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158B1 - 우수한 방열성 및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 Google Patents

우수한 방열성 및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158B1
KR102189158B1 KR1020200046859A KR20200046859A KR102189158B1 KR 102189158 B1 KR102189158 B1 KR 102189158B1 KR 1020200046859 A KR1020200046859 A KR 1020200046859A KR 20200046859 A KR20200046859 A KR 20200046859A KR 102189158 B1 KR102189158 B1 KR 102189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mposite material
electrical wiring
manufacturing
wir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한상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엔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엔지엠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6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158B1/ko
Priority to PCT/KR2020/006659 priority patent/WO2021210721A1/ko
Priority to US16/909,539 priority patent/US1157731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408Light metal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05Sintering only by using electric current other than for infrared radiant energy, laser radiation or plasma ;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08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408Light metal alloys
    • C22C1/0416Aluminium-based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10Alloys containing non-metals
    • C22C1/1084Alloys containing non-metals by mechanical alloying (blending, mi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05Sintering only by using electric current other than for infrared radiant energy, laser radiation or plasma ; by ultrasonic bonding
    • B22F2003/1051Sintering only by using electric current other than for infrared radiant energy, laser radiation or plasma ; by ultrasonic bonding by electric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05Light metals
    • B22F2301/052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05Light metals
    • B22F2301/058Magnes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9/00Aspects linked to processes or compositions used in powder metallur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i)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분말 및 (ii) 폴리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혼합 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소결(spark plasma sintering, SPS)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상기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커넥터 하우징(housing)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수한 방열성 및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MATERIAL FOR ELECTRICAL WIRING CONNECTOR HAVING EXCELLENT HEAT DISSIPATION AND ELECTRICAL INSULATION, AND COMPOSITE MATERIAL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뛰어난 방열성 및 전기절연성을 가져 전기 배선 커넥터의 절연성 하우징(housing) 등의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에 대한 것이다.
대부분의 전자 기기 및 자동차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전기배선들로 부품들이 연결되어 있다.
커넥터 부품은 이러한 전기배선을 효율적으로 연결 결합하는 부품으로 전기전자 및 수송기계 장치에서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부품 중 하나로서, 그 사용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진다(도 1).
최근 들어 전동 장치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전기 배선 장치들에 많은 부하가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기존의 폴리머 계열의 커넥터의 경우 전기절연성은 우수하지만 방열에 한계가 있어 열화로 인한 화재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새로운 소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본 등록특허 제4313297호 (등록일: 2009.05.22) 한국 공개특허 제10-2008-0054942호 (공개일: 2008.06.1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해 전기 배선 커넥터의 하우징 등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i)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분말 및 (ii) 폴리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혼합 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소결(spark plasma sintering, SPS)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는 경사기능성(functionally graded) 복합재료일 수 있으며, 해당 경사기능성 복합재료는 (a) (i)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분말 및 (ii) 폴리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 분말을 제조하되, 혼합 분말 내 폴리머 분말의 함량이 상이한 2종 이상의 혼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2종 이상의 혼합 분말을 적층해, 최하층부로부터 최상층부로 향함에 따라 각층의 금속 분말 함량 대비 폴리머 분말 함량 분율이 서로 다른 경사기능성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경사기능성 적층체를 방전 플라즈마 소결하여 경사기능성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기능성 적층체는, 최하층부로부터 최상층부로 향함에 따라 각층의 금속 분말 함량 대비 폴리머 분말 함량 분율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분말은, (i)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분말 30 ~ 85 부피% 및 (ii) 폴리머 분말 15 ~ 70 부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금속 분말은, 알루미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을 1 : 1의 부피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폴리머 분말은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혼합 분말은 세라믹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세라믹 분말은 MgO, SiO2, Al2O3 AlN 및 Si3N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는 경사기능성을 가질 수 있으며, 해당 경사기능성 복합재료는 시트(sheet)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시트의 두께 방향, 길이 방향 및 너비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있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폴리머 또는 세라믹의 부피 분율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이루어진 커넥터 하우징(housing)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에 의하면,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포함 금속 분말과, 전기절연성 폴리머 분말을 포함한 혼합 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공정을 통하여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를 제조함으로써 높은 방열성과 전기절연성을 동시에 가지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소재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금속 기반의 폴리머 융합 복합재료를 포함해 이루어지는 전기배선 연결용 커넥터 부품은 비저항 106 Ω·m 이상의 우수한 전기절연성과 함께 높은 방열 특성을 지녀 고용량의 전기배선 및 장시간 사용에서도 효율적인 열 방출로 인해서 안전성이 확보되며 또한 제품 수명 역시 길어지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는 전기배선 연결용 커넥터 부품들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3은 본원 실시예에서 제조한 복합재료를 가공해 제조한 절연성 하우징을 구비한 스프링핀 커넥터의 사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은, (a) (i)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분말 및 (ii) 폴리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혼합 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소결(spark plasma sintering, SPS)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해 이루어진다(도 2).
상기 단계 (a)에서는, 전동 볼밀링, 교반 볼밀링, 유성 볼밀링 등의 다양한 형태의 볼밀링 공정을 통해,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등을 포함하는 금속 분말과, 복합재료에 전기 절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폴리머 분말이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 분말을 제조하며, 일례로, 통상의 전동 볼밀링 장치를 이용하는 저에너지 밀링 공정을 100 내지 500 rpm으로 1 내지 24시간 동안 실시해 혼합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 분말에 포함되는 알루미늄 합금은 1000 번대 계열, 2000 번대 계열, 3000 번대 계열, 4000 번대 계열, 5000 번대 계열, 6000 번대 계열, 7000 번대 계열 및 8000 번대 계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에 전기절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폴리머 분말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올리핀계 수지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아크릴계 수지인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로니트릴, 비닐계 수지인 폴리염화비닐, 폴리초산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염화비닐덴, 스티렌계 수지인 폴리스티렌, ABS 수지, 불소 수지인 4불화에틸렌수지, 3불화에틸렌수지, 폴리불화비닐덴, 폴리불화비닐, 섬유소계 수지인 니트로셀루로즈, 세롤로즈아세테이트, 에틸셀룰로즈, 프로필렌 셀룰로즈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부타레이트, 폴리부틸렌부타레이트, 아이오노모수지,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에코놀, 폴리아릴레이트)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예로는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단계 (a)에서 제조되는 혼합 분말의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에 요구되는 물성을 고려해 금속과 폴리머의 혼합비를 선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i)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분말 30 ~ 85 부피% 및 (ii) 폴리머 분말 15 ~ 70 부피%가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 분말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단계에서는 혼합 분말의 전기절연성 및/또는 기계적 특성의 제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상기 혼합 분말에 세라믹 분말을 더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세라믹 분말은 절기절연성을 가지는 산화물계 세라믹 또는 비산화물계 세라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산화물계 세라믹으로는 상기 산화물(Oxide)은 Al2O3, SiO2, TiO2, Y2O3, ZrO2, Ta2O5, ThO2, ZrSiO2 BeO, CeO2, Cr2O3, HfO2, La2O3, MgO, Nb2O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산화물계 세라믹은 질화물, 탄화물 및 규화물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질화물(nitride)은 AlN, GaN, InN, BN, Be3N2, Cr2N, HfN, MoN, NbN, Si3N4, TaN, Ta2N, Th2N3, TiN, WN2, W2N, VN, 및 Zr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탄화물(carbide)은 B4C, Cr3C2, HfC, LaC2, Mo2C, Nb2C, SiC, Ta2C, ThC3, TiC, W2C, WC, V2C, 및 Zr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규화물(silicide)은 CrSi2, Cr2Si, HfSi, MoSi2, NbSi2, TaSi2, Ta5Si3, ThSi2, Ti5Si3, WSi2, W5Si3, V3Si 및 ZrSi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혼합 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소결해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수단인 방전 플라즈마 소결은, 압력이 가해지는 조건에서 상기 혼합 분말 또는 혼합 분말로 이루어진 성형체에 직류 전류를 가해 혼합 분말의 입자 사이로 흐르는 펄스상의 직류 전류에 의해 불꽃방전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의해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방전 플라즈마의 높은 에너지에 의한 열확산 및 전계 확산과 몰드의 전기저항에 의한 발열 및 가해지는 압력과 전기에너지에 의해 혼합 분말이 소결되어 단시간에 금속과 폴리머를 복합화하여 치밀한 구조의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결능을 통해 복합재료 입자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균일한 미세구조를 갖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전 플라즈마 소결 공정을 위해, 예를 들어,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이 구비되어 전류를 공급해 방전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혼합 분말을 소결할 수 있는 몰드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챔버, 냉각수를 유통시켜 상기 챔버를 냉각할 수 있는 냉각부, 상기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 상기 챔버에 온도를 검출할 수 있는 온도감지부, 상기 챔버 내부에 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펌프, 상기 챔버 내부에 압력을 공급할 수 있는 압력공급부, 상기 온도감지부가 감지하는 온도에 따라 방전 플라즈마 소결 공정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를 구비한 방전 플라즈마 소결장치를 이용하여 방전 플라즈마 소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방전 플라즈마 장치에 구비된 펌프를 이용하여 챔버의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될 때까지, 배기하여 감압시킴으로써, 챔버 내에 존재하는 가스 상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산화를 방지하도록 구성하여 방전 플라즈마 소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분말을 소정의 승온 속도로 소결 온도까지 가열하여 상기 혼합 분말을 선예열한 후, 방전 플라즈마 소결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승온속도로 혼합 분말을 선예열하여, 방전 플라즈마 소결 공정을 통해 혼합 분말의 내부 및 외부에 균일한 온도가 공급됨으로 인해 균일한 구조의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 플라즈마 소결 공정은 승온 속도를 조절하여 복합재료를 구성하는 입자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어 제조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분말과 폴리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 분말을 사용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상기 방전 플라즈마 소결 공정은 200 내지 400 ℃의 온도 및 5 내지 500 MPa의 압력하에서 1 내지 10분 동안 실시하여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를 소결한 후, 상기 복합재료를 냉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일정 압력을 유지하는 조건에서 복합재료를 냉각하도록 구성하여 복합재료의 표면 및 내부에 형성되는 보이드(void) 등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에 의하면,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포함 금속 분말과, 전기절연성 폴리머 분말을 포함한 혼합 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공정을 통하여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를 제조함으로써 높은 방열성과 전기절연성을 동시에 가지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소재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금속 기반의 폴리머 융합 복합재료를 포함해 이루어지는 전기배선 연결용 커넥터 부품은 우수한 전기절연성과 함께 높은 방열 특성을 지녀 고용량의 전기배선 및 장시간 사용에서도 효율적인 열 방출로 인해서 안전성이 확보되며 또한 제품 수명 역시 길어지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분말과 폴리머 분말을 혼합해 얻어진 혼합 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소결하여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금속 분말은 알루미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을 각각 50 vol.%씩 포함하는 알루미늄-마그네슘 복합재료(AlSium) 분말이었으며, 폴리머 분말로는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수지로 이루어진 분말을 사용했다.
참고로,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는 방향족 선형 폴리에스터 수지를 의미하며, 제반물성이 특수한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수지로서, 내열성이 높고,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며 투명하므로 전기 전자 제품의 스위치류, 소켓류, 전자레인지 부품, 릴레이 케이스 및 기판 등에 사용된다. 또한, 기계 분야에서는 시계 내/외장품, 광학 기계부품, 가스차단기 등의 열기기 부품, 또는 하우징이나 자동차 분야의 렌즈류, 전장품 하우징, 계기판 등의 각종 재료 및 포장 재료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는 통상 방향족 디올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축중합하여 제조된다.
먼저, AlSium 분말 및 PAR 분말의 체적비를 각각 85 : 15, 80 : 20, 75 : 25, 70 : 30, 65 : 35으로 달리해 볼밀링 장치의 스테인레스강 재질의 바이알에 장입하고 20mL의 헵탄(heptane)을 투입한 후, 스테인레스강 계열의 볼(직경 10mm)과 혼합 분말의 중량비를 5 : 1로 설정하여 볼을 투입하고, 160rpm으로 24시간 동안 저에너지 볼밀링 공정을 수행하여, 금속 분말 함량 대비 폴리머 분말 함량 분율이 서로 다른 5종의 금속/폴리머 혼합 분말(AlSium-15vol.%PAR, AlSium-20vol.%PAR, AlSium-25vol.%PAR, AlSium-30vol.%PAR, AlSium-35vol.%PAR)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금속/폴리머 혼합 분말을, 질화붕소(BN)을 도포한 초경(WC-Co) 몰드에 장입하여 승온속도 50℃/분, 소결온도 330℃, 소결시간 5분, 소결압력 250MPa으로 방전 플라즈마 소결 공정을 실시해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를 반도체 테스트 소켓용 복합재료를 제조하고, 이를 가공해 상기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구비한 PCB용 스프링핀 커넥터를 제조하였다(도 3).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a) (i)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분말 및 (ii) 폴리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혼합 분말을 방전 플라즈마 소결(spark plasma sintering, SPS)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은,
    (i)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분말 30 ~ 85 부피% 및 (ii) 폴리머 분말 15 ~ 70 부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분말은, 알루미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을 1 : 1의 부피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A) (i)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분말 및 (ii) 폴리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 분말을 제조하되, 혼합분말 내 폴리머 분말의 함량이 상이한 2종 이상의 혼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에서 제조한 2종 이상의 혼합 분말을 적층해, 최하층부로부터 최상층부로 향함에 따라 각층의 금속 분말 함량 대비 폴리머 분말 함량 분율이 서로 다른 경사기능성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경사기능성 적층체를 방전 플라즈마 소결하여 경사기능성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은 세라믹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분말은 MgO, SiO2, Al2O3 AlN 및 Si3N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8. 제7항에 기재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로 커넥터 하우징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배선 커넥터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
KR1020200046859A 2020-04-17 2020-04-17 우수한 방열성 및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KR102189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859A KR102189158B1 (ko) 2020-04-17 2020-04-17 우수한 방열성 및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PCT/KR2020/006659 WO2021210721A1 (ko) 2020-04-17 2020-05-21 우수한 방열성 및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US16/909,539 US11577313B2 (en) 2020-04-17 2020-06-23 Method of preparing composite material for highly heat-dissipative and durable electric wiring connector, and composite material for electric wiring connector prepar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859A KR102189158B1 (ko) 2020-04-17 2020-04-17 우수한 방열성 및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158B1 true KR102189158B1 (ko) 2020-12-09

Family

ID=7378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859A KR102189158B1 (ko) 2020-04-17 2020-04-17 우수한 방열성 및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77313B2 (ko)
KR (1) KR102189158B1 (ko)
WO (1) WO2021210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367B1 (ko) * 2020-04-17 2022-02-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한 방열성 및 내구성을 가지는 반도체 테스트 소켓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테스트 소켓용 복합재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884A (ja) * 1999-10-15 2001-04-27 Mitsubishi Heavy Ind Ltd 使用済み燃料貯蔵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混合粉末
KR20080054942A (ko) 2006-12-14 2008-06-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장품 배선용 커넥터
JP2008538136A (ja) * 2004-12-20 2008-10-09 メリディアン リサーチ アンド ディベロップメント 放射線検出性防護物品
JP4313297B2 (ja) 2004-12-15 2009-08-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配線用コネクタ
KR20090087438A (ko) * 2006-10-31 2009-08-17 알칸 테크놀로지 앤드 메니지먼트 리미티드 탄소 나노 튜브를 포함한 물질, 이러한 물질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190014537A (ko) * 2016-06-21 2019-02-12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반사율 및 열전도도를 나타내는 폴리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4395B2 (ja) * 2008-04-04 2014-08-20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9643144B2 (en) * 2011-09-02 2017-05-09 Baker Hughes Incorporated Method to generate and disperse nanostructures in a composite material
WO2014002581A1 (ja) * 2012-06-27 2014-01-03 株式会社クレファイン 合成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101515584B1 (ko) 2014-10-10 2015-05-04 (주)아프로테크 반도체 측정용 소켓에 설치되는 방열판과 그 제작방법
WO2016063591A1 (ja) * 2014-10-22 2016-04-28 Jsr株式会社 グリーン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無機系焼結体の製造方法
KR20160113499A (ko) 2015-03-21 2016-09-29 허정일 천연 발효발모제
EP3091047A1 (en) * 2015-05-07 2016-11-09 Dupont Teijin Films U.S Limited Partnership Polyester film with electrical insulation and heat conduction properties
KR102220359B1 (ko) * 2019-07-08 2021-02-2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은 방열성 및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금속-폴리머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재료
KR102357367B1 (ko) * 2020-04-17 2022-02-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한 방열성 및 내구성을 가지는 반도체 테스트 소켓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테스트 소켓용 복합재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884A (ja) * 1999-10-15 2001-04-27 Mitsubishi Heavy Ind Ltd 使用済み燃料貯蔵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混合粉末
JP4313297B2 (ja) 2004-12-15 2009-08-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配線用コネクタ
JP2008538136A (ja) * 2004-12-20 2008-10-09 メリディアン リサーチ アンド ディベロップメント 放射線検出性防護物品
KR20090087438A (ko) * 2006-10-31 2009-08-17 알칸 테크놀로지 앤드 메니지먼트 리미티드 탄소 나노 튜브를 포함한 물질, 이러한 물질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080054942A (ko) 2006-12-14 2008-06-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장품 배선용 커넥터
KR20190014537A (ko) * 2016-06-21 2019-02-12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반사율 및 열전도도를 나타내는 폴리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77313B2 (en) 2023-02-14
US20210323059A1 (en) 2021-10-21
WO2021210721A1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98364A1 (en) Method for preparing metal-polymer composite material with high heat dissipation and electric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composite material prepared thereby
KR102189158B1 (ko) 우수한 방열성 및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배선 커넥터용 복합재료
KR20170135105A (ko) 시트형 질화규소 기판의 제조방법
WO2007072743A1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57367B1 (ko) 우수한 방열성 및 내구성을 가지는 반도체 테스트 소켓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테스트 소켓용 복합재료
US2022035537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ly graded composite material for pcb having high heat dissipating properties and electric insulating properties, and functionally graded composite material manufactured thereby
CN114180943B (zh) 复合烧结体、半导体制造装置构件及复合烧结体的制造方法
US10710936B2 (en) Ceramic substr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ower module
KR102254512B1 (ko) 열차폐용 복합재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차폐용 복합재료
KR20220101100A (ko) 2축 연신 적층 필름, 적층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102352190B1 (ko) 우수한 방열성 및 내구성을 가지는 반도체 테스트 소켓용 적층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테스트 소켓용 적층재료
KR101559243B1 (ko) 세라믹 조성물, 세라믹 소결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90236A1 (ja) 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接合体、回路基板及びパワーモジュール
JPH02279569A (ja) 窒化ホウ素シート
KR20160063537A (ko) 팽창 흑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Ahn et al.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Oriented BN/Polyvinyl Butyral Matrix Composites
Reitz et al. Precursor derived SiOC/MoSi2-composites for diesel glow plugs: Preparation and high temperature properties
Yang et al. Effect of lamination conditions on sintered properties of glass-ceramic substrates for microelectronic packaging
JP6047779B2 (ja) セラミック焼結体の製造方法および機能性セラミック焼結体
KR102535856B1 (ko) 반도체 제조 장치용 세라믹 히터
JP2013010992A (ja)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KR20210049074A (ko) 폴리머와 이종 재료 간의 복합재료 제조방법
KR20200080958A (ko) 폴리머와 이종 재료 간의 복합재료 제조방법
WO2023120330A1 (ja) グリーンシート、窒化ケイ素焼結体の製造方法及び窒化ケイ素焼結体
WO2024053553A1 (ja) 水性分散液、及び水性分散液を用いた積層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