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478B1 - 미세입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입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478B1
KR102188478B1 KR1020190024427A KR20190024427A KR102188478B1 KR 102188478 B1 KR102188478 B1 KR 102188478B1 KR 1020190024427 A KR1020190024427 A KR 1020190024427A KR 20190024427 A KR20190024427 A KR 20190024427A KR 102188478 B1 KR102188478 B1 KR 102188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fine particles
tip
rotat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5734A (ko
Inventor
조광영
Original Assignee
조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영 filed Critical 조광영
Priority to KR1020190024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4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06Details, e.g. sample holders, mounting samples fo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18Testing of filters, filter elements, seal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84Testing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입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입자를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을 구성하며 일부 영역에 수용홀이 형성된 바닥판; 상기 수용홀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하며 회전가능한 회전판; 및 상기 저장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하방향으로 돌출된 팁을 구비한 팁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소정 깊이의 상부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홈을 포함한 회전판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저장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팁 조절장치의 팁이 상기 회전판의 상부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팁 조절장치가 상기 저장부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미세입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세입자 공급 장치 {Particulate matter feeder}
본 발명은 미세입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량의 미세입자를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미세입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나 터빈, 엔진, 집진장치 등에 각종 산업에 사용되는 에어필터나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생활용 가정용의 각종 공기필터 등은 제조가 완료된 후 요구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성능시험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성능시험을 위해 미세입자를 공기 중에 혼합하여 시험대상으로 분사하는 미세입자 공급 시스템이 사용되는데, 미세먼지, 모래 등 각종 미세입자의 농도 변화에 따라 시험대상인 필터의 집진효율을 측정해야 하므로 필터의 정확한 성능시험을 위해서는 미세입자를 일정한 농도로 공급해야 하고 공급량의 조절이 정밀해야 한다.
특허문헌1: 한국 등록특허 제10-0247945호 (2000년 3월 15일 공고) 특허문헌2: 한국 등록특허 제10-1136857호 (2012년 4월 26일 공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판의 회전속도에 의해 미세입자의 공급량을 일차적으로 조절하고 이에 더하여 회전판에 형성된 홈에 채워진 미세입자와 접촉하는 팁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미세입자 공급량을 한층 더 정확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세입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입자 공급 장치로서, 미세입자를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을 구성하며 일부 영역에 수용홀이 형성된 바닥판; 상기 수용홀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하며 회전가능한 회전판; 및 상기 저장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하방향으로 돌출된 팁을 구비한 팁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소정 깊이의 상부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홈을 포함한 회전판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저장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팁 조절장치의 팁이 상기 회전판의 상부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팁 조절장치가 상기 저장부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판의 회전속도에 의해 미세입자의 공급량을 일차적으로 조절하고 이에 더하여 회전판에 형성된 홈에 채워진 미세입자와 접촉하는 팁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미세입자 공급량을 한층 더 정확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입자를 수용하는 저장부를 상부 저장부와 하부 저장부로 구획하고 상부 임펠러를 구동하여 상부 저장부의 미세입자를 하부 저장부로 낙하하여 하부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부 저장부의 임펠러의 원활한 교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회전판의 상부홈에 균일하고 일정한 양의 미세입자가 채워지는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판의 측면 외주면에 접하는 바닥부의 측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양모와 그리스를 충진하도록 구성하여 회전판이 회전할 때 바닥부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회전판과 바닥부 사이의 공간으로 미세입자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1은 미세입자를 공급하는 미세입자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공급 시스템 중 일부 구성의 정면도,
도3은 일 실시예의 미세입자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4는 일 실시예의 미세입자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
도5는 일 실시예의 미세입자 공급장치의 단면도,
도6은 일 실시예의 미세입자 공급장치의 팁 조절장치와 회전판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7은 일 실시예의 미세입자 공급장치의 토출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8은 일 실시예의 미세입자 공급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길이, 두께, 넓이 등의 수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미세입자를 공급하는 미세입자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다. 미세입자 공급 시스템은 미세입자의 용도에 맞게 다양한 종류의 미세입자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필터, 에어 클리너, 엔진, 터빈 등의 성능시험 대상에 따라 모래, 먼지(더스트), 세라믹 입자, 카본 입자 등 다양한 종류의 미세입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의 미세입자를 일정량씩(예컨대 2 내지 40 g/min) 공급할 수 있다. 미세입자는 대략 수백 나노미터부터 수백 마이크로미터 사이즈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세입자의 크기나 공급량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공급 시스템은 미세입자 공급장치(100), 에어 드라이어(200), 이젝터(300), 전자 저울(400), 및 노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입자 공급 장치(100)는 미세입자를 저장하며 저장부로부터 미세입자를 일정량씩 토출하여 이젝터(300)로 공급하는 장치이며 이하에서 도3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에어 드라이어(200)는 건조한 공기를 공급한다. 예를 들어 에어 드라이어(200)는 대략 1bar의 압력으로 0 내지 1 M3/min의 유량으로 건조 공기를 이젝터(3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젝터(300)는 벤츄리(Venturi) 효과를 이용하여 공기에 미세입자를 혼합한다. 이젝터(300)는 내부 배관의 직경이 서서히 줄어들다가 확대되는 벤츄리 관에 혼합 대상의 미세입자를 주입한다. 일반적으로 이젝터(300)의 입력단을 구동노즐(motive nozzle), 출력단을 분사노즐(diffuser nozzle), 혼합대상 유체를 입력하는 주입구를 흡입구(suction port)라 칭하며, 도시한 실시예에서 에어 드라이어(200)로부터의 건조 공기와 미세입자 공급장치(100)로부터의 미세입자가 각각 이젝터(300)의 구동노즐과 흡입구로 유입되고 미세입자가 혼합된 공기가 이젝터(300)의 분사노즐을 통해 배출된다.
전자 저울(400)은 미세입자 중량을 실시간 정밀 측정하며, 전자 저울(400)을 통과한 혼합 공기가 노즐(500)을 통해 예컨대 에어필터, 에어 클리너, 엔진, 터빈, 집진장치 등 성능시험 대상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공급 시스템 중 미세입자 공급 장치(100)와 이젝터(300) 주변 구성장치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미세입자 공급 장치(100)는 예컨대 제어패널(150)을 구비한 장치 프레임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장치 프레임 위에는 미세입자 공급 장치(100) 내부의 임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110) 및 감속기 박스(120)가 설치되고, 감속기 박스(120) 위에 미세입자 공급 장치(1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동모터(110)의 구동축이 감속기 박스(120)에 연결되어 있다.
미세입자 공급 장치(100)의 일 측면에 미세입자를 배출하는 토출부(55)가 형성되고 그 아래에 호퍼(47)가 배치된다. 토출부(55)에서 배출되는 미세입자가 호퍼(47)를 통해 이젝터(300)로 유입된다. 이젝터(300)의 일측에 에어 드라이어(200)로부터 건조 공기를 공급받는 유입관(101)이 연결되고 타측에 전자 저울(400)로 혼합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102)이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입관(101)을 통해 이젝터(300)로 공급된 건조 공기에 이젝터(300) 내에서 미세입자와 혼합하고 혼합 공기가 배출관(102)을 통해 노즐(400)로 배출된다.
이제 도3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공급 장치(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일 실시예의 미세입자 공급 장치(100)의 사시도, 도4는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5는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공급 장치(100)는 연결판(10), 받침대(20), 미세입자를 수용하는 저장부, 저장부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임펠러(62,63), 및 저장부의 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회전판(40), 및 저장부의 일측에 형성된 토출부(55)와 팁 조절장치(70), 및 그 아래쪽에 배치된 호퍼(47) 등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판(10)은 감속기 박스(도2의 120)와 미세입자 공급 장치(100)를 연결하며 미세입자 공급 장치(100)를 지지한다. 연결판(10) 위에 받침대(20)가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20)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미세입자를 수용하는 저장부를 받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받침대(20)는 내부에 구동축(30), 구동기어(31) 등 구성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다.
미세입자를 수용하는 저장부는 원통형의 케이스(80), 바닥판(50), 및 덮개(90)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판(50)은 받침대(20)의 상부와 결합되어 지지되며 미세입자 저장부의 바닥면을 정의한다. 바닥판(50)의 중심에는 구동축(30)이 관통하도록 관통구(51)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30)은 하나 이상의 임펠러(62,63)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축이며, 구동축(30)의 하단부는 받침대(20)를 관통하여 감속기 박스(120)에 연결된다.
바닥판(50)의 측면에는 외부로 연장된 플랜지(52)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52)를 통해 받침대(2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52)와 바닥판(50)의 사이에 원통형상의 케이스(80)가 끼워짐으로써 바닥판(50)과 케이스(8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8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원통 형상이다. 케이스(80)의 상부에는 덮개(9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케이스(80)는 케이스(80) 내부 공간을 상부 저장부(S1)와 하부 저장부(S2)로 구획하는 분리판(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판(81)은 케이스(8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제작된 후 케이스(80)의 내부 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분리판(81)의 중앙부에는 구동축(3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82)가 형성되어 있다.
미세입자 저장부가 도시한 것처럼 상부 저장부(S1)와 하부 저장부(S2)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 각 저장부(S1,S2)에 임펠러가 설치된다. 즉 상부 저장부(S1)에는 상부 임펠러(62)가 배치되고 하부 저장부(S2)에는 하부 임펠러(63)가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 임펠러(62,63)는 모두 구동축(30)에 일체로 결합되고, 구동축(30)의 회전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임펠러(62,63)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상부 임펠러(62)는 분리판(81)의 상부 바닥면에 쌓여있는 미세입자를 교반하며 그 중 일부가 관통구(82)를 통해 하부 저장부(S2)로 낙하하도록 구성되고, 하부 임펠러(63)는 바닥판(50)의 바닥면에 쌓여있는 미세입자를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분리판(81)에 의해 저장부를 상부 저장부(S1)와 하부 저장부(S2)로 구획하고 각 저장부에 임펠러(62,63)를 각각 설치하여 교반하도록 함으로써 하부 임펠러(63)에 걸리는 부하를 줄이고 교반 작용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분리판(81)이 없는 경우 케이스(80) 내에 미세입자가 높이 쌓여있으면 아래쪽의 밀도가 높이지고 빽빽하게 되어서 임펠러(63)가 잘 작동하지 않고 교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분리판(81)을 두고 상부와 하부 저장부로 구획할 경우, 덮개(90)를 열고 위쪽에서 미세입자를 넣으면 미세입자가 분리판(81)의 상부 바닥면에 먼저 쌓이고 상부 임펠러(62)의 회전에 의해 분리판 중앙의 관통구(82)로 미세입자가 소량씩 하부 저장부(S2)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적정량의 미세입자가 하부 저장부(S2)에 수용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하부 임펠러(63)가 원활히 교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바닥판(50)의 바닥면 중 일부 영역에는 원형의 관통구인 수용홀(53)이 형성되고, 이 수용홀(53)을 커버하도록 회전판(40)이 수용홀(53)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회전판(40)은 미세입자 저장부의 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회전판(40)은 회전판 지지부(4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고 지지부(45)는 받침대(20)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판(40)은 받침대(2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회전판(40)을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구동수단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회전판(40)은 구동축(30)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30)의 하부에 구동기어(31)가 일체로 결합되고 회전판(40)의 하부에는 종속기어(33)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종속기어(33)는 구동기어(31)에 직접적 또는 하나 이상의 기어를 통해 간접적으로 맞물려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축(30)의 회전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임펠러(62,63)가 동시에 회전할 뿐만 아니라 회전판(40)도 회전할 수 있다.
이제 도6과 도7을 더 참조하여 미세입자를 배출하는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6은 회전판(40)과 팁 조절장치(70)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회전판(40)의 상부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면 전체 둘레에 걸쳐 소정 깊이의 상부홈(41)이 형성되어 있다.
팁 조절장치(70)는 팁(71), 선단 하우징(72), 조절볼트(73), 및 표시계(75)로 구성된다. 팁(71)은 선단 하우징(72) 내에 끼워져 있으며 사용자가 조절볼트(73)를 회전하여 팁(71)이 선단 하우징(72)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표시계(75)는 팁(71)의 돌출된 길이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팁(71)의 직경은 회전판(40)의 상부홈(41)의 폭과 동일하며 팁(71)이 이 상부홈(41)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술하였듯이 회전판(40)은 미세입자 저장부의 하부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고 있으므로 미세입자가 회전판(40)의 상부홈(41)에도 균일하게 채워져 있다. 팁(71)이 상부홈(41) 내에 끼워져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회전판(40)이 회전하면 팁(71)이 상부홈(41)을 따라 움직이며 상부홈(41)에 채워져 있는 미세입자를 긁어내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고, 따라서 상부홈(41)에 채워져 있던 미세입자들이 상부홈(41)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조절볼트(73)를 조절하여 팁(71)의 돌출 길이를 더 길게하면 팁(71)이 상부홈(41)에 더 깊이 삽입되므로 회전판(40)의 회전에 의해 더 많은 미세입자가 배출되고, 팁(71)의 돌출 길이를 짧게 조절하면 팁(71)이 상부홈(41)에 얕게 삽입되므로 더 작은 양의 미세입자가 배출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일차적으로 회전판(40)의 회전 속도에 의해 미세입자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팁(71)의 돌출 길이(즉, 상부홈(41)에 삽입되는 팁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미세입자의 배출량을 더 정밀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7은 미세입자 공급장치의 토출부를 확대한 사시도로서, 도7을 참조하면, 상부홈(41)을 포함한 회전판(4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저장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이 노출된 영역에 팁 조절장치(70)의 선단 하우징(72)과 팁(71)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바닥판(50)의 외측의 플랜지(52)의 일부가 절개되어 토출부(55)를 형성하며, 이 토출부(55)에 회전판(40)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어 있다. 팁 조절장치(70)가 토출부(55)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선단 하우징(72)의 아래쪽으로 돌출한 팁(71)은 노출된 회전판(40)의 상부홈(41)에 끼워져서 삽입되어 있다. 또한 토출부(55)의 아래쪽에는 호퍼(47)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회전판(40)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판의 상부홈(41)에 채워져 있던 미세입자가 팁(7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토출부(55)의 아래쪽으로 낙하하게 되고 낙하한 미세입자가 호퍼(47)로 떨어져서 이젝터(300)로 유입된다.
도8은 일 실시예의 미세입자 공급장치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바닥판(50)의 수용홀(53)을 아래쪽에서 수용홀(53)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도시한 것처럼 회전판(40)이 바닥판(50)의 바닥면 높이보다 다소 낮게 위치하여 회전판(40)과 상부면과 바닥판(50)의 바닥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 수용홀(53)과 회전판(40)의 상부면이 접하는 곳에 미세한 틈(49)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따라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미세입자들이 이 틈(49)을 통해 회전판(40)의 상부홈(41)에 채워지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판(40)을 향하고 있는 수용홀(53)의 측면부에 측면홈(57)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홈(57)은 수용홀(53)과 회전판 지지부(45)에 의해 정의되는 오목한 공간으로서 회전판(40)의 측면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회전판(40)과 수용홀(53) 사이에 공간(공차)이 있으면 미세입자가 이 공간으로 누설되어 버리고, 공간이 전혀 없으면 미세입자가 회전판(40)과 수용홀(53) 사이에 끼어서 회전판(40)이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회전판(40)과 수용홀(53) 사이에 적절한 공간(공차)이 존재하되 이 공간으로 미세입자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전판(4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수용홀(53)의 측면에 측면홈(57)을 형성하고 이 측면홈(57) 내부에 양모(양털)를 채우고 그리스(grease)를 도포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과 같이 양모를 측면홈(57)에 끼우고 그리스를 도포하면 그리스가 양모의 사이사이로 스며들어 회전판(40)과 수용홀(53) 사이의 공간을 막으면서 윤활유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판(40)이 회전할 때 회전판(4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미세입자가 회전판(40)과 수용홀(53) 사이의 공간으로 미세입자가 누설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미세입자 공급 장치는 바닥판(50)의 관통구(51)를 커버하는 관통구 커버(64)를 더 포함한다. 관통구 커버(64)는 하부 임펠러(63)와 일체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판(50)의 관통구(51) 주위로 관통구(51)를 둘러싸는 돌출부(58)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58)의 상부 공간을 덮는 상부 커버(59)가 부착되어 있어 미세입자가 관통구(51)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더하여 도시한 실시예에서 관통구 커버(64)가 돌출부(58)와 상부 커버(59)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미세입자가 관통구(51)로 누설되는 것을 한층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연결판 20: 받침대
30: 구동축 40: 회전판
45: 회전판 지지부 50: 바닥판
55: 토출부 60: 임펠러부
70: 팁 조절장치 80: 케이스
81: 분리판 90: 덮개

Claims (10)

  1. 미세입자 공급 장치로서,
    미세입자를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을 구성하며 일부 영역에 수용홀(53)이 형성된 바닥판(50);
    상기 수용홀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하며 회전가능한 회전판(40); 및
    상기 저장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하방향으로 돌출된 팁(71)을 구비한 팁 조절장치(7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소정 깊이의 상부홈(4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홈을 포함한 회전판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저장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팁 조절장치의 팁(71)이 상기 회전판의 상부홈(41)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팁 조절장치가 상기 저장부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판의 상부홈에 채워져 있는 미세입자가 상기 팁에 의해 상부홈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팁 조절장치(70)는 상기 팁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바닥판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구(51);
    상기 관통구(51)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30); 및
    상기 구동축(30)에 결합되고 바닥판에 적층된 미세입자를 교반하는 제1 임펠러(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공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축(30)에 일체로 결합된 구동기어(31); 및
    상기 회전판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려 회전가능한 종속기어(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공급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내부를 상부 저장부(S1)와 하부 저장부(S2)로 구획하되 중앙에 상기 구동축(3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82)가 형성된 분리판(81); 및
    상기 구동축(30)에 결합되고 상기 분리판(81)의 상부 바닥면에 적층된 미세입자를 교반하는 제2 임펠러(6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공급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81)의 상부 바닥면에 적층된 미세입자가 제2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리판의 관통구(82)를 통해 하부 저장부(S2)로 낙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공급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50)의 관통구(51)를 커버하며 상기 제1 임펠러와 일체로 형성된 관통구 커버(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공급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과 접하는 상기 바닥판의 수용홀(53)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측면홈(5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홈(57)이 양모와 윤활 그리스로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공급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팁 조절장치의 하부에 배치된 호퍼(47); 및
    배관에 의해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결된 이젝터(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관은 이젝터의 흡입구에 연결되고, 이젝터의 구동노즐로부터 건조 공기가 입력되어 이젝터 내부에서 건조 공기에 미세입자가 혼합되고 이 혼합된 공기가 이젝터의 분사노즐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공급 장치.
KR1020190024427A 2019-03-01 2019-03-01 미세입자 공급 장치 KR102188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27A KR102188478B1 (ko) 2019-03-01 2019-03-01 미세입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27A KR102188478B1 (ko) 2019-03-01 2019-03-01 미세입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734A KR20200105734A (ko) 2020-09-09
KR102188478B1 true KR102188478B1 (ko) 2020-12-11

Family

ID=7246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427A KR102188478B1 (ko) 2019-03-01 2019-03-01 미세입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20223B (zh) * 2022-03-03 2023-09-08 中国矿业大学 一种粉尘发生装置
CN115583781B (zh) * 2022-11-10 2024-02-23 南通爱可普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分级处理的污泥干化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1801B2 (ja) 1991-05-23 1998-04-22 株式会社日本触媒 粉体の分割採取装置
JP2002181609A (ja) 2000-12-19 2002-06-26 Nippon Applied Technology Inc 微粉体の定量供給方法および微粉体の定量供給装置
WO2008156114A1 (ja) 2007-06-19 2008-12-24 Lifetech Co., Ltd. 粉体計量器具、並びにサンプル調製装置及びサンプルの調製方法
KR101040724B1 (ko) 2010-08-16 2011-06-10 주식회사 에스더블 테크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
JP4866331B2 (ja) 2007-11-05 2012-02-01 富士夫 堀 複合粒子製造装置
JP2012223706A (ja) 2011-04-19 2012-11-15 Takashi Yonehara 回転式霧化方法並びに霧化装置
KR101249630B1 (ko) 2004-09-27 2013-04-01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혼합 장치, 혼합 장치를 구비한 커피 기계 및 혼합 장치의사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5142U (ko) * 1987-07-15 1989-01-25
JPH09281787A (ja) * 1996-04-16 1997-10-31 Fujitsu Ltd 粉体残量検出機構及び現像剤残量検出機構
KR100247945B1 (ko) 1998-04-23 2000-03-15 최수현 집진장치 및 필터 성능시험용 수직형 먼지공급 및 분산장치
KR20070021113A (ko) * 2003-12-27 2007-02-22 토벤 말리케 자동분배장치
KR101136857B1 (ko) 2009-12-15 2012-04-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피스톤?실린더 방식의 가스터빈엔진 시험용 모래 및 먼지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1801B2 (ja) 1991-05-23 1998-04-22 株式会社日本触媒 粉体の分割採取装置
JP2002181609A (ja) 2000-12-19 2002-06-26 Nippon Applied Technology Inc 微粉体の定量供給方法および微粉体の定量供給装置
KR101249630B1 (ko) 2004-09-27 2013-04-01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혼합 장치, 혼합 장치를 구비한 커피 기계 및 혼합 장치의사용
WO2008156114A1 (ja) 2007-06-19 2008-12-24 Lifetech Co., Ltd. 粉体計量器具、並びにサンプル調製装置及びサンプルの調製方法
JP4866331B2 (ja) 2007-11-05 2012-02-01 富士夫 堀 複合粒子製造装置
KR101040724B1 (ko) 2010-08-16 2011-06-10 주식회사 에스더블 테크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
JP2012223706A (ja) 2011-04-19 2012-11-15 Takashi Yonehara 回転式霧化方法並びに霧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734A (ko)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478B1 (ko) 미세입자 공급 장치
US9101891B2 (en) Circulating-type dispersing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JP7476488B2 (ja) 繊維搬送装置、及び、繊維搬送方法
JPH043630Y2 (ko)
WO2010140516A1 (ja) 粉体定量供給装置及びその粉体定量供給装置を備えた粉体溶解装置
CN213726307U (zh) 一种新型环保材料原料配比混合设备
CN112090304A (zh) 搅拌装置
CN113426554B (zh) 一种混悬液生产用碾磨装置及其碾磨方法
JP5681469B2 (ja) 吸引ノズル、および、粉粒体の貯留容器
JP4501296B2 (ja) 塗工液撹拌装置
KR101394758B1 (ko) 분체 소량 단위 공급 장치
CN109629288B (zh) 解纤装置以及薄片制造装置
JPH08140637A (ja) 生海苔の異物分離除去装置
CN102513016B (zh) L型两级均化器
CN1557534A (zh) 容积定量干法分散圆盘式发尘装置
JP4315905B2 (ja) 粒体の粉取り兼垂直搬送兼集塵の方法及び装置
CN212314926U (zh) 气固分离器和气固分离系统
JP2002018345A (ja) タルク塗布装置
JP2005161290A (ja) 粉粒体輸送装置の原料混合装置
CN110238981A (zh) 一种电缆管原料搅拌机的入料装置
JP7367349B2 (ja) 繊維搬送装置
JP2000271513A (ja) 流動式粉体塗料タンクにおける粉体塗料引き出し装置
CN216538993U (zh) 一种离心机
CN220803592U (zh) 一种立式砂磨机
JP2009119403A (ja) 粉粒体の異物検知・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