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033B1 -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033B1
KR102189033B1 KR1020200009644A KR20200009644A KR102189033B1 KR 102189033 B1 KR102189033 B1 KR 102189033B1 KR 1020200009644 A KR1020200009644 A KR 1020200009644A KR 20200009644 A KR20200009644 A KR 20200009644A KR 102189033 B1 KR102189033 B1 KR 102189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vertical bar
pickup truck
hangar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숨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숨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숨비
Priority to KR102020000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nchoring aircraft
    • B64F1/125Mooring or ground handling devices for heli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3/00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 B64F3/02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with mean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ircraft during f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64U80/8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by vehicles
    • B64U80/86L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0Air 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50Aeroplanes, Helicopters
    • B60Y2200/51Aeropl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실내공간에 전열좌석(11)과 후열좌석(12)이 마련되고 후미에 상향 개구된 적재함(13)이 마련된 픽업트럭(10)에 설치되어 드론(20)을 운용하는데 이용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에 있어서, 상기 드론(2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는 개구되어 수용된 드론(20)이 출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하부가 상기 적재함(13)에 고정장착되는 격납본체(110); 상기 드론(20)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수직바(240); 및 상기 적재함(13) 내에 수평배치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수직바(240)가 하향 관통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2)의 둘레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홈(211)이 형성되어 가이드홈(211)의 표면에 접촉된 수직바(240)의 하단이 삽입공(212)의 상단을 향해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하는 안착판(210);을 포함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DRONE HANGAR FOR PICKUP TRUCK WITH TAKE-OFF AND LANDING GUIDE FUNCTION AND, DRONE OP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에 전열좌석과 후열좌석이 마련되고 후미에 상향 개구된 적재함이 마련된 픽업트럭에 설치되어 드론을 운용하는데 이용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변이나 강가 또는 산림과 같이 익수자 발생이나 산불 등의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되는 장소에는 이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요원을 운용하거나 CCTV를 설치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감시영역이 넓은 경우 다수의 감시요원이나 CCTV가 운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과도한 감시운용비용이 발명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드론에 카메라를 장착하고 이를 감시영역에서 비행시켜 촬영된 영상을 지상에서 모니터링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넓은 감시영역을 감시하면서도 감시운용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었다. 이러한 드론의 경우 지상에 위치한 지상통제장치와 RF 통신방식의 신호교환으로 비행제어되고 촬영된 영상을 지상으로 전송하는데, 종래에는 지상통제장치가 감시영역 상의 일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드론을 비행제어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어 드론과 지상통제장치 간의 최대 통달거리까지만 감시영역에 대한 감시영상을 촬영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드론은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전원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수분 내지 수십분 주기로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배터리가 충분한 드론과 임무교대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감시공백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 지상통제장치의 경우 휴대용으로 구비되어 감시영역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에서 각 장비들을 꺼내어 제위치에 비치하고 각 장비들을 사용가능하도록 셋팅하기까지 상당한 대기시간이 소요되었다. 더욱이 야외에서 운용되는 지상통제장치는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장기간 감시영역에 대한 감시가 이루어지는 경우 감시시작시와 감시종료시마다 매번 지상통제장치를 셋팅하고 철거하는 절차를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감시영역을 촬영한 감시영상을 지상통제장치에 장착되거나 케이블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만 모니터링할 수 있어 각 감시영역에서 획득된 감시영상에 대한 통합적인 모니터링이나 관리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35401호(2015.07.02),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을 운용하기 위한 시스템이 픽업트럭에 설치되어 산악 및 험로 등 일반 차량의 접근이 쉽지 않은 곳까지 신속하게 이동 가능하여 응급, 재난 재해의 컨트롤 타워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착판에 드론이 착륙하거나 착륙한 드론이 이륙할 때 강풍이 불거나 픽업트럭에 큰 움직임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착륙 및 이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실내공간에 전열좌석(11)과 후열좌석(12)이 마련되고 후미에 상향 개구된 적재함(13)이 마련된 픽업트럭(10)에 설치되어 드론(20)을 운용하는데 이용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에 있어서, 상기 드론(2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는 개구되어 수용된 드론(20)이 출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하부가 상기 적재함(13)에 고정장착되는 격납본체(110); 상기 드론(20)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수직바(240); 및 상기 적재함(13) 내에 수평배치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수직바(240)가 하향 관통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2)의 둘레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홈(211)이 형성되어 가이드홈(211)의 표면에 접촉된 수직바(240)의 하단이 삽입공(212)의 상단을 향해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하는 안착판(210);을 포함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재함(13) 내에서 상하로 연장배치되어 상기 안착판(210)의 승하강 경로를 형성하는 승강가이드바(220); 및 상기 안착판(210)이 승강가이드바(220)를 따라 승하강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홈(211)의 내면에는 평단면이 가이드홈(211)의 중앙을 향해 측방으로 개구된 호형상이면서 상기 가이드홈(21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상향 연장된 다수의 오목골(215)이 둘레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211)의 둘레를 따라 각 오목골(215)이 밀착되게 연이어 배치되면서 인접된 두 오목골(215) 사이에는 뾰족하게 융기된 구획산(2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바(240)는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둘레에는 둘레에는 측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고정홈(24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2) 상에서 삽입된 수직바(240)의 고정홈과(243)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인출공(216)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12)의 둘레에는 인출공(216)을 통해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자석(217)이 배치되고, 상기 전자석(217)은 탄성부재(218)에 의해 외측방으로 당겨져 인출공(216)의 외부에 배치되다 구동전원이 인가되어 자기장이 형성되면 인출공(216)을 통해 상기 수직바(240)에 부착되면서 고정홈(243)에 삽입되어 수직바(240)의 삽입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기(420); 및 상기 발전기(420)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으며 상기 적재함(13)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은 드론(20)에 연결되며 타단 내부에 권취되는 전원케이블(412)이 구비되어 발전기(42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전원케이블(412)을 통해 드론(20)에 공급하는 유선전원공급기(410);를 더 포함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선전원공급기(410)는, 상기 발전기(420)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드론(20)이 비행구동하는데 필요한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413)와, 회전동작하며 상기 전원케이블(412)을 둘레에 권취하거나 둘레로부터 권출하는 권취롤(414) 및, 상기 권취롤(414)이 회전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선전원공급기(410)는, 드론(20)과 권취롤(414) 사이에 연장된 전원케이블(412)의 텐션크기를 감지하는 텐션감지부(417) 및, 상기 텐션감지부(417)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케이블(412)이 설정된 크기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상기 구동모터(415)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4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선전원공급기(410)는 드론(20)을 비행제어하는 지상통제장치(300)와 신호연결되는 통신부(4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16)는 통신부(419)를 통해 지상통제장치로(300)부터 드론(20)을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케이블(412)이 권취롤(414)에 권취되도록 하고 드론(20)을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케이블(412)이 권취롤(414)로부터 권출되도록 구동모터(415)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전기(420)는 픽업트럭의 동력계통에 연결되어 제공되는 회전력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PTO(Power Take Off) 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실내공간에 전열좌석(11)과 후열좌석(12)이 마련되고 후미에 상향 개구된 적재함(13)이 마련된 픽업트럭(10)에 설치되어 드론(20)을 운용하는데 이용되는 픽업트럭용 드론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후열좌석(12)에 배치되고 드론(20)을 비행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드론(20)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하는 지상통제장치; 및 상기 드론(2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는 개구되어 수용된 드론(20)이 출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하부가 상기 적재함(13)에 삽입되어 고정장착되는 격납본체(110)와, 상기 드론(20)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수직바(240) 및, 상기 적재함(13) 내에 수평배치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수직바(240)가 하향 관통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2)의 둘레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홈(211)이 형성되어 가이드홈(211)의 표면에 접촉된 수직바(240)의 하단이 삽입공(212)의 상단을 향해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하는 안착판(210)을 포함하는 드론격납고(100);를 포함하는 픽업트럭용 드론운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수직바(240)는 드론(20)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며, 안착판(210)은 적재함(13) 내에 수평배치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로 개구되어 수직바(240)가 하향 관통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2)의 둘레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홈(211)이 형성됨으로써, 가이드홈(211)의 표면에 접촉된 수직바(240)의 하단이 삽입공(212)의 상단을 향해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하여 안착판(210)에 드론(20)이 착륙하거나 착륙한 드론(20)이 이륙할 때 강풍이 불거나 픽업트럭(10)에 큰 움직임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착륙 및 이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드론(20)을 운용하기 위한 시스템이 픽업트럭(10)에 설치되어 산악 및 험로 등 일반 차량의 접근이 쉽지 않은 곳까지 신속하게 이동 가능하여 응급, 재난 재해의 컨트롤 타워의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승강가이드바(220)는 적재함(13) 내에서 상하로 연장배치되어 상기 안착판(210)의 승하강 경로를 형성하고, 승강구동부(230)는 상기 안착판(210)이 승강가이드바(220)를 따라 승하강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드론(20)이 이륙할때 주변 구성품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격납고(100)의 격납커버(120)를 슬림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상기 가이드홈(211)의 내면에는 평단면이 가이드홈(211)의 중앙을 향해 측방으로 개구된 호형상이면서 상기 가이드홈(21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상향 연장된 다수의 오목골(215)이 둘레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211)의 둘레를 따라 각 오목골(215)이 밀착되게 연이어 배치되면서 인접된 두 오목골(215) 사이에는 뾰족하게 융기된 골구획산(214)이 형성됨으로써, 드론(20)이 하강하면서 수직바(240)의 하단이 가이드홈(211)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측방으로 슬립되어 드론(20)이 전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수직바(240)는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둘레에는 측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고정홈(24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2) 상에서 삽입된 수직바(240)의 고정홈(243)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인출공(216)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12)의 둘레에는 인출공(216)을 통해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자석(217)이 배치되고, 상기 전자석(217)은 탄성부재(218)에 의해 외측방으로 당겨져 인출공(216)의 외부에 배치되다 구동전원이 인가되어 자기장이 형성되면 인출공(216)을 통해 상기 수직바(240)에 부착되면서 고정홈(243)에 삽입되어 수직바(240)의 삽입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록킹하여 안착판(210)에 착륙한 드론(20)이 강풍이나 외부 가압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격납고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격납커버가 생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격납고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픽업트럭용 드론운용 시스템이 픽업트럭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격납고가 픽업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격납고의 개폐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격납커버의 저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격납고의 개폐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격납고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격납고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격납고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착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착판의 오목골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에 의해 안착판에 안착한 드론이 록킹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격납고의 유선전원공급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선전원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픽업트럭용 드론운용 시스템은 실내공간에 전열좌석(11)과 후열좌석(12)이 마련되고 후미에 상향 개구된 적재함(13)이 마련된 픽업트럭(10)에 설치되어 드론(20)을 운용하는데 이용되는 드론운용 시스템으로서, 지상통제장치(300) 및 드론격납고(1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지상통제장치(300)는 드론(20)을 비행제어하기 위한 조종수단으로서 상기 후열좌석(12)에 배치되고 드론(20)을 비행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드론(20)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열좌석(12)에는 지상통제장치(300)를 운용하는데 필요한 각종 통신장치 및 제어장치 등을 수납하는 수납프레임(330)이 구비되고 이 수납프레임(330)의 상부에 디스플레이(310)가 거치되어 협소한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드론격납고(100)는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납본체(110), 수직바(240) 및 안착판(210)을 포함한다.
상기 격납본체(110)는 드론(2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는 개구되어 수용된 드론(20)이 출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하부가 상기 적재함(13)에 삽입되어 고정장착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납본체(110)는 복수의 골조프레임(111)이 사각형태로 조립되어 골조를 형성하고 각 골조프레임(111) 사이에 장착되어 측부를 커버하는 측판으로 이루어지며, 골조프레임(111)의 하부만이 적재함(13)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필요시 측판까지 함께 적재함(1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바(240)는 드론(20)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다.
상기 수직바(240)는 상하로 길이가 조절되는 신축구조로 이루어져 드론(20)의 비행시에는 최소길이로 줄어들어 외부장애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착륙시에는 하부방향으로 길이가 길어져 가이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바(24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이 중공에 전원케이블(412)이 관통삽입되어 드론(20)의 전원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론(20)이 안착판(210)에 착륙시 삽입공(212)을 통해 외부로 권출되는 전원케이블(412)이 줄어들게 되면 수직바(240)의 단부가 삽입공(212)을 향해 당겨지게 되면서 삽입공(212)을 관통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안착판(210)은 상기 적재함(13) 내에 수평배치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수직바(240)가 하향 관통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2)의 둘레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홈(211)이 형성되어 가이드홈(211)의 표면에 접촉된 수직바(240)의 하단이 삽입공(212)의 상단을 향해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삽입공(212)에는 일정길이로 하향 연장된 연장관(219)이 형성되어 삽입된 수직바(240)가 수직방향으로 하향 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바(240)와 안착판(210)의 조합된 구성으로 가이드홈(211)의 표면에 접촉된 수직바(240)의 하단이 삽입공(212)의 상단을 향해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하여 안착판(210)에 드론(20)이 착륙하거나 착륙한 드론(20)이 이륙할 때 강풍이 불거나 픽업트럭(10)에 큰 움직임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착륙 및 이륙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적재함(13) 내에서 상하로 연장배치되는 승강가이드바(220)는 상기 안착판(210)의 승하강 경로를 형성하고, 승강구동부(230)는 상기 안착판(210)이 승강가이드바(220)를 따라 승하강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드론(20)이 이륙할때 주변 구성품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격납고(100)의 격납커버(120)를 슬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바(220)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신축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승강구동부(230)의 구동력으로 신축동작한다. 상기 승강구동부(230)로는 도면에서와 같이 공압이나 유압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승강구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211)의 내면에는 평단면이 가이드홈(211)의 중앙을 향해 측방으로 개구된 호형상이면서 상기 가이드홈(21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상향 연장된 다수의 오목골(215)이 둘레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211)의 둘레를 따라 각 오목골(215)이 밀착되게 연이어 배치되면서 인접된 두 오목골(215) 사이에는 뾰족하게 융기된 골구획산(214)이 형성됨으로써, 드론(20)이 하강하면서 수직바(240)의 하단이 가이드홈(211)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측방으로 슬립되어 드론(20)이 전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바(240)는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둘레에는 측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고정홈(24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2) 상에서 삽입된 수직바(240)의 고정홈(243)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인출공(216)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12)의 둘레에는 인출공(216)을 통해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자석(217)이 배치되고, 상기 전자석(217)은 탄성부재(218)에 의해 외측방으로 당겨져 인출공(216)의 외부에 배치되다 구동전원이 인가되어 자기장이 형성되면 인출공(216)을 통해 상기 수직바(240)에 부착되면서 고정홈(243)에 삽입되어 수직바(240)의 삽입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록킹하여 안착판(210)에 착륙한 드론(20)이 강풍이나 외부 가압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론격납고(100)는 드론(20)을 수용하는 함체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납커버(120) 및 개폐구동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납커버(120)는 격납본체(1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딩하거나 회동하면서 개구된 통로를 개폐한다. 여기서, 격납커버(120)는 격납본체(110)의 상부에 수평배치된 상태에서 일측단부가 격납본체(110)에 힌지결합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격납커버(120)는 격납본체(110)의 상부에서 전후방(L)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격납본체(110)의 개구된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격납커버(120)가 전후방(L)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격납본체(110)의 통로를 개폐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개폐구동부(130)는 격납커버(120)가 개폐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운전자나 드론조종자가 픽업트럭(10) 내부에서 격납커버(120)를 자동 개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픽업트럭(10)의 루프(14) 상에서 후열좌석(12)의 상부 위치에는 수평배치되는 연장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구동부(130)는 연장부(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격납커버(120)가 전후방(L)으로 슬라이딩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격납커버(12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후방에 배치된 격납본체(110)의 개구된 통로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동시에 전방으로 슬라이딩된 격납커버(12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쳐지면서 훼손되거나 전열좌석(11)에 착석한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납커버(120)는 저면의 중앙에 전후방(L)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길이를 따라 하부에 기어가 연이어 형성된 랙바(121)가 배치되고, 저면의 폭방향(W) 양측에는 전후방(L)으로 연장된 가이드바(122)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개폐구동부(13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31)와, 구동모터(131)의 구동축에 축결된 구동기어(132)와, 상기 구동기어(132)에 연결되어 수평배치된 회전축(135)을 회전시키는 피동기어(133)와, 상기 회전축(135) 상에 축결되며 상기 랙바(121)의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134) 및, 각 가이드바(1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축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가이드바(122)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3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31)가 정회전 구동하면 구동기어(13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동기어(133)를 회전시키고 회전축(135)이 함께 회전하면서 피니언기어(134)를 회전시켜 이 피니언기어(134)에 치합되어 있는 랙바(12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10과 같이 격납커버(12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격납본체(110)의 통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격납커버(120)의 하중은 양측의 가이드바(122)를 통해 지지롤러(136)에 지지되어 분산되기 때문에 보다 작은 구동력으로도 격납커버(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격납커버(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31)가 역회전 구동하면 구동기어(132)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동기어(133)를 회전시키고 회전축(135)이 함께 회전하면서 피니언기어(134)를 회전시켜 랙바(12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9와 같이 격납커버(12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이동하여 격납본체(110)의 통로를 폐쇄시키게 된다.
더불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격납본체(110)의 상단 폭방향(W) 양측에는 각각 전후방(L)으로 연장되게 수평배치되는 가이드레일(113)이 배치되고, 상기 격납커버(120) 상에서 각 가이드레일(113)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전후방(L)으로 연장되게 수평배치되어 가이드레일(113)에 지지되면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바(123)가 배치됨으로써, 격납커버(12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쳐지는 현상으로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격납본체(110), 격납커버(120) 및 개폐구동부(13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드론(20)이 수용된 격납고(100)의 상부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어 필요시 드론(20)의 신속한 전개 및 철수가 가능하며 드론(20)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론격납고(100)는 도 11, 도 12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420) 및 유선전원공급기(4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발전기(420)는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발전기(420)로 픽업트럭(10)의 동력계통에 연결되어 제공되는 회전력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PTO(Power Take Off) 발전기를 이용함으로써, 발전기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화석연료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일반 발전기로 구현할 수 없는 고출력의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PTO 발전기는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픽업트럭(10)의 동력계통의 위치에 따라 도면에서와 같이 차량하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드론격납고(10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420)가 차량하부에 장착되는 경우 드론격납고(100) 내부에 설치되는 유선전원공급기(41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격납본체(110)의 내부에는 발전기(420)와 전원라인으로 연결된 콘센트(421)가 장착되고 이 콘센트(421)에 유선전원공급기(410)의 전원플러그를 삽입하여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유선전원공급기(410)는 드론(20)이 비행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발전기(420)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으며 상기 적재함(13)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은 드론(20)에 연결되며 타단 내부에 권취되는 전원케이블(412)이 구비되어 발전기(42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전원케이블(412)을 통해 드론(20)에 공급한다. 따라서, 도 17에서와 같이 비행중에 지속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여 장시간 감시 관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선전원공급기(410)는, 발전기(420)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드론(20)이 비행구동하는데 필요한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413)와, 회전동작하며 상기 전원케이블(412)을 둘레에 권취하거나 둘레로부터 권출하는 권취롤(414) 및, 상기 권취롤(414)이 회전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15)를 포함함으로써, 드론(20)의 비행가능고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변환부(413), 권취롤(414) 및 구동모터(415)는 케이스(418) 내부에 일체로 장착되어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선전원공급기(410)는, 드론(20)과 권취롤(414) 사이에 연장된 전원케이블(412)의 텐션크기를 감지하는 텐션감지부(417) 및, 상기 텐션감지부(417)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케이블(412)이 설정된 크기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상기 구동모터(131)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416)를 더 포함함으로써, 드론(20)이 상승할 때 자동으로 전원케이블(412)을 연장시켜 요구되는 비행가능고도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하며, 드론(20)이 하강할 때 느슨해진 전원케이블(412)이 드론(20)에 감기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유선전원공급기(410)는 드론(20)을 비행제어하는 지상통제장치(300)와 신호연결되는 통신부(4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16)는 통신부(419)를 통해 지상통제장치(300)로부터 드론(20)을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케이블(412)이 권취롤(414)에 권취되도록 하고 드론(20)을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케이블(412)이 권취롤(414)로부터 권출되도록 구동모터(131)를 구동제어함으로써, 드론(20)의 비행고도가 변화되면 동시에 전원케이블(412)의 길이가 자동조절되어 드론(20)이 상승하면서 전원케이블(412)을 잡아당겨야 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드론(20)이 빠른 속도로 하강하더라도 동시에 전원케이블(412)을 줄여 드론(20)이 전원케이블(412)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드론격납고
110...격납본체 112...연장부
113...가이드레일 120...격납커버
121...렉바 122...가이드바
123...슬라이딩바 130...개폐구동부
210...안착판 240...수직바
300...지상통제장치 410...유선전원공급기
412...전원케이블 413...전원변환부
414...권취롤 415...구동모터
416...제어부 417...텐션감지부
419...통신부 420...발전기

Claims (10)

  1. 실내공간에 전열좌석(11)과 후열좌석(12)이 마련되고 후미에 상향 개구된 적재함(13)이 마련된 픽업트럭(10)에 설치되어 드론(20)을 운용하는데 이용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에 있어서, 상기 드론(2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는 개구되어 수용된 드론(20)이 출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하부가 상기 적재함(13)에 고정장착되는 격납본체(110); 상기 드론(20)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수직바(240); 및 상기 적재함(13) 내에 수평배치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수직바(240)가 하향 관통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2)의 둘레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홈(211)이 형성되어 가이드홈(211)의 표면에 접촉된 수직바(240)의 하단이 삽입공(212)의 상단을 향해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하는 안착판(21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211)의 내면에는 평단면이 가이드홈(211)의 중앙을 향해 측방으로 개구된 호형상이면서 상기 가이드홈(21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상향 연장된 다수의 오목골(215)이 둘레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211)의 둘레를 따라 각 오목골(215)이 밀착되게 연이어 배치되면서 인접된 두 오목골(215) 사이에는 뾰족하게 융기된 구획산(214)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바(240)는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둘레에는 둘레에는 측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고정홈(24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2) 상에서 삽입된 수직바(240)의 고정홈과(243)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인출공(216)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12)의 둘레에는 인출공(216)을 통해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자석(217)이 배치되고, 상기 전자석(217)은 탄성부재(218)에 의해 외측방으로 당겨져 인출공(216)의 외부에 배치되다 구동전원이 인가되어 자기장이 형성되면 인출공(216)을 통해 상기 수직바(240)에 부착되면서 고정홈(243)에 삽입되어 수직바(240)의 삽입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3) 내에서 상하로 연장배치되어 상기 안착판(210)의 승하강 경로를 형성하는 승강가이드바(220); 및
    상기 안착판(210)이 승강가이드바(220)를 따라 승하강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기(420); 및
    상기 발전기(420)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으며 상기 적재함(13)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은 드론(20)에 연결되며 타단 내부에 권취되는 전원케이블(412)이 구비되어 발전기(42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전원케이블(412)을 통해 드론(20)에 공급하는 유선전원공급기(410);를 더 포함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선전원공급기(410)는,
    상기 발전기(420)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드론(20)이 비행구동하는데 필요한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413)와,
    회전동작하며 상기 전원케이블(412)을 둘레에 권취하거나 둘레로부터 권출하는 권취롤(414) 및,
    상기 권취롤(414)이 회전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선전원공급기(410)는,
    드론(20)과 권취롤(414) 사이에 연장된 전원케이블(412)의 텐션크기를 감지하는 텐션감지부(417) 및,
    상기 텐션감지부(417)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케이블(412)이 설정된 크기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상기 구동모터(415)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4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선전원공급기(410)는 드론(20)을 비행제어하는 지상통제장치(300)와 신호연결되는 통신부(4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16)는 통신부(419)를 통해 지상통제장치로(300)부터 드론(20)을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케이블(412)이 권취롤(414)에 권취되도록 하고 드론(20)을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케이블(412)이 권취롤(414)로부터 권출되도록 구동모터(415)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420)는 픽업트럭의 동력계통에 연결되어 제공되는 회전력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PTO(Power Take Off) 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10. 실내공간에 전열좌석(11)과 후열좌석(12)이 마련되고 후미에 상향 개구된 적재함(13)이 마련된 픽업트럭(10)에 설치되어 드론(20)을 운용하는데 이용되는 픽업트럭용 드론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후열좌석(12)에 배치되고 드론(20)을 비행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드론(20)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하는 지상통제장치; 및
    상기 드론(2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는 개구되어 수용된 드론(20)이 출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하부가 상기 적재함(13)에 삽입되어 고정장착되는 격납본체(110)와, 상기 드론(20)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수직바(240) 및, 상기 적재함(13) 내에 수평배치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수직바(240)가 하향 관통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2)의 둘레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홈(211)이 형성되어 가이드홈(211)의 표면에 접촉된 수직바(240)의 하단이 삽입공(212)의 상단을 향해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하는 안착판(210)을 포함하는 드론격납고(1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211)의 내면에는 평단면이 가이드홈(211)의 중앙을 향해 측방으로 개구된 호형상이면서 상기 가이드홈(21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상향 연장된 다수의 오목골(215)이 둘레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211)의 둘레를 따라 각 오목골(215)이 밀착되게 연이어 배치되면서 인접된 두 오목골(215) 사이에는 뾰족하게 융기된 구획산(214)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바(240)는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둘레에는 둘레에는 측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고정홈(24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2) 상에서 삽입된 수직바(240)의 고정홈과(243)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인출공(216)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12)의 둘레에는 인출공(216)을 통해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자석(217)이 배치되고, 상기 전자석(217)은 탄성부재(218)에 의해 외측방으로 당겨져 인출공(216)의 외부에 배치되다 구동전원이 인가되어 자기장이 형성되면 인출공(216)을 통해 상기 수직바(240)에 부착되면서 고정홈(243)에 삽입되어 수직바(240)의 삽입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용 드론운용 시스템.
KR1020200009644A 2020-01-28 2020-01-28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KR102189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644A KR102189033B1 (ko) 2020-01-28 2020-01-28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644A KR102189033B1 (ko) 2020-01-28 2020-01-28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033B1 true KR102189033B1 (ko) 2020-12-10

Family

ID=7379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644A KR102189033B1 (ko) 2020-01-28 2020-01-28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03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4677A (zh) * 2019-12-10 2020-03-17 中国兵器装备集团自动化研究所 用于系留无人机的收放装置
CN114229022A (zh) * 2021-12-07 2022-03-25 广州市赛皓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机巢机翼的摆杆装置
JP7050375B1 (ja) 2021-10-25 2022-04-08 アラセ・アイザワ・アエロスパシアル合同会社 可搬型ドローンポートシステム
KR20220123855A (ko) 2021-03-02 2022-09-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건설 및 광산 현장관리용 드론 운영 시스템의 헬리패드
CN115320476A (zh) * 2022-06-10 2022-11-1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载无人机的升降平台及汽车
CN115743660A (zh) * 2022-12-05 2023-03-07 无锡格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仓无人机机库
CN116442914A (zh) * 2023-06-15 2023-07-18 国网山西省电力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多功能通信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9034A (ja) * 2011-10-05 2013-05-02 Zero:Kk 空撮用回転翼機
KR20130119633A (ko) * 2012-04-24 2013-11-01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유선연결 무인항공기 시스템
KR101535401B1 (ko) 2015-04-01 2015-07-08 오인선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9034A (ja) * 2011-10-05 2013-05-02 Zero:Kk 空撮用回転翼機
KR20130119633A (ko) * 2012-04-24 2013-11-01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유선연결 무인항공기 시스템
KR101535401B1 (ko) 2015-04-01 2015-07-08 오인선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CA Group UAW tethered UAV Express pickup. 유튜브. 2016.6.12, <URL : https://www.youtube.com/watch?v=75nynaWRdrM>* *
Ththered UAV - HoverLite. 유튜브. 2015.10.18, <URL : https:// www.youtube.com/watch?v=Rs6ejs3vbCM>* *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4677A (zh) * 2019-12-10 2020-03-17 中国兵器装备集团自动化研究所 用于系留无人机的收放装置
KR20220123855A (ko) 2021-03-02 2022-09-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건설 및 광산 현장관리용 드론 운영 시스템의 헬리패드
JP7050375B1 (ja) 2021-10-25 2022-04-08 アラセ・アイザワ・アエロスパシアル合同会社 可搬型ドローンポートシステム
JP2023063997A (ja) * 2021-10-25 2023-05-10 アラセ・アイザワ・アエロスパシアル合同会社 可搬型ドローンポートシステム
CN114229022A (zh) * 2021-12-07 2022-03-25 广州市赛皓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机巢机翼的摆杆装置
CN115320476A (zh) * 2022-06-10 2022-11-1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载无人机的升降平台及汽车
CN115743660A (zh) * 2022-12-05 2023-03-07 无锡格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仓无人机机库
CN115743660B (zh) * 2022-12-05 2023-10-20 无锡格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仓无人机机库
CN116442914A (zh) * 2023-06-15 2023-07-18 国网山西省电力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多功能通信车
CN116442914B (zh) * 2023-06-15 2023-10-27 国网山西省电力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多功能通信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033B1 (ko) 이착륙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KR102189039B1 (ko) 개폐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KR102139300B1 (ko) 드론 격납이 가능한 승강 폴 시스템
KR102317955B1 (ko) 드론운용 시스템
US6010093A (en) High altitude airship system
US9630726B2 (en) Self transportable aerostat system
EP1328429B1 (de) Windpark
US6708926B2 (en) Modular integrated self-contained cargo deployment/retrieval system
KR101921702B1 (ko) Cctv용 승하강 장치
KR101888930B1 (ko) 드론 모바일스테이션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US20170050115A1 (en) Ride system
EP1478851B1 (de) Offshore windpark
US20120119907A1 (en) Warning stanchion
DE19934210B4 (de) Transportsystem mit einer Träg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andhaben von Nutzlast bei Trägervorrichtungen
KR20210134148A (ko) 드론 격납 시스템
DE60010435T2 (de) Startverfahren für hochfliegende luftschiffe
KR200492801Y1 (ko) 드론 모바일 스테이션
KR102317954B1 (ko) 전원공급 기능이 구비된 드론운용 시스템
EP1003266B1 (de) Flugkörper mit schwenkbarer Anordnung des Solarzellenpanels
EP3770066B1 (de) Drohne zum geräuscharmen ausliefern von objekten
CN214875569U (zh) 一种基于5g传输的安防系留无人机
US1097796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storing a banner or advertisement on a horizontal wind turbine
KR20220061605A (ko) 유,무인 드론용 비상 낙하산 산개 장치
FR2847279A1 (fr) Dispositif autonome permettant de reserver l&#39;acces a certaines voies ou zones protegees
KR20200131980A (ko) 자력으로 이동하는 cctv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