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724B1 -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724B1
KR101040724B1 KR1020100078907A KR20100078907A KR101040724B1 KR 101040724 B1 KR101040724 B1 KR 101040724B1 KR 1020100078907 A KR1020100078907 A KR 1020100078907A KR 20100078907 A KR20100078907 A KR 20100078907A KR 101040724 B1 KR101040724 B1 KR 10104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hopper
unit
accommodation spa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더블 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더블 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더블 테크
Priority to KR1020100078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스트를 포함하는 기체가 유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에 포함된 더스트를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호퍼의 하부로 낙하하는 상기 더스트를 포집하여 상기 호퍼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더스트 배출장치가 마련된 집진기에 있어서, 호퍼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포집된 더스트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싱부와,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더스트를 수용하고 센싱부에서 측정된 더스트의 높이가 일정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더스트의 일정량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보조배출유니트와, 보조배출유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보조배출유니트로부터 배출되는 더스트를 수용하고 공기이송을 통해 더스트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주배출유니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에 의하면 회전날개부를 통해서 더스트를 일정주기로 교반시킴과 동시에 일정량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더스트가 호퍼에 고착 및 고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호퍼 내부에 수용된 더스트를 일정량씩 간헐적으로 자동 배출함으로써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컴프레서가 저출력상태로 작동하더라도 더스트의 막힘없이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Dust exhaust apparatus with the air transfer}
본 발명은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집진기 하부의 호퍼에 포집된 더스트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설비, 특히 제철소의 전기로 및 정련로에서 발생되는 더스트는 대기중으로 배출될 경우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러한 더스트는 집진설비를 통해 집진처리되고, 집진과정 중 더스트를 임시로 저장하고 필요 시 배출하여 후공정으로 보내기 위한 호퍼가 갖추어진다.
종래기술에 의한 호퍼는 상단부가 개방된 중공원통형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단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내부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내경축소부와, 내경축소부의 하단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파이프형상의 더스트 배출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몸체부의 상단부 및 내경축소부의 일 측에는 보수 및 점검시 분해 및 결합 가능하도록 점검구가 각각 장착되고, 내경축소부의 중앙부 및 상단부 측에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내경축소부를 진동시키기 위한 공기충격기와, 고압공기를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공기 공급기가 장착됨으로써, 병목현상에 의해 더스트가 몸체부에서 더스트 배출부 측으로 원활하게 진행하지 못하여 내경축소부 및 더스트 배출부의 내측에 누적 및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스트 배출부의 하부에는 전동모터에 체인을 매개로 연결된 로터리밸브가 갖추어져 더스트를 배출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호퍼는 더스트의 누적 및 고착방지를 위해 장착된 공기충격기와 공기 공급기가 큰 효과를 가지지 못하였다. 즉, 공기충격기를 통해서 대형구조물인 호퍼를 적절한 정도로 진동시킬 수 없으며 설혹 큰 충격을 가할 수 있다 하더라도 내경축소부의 변형 및 호퍼 자체의 파손 등 또 다른 문제점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더스트가 호퍼 구조물의 내측에 누적 및 고착되어 호퍼의 용량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더스트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며, 누적 및 고착된 더스트를 작업자가 해머 등을 이용하여 내경축소부 외부를 타격하여 제거하는 과정에서 호퍼의 변형 및 파손을 초래하게 된다.
더욱이, 점검구를 개방하여 작업자가 직접 더스트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더스트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을 해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호퍼 내부에 수용되는 더스트를 교반시킴과 동시에 일정량을 배출시킬 수 있게 하여 호퍼 내부에서 더스트가 고착되지 않게 하는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호퍼 내부에 수용된 더스트의 일정량을 간헐적으로 자동배출하고, 배출된 더스트를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는 더스트를 포함하는 기체가 유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에 포함된 더스트를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호퍼의 하부로 낙하하는 상기 더스트를 포집하여 상기 호퍼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더스트 배출장치가 마련된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배출장치는 상기 호퍼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포집된 상기 더스트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싱부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상기 더스트를 수용하고,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된 더스트의 높이가 일정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더스트의 일정량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보조배출유니트와, 상기 보조배출유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배출유니트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더스트를 수용하고, 공기이송을 통해 상기 더스트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주배출유니트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배출유니트는 상부가 개방형성되어 상기 더스트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공간과 하부에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더스트의 일부를 일정량만큼 배출시킬 수 있는 더스트배출구가 마련된 제1바디와, 상기 제1수용공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더스트를 교반시키면서 상기 더스트배출구로 상기 더스트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회전날개부와, 상기 회전날개부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더스트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센서부와, 상기 높이측정센서부로부터 상기 더스트의 높이가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상기 제1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구동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주배출유니트는 상부에 상기 더스트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더스트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더스트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이 마련된 제2바디와, 상기 제2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더스트를 회전을 통해 상기 제2바디의 하부로 이송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와, 상기 제2바디의 하부 양측에 상기 제2수용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이송파이프와, 상기 이송파이프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파이프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컴프레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2구동부 및 상기 에어컴프레서는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에 의하면 회전날개부를 통해서 더스트를 일정주기로 교반시킴과 동시에 일정량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더스트가 호퍼에 고착 및 고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호퍼 내부에 수용된 더스트를 일정량씩 간헐적으로 자동배출함으로써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컴프레서가 저출력상태로 작동하더라도 더스트의 막힘없이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배출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는 호퍼(11)의 하부에 설치되어 기체에 포함된 더스트를 여과하는 필터(12)에 의해 여과된 더스트를 포집하는 보조배출유니트(200)와, 보조배출유니트(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주배출유니트(300) 및 상기 보조배출유니트(200)에 설치되는 센싱부를 구비한다.
센싱부는 높이측정센서부(110)와, 높이측정센서부(110)로부터 더스트의 높이가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제1모터(231)와 제2모터(331) 및 에어컴프레서(350)를 작동시키는 구동제어부(120)를 구비한다.
높이측정센서부(110)는 호퍼(210) 또는 제1바디(210)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더스트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111)와, 발광부(111)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112)를 구비한다.
발광부(111)와 수광부(112)는 호퍼(11) 또는 제1바디(210)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며, 발광부(111)에서 출사된 광의 경로가 호퍼(11) 및 제1바디(210)의 중심을 지나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중심을 지나지 않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발광부(111) 및 수광부(112)는 호퍼(1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자의 경우 발광부(111) 및 수광부(112)는 제1바디(2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발광부(111)는 레이저다이오드(Lazer Diode)를 적용할 수 있으며, 수광부(112)는 수신된 빛을 전기 신호로 바꾸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포토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가 적용될 수 있다.
구동제어부(120)는 후술 되는 보조배출유니트(200) 및 주배출유니트(300)의 제1구동부(230)와 제2구동부(330) 및 에어컴프레서(350)를 제어하는 것으로, 발광부(111)에서 출사되는 광이 일정시간 동안 수광부(112)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1모터(231)와 제2모터(331) 및 에어컴프레서(350)를 구동시킨다. 즉, 발광부(111)로부터 출사된 광이 일정시간 동안 수광부(112)에 수신되지 않음은 더스트에 의해 광의 경로가 차단된 것이므로 더스트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구동제어부(120)는 높이측정센서부(110)의 작동과는 별개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고 제1모터(231)와 제2모터(331) 및 에어컴프레서(35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즉, 더스트가 호퍼(11) 및 제1바디(210)의 내부에서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더스트를 일정한 주기로 교반시키는 것이다.
보조배출유니트(200)는 제1바디(210)와, 회전날개부(220) 및 제1구동부(230)를 구비한다.
제1바디(2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실린더로 형성되어 있다. 제1바디(210)에는 개방된 상부를 통해 필터(12)로부터 여과되어 호퍼(11)의 하부로 낙하하는 더스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공간(211)이 마련되어 있고, 제1수용공간(211)에 수용된 더스트를 간헐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바닥(212)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관통된 더스트배출구(212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바디(210)의 상부에는 호퍼(11)의 하단과 결합되는 상부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베이스프레임(400)에 결합되는 하부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400)은 호퍼(11) 및 제1바디(210)를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지면에 고정된 다수의 지지프레임(410)과, 각 지지프레임(4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420)으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날개부(220)는 제1수용공간(211)에 수용된 더스트를 더스트배출구(212a)로 일정량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수용공간(2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날개부(220)는 제1수용공간(211)에 수용된 더스트를 회전을 통해 교반시키면서 더스트배출구(212a) 방향으로 더스트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블레이드(221)를 구비한다.
회전날개부(2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90각을 이루는 4개의 블레이드(221)를 구비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더 적은 개수 또는 더 많은 개수의 블레이드(22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회전날개부(220)가 2개 또는 3개의 블레이드(221)를 구비한 경우 각 블레이드(221)들은 제1수용공간(211)을 2, 3개의 구역으로 각각 구획하여 블레이드(221)들 사이에 수용된 더스트를 더스트배출구(212a)로 이송시켜 배출시킨다. 여기서, 회전날개부(220)의 블레이드(221)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각 블레이드(221)에 의해 이송 및 배출되는 더스트의 량이 적어지게 된다.
즉, 회전날개부(220)에 구비된 블레이드(221)의 개수 및 회전날개부(2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더스트배출구(212a)로 배출되는 더스트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제1구동부(230)는 회전날개부(22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제1모터(231)와, 제1주동스프로킷(232)과, 베벨기어박스(233)와 제1종동스프로킷(234) 및 제1체인벨트(235)를 구비한다.
제1주동스프로킷(232)은 상부프레임(420)의 하부에 설치된 제1모터(231)의 축에 연결되어 있고, 제1종동스프로킷(234)은 베벨기어박스(233)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베벨기어박스(233)는 회전날개부(220)와 연결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하부에 형성된 베벨기어와 베벨기어를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프레임(4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베벨기어박스(233)는 제1모터(231)의 회전력을 수직방향의 회전력으로 바꿔 전달하고, 제1주동스프로킷(232)과 제1종동스프로킷(234)은 제1체인벨트(235)에 의해 연동된다.
여기서, 제1주동스프킷(232)의 기어치 수는 제1종동스프로킷(234)의 기어치 수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배출유니트(300)는 제2바디(310), 임펠러(320), 제2구동부(330), 이송파이프(340) 및 에어컴프레서(350)를 구비한다.
제2바디(310)는 더스트배출구(212a)로부터 배출되는 더스트를 수용하고 배출하는 것으로 더스트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311)가 마련되어 있고, 유입구(311)로 유입되는 더스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제2수용공간(312)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제2수용공간(312)과 연통되게 형성된 배출공간(313)이 마련되어 있다.
임펠러(320)는 제2수용공간(31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311)로부터 유입되는 더스트를 회전을 통해서 제2수용공간(312)의 상부에서 하부의 배출공간(313)으로 이송시킨다.
임펠러(320)는 제2수용공간(312)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 분배날개(321)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2바디(310)의 유입구(311)로 유입되는 더스트는 분배날개(321)들에 의해 제2수용공간(312)으로 바로 투입되지 않고, 임펠러(320)의 회전에 의해 일정량의 더스트만이 제2수용공간(312)의 중심부분을 거쳐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날개(321)들은 제2바디(310)의 반경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스크루(screw) 형으로 말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분배날개(321)들에 의해 배출공간(313)으로 이송되는 더스트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후술 되는 에어컴프레서(350)에서 제공되는 고압의 공기를 통해 더스트의 이송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구동부(330)는 제2모터(331)와, 제2모터(331)의 축에 연결된 제2주동스프로킷(332)과, 임펠러(320)의 회전축에 연결된 제2종동스프로킷(333) 및 제2주동스프로킷(332)과 제2종동스프로킷(333)을 연동되게 하는 제2체인벨트(334)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주동스프로킷(332)의 기어치 개수는 제2종동스프로킷(333)의 기어치 개수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파이프(340)는 일단은 제2바디(3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공기공급파이프(341)와 더스트배출파이프(342)로 이루어져 있다.
공기공급 및 더스트배출파이프(341, 342)는 제2바디(310)의 하부 즉, 배출공간(313)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공기공급파이프(341)의 일단에는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컴프레서(350)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컴프레서(350)에서 공기공급파이프(341)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 흐름을 통해서 제2바디(310)의 배출공간(313)에 쌓여있는 더스트가 더스트배출파이프(342)를 통해 최종배출지로 이송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배날개(321)들의 끝단에는 제2바디(310)의 내벽에 고착될 수 있는 더스트를 제거하는 탄성 재질의 스크레이퍼(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임펠러(320)의 각 분배날개(321)들에 의해 더스트는 일정량만큼만 제2바디(310)의 배출공간(313)의 하부로 이송되므로 더스트의 막힘이 발생하지 않고, 에어컴프레서(350)가 저출력 상태로 작동하더라도 더스트의 이송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호퍼(11)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12)에 의해 더스트가 호퍼(11)의 하방에 설치된 제1바디(210)로 낙하하게 되면, 더스트는 제1수용공간(211) 및 호퍼(11)의 하부까지 쌓이게 된다. 더스트가 일정한 높이로 쌓이게 되면, 센싱부의 높이측정센서부에 의해 더스트의 쌓인 정도가 감지되고, 구동제어부(120)는 제1모터(231)와 제2모터(331)와 에어컴프레서(350)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1모터(231)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날개부(220)는 제1수용공간(211)에서 회전하게 되고, 회전날개부(220)의 각 블레이드(221) 사이에 쌓인 더스트는 각 블레이드(221)에 의해 교반됨과 동시에 더스트배출구(212a)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이때, 구동제어부(120)는 제1모터(231)보다 제2모터(331) 및 에어컴프레서(350)를 먼저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모터(231)보다 제2모터(331)가 더 빠르게 회전하도록 하거나,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게 하는 것이 좋다.
더스트배출구(212a)로 배출된 더스트는 제2바디(310)의 제2수용공간(312)으로 유입되고 임펠러(320)의 분배날개(321)들에 의해 제2바디(310)의 배출공간(313)으로 이송되며, 에어컴프레서(350)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는 공기공급파이프(341)를 통해 배출공간(313)으로 이동하면서 배출공간(313)으로 이송된 더스트를 더스트배출파이프(342)로 이송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에 의하면 회전날개부를 통해서 더스트를 주기적으로 교반시킴으로써 더스트가 호퍼에 고착 및 고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호퍼 내부에 수용된 더스트를 일정량씩 간헐적으로 자동배출함으로써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컴프레서가 저출력상태로 작동하더라도 더스트의 막힘없이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배출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높이측정센서부 120 : 구동제어부
200 : 보조배출유니트 210 : 제1바디
220 : 회전날개부 230 : 제1구동부
300 : 주배출유니트 310 : 제2바디
320 : 임펠러 330 : 제2구동부
340 : 이송파이프 350 : 에어컴프레서

Claims (3)

  1. 삭제
  2. 더스트를 포함하는 기체가 유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에 포함된 더스트를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호퍼의 하부로 낙하하는 상기 더스트를 포집하여 상기 호퍼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더스트 배출장치가 마련된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배출장치는 상기 호퍼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포집된 상기 더스트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싱부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상기 더스트를 수용하고,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된 더스트의 높이가 일정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더스트의 일정량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보조배출유니트와;
    상기 보조배출유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배출유니트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더스트를 수용하고, 공기이송을 통해 상기 더스트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주배출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배출유니트는 상부가 개방형성되어 상기 더스트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공간과 하부에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더스트의 일부를 일정량만큼 배출시킬 수 있는 더스트배출구가 마련된 제1바디와, 상기 제1수용공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더스트를 교반시키면서 상기 더스트배출구로 상기 더스트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회전날개부와, 상기 회전날개부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더스트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센서부와, 상기 높이측정센서부로부터 상기 더스트의 높이가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상기 제1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구동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출유니트는 상부에 상기 더스트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더스트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더스트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이 마련된 제2바디와, 상기 제2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더스트를 회전을 통해 상기 제2바디의 하부로 이송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와, 상기 제2바디의 하부 양측에 상기 제2수용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이송파이프와, 상기 이송파이프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파이프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컴프레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2구동부 및 상기 에어컴프레서는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
KR1020100078907A 2010-08-16 2010-08-16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 KR101040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907A KR101040724B1 (ko) 2010-08-16 2010-08-16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907A KR101040724B1 (ko) 2010-08-16 2010-08-16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724B1 true KR101040724B1 (ko) 2011-06-10

Family

ID=4440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907A KR101040724B1 (ko) 2010-08-16 2010-08-16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7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46B1 (ko) 2010-09-20 2013-06-21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 불출장치
KR101532336B1 (ko) * 2013-08-12 2015-06-29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설비 및 분진 처리 방법
KR101662626B1 (ko) * 2016-04-22 2016-10-07 주식회사 엘림산업 피혁용 케이크 머신
KR20200105734A (ko) * 2019-03-01 2020-09-09 조광영 미세입자 공급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799U (ko) * 1998-05-26 1999-12-27 이구택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KR20040030166A (ko) * 2001-08-29 2004-04-08 제넨테크, 인크. 유사분열촉진 활성을 가진 Bv8 핵산 및 폴리펩티드
KR200430166Y1 (ko) * 2006-08-21 2006-11-02 김재곤 관로 막힘 위치 탐지와 막힘 쓰레기의 제거가 가능한쓰레기 자동 집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799U (ko) * 1998-05-26 1999-12-27 이구택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KR20040030166A (ko) * 2001-08-29 2004-04-08 제넨테크, 인크. 유사분열촉진 활성을 가진 Bv8 핵산 및 폴리펩티드
KR200430166Y1 (ko) * 2006-08-21 2006-11-02 김재곤 관로 막힘 위치 탐지와 막힘 쓰레기의 제거가 가능한쓰레기 자동 집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46B1 (ko) 2010-09-20 2013-06-21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 불출장치
KR101532336B1 (ko) * 2013-08-12 2015-06-29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설비 및 분진 처리 방법
KR101662626B1 (ko) * 2016-04-22 2016-10-07 주식회사 엘림산업 피혁용 케이크 머신
KR20200105734A (ko) * 2019-03-01 2020-09-09 조광영 미세입자 공급 장치
KR102188478B1 (ko) 2019-03-01 2020-12-11 조광영 미세입자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2269B2 (en) Conveyor with integrated dust collector system
KR101040724B1 (ko)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
KR101170939B1 (ko) 합성수지 원료의 분진제거장치
US106619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an open container
CN210557318U (zh) 一种新型链条刮板机
CN111550202B (zh) 一种履带式煤水气分离及计量输送装置
EA013761B1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115265726A (zh) 一种用于煤矿钻屑法的煤粉质量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05372105A (zh) 采用旋转式缩分装置的制样设备
JPH1059542A (ja) 粉粒体供給装置
CN214988840U (zh) 一种粉料螺旋输送设备
CN111232676B (zh) 一种储罐
CN215554322U (zh) 用于耐火材料制备的清洁型称重打包装置
CN220076725U (zh) 一种定量包装秤的疏通装置
KR100829441B1 (ko) 곡물이송장치
CN206939959U (zh) 一种圆筒件自动送料料仓装置
CN220374809U (zh) 一种石膏砂浆包装装置
JP4115559B2 (ja) 粒状物の抜出し装置
JP2006110809A (ja) 混練物生成ユニット
CN205204011U (zh) 一种具有多定向工位除尘结构的建筑工程斗式提升机
CN211712132U (zh) 天车加料系统
CN219155761U (zh) 一种新型卸料器
CN218066698U (zh) 一种纱线净重称量装置
CN218281860U (zh) 一种种子磨光机联动装置排渣装置
CN217834105U (zh) 一种余浆回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