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983B1 -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983B1
KR102189983B1 KR1020190072734A KR20190072734A KR102189983B1 KR 102189983 B1 KR102189983 B1 KR 102189983B1 KR 1020190072734 A KR1020190072734 A KR 1020190072734A KR 20190072734 A KR20190072734 A KR 20190072734A KR 102189983 B1 KR102189983 B1 KR 102189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workpiece
body part
variab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이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준 filed Critical 이영준
Priority to KR102019007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materials in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4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 B65G11/146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품 이송 적재 장치로서, 일방으로 가공품(BM1)이 유입되고 타방으로 유입된 가공품(BM1)이 배출되는 바디부(210); 상기 바디부(210) 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공품(BM1)이 적재되고 상기 바디부(210) 타방으로 이동되어 적재된 상기 가공품(BM1)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 적재부(220); 및 상기 이동 적재부(22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가공품(BM1)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수단(230)을 포함하는 가공품 이송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예 : 리벳 등)의 효율적이고 연속적인 이송 및 적재를 통해 생산성과 작업성을 모두 높일 수 잇는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CONVEYING AND ST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예 : 리벳 등)의 효율적이고 연속적인 이송 및 적재를 통해 생산성과 작업성을 모두 높일 수 잇는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상 가공물의 제조를 위해 일련의 제조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제조된 가공물의 납품등 후속적인 취급을 위하여 이송과 적재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가공물의 제조의 전반적인 생산성과 작업성을 최종적으로 더 높일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공물의 이송 및 적재를 위한 효율적인 수단이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산성 향상에 대응하는 가공물 납품 등의 효율적인 진행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60352호
본 발명은,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예 : 리벳 등)의 효율적이고 연속적인 이송 및 적재를 통해 생산성과 작업성을 모두 높일 수 있는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로서, 일방으로 가공물(BM1)이 유입되고 타방으로 유입된 가공물(BM1)이 배출되는 바디부(210); 상기 바디부(210) 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공물(BM1)이 적재되고 상기 바디부(210) 타방으로 이동되어 적재된 상기 가공물(BM1)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 적재부(220); 및 상기 이동 적재부(22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가공물(BM1)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수단(230)을 포함하는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예 : 리벳 등)의 효율적이고 연속적인 이송 및 적재를 통해 생산성과 작업성을 모두 높일 수 잇는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28은 도 1에 따른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의 각 구성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9 내지 도 34는 도 1에 따른 가공물 이송적재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예 : 리벳 등) 이송 적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28은 도 1에 따른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의 각 구성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28를 참조하면, 바디부(210), 이동 적재부(220), 적재수단(23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210)는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는 일방으로 가공물(BM1)이 유입되고 타방으로 유입된 가공물(BM1)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 적재부(220)는 상기 바디부(210) 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공물(BM1)이 적재되고 상기 바디부(210) 타방으로 이동되어 적재된 상기 가공물(BM1)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적재수단(230)은 상기 이동 적재부(22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가공물(BM1)을 적재한다.
상기 바디부(210)는, 일방과 타방간에 내부 연통로가 형성되는 통형상체로서 상기 이동 적재부(220)의 일단과 타단 간의 이동을 위한 제1 바디부(211)와, 상기 제1 바디부(211)를 경유한 상기 이동 적재부(220)의 상방과 하방 간의 이동을 위한 제2 바디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적재부(220)는 상기 제1 바디부(211) 및 상기 제2 바디부(212)를 상호 간을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바디부(212)는, 상방으로 이동된 상기 이송 적재 장치를 통해 적재된 상기 가공물(BM1)을 투입받는 전면 투입부(2121)와, 상기 전면 투입부(2121)를 통해 투입된 상기 가공물(BM1)을 배출하는 후면 배출부(21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바디부(212)는 배출되는 상기 가공물(BM1)을 하방의 상기 적재수단(230)으로 가이드하여 이동시키되, 상기 배출부(2122)와 상기 적재수단(230) 사이의 높이 차를 보강하도록 길이 가변되는 가변형 적재부(235)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형 적재부(235)는 상호간에 점진적인 크기를 가짐으로써 상호간에 수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상호간의 수용에 기반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가변형 구조물들(2351a~22351f)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2122)는 개방과 차단이 가능한 제1 개폐수단(2122a)이 구비되어 투입되는 상기 가공물(BM1)을 적재하거나 상기 가변형 적재부(235)로 배출시키되, 상기 제1 개폐수단(2122a)의 차단에 따라 상기 가공물(BM1)이 적재되는 경우 적재된 상기 제1 개폐수단(2122a)의 적재상태를 감지하는 적재상태 감지부(2122c)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배출부(2122)는 적재된 상기 가공물(BM1)을 식별하도록 내부와 외부간의 제2 개폐수단(2122b)이 구비된다. 상기 가변형 구조물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가변형 적재부(235)의 상하 가변 동작을 위하여 파지부가 구비된다.
상기 가변형 적재부(235)의 하부에는 상기 가변형 적재부(235)에 대응하여 기저부에 해당되는 바닥부와의 높이를 보강하기 위한 다단으로 상호 적층식으로 거치 가능한 적재수단(230)이 구비된다.
이러한 적재수단(230)은 상기 가변형 적재부(235)와 상호 대응하여 높이 다층으로 구비되거나, 단층으로 단일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변형 적재부(235)의 상기 가변형 구조물(2351a~22351f)의 최하단에 대항되는 가변형 구조물은 그 단면적이 상기 적재수단(230)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상기 적재수단(23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정도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적재수단(230)의 하부에는 유동형 거치수단(240)이 구비된다. 상기 유동형 거치수단(240)은 거치된 상기 적재수단을 들지 않고 그대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를 이용한 가공물 이송 적재 방법으로는 제1 단계는 바디부를 통해 일방으로 가공물(BM1)이 유입되고 타방으로 유입된 가공물(BM1)이 배출되도록 한다.
제2 단계는 이동 적재부(220)가 상기 바디부(210) 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공물(BM1)이 적재되고 상기 바디부(210) 타방으로 이동되어 적재된 상기 가공물(BM1)이 배출되도록 한다. 제3 단계는 적재수단(230)에서 상기 이동 적재부(22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가공물(BM1)을 적재한다.
도 29는 이동 적재부(2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이동 적재부(220)를 거치시키는 탄발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탄발 지지부(300)는, 몸체부(310), 제1 스탠드(320) 및 제2 스탠드(330)를 포함한다. 몸체부(3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스탠드(320a, 520b, 520c, 530a, 530b, 530c)가 연결 설치된다. 제1 스탠드(320)는, 다른 제1 스탠드(32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310)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3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의 대상물을 지지한다. 제2 스탠드(330)는, 다른 제2 스탠드(33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310)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3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몸체부(310)를 지지한다. 도 29의 제2 스탠드(330)는, 막대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스탠드(3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30 및 도 31은 도 29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몸체부(310)는, 바디(311), 상부 설치홈(312), 하부 설치홈(313), 탄성 지지체(314) 및 충격흡수 패드(315)를 포함한다. 바디(311)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 설치홈(312) 및 하부 설치홈(313)에 제1 스탠드(320) 및 제2 스탠드(3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부 설치홈(312)은, 제1 스탠드(32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스탠드(32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311)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바디(3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하부 설치홈(313)은,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스탠드(3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311)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러 하측으로 갈수록 바디(3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탄성 지지체(314)는, 상부 설치홈(312)에 설치된 제1 스탠드(320) 또는 하부 설치홈(313)에 설치된 제2 스탠드(330)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제1 스탠드(320)의 일측면과 상부 설치홈(312)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제2 스탠드(330)의 일측면과 하부 설치홈(313)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스탠드(320) 및 제2 스탠드(330)를 지지한다.
충격흡수 패드(315)는, 제1 스탠드(320) 또는 제2 스탠드(330)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설치홈(312)의 입구 및 하부 설치홈(313)의 입구를 따라 설치된다. 도 32는 도 29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제1 스탠드(320)는, 지지바아(321), 받침대(322) 및 슬라이딩 패드(323)를 포함한다. 지지바아(321)는, 상부 설치홈(312)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탄성 지지체(314)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에 받침대(32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기 위한 연결홈(3211)을 형성한다. 받침대(322)는,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지지바아(32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홈(3211)에 볼트(B) 및 너트(N)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패드(323)는,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142)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142)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받침대(322)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322)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3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패드(323)는, 슬라이딩홈(3221)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동기(32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320)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토류벽이 하강함에 따라 결속홈(142)을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딩 패드(323)는 해당 위치를 유지하는 반면,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해 받침대(322)가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지지바아(321)에 연결 설치된 하부가 회동하면서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320)는, 제2 스탠드(330)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2 스탠드(330)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BM1 : 가공물
210 : 바디부
220 : 이동 적재부
230 : 적재수단
2122 : 후면 배출부
2122a : 제1 개폐수단
2122b : 제2 개폐수단
2122c : 적재상태 감지부

Claims (5)

  1. 리벳을 비롯한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에 대해 연속적인 이송 및 적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에 있어서,
    일방으로 가공물(BM1)이 유입되고 타방으로 유입된 가공물(BM1)이 배출되는 바디부(210); 상기 바디부(210) 일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공물(BM1)이 적재되고 상기 바디부(210) 타방으로 이동되어 적재된 상기 가공물(BM1)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 적재부(220); 및 상기 이동 적재부(22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가공물(BM1)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수단(230);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210)는 일방과 타방간에 내부 연통로가 형성되는 통형상체로서 상기 이동 적재부(220)의 일단과 타단 간의 이동을 위한 제1 바디부(211)와, 상기 제1 바디부(211)를 경유한 상기 이동 적재부(220)의 상방과 하방 간의 이동을 위한 제2 바디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적재부(220)는 상기 제1 바디부(211) 및 상기 제2 바디부(212)를 상호 간을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바디부(212)는 상방으로 이동된 상기 이송 적재 장치를 통해 적재된 상기 가공물(BM1)을 투입받는 전면 투입부(2121)와, 상기 전면 투입부(2121)를 통해 투입된 상기 가공물(BM1)을 배출하는 후면 배출부(21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부(212)는 배출되는 상기 가공물(BM1)을 하방의 상기 적재수단(230)으로 가이드하여 이동시키되, 상기 배출부(2122)와 상기 적재수단(230) 사이의 높이 차를 보강하도록 길이 가변되는 가변형 적재부(235)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배출부(2122)는 개방과 차단이 가능한 제1 개폐수단(2122a)이 구비되어 투입되는 상기 가공물(BM1)을 적재하거나 상기 가변형 적재부(235)로 배출시키되, 상기 제1 개폐수단(2122a)의 차단에 따라 상기 가공물(BM1)이 적재되는 경우 적재된 상기 제1 개폐수단(2122a)의 적재상태를 감지하는 적재상태 감지부(2122c)가 구비되며,
    상기 적재수단(230)은 다층 또는 단층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변형 적재부(235)의 가변형 구조물(2351a~22351f)의 최하단에 대항되는 가변형 구조물은 그 단면적이 상기 적재수단(230)을 초과하지 않고 내부로 삽입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적재수단(230)의 하부에는 유동형 거치수단(240)이 구비되어 상기 적재수단(230)을 들지 않고 그대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72734A 2019-06-19 2019-06-19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 KR102189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34A KR102189983B1 (ko) 2019-06-19 2019-06-19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34A KR102189983B1 (ko) 2019-06-19 2019-06-19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983B1 true KR102189983B1 (ko) 2020-12-11

Family

ID=73786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734A KR102189983B1 (ko) 2019-06-19 2019-06-19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9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352B1 (ko) 1995-12-11 1998-12-01 양승택 교환시스템에서의 번호변환 서비스 정보 출력 방법
JP2002372218A (ja) * 2001-06-18 2002-12-26 Nkk Corp 廃棄物の投入装置
KR200435817Y1 (ko) * 2006-12-29 2007-02-22 주식회사진우산업 건설폐기물 처리시 비산먼지 발생억제시설
KR20150059869A (ko) * 2013-11-25 2015-06-03 최진하 적재장치
KR101637134B1 (ko) * 2015-12-01 2016-07-06 서경산업주식회사 소금 채취 및 적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352B1 (ko) 1995-12-11 1998-12-01 양승택 교환시스템에서의 번호변환 서비스 정보 출력 방법
JP2002372218A (ja) * 2001-06-18 2002-12-26 Nkk Corp 廃棄物の投入装置
KR200435817Y1 (ko) * 2006-12-29 2007-02-22 주식회사진우산업 건설폐기물 처리시 비산먼지 발생억제시설
KR20150059869A (ko) * 2013-11-25 2015-06-03 최진하 적재장치
KR101637134B1 (ko) * 2015-12-01 2016-07-06 서경산업주식회사 소금 채취 및 적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2081B1 (en) Conveyor
KR101987163B1 (ko) 승강 반송 장치
KR101437642B1 (ko) 트레이 피더
JPWO2020031562A1 (ja) 自動倉庫、及び、搬送装置
KR20180028907A (ko) 물품 반송 설비
KR102189983B1 (ko) 가공물 이송 적재 장치
KR20170035424A (ko) 이송대차
JP5170552B2 (ja) 物品保管設備
CN108190407B (zh) 自动化三级托辊输送机
KR101564937B1 (ko)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
US3941255A (en) Article turning device
JP6677153B2 (ja) 搬送台車
CN108455144A (zh) 靠边输送装置及其控制方法
JP6331872B2 (ja) シュート装置及びばら物充填装置
JP2008143610A (ja) 仕分保管装置
US5927935A (en) Part transfer apparatus
EP2952457A1 (en) Extendable conveyor comprising a work platform equipped with an inclination system
FI129697B (en) Arrangement and procedure for handling tires and high storage
JP6167923B2 (ja) 物品搬送設備
CN213600813U (zh) 一种防静电包装管生产用防静电检测系统
JP7143168B2 (ja) コンベヤ及び移載システム
KR102072848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JP5258122B2 (ja) 荷運搬具供給排出装置
AU2017100395A4 (en) Conveyor belt lifting apparatus
KR20030049091A (ko) 후판제품 다단 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