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690B1 - 제3자의 테스트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및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 - Google Patents

제3자의 테스트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및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690B1
KR102189690B1 KR1020200061217A KR20200061217A KR102189690B1 KR 102189690 B1 KR102189690 B1 KR 102189690B1 KR 1020200061217 A KR1020200061217 A KR 1020200061217A KR 20200061217 A KR20200061217 A KR 20200061217A KR 102189690 B1 KR102189690 B1 KR 102189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arty
simulator
controller
sepa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응
Original Assignee
이인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응 filed Critical 이인응
Priority to KR102020006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56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injecting test signals and analyzing monitored process response, e.g. injecting the test signal while interrupt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monitored system; superimposing the test signal onto a control signal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monitored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05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using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hardware being t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57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using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9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by remote te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에 포함된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되는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은,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모델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입력받는 단계와, 테스트 주관자로부터 테스트 대상 제어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조건 및 방법 중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테스트 시나리오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인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동작 상태 및 입출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 단계와,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수신하여 별도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간으로 제3자의 의견을 확인하고 그 의견의 타당성을 확인한 후 소프트웨어 제어에 제3자의 의견을 추가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3자의 테스트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및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Simulator of Controller Test System Allowing Third party’s Participating in Testing And Third party’s Participating in Testing}
본 발명은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에서의 테스트 기술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기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에서의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선박, 발전소, 공장을 구성하는 설비의 복잡성과 정교함이 심화되면서, 선박, 발전소, 공장을 구성하는 설비들을 제어하는 제어기의 중요도가 커지고 있어, 설비와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산업 현장에 설치되어 운용되기 전에 사전에 제어기의 성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선박, 발전소, 공장을 구성하는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기에 대한 테스트에는 설비 제조자, 테스트 주관자(테스트 소프트웨어 운용자),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참여를 하게 된다.
테스트를 진행하는 주관자는 테스트 검증자에게 테스트 진행 스케쥴, 상황 및 결과를 사전에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테스트 주관자는 테스트 조건에 대한 정보(예: 테스트 조건, 테스트 배경, 테스트의 예상 결과 및 체크 리스트등)를 테스트 검증자(제3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출력부를 테스트 시스템에 제공하고 있다.
기존의 정보 조회부는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테스트의 진행상황 및 결과 확인까지는 가능했다. 하지만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물리적인 참여는 없었기 때문에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원하는 테스트는 테스트가 모두 끝나고 보고서가 제출된 이후에야 가능했다.
또한,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추가적인 테스트 요청은 테스트가 모두 끝난 후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보고서를 받은 후 요청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존의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에 입력되는 테스트 시나리오는 테스트 주관자만의 참여만으로는 다양한 환경 및 조건 또는 설비 내 타 제어기의 동작을 고려한 테스트 조건 및 방법에 대한 고려가 부족할 수 있어 유효한 성과를 얻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1691907(선박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 삼성중공업) 대한민국 등록 특허 1631081(동적위치유지시스템의 신뢰성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파나시아) 미국 등록 특허 7496434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control system of a marine vessel, Marine Cybernetics)
따라서, 제어기 테스트 시험에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참여하여 테스트 주관자가 스킵(skip)한 테스트 항목, 제3자가 인지한 중요도가 높은 테스트 항목에 대한 추가적인 의견, 타 제어기와의 영향성을 고려한 테스트 방법 및 조건등을 실시간으로 테스트 주관자게 요청하여 테스트하게 할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스트 주관자가 테스트 소프트웨어 제어 시 실시간으로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의견을 확인하고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의견의 타당성을 확인한 후 소프트웨어 제어에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의견을 추가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제3자의 테스트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및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에 포함된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되는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은,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모델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입력받는 단계와, 테스트 주관자로부터 테스트 대상 제어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조건 및 방법 중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테스트 시나리오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인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동작 상태 및 입출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 단계와,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수신하여 별도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시뮬레이터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3자에 의해 조작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화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시뮬레이터와 연결된 상기 제3자에 의해 조작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화면부에서 작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주관자로부터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의 입력이 완료되면 동시에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상기 시뮬레이터와 연결된 상기 제3자에 의해 조작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화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주관자가 상기 테스트 대상 제어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조건 및 방법중 적어도 하나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기반으로 상기 테스트 주관자로부터 테스트 번호, 테스트 이름, 테스트 조건, 테스트 방법 및 예상되는 테스트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시뮬레이터에서 전송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기반으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는 테스트 중요도, 테스트 순번, 테스트 이름, 테스트 조건, 테스트 방법 및 예상되는 테스트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수신하여 별도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주관자로부터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와는 별개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3자의 테스트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는,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모델을 입력받는 시스템 모델 구성부와,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입력받는 사양 입력부와, 테스트 주관자로부터 테스트 대상 제어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조건 및 방법 중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테스트 시나리오를 입력받는 테스트 시나리오 입력부와,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인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동작 상태 및 입출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부와,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수신하여 별도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시나리오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시뮬레이터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3자가 조작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화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자가 작성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시뮬레이터와 연결된 상기 제3자가 조작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화면부에서 작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입력하는 사양 입력부는 상기 테스트 주관자의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의 입력이 완료되면 동시에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은 상기 시뮬레이터와 연결된 상기 제3자가 조작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화면부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주관자가 상기 테스트 대상 제어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조건 및 방법을 입력하는 테스트 시나리오 입력부는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기반으로 상기 테스트 주관자가 테스트 번호, 테스트 이름, 테스트 조건, 테스트 방법 및 예상되는 테스트 결과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자가 작성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시뮬레이터에서 전송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기반으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제3자가 작성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는 테스트 중요도, 테스트 순번, 테스트 이름, 테스트 조건, 테스트 방법 및 예상되는 테스트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자가 작성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시뮬레이터가 수신하여 상기 테스트 주관자에게 별도의 시뮬레이션을 요청하는 시나리오 수신부는 상기 테스트 주관자가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는 별개의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며 상기 별개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제3자의 테스트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및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에 따르면, 제어기 테스트에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물리적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제어기 테스트에 실시간 참여하면서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직접 원하는 테스트 시나리오를 실시간으로 수립 및 실행 가능하며,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빠른 피드백과 요청 사항을 즉시 해결함으로써 테스트 소프트웨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예상치 못한 테스트 시나리오를 대입함으로써 숨겨져 있던 추가적인 에러 및 결함들을 필드 설치 이전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조작하는 소프트웨어 원격화면은 테스트 주관자가 조작하는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터내의 시나리오 수신부와 실시간으로 통신을 하기 때문에 성능 오류율이 최소화된 테스트 결과 확인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기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의 예시로서 테스트 방법 및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정보 조회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기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으로서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테스트 참여가 가능한 시뮬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추출하여 시뮬레이터에 전송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터 내부 및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소프트웨어 원격화면 내부의 동작 흐름과 시뮬레이터와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소프트웨어 원격화면간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검증자(제3자)에 의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하기 위한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소프트웨어 원격화면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검증자(제3자) 소프트웨어 원격화면에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추출한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시나리오 익스트랙터의 구성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기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의 예시로서 테스트 방법 및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정보 조회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테스트 시스템은 제어기(110), 시뮬레이터(120) 및 정보 조회부(140)를 포함한다.
선박, 발전소, 공장을 구성하는 설비(100)를 제어하는 제어기(110)를 테스트하기 위한 시뮬레이터(120)가 제어기(11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시뮬레이터(120)를 실제적으로 조작하는 테스트 주관자(130) 및 시뮬레이터(12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테스트 검증자(제3자)(150)가 조작하는 정보 조회부(140)가 동일한 시뮬레이터(120)에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통신한다.
실제 설비 운용 시 설비(100)는 제어기(110)에 설비 시스템에서 수집되는 센서 데이터를 제어기(110)에 전송하고 제어기(110)는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원하는 기능 및 필요한 출력이 유지되도록 명령 신호를 설비(100)에 전송하여 설비(1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기(110)가 운용 초기에 설비(100)에 명령 신호를 먼저 전송한 후 설비(100)에서 전송되는 센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를 분석하여 필요한 기능 및 필요한 출력이 유지되도록 명령 신호를 설비(100)에 재전송하는 방법으로 제어기(110)는 설비(100)를 제어할 수 있다.
설비(100)는 예를 들어 전력 시스템, 배전 시스템, 발전 시스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빌딩 시스템등이 될 수 있으며, 제어기(110)는 예를 들어 전력관리 시스템, 배전관리 시스템, 에너지저장 관리 시스템, 발전관리 시스템, 빌딩관리 시스템등이 될 수 있다.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은 예를 들어 선박 전력 시스템의 제어기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센서 데이터는 발전기, 선로, 변압기, 모선의 유효출력, 무효출력, 주파수, 전압등이 될 수 있다.
명령 신호는 발전기 출력 제어, 쓰러스터 출력 한계 제어, 각종 차단기 On/Off등이 될 수 있다.
시뮬레이터(120)는 동적해석엔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적해석엔진은 계통에 외란(발전기 제어, 전력소비의 변화, 차단기 상태 변화 등)이 있을 경우 계통의 전압, 전력, 유효전력의 변화를 시간에 흐름에 따라 계산한다.
제어기 테스트 시에는 설비(100)와 제어기(110)의 물리적 연결이 해제되고 제어기(110)에 시뮬레이터(120)가 연결된다.
시뮬레이터(120)는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모델을 입력하는 시스템 모델 구성부(121),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입력하는 사양 입력부(123), 테스트 주관자(130)가 테스트 대상 제어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조건 및 방법을 입력하는 테스트 시나리오 입력부(123) 및 테스트 시나리오의 응답으로 시뮬레이터(120)가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인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동작 상태 및 입출력 신호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결과부(127)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뮬레이터(120)에서 제어기(110)에 전송하는 가상 데이터는 테스트 시나리오 입력부(125)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이면서 실제 필드에서 설비(100)가 제어기(110)에 전송하는 센서 데이터에 대응된다.
테스트 주관자(130)는 시뮬레이터(120)의 시스템 모델 구성부(121), 사양 입력부(123), 테스트 시나리오 입력부(125)를 통하여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며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부(127)를 통하여 실제 테스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테스트 검증자(제3자)(150)는 시뮬레이터(120)와 연결된 별도의 정보 조회부(140)를 통하여 시뮬레이션 정보 및 시뮬레이션 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입출력 전기적 상태 변화를 포함한다. 시뮬레이션 정보에는 테스트 정보를 포함하며, 테스트 정보에는 테스트 주관자(130)가 진행하고 있는 테스트 시나리오의 항목, 방법, 조건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기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으로서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테스트 참여가 가능한 시뮬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테스트 시스템은 제어기(210), 시뮬레이터(220, 소프트웨어 원격화면(240)으로 구성된다.
소프트웨어 원격화면(240)은 시뮬레이터(220)와 연결된 별도의 소프트웨어 화면이 될 수 있다.
테스트 주관자(230)는 시뮬레이터(220)를 조작하여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시뮬레이션 과정을 관리하며, 테스트 검증자(제3자)(250)는 소프트웨어 원격화면(240)을 조작하여 시뮬레이션 결과 정보 조회뿐만 아니라 테스트에 대한 의견과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테스트 주관자(230)에게 요청하여 별도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220) 구성 중 사양 입력부(223)와 시나리오 수신부(229)는 소프트웨어 원격화면(240)과 실시간 통신을 하며 정보를 공유한다.
사양 입력부(223)는 테스트 주관자(230)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의 입력이 완료되면 동시에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시뮬레이터(220)와 연결된 테스트 검증자(제3자)(250)가 조작하는 상기 별도의 소프트웨어 원격 화면으로 전송하고, 테스트 검증자(제3자)(250)는 소프트웨어 원격화면(240)상에서 시뮬레이터(220)가 전송한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들을 기반으로 시뮬레이터(220)가 제공하는 전용 툴을 이용하여 테스트 시나리오를 추출 및 파일 작성한 후 작성된 테스트 시나리오를 시뮬레이터(220)에 전송한다.
시뮬레이터(220)의 시나리오 수신부(229)는 테스트 검증자(제3자)(250)가 작성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수신하여 테스트 주관자(230)에게 표시한다. 시나리오 입력부(225)는 테스트 주관자(230)가 조작하는 시나리오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부이며, 시나리오 수신부(229)는 시나리오 입력부(225)와는 별개에 위치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부로서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작성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만을 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추출하여 시뮬레이터에 전송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테스트 시나리오 익스트랙터부에서 테스트 리스트 및 테스트 예상 결과를 추출하는 방법과 추출된 테스트 시나리오를 시뮬레이터에게 전송하는 과정은, 먼저 시뮬레이터의 사양 입력부에서 테스트 주관자로부터 입력된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테스트 검증자(제3자) 소프트웨어 원격화면으로 전송한다(단계 310).
테스트 검증자(제3자)는 수신된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원격화면상에서 테스트 중요도 및 테스트 대제목(Main Title)을 선택한 후 그에 해당하는 소제목(Sub Title)을 선택하여 테스트 이름(Test Name)을 완성한다(단계 320).
테스트 검증자(제3자)는 테스트 이름(Test Name)에 해당하는 유닛들의 테스트 조건들을 설정한다(단계 330).
테스트 검증자(제3자)는 테스트 이름(Test Name)에 해당하는 유닛들의 테스트 방법을 작성한다(단계 340).
소프트웨어 원격화면의 테스트 익스트랙터부는 (1) 단계 310, (2) 단계 320, (3) 단계 330에서 작성된 내용들은 요약 표시한다(단계 350).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시나리오 추출 버튼을 누르면 작성된 테스트 시나리오 정보가 파일로 변환되어 시뮬레이터의 시나리오 수신부로 전송된다(단계 360).
시뮬레이터의 시나리오 수신부는 테스트 시나리오 익스트랙터부에서 테스트 요청이 수신되면 테스트 주관자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한다(단계 370).
테스트 주관자는 요청된 테스트 시나리오에 대한 테스트 가능 여부를 판단 후 가능하다면 테스트를 진행한다(단계 380). 단계별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터 내부 및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소프트웨어 원격화면 내부의 동작 흐름과 시뮬레이터와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소프트웨어 원격화면간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은 테스트 대상 제어기(400), 시뮬레이터(410) 및 소프트웨어 원격화면(420)으로 구성된다.
시뮬레이터(410)는 테스트 대상 제어기(400)에게 제어 명령을 전송하거나 제어기(400)로부터 제어기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시뮬레이터(410)는 소프트웨어 원격화면(420)에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공한다. 소프트웨어 원격화면(420)은 시뮬레이터(410)로부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를 하여 그래픽으로 보여주며,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추가하는 테스트 시나리오를 시뮬레이터(410)에게 전송한다.
테스트 대상 제어기(400)는 시뮬레이터(410)와 연결되어 있는 대상 제어기이며 시뮬레이터(410)에서 확인할 모든 유닛들의 매개변수값을 제공한다.
매개 변수값의 예로서 전기, 선로, 변압기, 모선의 유효출력, 무효출력, 주파수, 전압등이 될 수 있다. 제어 명령의 예로서 발전기 출력 제어, 쓰러스터 출력 한계 제어, 각종 차단기 온/오프(On/Off)등이 될 수 있다.
설비제어신호 수신부(411)는 테스트 대상 제어기(400)에서 나오는 제어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동적해석수행부(412)는 설비제어신호수신부(411)에서 수신되는 제어기의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시뮬레이터(410)내에서 동적해석을 처리한다.
여기서 제어기의 제어 신호는 설비제어신호수신부(411)의 데이터를 계산하여 나타내기 위한 값이다. 제어기의 제어 신호는 동적해석수행부(412)에 옮겨 값을 해석하기 시작한다.
동적해석수행부(412)와 시황해석처리부(413)는 시뮬레이터(410)내에서 내부적으로 통신한다.
그래픽데이터 입력부(414)는 동적 해석된 결과를 GUI로 표현하며 시뮬레이터(410) 운용 사용자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처리된다.
설비제어신호 송신부(415)는 시뮬레이터(410)에서 제어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설비 제어 신호를 처리한다. 설비 제어 신호는 시뮬레이터(410)에서 테스트 대상 제어기(400)로 명령을 보내어 제어기가 조작자가 의도한 바와 같이 제어되는지 확인하는데 사용한다.
시나리오 수신부(416)는 소프트웨어 원격화면(420)에서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시뮬레이터(410)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진행을 요청한다.
소프트웨어 원격화면(420)의 시뮬레이터 데이터 수집부(421)는 시뮬레이터(410)의 GUI를 소프트웨어 원격화면(420)에서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터(410) 데이터를 수집한다.
동적데이터 처리부(422)는 시뮬레이터(410)로부터 수집한 동적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래픽데이터 입력부(423)는 동적데이터처리부(422)에서 처리한 정보를 소프트웨어 원격화면(420)에 GUI로 보여준다.
데이터 송신부(424)는 소프트웨어 원격화면(420)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실제 제어기를 조작하는 시뮬레이터(410)에 전송한다.
시나리오 익스트랙터부(425)는 소프트웨어 원격화면(420)을 조작하고 있는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스스로 원하는 시나리오(테스트 주관자가 작성하는 테스트 시나리오와는 상이함)를 생성 및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시나리오파일 생성부(426)는 소프트웨어 원격화면(420)에 의해 생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파일로 생성한다.
시나리오 송신부(427)는 생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을 시나리오 수신부(416)에 전송하여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 진행을 조작자에게 요청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검증자(제3자)에 의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하기 위한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소프트웨어 원격화면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뮬레이터(520)의 사양 입력부(523)에서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소프트웨어 원격화면(540)에 전송하고 소프트웨어 원격화면(540)에서는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시나리오 수신부(529)에 전송하여 테스트를 요청한다.
소프트웨어 원격화면(540)의 테스트 시나리오 익스트랙터부(541)는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수신 받으면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기반으로 테스트 중요도, 테스트 번호, 테스트 네임, 테스트 조건, 테스트 방법 및 테스트 예상 결과를 추출하고, 추출된 내용(테스트 중요도, 테스트 번호, 테스트 네임, 테스트 조건, 테스트 방법 및 테스트 예상 결과)은 시나리오 파일 생성부(546)를 통하여 시나리오 수신부(529)에 전송된다.
테스트 시나리오 익스트랙터부(541)는 추출된 테스트 중요도, 테스트 번호, 테스트 네임, 테스트 조건, 테스트 방법 및 테스트 예상 결과를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볼 수 있도록 테스트 리스트 표시부(544) 및 테스트 예상 결과 표시부(545)에 전달한다.
그래프 선택부(542)와 SLD(Single Line Diagram, 543)부는 시뮬레이터(520)의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부(527)와 연동되며, 시뮬레이션 진행 중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검증자(제3자) 소프트웨어 원격화면에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추출한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6은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조작하는 원격 소프트웨어 화면(600)의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소프트웨어 원격화면(600)은 테스트 시나리오 익스트랙터부(601), SLD부(607) 및 그래프 선택부(609)로 구성될 수 있다.
테스트 시나리오 익스트랙터부(601)는 테스트 리스트 표시부(603) 및 테스트 예상 결과 표시부(605)로 구성된다.
테스트 리스트 표시부(603)는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작성한 복수의 테스트 이름들을 보여주며, 각각의 테스트 이름에는 테스트 시나리오를 텍스트 형태로 작성이 되어 테스트 주관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테스트 예상 결과 표시부(605)는 테스트 시나리오별 예상되는 결과 및 확인해야 될 사항에 대해 표시한다.
SLD부(607)는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변화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며 파라미터 값 및 그래프로 표시한다.
그래프 선택부(609)는 그래프 창을 최소화해서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원하는 그래프를 보고 싶을 때 클릭하여 볼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소프트웨어 원격화면(600)은 시뮬레이터내의 사양 입력부(523) 및 시나리오 수신부(529)와 실시간으로 통신한다.
도 6의 SLD부(607)에서는 해당 프로젝트 제어기의 도면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화면상의 (B) 및 (C)는 발전기를 나타내며 운영이 시작된 발전기는 (B)처럼 녹색으로 나타난다. 이와 함께 발전기의 각종 파라미터 값들이 (A) 박스에 표시되는데 발전기 특성에 따라 주파수, 전류, 전압, 역률, 무효전력, 유효전력등을 확인할 수 있다.
각 발전기는 운영 시작시 (A) 및 (B)에서 발전기 운영 표시와 함께 발전기 특성이 표시된다. 운영되지 않는 발전기는 계속해서 (C)처럼 하얀색으로 나타나며 파라미터값을 나타내지 않는다. 차단기나 쓰러스터같은 다른 장비 역시 작동하지 않을 때 (C)처럼 하얀색으로 나타낸다.
이때 테스트 검증자(제3자)는 소프트웨어 원격화면상의 테스트 시나리오 익스트렉터부를 통해 테스트 주관자에게 발전기, 스위치 보드상 차단기, 해비컨슈머들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여 테스트 요청을 할 수 있다. 이 동작 상태들에 대한 그래프는 그래프 선택부(609의 그래프 창을 열어 확인가능하다. 테스트 검증자(제3자)가 요청한 테스트 조건에 따라 (A) 박스의 파라미터값은 변경될 수 있고 테스트 검증자(제3자)의 발전기 운영 요청에 따라 발전기를 정지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시나리오 익스트랙터의 구성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테스트 시나리오 익스트랙터부(700)의 구성은 테스트 시나리오의 중요도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701), 테스트 시나리오의 이름을 결정하기 위한 대제목(Main Title)과 소제목(Sub Title) 작성 화면 (703, 705), 테스트 조건 및 테스트 방법을 작성하는 화면 (707, 709), 703, 705, 707, 709의 내용을 요약해서 보여주는 화면 (711)를 포함하며, 작성이 완료된 후 시나리오 추출 버튼 (717)을 클릭하면 추출된 테스트 시나리오 정보가 파일로 생성되며, 화면 (715)에서 생성된 파일 내용을 보여주는 동시에, 생성된 파일은 시뮬레이터의 시나리오 수신부로 전송된다.

Claims (16)

  1.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에 포함된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되는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은,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모델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입력받는 단계;
    테스트 주관자로부터 테스트 대상 제어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조건 및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테스트 시나리오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인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동작 상태 및 입출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 단계; 및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수신하여 별도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시뮬레이터에서 전송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기반으로 추출되는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에 포함된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되는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시뮬레이터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3자에 의해 조작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화면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에 포함된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되는 제어기 테스트 환경에서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시뮬레이터와 연결된 상기 제3자에 의해 조작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화면부에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에 포함된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되는 제어기 테스트 환경에서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주관자로부터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의 입력이 완료되면 동시에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상기 시뮬레이터와 연결된 상기 제3자에 의해 조작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화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에 포함된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되는 제어기 테스트 환경에서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주관자가 상기 테스트 대상 제어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조건 및 방법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기반으로 상기 테스트 주관자로부터 테스트 번호, 테스트 이름, 테스트 조건, 테스트 방법 및 예상되는 테스트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에 포함된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되는 제어기 테스트 환경에서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는
    테스트 중요도, 테스트 순번, 테스트 이름, 테스트 조건, 테스트 방법 및 예상되는 테스트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에 포함된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되는 제어기 테스트 환경에서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수신하여 별도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주관자로부터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와는 별개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에 포함된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되는 제어기 테스트 환경에서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
  9. 제3자의 테스트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는,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모델을 입력받는 시스템 모델 구성부;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입력받는 사양 입력부;
    테스트 주관자로부터 테스트 대상 제어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조건 및 방법 중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테스트 시나리오를 입력받는 테스트 시나리오 입력부;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인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동작 상태 및 입출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부; 및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수신하여 별도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시나리오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시뮬레이터에서 전송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기반으로 추출되는 제3자의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시뮬레이터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3자가 조작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화면부를 더 포함하는 제3자의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자에 의해 작성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시뮬레이터와 연결된 상기 제3자가 조작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화면부에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자의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입력하는 사양 입력부는
    상기 테스트 주관자의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의 입력이 완료되면 동시에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은 상기 시뮬레이터와 연결된 상기 제3자가 조작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화면부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3자의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주관자가 상기 테스트 대상 제어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조건 및 방법을 입력하는 테스트 시나리오 입력부는
    상기 제어 대상 설비의 시스템 사양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사양을 기반으로 상기 테스트 주관자가 테스트 번호, 테스트 이름, 테스트 조건, 테스트 방법 및 예상되는 테스트 결과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3자의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자가 작성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는
    테스트 중요도, 테스트 순번, 테스트 이름, 테스트 조건, 테스트 방법 및 예상되는 테스트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자의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자가 작성한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시뮬레이터가 수신하여 상기 테스트 주관자에게 별도의 시뮬레이션을 요청하는 시나리오 수신부는
    상기 테스트 주관자가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는 별개의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며 상기 별개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별도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제3자의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KR1020200061217A 2020-05-21 2020-05-21 제3자의 테스트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및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 KR102189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17A KR102189690B1 (ko) 2020-05-21 2020-05-21 제3자의 테스트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및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17A KR102189690B1 (ko) 2020-05-21 2020-05-21 제3자의 테스트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및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690B1 true KR102189690B1 (ko) 2020-12-11

Family

ID=7378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217A KR102189690B1 (ko) 2020-05-21 2020-05-21 제3자의 테스트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및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6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272A (ko) * 2014-06-17 2015-12-30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의 회로 도면 해석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31081B1 (ko) 2014-07-21 2016-06-20 주식회사 파나시아 동적위치유지시스템의 신뢰성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1907B1 (ko) 2014-12-15 2017-0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
KR20180105520A (ko) * 2017-03-15 2018-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리 및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272A (ko) * 2014-06-17 2015-12-30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의 회로 도면 해석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31081B1 (ko) 2014-07-21 2016-06-20 주식회사 파나시아 동적위치유지시스템의 신뢰성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1907B1 (ko) 2014-12-15 2017-0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
KR20180105520A (ko) * 2017-03-15 2018-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리 및 시뮬레이션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등록 특허 7496434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control system of a marine vessel, Marine Cybernetic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7785C (zh) 热电厂维护服务提供方法
US10809753B2 (en) Real-time simulator and controller of power system using distributed data streaming server
CN108776278B (zh) 一种拓扑关联的组态式继电保护测试系统及方法
CN103389705A (zh) 操作监控系统和操作监控方法
MXPA01009656A (es) Carro simulador.
US8249851B2 (en) Monitoring system using real-time simulator
CN109830138A (zh) 雷达装备模拟训练系统
CN107894761A (zh) 核电站模拟仪控系统数字化改造的测试方法及平台
KR102189690B1 (ko) 제3자의 테스트 참여가 가능한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및 제3자의 테스트 참여 방법
CN110826201A (zh) 一种用于数据中心运维管理系统的三维可视化平台
CN110673585A (zh) 一种列车空调系统的测试方法、测试装置及测试系统
KR20090088470A (ko) 비입증 인간기계연계시스템 기술의 이력축적시험을 위한가상운전 및 시험통제장치와 그 제어방법
CN109949647B (zh) Thds故障排查培训系统、培训方法及装置
CN110146756B (zh) 一种事件反演驱动的继电保护测试分析系统及方法
CN116388381A (zh) 一种智能变电站监控系统仿真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15598445A (zh) 一种基于硬件在环的电气故障检测方法及装置
KR100612705B1 (ko) 원격 지시 시스템
CN114019921A (zh) 基于组合模型的生产线设备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1101845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a Control Program
CN115623195A (zh) 一种电视故障诊断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07205817A (ja) レーダ情報処理装置の試験装置
JP3752276B2 (ja) プラント模擬装置
JPH10274920A (ja) プラントシミュレータ
CN116737483B (zh) 一种装配测试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5303968B2 (ja) エレベータのプログラム検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