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515B1 - 그랩 장비용 엔진룸 - Google Patents

그랩 장비용 엔진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515B1
KR102189515B1 KR1020190154975A KR20190154975A KR102189515B1 KR 102189515 B1 KR102189515 B1 KR 102189515B1 KR 1020190154975 A KR1020190154975 A KR 1020190154975A KR 20190154975 A KR20190154975 A KR 20190154975A KR 102189515 B1 KR102189515 B1 KR 10218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air
intake
spac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환
Original Assignee
오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수환 filed Critical 오수환
Priority to KR1020190154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17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in relation to the intak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14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 B66C3/16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by flui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41/0007Controlling intake air for control of turbo-charged or super-charged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 F02M35/06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engine's cooling blower or fan, or with fly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6Intake manifold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을 이용한 유압으로 작동하는 그랩 장비에 적용되는 엔진룸과 관련되며 실시예로 공랭식 엔진의 출력을 통한 유압으로 작동하는 그랩 장비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공간을 형성하는 메인하우징, 필터를 통해 외부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낸 후 상기 메인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외기흡기부, 상기 메인공간의 공기가 상기 메인공간의 밖으로 배출되는 배기부, 상기 엔진의 흡기라인과 연결되는 엔진흡기공간을 형성하는 엔진흡기부 및 상기 배기부의 공기 중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게 하면서, 나머지 공기는 상기 엔진흡기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분배부를 포함하는 그랩 장비용 엔진룸을 제시한다.

Description

그랩 장비용 엔진룸{ENGINE ROOM FOR GRAB BUCKET MACHINE}
본 발명은 엔진을 이용한 유압으로 작동하는 그랩 장비에 적용되는 엔진룸과 관련된다.
그랩 장비는 통상 크레인에 설치되는 어태치먼트의 일종으로, 석재, 곡물 등을 옮기는 데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그랩 장비는 크레인에서 인출된 와이어에 본체가 거치되고, 본체 아래로 사용 목적에 따라 한 쌍 이상의 집게나 버켓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본체에 구비된 엔진에서 얻어진 출력으로 유압을 생성하고, 이를 집게 등과 연결된 유압액추에이터에 전달하여 집게 등을 오므리거나 벌리는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랩 장비는 통상의 장비로 운송할 수 없는 큰 덩어리진 물건을 옮길 수 있고, 한 번에 많은 양의 곡물이나 모래를 옮길 수 있어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랩 장비를 가동시키는 엔진은 주로 집게나 버켓을 열고 닫을 때 잠시 가동되며, 집게 등이 닫힌 상태 또는 벌린 상태를 오랜 기간 유지하는 동안에는 아이들 상태로 운영되어, 고 rpm으로 작동되는 구간이 비교적 짧은 특징이 있다.
이러한 가동 특성을 고려하여 통상 공랭식 냉각 구조를 채택하여, 가급적 그랩 장비의 하중을 줄이면서 적절한 냉각 목표를 달성하도록 설계, 운영된다.
그랩 장비가 운영되는 작업 현장은 통상 많은 분진을 수반한다. 그랩 장비로 이송하는 대상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대용량을 다루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다량의 분진이 수반된다. 이러한 분진은 엔진의 공랭식 냉각 구조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되며, 주기적인 엔진 청소, 관리의 번거로움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0176호 (2006.10.27)
본 발명은 작업 중 발생하는 다량의 분진으로부터 엔진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엔진 흡기용 필터의 수명을 길게 확보할 수 있어 유지 보수의 수고를 덜 수 있는 그랩 장비용 엔진룸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공랭식 엔진의 출력을 통한 유압으로 작동하는 그랩 장비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공간을 형성하는 메인하우징, 필터를 통해 외부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낸 후 상기 메인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외기흡기부, 상기 메인공간의 공기가 상기 메인공간의 밖으로 배출되는 배기부, 상기 엔진의 흡기라인과 연결되는 엔진흡기공간을 형성하는 엔진흡기부 및 상기 배기부의 공기 중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게 하면서, 나머지 공기는 상기 엔진흡기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분배부를 포함하는 그랩 장비용 엔진룸을 제시한다.
나아가 상기 외기흡기부는 공기 흡입구에 상기 필터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메인공간과 연결되는 부분에 흡기용 팬이 장착된 흡기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부는 상기 외기흡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메인하우징과 연결되며, 배기용 팬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부는 상기 배기부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곧게 형성하는 분배덕트와, 상기 공기의 흐름과 수직되도록 상기 분배덕트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부의 공기 중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덕트는 상기 엔진흡기공간과 곧게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지나간 나머지 공기가 상기 엔진흡기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에는 개방된 출구 면적을 조절하는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흡기용 팬과 상기 배기용 팬은 상기 엔진의 회전수에 대응하여 작동제어 되면서, 상기 엔진흡기공간 내에 구비된 압력센서의 측정치를 수신하여 상기 엔진흡기공간이 항상 양압을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공기 포함된 분진을 걸러낸 후 엔진룸 내부에 공급함으로써 엔진에 분진이 쌓여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에 사용된 공기를 엔진의 흡기라인에 제공함으로써 엔진에 구비된 에어 클리너 필터의 빠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랩 장비용 엔진룸이 적용된 그랩 장비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랩 장비용 엔진룸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과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이 적용된 그랩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랩 장비(200)는 크레인 또는 트롤리에 로프로 견인되는 캐리어(210)와, 캐리어(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버켓(220)을 포함한다. 도시한 버켓 타입의 그랩 장비(200)는 한 쌍의 버켓(220)이 닫히거나 열리면서 이송 대상물의 하역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버켓(220)을 회전시키는 데에는 캐리어(210)와 버켓(220)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230)가 사용된다.
캐리어(210)에는 제어명령을 수신 받은 리모트 컨트롤 통신장비, 유압유 저장탱크,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는 엔진, 엔진 연료통 등 그랩장비의 작동을 위한 부속들이 구비된다. 이 중 엔진(300)은 외부와 차단되는 별도의 엔진룸 내부에 장착된다. 일례로 엔진(300)은 공랭식 디젤 엔진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캐리어의 내부 구조 중 엔진이 장착되는 엔진룸과 그 주변의 구조물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엔진이 오르는 마운팅 구조물이나 엔진의 세부 형상 등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엔진룸(100)은 메인하우징(10), 외기흡기부(20), 배기부(30), 엔진흡기부(40) 및 분배부(50)를 포함한다.
메인하우징(10)은 엔진이 설치되는 메인공간(11)을 형성하는 것으로, 메인공간 내에는 엔진과 함께 엔진 작동에 요구되는 부속품이 장착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엔진의 흡기라인(310)이 메인공간(11) 안에 위치하고 있다. 이 흡기라인에는 에어 클리너 필터(320)가 구비되는 필터링 장치가 포함되며, 엔진 형식에 따라 흡기 매니폴드(도시 생략)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메인공간(11)에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330)가 위치한다. 배기 파이프(330)는 메인하우징(10) 밖으로 연장되며, 연소가스는 배기파이프와 이어지는 머플러, 화염억제기(fire arrester, 340) 등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메인공간(11)의 사이즈는 엔진(300)과 그의 부속품이 차지하는 사이즈보다 충분히 크게 제공되어, 엔진 주변의 공기가 원활히 유동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확보된다.
외기흡기부(20)는 메인하우징(10)의 외측에 구비되는 부분으로, 구비된 필터(22)를 통해 외부 공기 중에 함유된 이물질(분진)을 걸러낸 깨끗한 공기를 메인공간(11)으로 유입시킨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외기흡기부(20)는 메인하우징의 상부면과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흡기덕트(21)와, 흡기덕트(21)의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22) 및 메인공간과 연결되는 부분에 장착되어 흡기덕트(21) 내부의 공기를 메인공간(11)으로 이동시키는 흡기용 팬(23)이 구비된다.
여기서 필터(22)는 외부 공기 중 이물질(분진)을 걸러내는 것으로, 작업 환경별로 예상되는 분진의 성질에 따라 이미 공지된 필터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필터(22)는 프리필터와 메인필터의 이중 필터 구성과 같이 다중 필터 구조를 채택하여, 여과 효율을 증대시키면서 메인필터를 보다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흡기용 팬(23)은 전기 모터 또는 유압 모터로 회전 날개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외부 공기를 흡기덕트 내로 흡입하고, 이를 메인공간으로 보내는 것이다. 흡기용 팬(23)의 작동은,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엔진의 운전 상황 등에 따라 공기 흡입력이 달라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외기흡기부(20)의 필터(22)는, 상당한 분진을 함유한 외부 공기를 대상으로 분진을 걸러내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필터의 막힘이나 손상이 우려되는 부분이다. 메인공간으로 흡입되는 충분한 공기량을 충분히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외기흡기부(20)는 필터가 장착된 공기 흡기구를 복수로 구비할 수 있으며, 흡기용 팬(23)도 둘 이상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메인공간(11)으로 들어온 공기는 공랭식 엔진을 거치면서 엔진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때 공기는 분진이 제거되어 외부 공기에 비해 깨끗한 것으로 엔진의 복잡한 구조 내부에 이물질 등이 쌓이지 않게 된다.
배기부(30)는 메인공간(11)의 공기가 메인공간(11)의 밖으로 배출되는 부분으로, 외기흡기부(20)의 설치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메인하우징(10)에 연결되는 배기용 팬(31)일 수 있다. 또는 배기부는, 배기용 팬 없이, 외기흡기부(20)의 설치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메인하우징(10)을 관통한 홀로 제시될 수 있다.
배기용 팬(31)은 메인공간(11) 내의 공기를 메인하우징(10)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한다. 여기서 배기용 팬(31)은 흡기용 팬(23)과 마찬가지로 전기 모터 또는 유압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유압 모터를 구비하는 경우, 엔진과 연계된 유압 시스템에서 고압유를 제공받아 작동하도록 유압회로를 설계할 수 있다.
흡기용 팬(23)과 배기용 팬(31)은 엔진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도면에서 흡기용 팬(23)은 엔진의 상부에 위치하고 배기용 팬(31)은 하부에 위치하여, 외기흡기부(20)를 통해 들어온 공기는 엔진을 냉각시킨 후 곧바로 아래로 내려가 메인하우징(10)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도 3 참고). 이와 같이 배기용 팬(31)과 흡기용 팬(23)이 함께 작동함으로써 메인공간(11) 내의 공기 이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형성하여 냉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참고로 캐리어의 구조와 엔진의 장착 방향에 따라 외기흡기부(20)와 배기부(30)의 설치 위치는, 캐리어의 메인하우징의 상하, 전후 또는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엔진흡기부(40)는 메인하우징(10)에 부가되어, 엔진의 흡기라인(310)과 연결되는 엔진흡기공간(41)을 형성한다.
엔진흡기부(40)는 메인하우징(10)의 일측에 하우징 부재를 덧대어 형성하거나, 메인하우징(10)과 떨어진 위치에서 엔진흡기공간을 형성하는 어떤 구조물로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메인하우징(10) 좌측에 하우징 부재를 덧대어 엔진흡기공간(41)을 가진 엔진흡기부(40)를 형성하고 있다.
엔진흡기부(40)에는 외부와 연결된 관통홀(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엔진흡기공간(41)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43)를 구비할 수 있다.
엔진흡기공간(41)은 엔진의 필터링 장치와 연결되어, 엔진흡기공간(41)의 공기가 에어 클리너 필터(320)를 거쳐 엔진에 제공된다.
분배부(50)는 배기부(30)와 엔진흡기부(4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배기부(30)를 통해 메인공간(11)를 빠져나온 공기 중 일부는 외부(대기)로 배출되게 하면서, 나머지 공기는 엔진흡기공간(41)으로 유입되게 하는 부분이다.
분배부(50)는 배기부(30)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곧은 직선의 흐름으로 유도하는 분배덕트(51)를 포함한다. 이 분배덕트(51)의 끝단이 엔진흡기부(40)와 연결됨으로써 직선으로 흐른 공기가 엔진흡기공간(41)으로 자연스럽게 진입하게 된다.
한편 분배덕트(51)의 측벽에는 분배덕트(51)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 중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52)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52)는 분배덕트(51)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배출구(52)에는 공지된 형태의 그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52)는 분배덕트(51)의 형상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흐름 방향과 수직을 이룸으로써, 분배덕트(51)를 흐르는 공기 중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나머지 공기는 엔진흡기부(40)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나아가 배출구(52)에는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출구 면적을 조절하는 도어(53)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53)의 열림 정도에 따라 배출구(52)의 개방 면적이 달라지면서 배출되는 공기량이 달라지게 하여, 엔진흡기공간(41)으로 들어가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도어(53)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 중 하나를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53)의 작동은 수동으로 구현하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모터(54)를 이용하여 자동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이 작동모터(54)는 제어부에 의해 작동 제어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분배부는 메인하우징과 이격된 관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배기부와 엔진흡기부를 관체으로 연결하고, 관체의 중간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일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60)는 흡기용 팬(23)과 배기용 팬(31)의 작동에 대한 제어신호를 각 팬에 전송하며, 엔진(300)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와 엔진흡기공간 내의 압력센서(43)의 측정값을 수신한다. 여기서 엔진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는 엔진 출력(rpm), 엔진의 온도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팬에 적용된 모터 종류에 따라 전류값 또는 전압값을 조절하거나, 고압유 유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공기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엔진룸(100) 내부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엔진(300)의 작동과 연동하여 제어부(60)는 흡기용 팬(23)과 배기용 팬(31)을 작동시킨다. 그에 따라 외기흡기부(20)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필터(22)를 거쳐 여과된 후 메인공간(11)으로 유입된다.
메인공간(11)으로 들어온 공기는 엔진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되고, 뜨거워진 공기는 배기부(30)에 구비된 배기용 팬(31)을 통해 메인공간(11) 밖으로 이동된다.
필터(22)에 의해 걸러진 공기가 엔진(300)을 냉각시킴으로써, 외부 공기를 여과 없이 엔진 냉각에 사용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제 문제들, 즉 분진이 발열핀들 사이의 틈 등 엔진 표면에 쌓여 발생하는 엔진 냉각 효율 저하의 문제나 그로인한 엔진 과열의 문제 등이 해소된다.
한편 분배부(50)로 진입한 공기는 분배덕트(51)가 형성하는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데, 이때 분배덕트(51)가 직선형 통로를 형성함에 따라 공기는 곧게 이동하여 엔진흡기공간(41)을 향하게 된다.
분배덕트(51)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 중 일부의 공기는 배출구(52)를 통해 외부 대기로 배출되고, 나머지 공기는 엔진흡기공간(41)을 채우게 된다.
엔진흡기부(40)의 공기는 엔진의 흡기라인(310)에 제공된다. 엔진흡기부(40)를 채우는 공기는 외기흡기부(20)에서 분진이 1차 걸러진 것으로, 외부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깨끗한 상태이다. 따라서 엔진(300)의 흡기라인(310)에 구비된 에어 클리너 필터(320)에서 2차 필터링 시에 필터의 부담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이로써 엔진 흡기라인(310)에 설치된 에어 클리너 필터(320)의 수명을 길게 확보할 수 있으며, 분진이 매우 심한 작업 환경에서도 잦은 유지보수 없이 그랩 장비를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종래의 기술과 같이 엔진의 흡기라인이 외부 공기를 그대로 가져다 사용하는 경우라면, 에어 클리너 필터가 분진 전부를 걸러내야 하므로 에어 클리너 필터의 빠른 오염을 피할 수 없다.
한편 제어부(60)는 엔진흡기공간(41)의 압력이 양압을 유지하도록 흡기용 팬(23)과 배기용 팬(31)을 작동 제어하여, 엔진 작동에 소모되는 공기량보다 엔진흡기공간에 추가되는 공기량이 많도록 한다. 즉 엔진이 작동함에 있어서 분진이 많은 외부 공기가 엔진흡기공간(41)을 통해 엔진의 흡기라인(310)으로 들어가지 않게 한다.
엔진(300)의 아이들 운전 상황에서, 제어부(60)는 엔진이 소모하는 공기량보다 많은 공기량이 엔진흡기공간(41)으로 채워지는 수준에서 흡기용 팬(23)과 배기용 팬(31)을 작동시킨다. 엔진이 소모하지 못한 여분의 공기는 외부와 연결된 관통홀(42)을 통해 엔진흡기부(40) 밖으로 방출된다.
한편 엔진 출력이 상승하여 엔진 회전수가 증가하면, 제어부(60)는 그에 대응하여 흡기용 팬(23)과 배기용 팬(31)의 회전 속도를 더 증가시킨다. 이는 엔진 출력을 상승시키는 플런저의 작동에 반응하여 팬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하거나, 엔진 회전수에 비례하여 팬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엔진 출력의 상승에 따라 엔진으로 들어가는 공기량에 맞춰 분배부(50)를 통해 엔진흡기공간(41)으로 유입되는 공기량도 증가됨으로써, 엔진흡기공간의 압력을 양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증가되었던 엔진 회전수가 낮아지면, 제어부도 그에 맞추어 흡기용 팬과 배기용 팬의 회전 속도를 낮추게 된다. 이때 엔진 작동 저감에 따른 팬들의 속도 늦춤 제어는 일정한 딜레이를 두어, 엔진흡기공간의 압력 마진을 높게 하면서 추가적인 엔진 출력 상승에 대비토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의 흡기용 팬(23)과 배기용 팬(31)의 작동 제어는 엔진흡기공간에 설치한 압력센서와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어부(60)는 엔진흡기부(40) 내의 압력센서(43)의 측정치를 수신 받아 팬들의 작동 제어의 근거로 삼을 수 있다.
통상적인 그랩 장비의 운영과 다르게 엔진 구동이 짧은 시간 동안 비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엔진의 공기 소비량 변동이 커져 엔진흡기공간 내부가 양압으로 유지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어부(60)가 압력센서(43)를 통해 엔진흡기공간(41) 내부 압력을 상시 감지함으로써, 흡기용 팬 등을 작동 제어하여 엔진흡기공간(41) 내부를 양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흡기용 팬(23)이 구비된 경우, 엔진의 아이들 운전 상태에서 일부의 흡기용 팬만 작동하였다가, 엔진 회전수가 증가할 때에 쉬고 있던 흡기용 팬들을 가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과 관련된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의 엔진룸(100)은 메인하우징(10), 외기흡기부(20), 배기부(30), 엔진흡기부(40) 및 분배부(50)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저촉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전술한 실시예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하우징(10)의 내벽면 중 분배덕트(51)가 부가되어 배기부(30)로부터 엔진흡기부(40)의 통로를 형성하는 부위에는 이중벽(12)이 설치되어 있다. 이중벽(12)은 엔진으로부터의 복사열을 차단하여 분배덕트(51)의 통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로써 엔진흡기부(40)를 거쳐 엔진으로 제공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지 아니하여 엔진 작동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분배덕트(51)를 형성하는 하우징 부재 중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는 복수의 방열핀(55)을 설치하여 분배덕트 내부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외부 공기를 통해 엔진흡기부(40)로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게 한다.
또한 분배덕트(51)의 내부에는 공기의 직선흐름을 유도하는 안내핀(56)이 구비된다. 안내핀(56)은 배기부(30)와 인접한 부위에서 시작되어 분배덕트의 길이 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된다. 안내핀(56)은 분배덕트(51)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배출구(52)가 형성된 1부분(561)과, 배출구(52)와 분리된 2부분(562)으로 나누게 된다.
이로써 1부분(561) 내의 공기 흐름은 2부분(562) 내의 공기 흐름과 독립된다. 즉 2부분(562)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은, 1부분(561)에서 일부 공기가 배출구(52)로 빠져 나감에 따른 흐트러진 공기 유동과 상관 없이 곧은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안내핀(56)은 분배덕트(51) 내부의 곧은 공기 흐름을 도와 배기부(30)를 나온 공기가 운동량 손실 없이 엔진흡기공간(41)으로 들어가게 돕는다.
한편 배출구(52)의 개방 면적을 제어하는 도어(53)는 작동모터(54)를 통하여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가 작동모터(54)의 작동에 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엔진흡기공간(41)의 압력이 기준치 이하로 낮아질 때에, 제어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흡기용 팬(23)과 배기용 팬(31)의 작동을 증대시키면서, 작동모터(54)를 작동 제어하여 배출구(52)의 개방 면적를 줄이거나 배출구(52)를 폐쇄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의 도어 개방 제어는, 엔진 출력이 갑작스레 증가하여 엔진 흡기라인으로 다량의 공기가 소모될 때에 주요하다.
100 : 엔진룸
10 : 메인하우징 11 : 메인공간 12 : 이중벽
20 : 외기흡기부 21 : 흡기덕트 22 : 필터 23 : 흡기용 팬
30 : 배기부 31 : 배기용 팬
40 : 엔진흡기부 41 : 엔진흡기공간 42 : 관통홀 43 : 압력센서
50 : 분배부 51 : 분배덕트 52 : 배출구 53 : 도어
54 : 작동모터 55 : 방열핀 56 : 안내핀 561 : 1부분 562 : 2부분
60 : 제어부
200 : 그랩 장비 210 : 캐리어 220 : 버켓 230 : 유압 실린더
300 : 엔진 310 : 흡기라인 320 : 에어 클리너 필터
330 : 배기 파이프 340 : 화염억제기

Claims (5)

  1. 공랭식 엔진의 출력을 통한 유압으로 작동하는 그랩 장비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공간을 형성하는 메인하우징,
    필터를 통해 외부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낸 후 상기 메인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외기흡기부,
    상기 메인공간의 공기가 상기 메인공간의 밖으로 배출되는 배기부,
    상기 엔진의 흡기라인과 연결되는 엔진흡기공간을 형성하는 엔진흡기부 및
    상기 배기부의 공기 중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게 하면서, 나머지 공기는 상기 엔진흡기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분배부를 포함하는
    그랩 장비용 엔진룸.
  2. 제1항에서,
    상기 외기흡기부는
    공기 흡입구에 상기 필터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메인공간과 연결되는 부분에 흡기용 팬이 장착된 흡기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부는
    상기 외기흡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메인하우징과 연결되며, 배기용 팬을 구비하는
    그랩 장비용 엔진룸.
  3. 제2항에서,
    상기 분배부는
    상기 배기부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곧게 형성하는 분배덕트와,
    상기 공기의 흐름과 수직되도록 상기 분배덕트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부의 공기 중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덕트는 상기 엔진흡기공간과 곧게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지나간 나머지 공기가 상기 엔진흡기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랩 장비용 엔진룸.
  4. 제3항에서,
    상기 배출구에는 개방된 출구 면적을 조절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랩 장비용 엔진룸.
  5. 제3항에서,
    상기 흡기용 팬과 상기 배기용 팬은 상기 엔진의 회전수에 대응하여 작동 제어 되면서, 상기 엔진흡기공간 내에 구비된 압력센서의 측정치를 수신하여 상기 엔진흡기공간이 항상 양압을 유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랩 장비용 엔진룸.
KR1020190154975A 2019-11-28 2019-11-28 그랩 장비용 엔진룸 KR102189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975A KR102189515B1 (ko) 2019-11-28 2019-11-28 그랩 장비용 엔진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975A KR102189515B1 (ko) 2019-11-28 2019-11-28 그랩 장비용 엔진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515B1 true KR102189515B1 (ko) 2020-12-11

Family

ID=7378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975A KR102189515B1 (ko) 2019-11-28 2019-11-28 그랩 장비용 엔진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5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176Y1 (ko) 2006-08-23 2006-11-03 오목환 물류 하역용 그랩장치
KR20130029845A (ko) * 2011-09-16 2013-03-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릴쉽의 엔진룸 환기 시스템
KR20150111322A (ko) * 2014-03-25 2015-10-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내연 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KR20150130013A (ko) * 2014-05-13 2015-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룸 쿨링 시스템
KR20190047315A (ko) * 2017-10-27 2019-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176Y1 (ko) 2006-08-23 2006-11-03 오목환 물류 하역용 그랩장치
KR20130029845A (ko) * 2011-09-16 2013-03-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릴쉽의 엔진룸 환기 시스템
KR20150111322A (ko) * 2014-03-25 2015-10-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내연 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KR20150130013A (ko) * 2014-05-13 2015-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룸 쿨링 시스템
KR20190047315A (ko) * 2017-10-27 2019-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2627B1 (en) Construction machine
WO2013175981A1 (ja) 機体および作業機械
SE1150404A1 (sv) Värmebibehållande-/kylregleranordning för pm-filteranordning
EP3428346B1 (en) Construction machine
KR102189515B1 (ko) 그랩 장비용 엔진룸
CN209451506U (zh) 一种耐高温滤袋除尘装置
JP3622316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CN203756542U (zh) 具有防护功能的空压机及其机壳
JP2008239087A (ja) 作業機械の冷却システム
CN105857227A (zh) 一种智能调节式护栅
JP2014122496A (ja) 作業機械
JP7133413B2 (ja) 建設機械
US4759180A (en) Heat exchanging exhaust manifold
KR102406369B1 (ko) 건설기계
JP2007198031A (ja) 建設機械における冷却装置
CN209043088U (zh) 一种换热器
CN106705683B (zh) 一种环冷机受料点吸风除尘装置
JP2016160755A (ja) 作業車輌の原動部
CN202300615U (zh) 一种用于起重机的散热系统及起重机
JP2005306153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の構造
JP6473301B2 (ja) エンジン駆動型作業機
JP7167970B2 (ja) 排風制御ガード
CN208793277U (zh) 一种离心式鼓风机
JP5802113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2000296721A (ja) 作業機械のエンジン防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