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459B1 -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459B1
KR102190459B1 KR1020200051540A KR20200051540A KR102190459B1 KR 102190459 B1 KR102190459 B1 KR 102190459B1 KR 1020200051540 A KR1020200051540 A KR 1020200051540A KR 20200051540 A KR20200051540 A KR 20200051540A KR 102190459 B1 KR102190459 B1 KR 102190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pa
robot
user
task
tas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철
안재홍
양정환
박미정
오성
오호종
조용태
Original Assignee
농업협동조합중앙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협동조합중앙회 filed Critical 농업협동조합중앙회
Priority to KR102020005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81Scheduling strategies for dispatcher, e.g. round robin, multi-level priority que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06F9/5038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considering the execution order of a plurality of tasks, e.g. taking priority or time dependency constraints into consid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로봇부에 업무나 과제를 지시하고, 상기 RPA 로봇부로부터 상기 지시한 업무나 과제에 대한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지시되는 업무를 상기 RPA 로봇부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특정 RPA 로봇에 업무를 할당하거나 분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USER INTERFACE APPARATUS FOR SHARING OF RPA}
본 발명은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소프트웨어 로봇)의 공유를 통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들의 업무 수행을 간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는 소프트웨어 로봇(즉, RPA 로봇)에 디지털 시스템에 대한 사람(사용자)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손쉽게 에뮬레이션하고 통합하여 로봇을 통해 비즈니스 업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RPA 로봇은 사람이 하는 것처럼 데이터를 캡처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하며, 정보를 해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을 트리거하며, 다른 시스템과 통신하면서 광범위한 반복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RPA 로봇은 사용자가 수행하는 많은 작업을 모방할 수 있다.
가령, 상기 RPA 로봇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고, 파일 및 폴더를 이동하며, 데이터를 복사 및 붙여 넣고, 양식을 작성하며, 문서에서 정형 및 반정형 데이터를 추출하고, 브라우저를 스크레이핑(scraping) 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RPA를 통해 모든 과제(또는 업무)를 처리할 경우 조직의 작업 속도(workflow)가 혁신되고 효율화될 뿐만 아니라 특정 요구 사항에 맞춤화된 빠른 대응을 통해 확장성과 유연성을 배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점차 RPA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상기 RPA를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하여 작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RPA와 사용자간의 소통(예 : 작업 지시의 입력과 작업 결과의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36070호(2020.04.07. 공개, 데이터 수집 변환 및 연결을 위한 빅데이터 운영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소프트웨어 로봇)의 공유를 통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들의 업무 수행을 간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가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로봇부에 업무나 과제를 지시하고, 상기 RPA 로봇부로부터 상기 지시한 업무나 과제에 대한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지시되는 업무를 상기 RPA 로봇부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특정 RPA 로봇에 업무를 할당하거나 분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RPA 로봇부는, 중앙집중형 로봇 PC로서, RPA가 각기 탑재된 복수의 컴퓨터를 의미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RPA 로봇부의 각 컴퓨터는 독립적인 업무나 협업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웹 페이지 형태로 표시되며, 상기 업무의 지시와 업무에 대한 처리 결과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로봇 관리부로서, 상기 RPA 로봇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RPA 로봇 중 유휴 상태의 RPA 로봇에 업무를 할당하거나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케줄 기반의 업무와 당장 처리해야 되는 시급한 업무인 현업 업무의 처리를 병행하며, 상기 스케줄 기반의 업무나 현업 업무의 특성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RPA 로봇을 할당하거나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RPA 로봇 자원이 부족할 경우 능동적으로 스케줄 기반의 업무와 현업 업무 처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케줄 기반의 업무와 현업 업무의 발생량을 모두 고려하여 업무 발생량이 지정된 기준을 넘지 않을 경우에는 모든 RPA 로봇 자원을 가동하지 않고 지정된 비율의 RPA 로봇을 유휴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RPA 로봇을 유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비율은, 기간이나 시간별 업무 발생량 통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RPA 로봇 실행명령이 입력되는지 체크하고, 상기 RPA 로봇 실행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업무 지시가 입력되면, 스케줄 기반의 업무 및 현업 업무를 구분하여, RPA 로봇부에 분배하고, 상기 분배한 업무가 수행되면, 상기 RPA 로봇부의 업무 수행 결과를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케줄 기반의 업무 및 현업 업무의 발생량과 업무의 시급한 정도를 바탕으로 유휴 상태의 로봇 PC에 업무를 할당하거나, 유휴 상태의 로봇 PC가 없을 경우에는 스케줄 조정을 통해 로봇 PC에 업무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소프트웨어 로봇)의 공유를 통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들의 업무 수행을 간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사용자-로봇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RPA의 공유에 따른 업무의 지시와 업무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 내지 도 79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부에 출력되는 사용자-RPA 인터페이스의 형태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및 RPA 로봇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가 RPA 로봇부(130)에 업무(또는 과제)를 지시하고, 상기 RPA 로봇부(130)로부터 상기 지시한 업무(또는 과제)에 대한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110)는 디스플레이 수단(미도시)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 형태로 상기 업무의 지시와 상기 업무에 대한 처리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상기 웹 페이지 형태로 표시되는 사용자-로봇 인터페이스에서 메뉴 선택과 텍스트 입력을 통해 업무를 지시할 수 있고, 상기 RPA 로봇부(130)는 상기 업무에 대한 처리 결과를 적어도 텍스트와 이미지를 조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상기 사용자는 스케줄 기반의 업무(예 : 당장 처리하지 않아도 되며 예약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시급하지 않은 업무)를 지시하거나, 당장 처리해야 되는 시급한 업무(즉, 현업)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또는 로봇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지시하는 업무를 상기 RPA 로봇부(130)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특정 RPA 로봇(또는 로봇PC)에 업무를 할당(또는 분배)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RPA 로봇부(130)의 복수의 RPA 로봇(또는 로봇PC) 중 유휴 상태의 RPA 로봇(또는 로봇PC)에 업무를 할당(또는 분배)한다. 이에 따라 RPA 로봇(또는 로봇PC)의 대기(Queue) 발생을 최소화시켜 로봇 자원 가동률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특정 RPA 로봇(또는 로봇PC)에 업무를 할당(또는 분배)함으로써, 스케줄 기반의 업무와 현업 업무(즉, 당장 처리해야 되는 시급한 업무) 처리를 병행할 수 있으며, 업무의 특성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RPA 로봇(또는 로봇PC)을 할당(또는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RPA 로봇(또는 로봇PC) 자원이 부족할 경우 능동적으로 스케줄 기반의 업무와 현업 업무(즉, 당장 처리해야 되는 시급한 업무) 처리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현업 업무(즉, 당장 처리해야 되는 시급한 업무)의 발생량을 바탕으로 상기 스케줄 기반의 업무를 조정함으로써 로봇 자원 가동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스케줄 기반의 업무와 현업 업무(즉, 당장 처리해야 되는 시급한 업무)의 발생량을 모두 고려하여 업무 발생량이 지정된 기준을 넘지 않을 경우에는 굳이 모든 RPA 로봇(또는 로봇PC) 자원을 가동하지 않고 지정된 비율의 RPA 로봇(또는 로봇PC)을 유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는 RPA 로봇(또는 로봇PC) 자원의 부담을 줄여 수명(사용연한)을 연장시키고 새로운 업무 발생 시 즉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RPA 로봇(또는 로봇PC)을 유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비율은 기간(또는 시간)별 업무 발생량 통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RPA 로봇부(130)(또는 중앙집중형 로봇PC)는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가 각기 탑재된 복수의 PC(즉, 컴퓨터)로서,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RPA 로봇부(130)의 각 PC(즉, 컴퓨터)는 독립적인 업무이나 협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RPA 로봇부(130) 중 어느 하나의 PC(즉, 컴퓨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사용자-로봇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RPA의 공유에 따른 업무의 지시와 업무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예 : 개인용 컴퓨터, 휴대 단말기, 데스크탑 컴퓨터 등)(미도시)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RPA 로봇 실행명령이 입력되는지 체크하고(S101), 사용자로부터 RPA 로봇 실행명령이 입력되면(S101의 예),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미도시)에 출력한다(S102).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웹 페이지 형태로 상기 업무의 지시와 상기 업무에 대한 처리 결과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현된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미도시)의 지정된 입력 방식(예 : 키보드, 마우스, 터치 등)으로 정보의 입력과 업무를 지시할 수 있다(예 : 메뉴 선택, 텍스트 입력 등).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업무 지시가 입력되는지 체크하고(S103), 사용자로부터 업무 지시가 입력되면(S103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스케줄 기반의 업무 및 현업 업무(즉, 당장 처리해야 되는 시급한 업무)를 구분하여, RPA 로봇부(130)에 분배한다(S104).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스케줄 기반의 업무 및 현업 업무의 발생량과 시급한 정도를 바탕으로 유휴 상태의 로봇 PC에 업무를 할당(또는 분배)하거나, 유휴 상태의 로봇 PC가 없을 경우에는 스케줄 조정을 통해 로봇 PC에 업무를 할당(또는 분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봇 PC에 업무를 할당(또는 분배)하여 업무를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RPA 로봇부(130)의 업무 수행 결과를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출력한다(S105).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스케줄 기반의 업무 및 현업 업무의 발생량과 시급한 정도를 바탕으로 유휴 상태의 로봇 PC에 업무를 할당(또는 분배)하거나, 유휴 상태의 로봇 PC가 없을 경우에는 스케줄 조정을 통해 로봇 PC에 업무를 할당(또는 분배)함으로써 로봇 자원 가동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9를 통해 상기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의 형태와 기능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9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부에 출력되는 사용자-RPA 인터페이스의 형태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RPA 인터페이스의 형태는 예시적으로 복수의 메뉴 카테고리(예 : 소통, 대시보드, 제안 및 과제개발, 모니터링, 시스템관리 등), 상기 복수의 메뉴 카테고리에 각기 포함되는 복수의 메인 메뉴(예 : 소통-커뮤니티/지식공유방, 대시보드-대시보드/과제현황, 제안안 및 과제개발-제안요청/개발요청/과제개발/운영등록, 모니터링-로봇관리/장애관리/Audit관리, 시스템관리-권한관리/시스템관리/과제지표관리 등), 및 상기 메인 메뉴에 각기 포함되는 복수의 하위 메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화면의 일측(예 : 화면 상부)에 복수의 메뉴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화면의 다른 일측(예 : 화면 중심부 및 하부)에 하위 메뉴에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분할 비율 및 분할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위 메뉴가 포함되는 상기 메인 메뉴, 및 상기 메인 메뉴가 포함되는 상기 메뉴 카테고리는 예시적으로 기재된 것이므로, 실시예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하위 메뉴, 메인 메뉴, 및 메뉴 카테고리의 명칭도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따라서 이하 도 3 내지 도 7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기능(즉, 하위 메뉴의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예시된 도면은 사용자-RPA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기능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것이며, 이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에 유의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RPA 운영과 관련된 공지사항을 등록하거나(도 4 참조), 이미 등록된 공지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도 3 참조).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RPA 우수활용사례를 조회하고(도 5 참조)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도 6 참조).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RPA FAQ(자주묻는질문)를 조회하고(도 7 참조)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도 8 참조).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RPA Q&A(질문답변)를 조회하고(도 9 참조)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도 10 참조).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RPA 로봇 사용 메뉴얼을 조회하고(도 11 참조)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도 12 참조).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RPA 로봇 사용에 관련된 지식을 조회하고(도 13 참조)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도 14 참조).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자동화 업무 수행 결과를 부서별 또는 업무별로 조회할 수 있는 기능(①), RPA 주요 KPI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②), 및 과제 제안/개발 및 수행 상태 등의 세부 KPI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③)을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는 매출이나 이익처럼 기업체의 과거 실적을 나타내는 지표가 아니라, 미래성과에 영향을 주는 여러 핵심지표를 묶은 평가기준으로'핵심성과지표'라고 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조회 기준년도별 자동화 업무 수행 결과를 부서별 또는 업무별로 조회할 수 있는 기능(①), 및 과제 제안/개발 현황 및 연간 로봇 가동시간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제안된 과제목록(즉, 제안과제현황)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RPA를 통해 자동화 구현된 과제 목록(즉, 개발과제현황)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실제 운영환경에서 사용중인 RPA 과제 목록(즉, 운영과제현황)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더 이상 운영하지 않는 RPA 과제 목록(즉, 폐기과제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Ui Task Capture 솔루션을 통해 업무 담당자가 직접 업무 분석서를 작성할 수 있는 기능(①), Task Capture의 업무녹화 기능을 통해 Action 단위의 업무 수행 절차를 녹화하는 기능(②), 업무녹화 후 자동으로 Process Map이 생성되는 기능(③), 및 업무분석서 '내보내기'를 통해 지정된 형태의 문서(예 : Word 문서)를 생성성하여 첨부할 수 있는 기능(④)을 포함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제안요청된 RPA 대상 과제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지정된 영역(①)에서 과제 제안에 대한 지정된 항목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②), 및 과제 담당자가 작성한 업무분석서 초안을 첨부할 수 있는 기능(③)을 포함한다.
이하 사용자-RPA 인터페이스의 메뉴 카테고리가 표시되는 영역(①)에 대한 내용은 중복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제안검토 대상 과제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제안된 과제가 RPA로 구현이 적합한 경우에 제안을 접수하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개발요청된 RPA 대상과제를 조회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RPA 과제개발요청에 대한 결재선을 지정하고 부서장 승인을 요청하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개발 요청하는 과제의 정량적 기대효과를 산정하기 위한 과제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부서장의 승인이나 평가가 완료된 RPA 개발 요청 과제의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개발요청과제의 정량적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과제개발 우선순위를 평가(CoE : Center of Excellence 평가)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CoE 관리자의 평가가 등록된 개발과제(또는 개발요청과제)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과제개발 착수 시 착수일을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RPA 구현 완료후 개발 과정에서 작성된 화면 정의서 및 기타 업무수행에 필요한 템플릿, 설정 정보 등을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RPA 과제 구현 완료 후 현업 인수테스트를 요청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개발 품질의 향상을 위하여 인수테스트 평가 지표별 준수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기능(①) 및 인수테스트에 사용된 테스트시나리오, 테스트결과서 등의 산출물 자료를 첨부할 수 있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3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과제 개발과정에서 발생된 질의사항을 등록 및 소통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개발 완료된 RPA 과제 목록을 조회하고, 세부 화면으로 이동하여 로봇자원과 연계 및 사용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대상과제의 운영등록 정보를 조회하거나 등록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관리로봇(또는 로봇 관리부)에 등록된 업무와 연계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관리로봇에는 실제 개발된 스크립트(즉, 개발소스)가 등록 관리되고 있으며, 이를 RPA 포털과 연계하여 자동화 업무의 모니터링 및 즉시실행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구현과제를 사용할 수 있는 대상 부서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참고로 사용범위로 설정된 부서의 사용자는 지정된 저장영역(예 : Bot Store)에서 해당 과제를 자신의 로봇(즉, My Bot)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즉시 실행을 통해 자동화 업무를 로봇에게 할당시킬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구현과제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4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운영과제 중 더 이상 RPA 운영이 불필요한 과제는 운영을 중단시킬 수 있는 기능(예 : 과제폐기)을 포함한다.
도 4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지정된 저장영역(예 : Bot Store)에서 선택한 과제를 자신의 로봇(즉, My Bot)으로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4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로봇 라이선스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①), 및 활성화된 로봇 목록 중 로봇의 상태, 수행 중인 과제 등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참고로 로봇 유형별 전체 라이선스 대비 활성화된 라이선스를 그래프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운영중인 과제별 수행 결과를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는 기능(①), 및 운영중인 과제별 수행결과를 목록 형태로 나타내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4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운영중인 과제별 수행상태를 목록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4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운영중인 과제를 클릭하여 세부 수행상태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4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운영중인 과젱에서 발생되는 모든 Log 값들을 목록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4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Log를 클릭하여 세부 수행상태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도 47 내지 도 48을 참조로 설명한 기능은 RPA 오류발생 시 Error Log를 점검하여 오류발생 원인을 추적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도 5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RPA 운영에 사용되는 서버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①), 및 서버의 CPU/RAM 자원 사용량을 조회하여 리소스 부족에 따른 RPA 장애 발생을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5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관리로봇(또는 로봇 관리부)에 등록된 과제 스케줄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며, 과제별 세부 스케줄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참고로 이 기능은 조회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실제 스케줄링은 관리로봇(또는 로봇 관리부)의 관리자 화면에서 설정할 수 있다.
도 5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RPA 수행 중 발생한 장애, RPA 수행결과 오류, 작업 템플릿 변경, 담당자 변경 등 RPA 수행간 발생할 수 있는 장애/불편 사항 등을 신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5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불편(또는 장애) 신고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5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불편(장애) 신고되어 조치되거나 처리된 내용을 기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5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또는 RPA 시스템의 활동 이력(예 : 접속, 조회, 등록, 삭제, 배치 작업 등)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5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메뉴 카테고리(또는 대메뉴)를 등록할 수 있는 기능(①), 및 상기 메뉴 카테고리(또는 대메뉴)의 하위 메뉴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5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사용자-RPA 인터페이스의 신규 역할을 등록할 수 있는 기능(①), 역할의 기본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②), 및 역할의 메뉴별 접근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③)을 포함한다.
도 5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사용자-RPA 인터페이스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참고로 세부 화면에서 사용자의 사용 권한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정보는 인사정보시스템 DB(미도시)와 MFT(Managed File Transfer, 보안이 강화된 파일전송 기술) 연계를 통해 적재할 수 있다.
도 5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별 시스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6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자동화 업무 수행을 위한 로봇 계정을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는 기능 및 로봇 계정을 신규 생성(등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참고로 로봇 계정은 부서별로 생성하며, 부서내의 모든 자동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 받아야 한다.
도 6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로봇 계정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①), 관리로봇(또는 로봇 관리자)에 정의된 스케줄 기반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 계정 여부를 체크하는 기능(②), 및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③)을 포함한다.
도 6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메인 화면에 소개되는 배터를 등록(추가)할 수 있는 기능(①), 및 현재 등록된 배너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6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배너 등록/수정 시 배터 정렬 순서, 노출 기간, 대표 이미지 등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6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관리를 위한 정보 설정 중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를 가져오기 위한 MFT 연계 규칙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6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변경된 사용자 정보를 가져오기 위한 MFT 연계 규칙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6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조직도 정보를 가져오기 위한 MFT 연계 규칙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6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조직도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 변경된 조직도 정보를 가져오기 위한 MFT 연계 규칙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6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신규 생성된 로봇 계정 정보를 내보내기 위한 MFT 연계 규칙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6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로드 할 업로드 파일 유형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7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사내 개인우편 발송 정보를 내보내기 위한 MFT 연계 규칙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7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Elastic search 연계를 위한 서버 호스트 목록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②)을 포함한다.
도 7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사용자-RPA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하는 분류(공통코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7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자동화 업무 수행에 필요한 템플릿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참고로 로봇은 스크립트 동작 시 '파일 ID'를 참조하여 해당 템플릿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업무를 수행한다.
도 7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사용자-RPA 인터페이스에서 업무 프로세스 간 자동 발송되는 이메일 규칙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7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사용자-RPA 인터페이스에서 집게된 통계자료를 엑셀 형태로 내려받을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7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자동화 업무 수행 중 대량 이메일 발송이 필요한 경우, 대량 이메일 수신자, 내용 등이 정리된 MFT 전송파일을 첨부하여 대량 메일을 발송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7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자동화 업무 수행 결과를 SMS(Short Message Service)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 수신자 정보를 입력 후 SMS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7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개발과제 요청 시 과제의 정량적, 정성적 평가 지표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7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는 인수테스트 시 개발완료 된 과제의 품질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 항목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
120 : 제어부 130 : RPA 로봇부

Claims (10)

  1. 사용자가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로봇부에 업무나 과제를 지시하고, 상기 RPA 로봇부로부터 상기 지시한 업무나 과제에 대한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지시되는 업무를 상기 RPA 로봇부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특정 RPA 로봇에 업무를 할당하거나 분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들에게 개발을 제안하는 요청 과제 목록을 공유하고, 이미 개발 완료된 과제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며, 또한 상기 공유된 요청 과제 및 이미 개발 완료되어 공유된 과제가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현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공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발 완료된 과제는 상기 사용자-RPA 인터페이스부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게 하며,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되어 공유된 과제를 사용자가 자신의 로봇으로 등록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필요 시 즉시 실행을 통해 자동화 업무를 로봇에게 할당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PA 로봇부는,
    중앙집중형 로봇 PC로서, RPA가 각기 탑재된 복수의 컴퓨터를 의미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RPA 로봇부의 각 컴퓨터는 독립적인 업무나 협업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웹 페이지 형태로 표시되며,
    상기 업무의 지시와 업무에 대한 처리 결과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로봇 관리부로서, 상기 RPA 로봇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RPA 로봇 중 유휴 상태의 RPA 로봇에 업무를 할당하거나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케줄 기반의 업무와 당장 처리해야 되는 시급한 업무인 현업 업무의 처리를 병행하며, 상기 스케줄 기반의 업무나 현업 업무의 특성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RPA 로봇을 할당하거나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RPA 로봇 자원이 부족할 경우 능동적으로 스케줄 기반의 업무와 현업 업무 처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케줄 기반의 업무와 현업 업무의 발생량을 모두 고려하여 업무 발생량이 지정된 기준을 넘지 않을 경우에는 모든 RPA 로봇 자원을 가동하지 않고 지정된 비율의 RPA 로봇을 유휴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RPA 로봇을 유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비율은,
    기간이나 시간별 업무 발생량 통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RPA 로봇 실행명령이 입력되는지 체크하고,
    상기 RPA 로봇 실행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업무 지시가 입력되면, 스케줄 기반의 업무 및 현업 업무를 구분하여, RPA 로봇부에 분배하고,
    상기 분배한 업무가 수행되면, 상기 RPA 로봇부의 업무 수행 결과를 사용자-RPA 로봇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케줄 기반의 업무 및 현업 업무의 발생량과 업무의 시급한 정도를 바탕으로 유휴 상태의 로봇 PC에 업무를 할당하거나,
    유휴 상태의 로봇 PC가 없을 경우에는 스케줄 조정을 통해 로봇 PC에 업무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200051540A 2020-04-28 2020-04-28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2190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540A KR102190459B1 (ko) 2020-04-28 2020-04-28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540A KR102190459B1 (ko) 2020-04-28 2020-04-28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459B1 true KR102190459B1 (ko) 2020-12-11

Family

ID=7378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540A KR102190459B1 (ko) 2020-04-28 2020-04-28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45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7151A (zh) * 2020-12-16 2021-04-20 用友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机器人运行控制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KR102261793B1 (ko) * 2020-12-11 2021-06-09 주식회사 이노룰스 Rpa 로봇 에이전트 클러스터링 시스템
CN113119127A (zh) * 2021-04-20 2021-07-16 大连宏燊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rpa机器人的任务调度方法和系统
CN113467773A (zh) * 2021-07-20 2021-10-01 达而观数据(成都)有限公司 一种实现机器人流程自动化的流程代码复用的方法
KR102391674B1 (ko) 2022-02-22 2022-04-28 와이드유즈 주식회사 물류 전용 rpa 시스템
KR20220087727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이콜트리 프로세스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4226A (ko) 2021-02-08 2022-08-17 한화생명보험 (주) 업무 자동화 디지털 지수에 기반한 인적 자원 전략 시스템
CN115061809A (zh) * 2022-08-08 2022-09-16 杭州实在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安卓的rpa多任务调度方法及系统
KR20230100260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제인소프트 업무 처리 자동화 시스템의 업무 처리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16432169A (zh) * 2023-06-13 2023-07-14 达而观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基于共享策略的自动化任务权限控制方法、系统及设备
KR20230115607A (ko) 2022-01-27 2023-08-03 주식회사 비에이템 다양한 rpa 통합 관리를 위한 rpa 멀티솔루션 통합 관제 시스템
CN116610082A (zh) * 2023-07-18 2023-08-18 安徽思高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深度强化学习的rpa作业工作流冗余调度方法及系统
KR20230166610A (ko) 2022-05-31 2023-12-07 (주)디엘정보기술 Rpa 컴퓨팅 디바이스의 전산업무 자동화 서비스 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62556A1 (en) * 2012-03-28 2013-10-03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Computer Cluster Operation Using Resource Allocation Requests
KR20160128947A (ko) * 2016-10-24 2016-11-08 (주)씽크포비엘 컴퓨터 기반의 작업 현황 및 성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65914B1 (ko) * 2012-08-31 2019-04-04 더 보잉 컴파니 제조 공정에서 과업 할당의 동적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62556A1 (en) * 2012-03-28 2013-10-03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Computer Cluster Operation Using Resource Allocation Requests
KR101965914B1 (ko) * 2012-08-31 2019-04-04 더 보잉 컴파니 제조 공정에서 과업 할당의 동적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8947A (ko) * 2016-10-24 2016-11-08 (주)씽크포비엘 컴퓨터 기반의 작업 현황 및 성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투비웨어, ‘대한민국 업무자동화 솔루션 CheckMATE for RPA & RDA’, 2019.01. (출처: http://www.tobeware.com/board/download/rpa_info.pdf)* *
현영근 외 1명. ‘융복합 시대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자동화,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동향분석 및 미래방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2018, pp.313-327. *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793B1 (ko) * 2020-12-11 2021-06-09 주식회사 이노룰스 Rpa 로봇 에이전트 클러스터링 시스템
CN112677151A (zh) * 2020-12-16 2021-04-20 用友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机器人运行控制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KR20220087727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이콜트리 프로세스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560244B1 (ko) * 2020-12-18 2023-07-27 주식회사 이콜트리 프로세스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4226A (ko) 2021-02-08 2022-08-17 한화생명보험 (주) 업무 자동화 디지털 지수에 기반한 인적 자원 전략 시스템
CN113119127A (zh) * 2021-04-20 2021-07-16 大连宏燊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rpa机器人的任务调度方法和系统
CN113467773A (zh) * 2021-07-20 2021-10-01 达而观数据(成都)有限公司 一种实现机器人流程自动化的流程代码复用的方法
KR20230100260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제인소프트 업무 처리 자동화 시스템의 업무 처리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30115607A (ko) 2022-01-27 2023-08-03 주식회사 비에이템 다양한 rpa 통합 관리를 위한 rpa 멀티솔루션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391674B1 (ko) 2022-02-22 2022-04-28 와이드유즈 주식회사 물류 전용 rpa 시스템
KR20230166610A (ko) 2022-05-31 2023-12-07 (주)디엘정보기술 Rpa 컴퓨팅 디바이스의 전산업무 자동화 서비스 제공방법
CN115061809B (zh) * 2022-08-08 2022-11-11 杭州实在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安卓的rpa多任务调度方法及系统
CN115061809A (zh) * 2022-08-08 2022-09-16 杭州实在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安卓的rpa多任务调度方法及系统
CN116432169A (zh) * 2023-06-13 2023-07-14 达而观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基于共享策略的自动化任务权限控制方法、系统及设备
CN116432169B (zh) * 2023-06-13 2023-09-26 达而观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基于共享策略的自动化任务权限控制方法、系统及设备
CN116610082A (zh) * 2023-07-18 2023-08-18 安徽思高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深度强化学习的rpa作业工作流冗余调度方法及系统
CN116610082B (zh) * 2023-07-18 2023-10-31 安徽思高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深度强化学习的rpa作业工作流冗余调度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459B1 (ko) Rpa의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US20090125359A1 (en) Integrating a methodology management system with project tasks in a project management system
JP4819837B2 (ja) 優先順位付けされた、ネットワークプリンタの点検または保守の、改良された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8316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building department services
CN101079899A (zh) 配合过程控制系统使用的万维网业务确认
US114881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ssage templates in an enterprise system
KR102247941B1 (ko)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CN104035939A (zh) 特有独立规则引擎的灵活监测框架
CN110490559A (zh) 一种移动执法检查方法、装置、系统及服务器
US9082085B2 (en) Computing environment climate dependent policy management
JP2011118896A (ja) 統合出来高管理ワークフロー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統合出来高管理ワークフロー)
US20080040457A1 (en) Heterogeneous, role based enterprise priority manager
US7783752B2 (en) Automated role based usage determination for software system
CN112511520A (zh) 一种电力行业网络安全管理系统及方法
KR102394101B1 (ko) 업무객체 기반의 업무평가조회 장치 및 방법
JP6559214B2 (ja) 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プログラム
US9367358B2 (en) Virtualizing a set of managers to form a composite manager in an autonomic system
KR102668338B1 (ko)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인터페이스 거버넌스 시스템, 및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Weidmann et al. Conception and Installation of System Monitoring Using the SAP Solution Manager
JP7486812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61165A (ko) 선박 해양 프로젝트에서의 워크플로우를 이용한 협업 방법 및 시스템
US200801545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scale time management for simulation environments
US202401441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ntralized operations management
Zammit et al. A knowledge sharing framework for improving the testing processes in global product development
Elhasnaoui et al. Multi-Agent Architecture of Intelligent and Distributed Platform of Governance, Risk and Compliance of Inform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