 연산부(116)는 열벡터 생성부(114)에서 생성된 상기 k차원의 열벡터와 행벡터 생성부(115)에서 생성된 상기 k차원의 행벡터를 서로 곱하여, k x k의 크기를 갖는 행렬을 생성한 후, 상기 행렬의 유클리드 노름(Euclidean norm)을 연산한다.
여기서, 유클리드 노름이란 벡터나 행렬의 유클리드 공간 상에서의 크기를 나타내는 L2 노름으로,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20079983642-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20079983642-pat00003
가 유클리드 노름,
Figure 112020079983642-pat00004
는 벡터 또는 행렬의 k번째 성분을 의미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k가 '6'이고, 열벡터 생성부(114)에서 '
Figure 112020079983642-pat00005
'이라는 6차원의 열벡터가 생성되었으며, 행벡터 생성부(115)에서 '[1 1 1 1 0 1]'이라는 6차원의 행벡터가 생성된 경우, 노름 연산부(116)는 상기 열벡터와 상기 행벡터를 서로 곱하여 6 x 6의 크기를 갖는 '
Figure 112020079983642-pat00006
'이라는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열벡터 생성부(114)는 상기 행렬에 대해,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유클리드 노름을 '3.87'로 연산할 수 있다.
이렇게, 노름 연산부(116)에서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연산되면, 출력부(117)는 상기 유클리드 노름을 축분 발효기(100)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축분 발효기(10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화면 상에 이상 메시지를 출력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노름 연산부(116)에서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3.87'로 연산되었고, 축분 발효기(100)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가 '2'라고 하는 경우, 출력부(117)는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축분 발효기(10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화면 상에 이상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면, 출력부(117)는 축분 발효기(100)로부터 수신된 구동 전류 값과 온도 값 중 구동 전류 값에 가중치를 두고 축분 발효기(100)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노름 연산부(116)에서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연산되면, 상기 행벡터의 해밍 무게(Hamming weight)를 연산하고, 상기 행벡터의 길이인 k에 대한 상기 해밍 무게의 비율을 연산한 후, 상기 비율을 상기 유클리드 노름에 곱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에 대한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출력부(117)는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을 상기 제1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축분 발효기(10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화면 상에 상기 이상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해밍 무게란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의미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k가 '6'이고, 상기 제1 기준치가 '2'이며, 행벡터 생성부(115)에서 '[1 1 1 1 0 1]'이라는 행벡터가 생성되었고, 노름 연산부(116)에서 유클리드 노름이 '3.87'로 연산되었다고 하는 경우, 출력부(117)는 상기 행벡터의 해밍 무게를 '5'로 연산하고, 상기 행벡터의 길이인 '6'에 대한 상기 해밍 무게의 비율을 '0.83'으로 연산한 후, '0.83'을 노름 연산부(116)에서 연산된 유클리드 노름인 '3.87'에 곱하여, '3.21'이라는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인 '3.21'은 상기 제1 기준치인 '2'를 초과하기 때문에, 출력부(117)는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축분 발효기(10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화면 상에 상기 이상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100)는 축분 발효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구동 전류 값과 온도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구동 전류 값과 온도 값을 기초로 축분 발효기(100)의 이상 여부를 판정한 후, 축분 발효기(10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화면 상에 이상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축분 발효기(100)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100)는 축분 발효기(100)로부터 심각한 이상이 감지되면, 축분 발효기(100)의 운전을 긴급 정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신호 전송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전송부(118)는 출력부(117)를 통해 상기 이상 메시지가 화면 상에 출력되면,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을 축분 발효기(100)의 운전을 긴급 정지해야 하는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제2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축분 발효기(100)의 운전을 긴급 정지해야 하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한 후, 축분 발효기(100) 운전을 긴급 정지시키기 위한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를 축분 발효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준치는 상기 제1 기준치보다 큰 값이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3.21'이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으로 생성되었고, 축분 발효기(100)의 운전을 긴급 정지해야 하는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제2 기준치가 '3'이라고 하는 경우, 신호 전송부(118)는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축분 발효기(100)의 운전을 긴급 정지해야 하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한 후, 축분 발효기(100) 운전을 긴급 정지시키기 위한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를 축분 발효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축분 발효기(100)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110)로부터 상기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축분 발효기(100)의 운전을 긴급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110)는 메시지 전송부(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부(119)는 출력부(117)을 통해 상기 이상 메시지가 화면 상에 출력되면, 상기 제1 기준치의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에 대한 비율을 사전 설정된 메시지 최대 전송 주기에 곱하여 제1 메시지 전송 주기를 연산하고, 상기 제1 메시지 전송 주기가 연산되면,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로 상기 이상 메시지를 상기 제1 메시지 전송 주기 간격으로 반복해서 전송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상기 제1 기준치가 '2'이고, '3.21'이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으로 생성되었으며, 사전 설정된 메시지 최대 전송 주기를 '10분'이라고 하는 경우, 메시지 전송부(119)는 상기 제1 기준치의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에 대한 비율인 '0.63'을 상기 메시지 최대 전송 주기인 '10분'에 곱하여 제1 메시지 전송 주기를 '6.3분'으로 연산한 후,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로 상기 이상 메시지를 '6.3분' 간격으로 반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110)는 축분 발효기(100)로부터 심각한 이상이 감지되어 축분 발효기(100)의 운전을 긴급 정지 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를 축분 발효기(100)로 전송하여 축분 발효기(100)의 운전을 긴급 정지시킬 수 있고,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101)로 소정의 메시지 전송 주기에 따라 이상 메시지를 반복해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축분 발효기(100)의 이상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상기 축분 발효기에는 상기 축분 발효기에 구비된 유압 펌프의 구동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센서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축분 발효기에 구비된 발효 탱크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온도 센서들이 상기 발효 탱크 내부의 사전 설정된 k개의 지점에 분산 배치되어 있음)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210)에서는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상기 전류 센서에서 측정된 구동 전류 값을 사전 설정된 제1 주기 간격으로 수신한다.
단계(S220)에서는 상기 제1 주기 간격으로 수신되는 상기 구동 전류 값을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 값 범위와 비교하여, 제1 시점에서 수신된 제1 구동 전류 값이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단계(S230)에서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서 상기 k개의 온도 센서들을 통해 측정된 k개의 온도 값들을 수신한다.
단계(S240)에서는 상기 k개의 온도 값들 각각에 대해, 사전 설정된 기준 온도 값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온도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을 할당하고, 상기 기준 온도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0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k차원의 열벡터를 생성한다.
단계(S250)에서는 상기 열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제2 주기(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짧음)간격으로 상기 전류 센서를 통해 연쇄적으로 측정된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을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추가 수신하고, 상기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 각각을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 각각에 대해,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을 할당하고,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0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k차원의 행벡터를 생성한다.
단계(S260)에서는 상기 k차원의 열벡터와 상기 k차원의 행벡터를 서로 곱하여, k x k의 크기를 갖는 행렬을 생성한 후, 상기 행렬의 유클리드 노름을 연산한다.
단계(S270)에서는 상기 유클리드 노름을 상기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화면 상에 이상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70)에서는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연산되면, 상기 행벡터의 해밍 무게를 연산하고, 상기 행벡터의 길이인 k에 대한 상기 해밍 무게의 비율을 연산한 후, 상기 비율을 상기 유클리드 노름에 곱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에 대한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을 생성하고,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을 상기 제1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화면 상에 상기 이상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이상 메시지가 화면 상에 출력되면,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을 상기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해야 하는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제2 기준치(상기 제2 기준치는 상기 제1 기준치보다 큰 값임)와 비교하여,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해야 하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한 후 상기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시키기 위한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를 상기 축분 발효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이상 메시지가 화면 상에 출력되면, 상기 제1 기준치의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에 대한 비율을 사전 설정된 메시지 최대 전송 주기에 곱하여 제1 메시지 전송 주기를 연산하고, 상기 제1 메시지 전송 주기가 연산되면,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로 상기 이상 메시지를 상기 제1 메시지 전송 주기 간격으로 반복해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111: 구동 전류 값 수신부 112: 이벤트 발생부
113: 온도 값 수신부 114: 열벡터 생성부
115: 행벡터 생성부 116: 노름 연산부
117: 출력부 118: 신호 전송부
119: 메시지 전송부
100: 축분 발효기
101: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

Claims (10)

  1.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 - 상기 축분 발효기에는 상기 축분 발효기에 구비된 유압 펌프의 구동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센서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축분 발효기에 구비된 발효 탱크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온도 센서들이 상기 발효 탱크 내부의 사전 설정된 k개의 지점에 분산 배치되어 있음 - 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상기 전류 센서에서 측정된 구동 전류 값을 사전 설정된 제1 주기 간격으로 수신하는 구동 전류 값 수신부;
    상기 제1 주기 간격으로 수신되는 상기 구동 전류 값을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 값 범위와 비교하여, 제1 시점에서 수신된 제1 구동 전류 값이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부;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서 상기 k개의 온도 센서들을 통해 측정된 k개의 온도 값들을 수신하는 온도 값 수신부;
    상기 k개의 온도 값들 각각에 대해, 사전 설정된 기준 온도 값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온도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을 할당하고, 상기 기준 온도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0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k차원의 열벡터를 생성하는 열벡터 생성부;
    상기 열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제2 주기 -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짧음 - 간격으로 상기 전류 센서를 통해 연쇄적으로 측정된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을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추가 수신하고, 상기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 각각을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 각각에 대해,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을 할당하고,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0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k차원의 행벡터를 생성하는 행벡터 생성부;
    상기 k차원의 열벡터와 상기 k차원의 행벡터를 서로 곱하여, k x k의 크기를 갖는 행렬을 생성한 후, 상기 행렬의 유클리드 노름(Euclidean norm)을 연산하는 노름 연산부; 및
    상기 유클리드 노름을 상기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화면 상에 이상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연산되면, 상기 행벡터의 해밍 무게(Hamming weight)를 연산하고, 상기 행벡터의 길이인 k에 대한 상기 해밍 무게의 비율을 연산한 후, 상기 비율을 상기 유클리드 노름에 곱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에 대한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을 생성하고,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을 상기 제1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화면 상에 상기 이상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메시지가 화면 상에 출력되면,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을 상기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해야 하는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제2 기준치 - 상기 제2 기준치는 상기 제1 기준치보다 큰 값임 - 와 비교하여,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해야 하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한 후, 상기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시키기 위한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를 상기 축분 발효기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메시지가 화면 상에 출력되면, 상기 제1 기준치의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에 대한 비율을 사전 설정된 메시지 최대 전송 주기에 곱하여 제1 메시지 전송 주기를 연산하고, 상기 제1 메시지 전송 주기가 연산되면,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로 상기 이상 메시지를 상기 제1 메시지 전송 주기 간격으로 반복해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5.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 - 상기 축분 발효기에는 상기 축분 발효기에 구비된 유압 펌프의 구동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센서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축분 발효기에 구비된 발효 탱크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온도 센서들이 상기 발효 탱크 내부의 사전 설정된 k개의 지점에 분산 배치되어 있음 - 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상기 전류 센서에서 측정된 구동 전류 값을 사전 설정된 제1 주기 간격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주기 간격으로 수신되는 상기 구동 전류 값을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 값 범위와 비교하여, 제1 시점에서 수신된 제1 구동 전류 값이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서 상기 k개의 온도 센서들을 통해 측정된 k개의 온도 값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k개의 온도 값들 각각에 대해, 사전 설정된 기준 온도 값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온도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을 할당하고, 상기 기준 온도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0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k차원의 열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열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제2 주기 -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짧음 - 간격으로 상기 전류 센서를 통해 연쇄적으로 측정된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을 상기 축분 발효기로부터 추가 수신하고, 상기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 각각을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k개의 제2 구동 전류 값들 각각에 대해,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을 할당하고, 상기 기준 전류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0을 할당함으로써, 1과 0의 성분으로 구성된 k차원의 행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k차원의 열벡터와 상기 k차원의 행벡터를 서로 곱하여, k x k의 크기를 갖는 행렬을 생성한 후, 상기 행렬의 유클리드 노름(Euclidean norm)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유클리드 노름을 상기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화면 상에 이상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유클리드 노름이 연산되면, 상기 행벡터의 해밍 무게(Hamming weight)를 연산하고, 상기 행벡터의 길이인 k에 대한 상기 해밍 무게의 비율을 연산한 후, 상기 비율을 상기 유클리드 노름에 곱하여 상기 유클리드 노름에 대한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을 생성하고,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을 상기 제1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 후, 화면 상에 상기 이상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메시지가 화면 상에 출력되면,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을 상기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해야 하는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제2 기준치 - 상기 제2 기준치는 상기 제1 기준치보다 큰 값임 - 와 비교하여,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이 상기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해야 하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한 후 상기 축분 발효기의 운전을 긴급 정지시키기 위한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긴급 운전 정지 제어 신호를 상기 축분 발효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메시지가 화면 상에 출력되면, 상기 제1 기준치의 상기 보정된 유클리드 노름에 대한 비율을 사전 설정된 메시지 최대 전송 주기에 곱하여 제1 메시지 전송 주기를 연산하고, 상기 제1 메시지 전송 주기가 연산되면,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로 상기 이상 메시지를 상기 제1 메시지 전송 주기 간격으로 반복해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0.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95080A 2020-07-30 2020-07-30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92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080A KR102192752B1 (ko) 2020-07-30 2020-07-30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080A KR102192752B1 (ko) 2020-07-30 2020-07-30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752B1 true KR102192752B1 (ko) 2020-12-18

Family

ID=7404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080A KR102192752B1 (ko) 2020-07-30 2020-07-30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7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618B1 (ko) 2007-11-15 2009-03-11 (주)상일테크 축분 발효기의 관리 제어장치
WO2011105759A2 (ko) * 2010-02-23 201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기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KR101966219B1 (ko) * 2017-11-21 2019-04-08 주식회사 글로비즈 자동차 부품들의 결함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78745B1 (ko) * 2018-09-05 2019-05-15 정희섭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랙 내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진화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618B1 (ko) 2007-11-15 2009-03-11 (주)상일테크 축분 발효기의 관리 제어장치
WO2011105759A2 (ko) * 2010-02-23 201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기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KR101966219B1 (ko) * 2017-11-21 2019-04-08 주식회사 글로비즈 자동차 부품들의 결함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78745B1 (ko) * 2018-09-05 2019-05-15 정희섭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랙 내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진화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0614B1 (en) Modular power plants for machines
US8964995B2 (en) Acoustic diagnosis and correction system
US201302830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ing stability of server
JP2014225080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の診断装置・監視端末
TW201423385A (zh) 電腦測試系統及方法
US20110153035A1 (en) Sensor Failur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07908539A (zh) 一种检测应用程序内存泄露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92752B1 (ko) 네트워크로 연결된 축분 발효기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축분 발효기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918661B2 (ja) 設備診断装置および設定変更督促方法
CN109597389B (zh) 一种嵌入式控制系统的测试系统
CN113656809A (zh) 镜像的安全检测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1555899B (zh) 告警规则配置方法、设备状态监测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1176958B (zh) 信息监测方法、系统和存储介质
CN110244986B (zh) 浏览器配置方法和装置
US7188275B2 (en) Method of verifying a monitoring and responsive infrastructure of a system
WO2023169118A1 (zh) 发动机控制方法、装置、储存介质和计算机设备
CN115185313A (zh) 水电机组轴承瓦温的趋势跟踪预警方法及装置
CN109783086A (zh) 基于持续集成平台的应用开发方法、终端设备及介质
WO2021209443A1 (en) Automatization of drainage and deaerators
JP2008164490A (ja) 診断装置
JP2006338460A (ja) 環境測定システムおよび環境測定プログラム
KR102342720B1 (ko) 농업용 기계를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09058390A (ja) 放射線レベル計測装置
JP2512325B2 (ja) ファン故障検出装置
US20230315559A1 (en) Fault diagnosis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fault diagnosi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