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799U -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799U
KR19990041799U KR2019980008818U KR19980008818U KR19990041799U KR 19990041799 U KR19990041799 U KR 19990041799U KR 2019980008818 U KR2019980008818 U KR 2019980008818U KR 19980008818 U KR19980008818 U KR 19980008818U KR 19990041799 U KR19990041799 U KR 199900417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inlet
cylinder
outle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상배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08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1799U/ko
Publication of KR199900417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799U/ko

Links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풍설비의 일부인 집진기에서 집진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접속관(9)과 연통연결되는 제 1유입구(12)를 상부외부면에 천공형성하고, 마주하는 하부외부면에 제 1배출구(14)를 천공형성하며, 밀페된 일단내측면에는 축홈(11)과 베어링홈(11a)을 형성하며, 개방된 타단에는 플랜지부(13)를 형성하고,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패킹부재(15a),(15)가 장착되어 상기 접속관(9)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외부고정원통(10)과, 상기 제 1유입구(12)와 일치하는 제 2유입구(22)를 외부면에 천공형성하고, 상기 제 1배출구(14)와 일치하는 제 2배출구(24)를 외부면에 천공형성하며, 밀페된 양단외측면에는 상기 축홈(11)에 조립되는 제 1회전축(21)과 손잡이(25)가 장착되는 제 2회전축(23)을 각각 장착하여 상기 외부고정원통(1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부회전원통(20) 및, 상기 제 2회전축(23)이 끼워지는 회전공(31)을 중앙에 관통형성하고, 외부면에는 다수개의 제 1,2,3단 조작표시부(30a),(30b),(30c)를 각각 갖추어 상기 플랜지부(13)에 장착되는 차단플랜지원판(30)을 포함하는 집진설비의 분진배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집진설비의 분진배출장치
본 고안은 송풍설비의 일부인 집진기에서 집진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호퍼( Hopper)의 하부에 연결된 외부고정원통의 내부회전원통을 간단히 회전조작하여 호퍼내의 흡입압력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분진을 제거할수 있고, 수리가 용이하여 정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잇는 집진설비의 분진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고로설비에는 이에 사용되는 대용량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기로 압력을 상승시켜 공급하는 송풍장치와 더불어 공급되는 외기내의 분진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제거된 분진을 배출처리하는 집진설비가 갖추어진다.
이러한 집진설비(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개의 필터백( Filter )(130)을 내부에 설치한 호퍼(110)를 갖추어 구성되는바, 분진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호퍼(110)의 공기흡입구(118)를 통하여 흡입되면, 상기 필터백(130)의 표면에 분진이 부착되면서 외부공기는 여과되고, 여과된 청정공기는 호퍼(110)상부에 마련된 공기출구(119)를 거쳐 송풍장치(미도시)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백(130)에 부착된 분진은 상기 호퍼(110)의 내부까지 설치된 고압공기 분사용배관(120)을 개방하여 5 내지 6 ㎏/㎠ 의 고압공기를 순간적으로 분사함으로서, 호퍼(110)의 하부로 떨어뜨려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호퍼(110)의 하부에는 낙하되어 모아진 분진을 일시에 배출처리할 수 있도록 별도의 분진배출장치(190)를 갖추는바,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개의 플랜지(191)로 연통연결되는 연결관(192)과, 그 중간, 하부에 설치되는 상,하부셔터( Shutter )(193),(194) 및 상기 상부셔터(193)를 전,후진 이송하는 스핀들(195)로 구성된다.
즉, 종래에는 상기 호퍼(110)의 필터백(130)으로 부터 낙하된 분진이 상부셔터(193)에 쌓이면, 상기 스핀들(195)이 연결관(192)의 고정구(192a)에 회전가능도록 조립되고, 나사몸체부는 스핀들지지대(197)의 너트(197a)와 상부슈터(193)의 너트(193a)에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핀들(195)의 타단에 연결된 핸들(196)을 돌려서 상부측 연결관(192)내부를 일시 개방시켜 쌓여진 분진을 직하부의 하부셔터(194)로 전량 낙하시킬 수 있다.
이어서, 열려진 상기 상부셔터(193)를 원상태로 닫혀지도록 핸들을 조작한 다음, 상기 하부셔터(194)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용 체결부재(194a)를 풀어 이를 개방함으로써, 그 상부면으로 낙하하여 적치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하부셔터(194)를 원상태로 밀폐시켜 분진배출작업을 종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분진배출장치(190)를 이용한 배출작업은 상,하부셔터(193),(194)를 개방, 밀폐하는 여러단계를 거쳐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상 매우 불편하고, 상기 상부셔터(193)를 전,후진시키는 스핀들(195)의 원할한 이송을 위해 도포된 그리이스에 분진 및 이물질이 정착되어 고착되면, 상기 스핀들(195)의 원할한 조작이 곤란하며, 이로 인하여 분진배출시 밀페되어야만 상부셔터(193)의 닫힘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호퍼(110)내의 흡입압력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하부셔터(194)를 고정하는 고정용 체결부재(194a)가 장기간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부위 및 부품에 녹이 발생되어 부품을 파손시킴에 따라, 분진배출장치(190)의 보수,유지관리가 어려워지고, 분진배출작업이 장기간 소요되어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호퍼의 하부에 외부고정원통을 갖추고, 그 내부공간에 내부회전원통을 갖추어 이에 연결된 핸들의 단순한 회전조작으로 흡입압력의 손실없이 분지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보수,유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분지배출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집진설비의 분진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집진설비에 갖추어지는 종래의 분진배출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설비의 분진배출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진설비의 분진배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9 ..... 접속관 10 ..... 외부고정관
11 ..... 축홈 11a .... 베어링홈
12 ..... 제 1유입구 13 ..... 플랜지부
14 ..... 제 1배출구 15,15a .... 패킹부재
20 ..... 내부회전원통 21 .... 제 1회전축
22 ..... 제 2유입구 23 ..... 제 2회전축
24 ..... 제 2배출구 25 ..... 손잡이
30 ..... 차단플랜지원판 31 ..... 회전공
32 ..... 베어링블록 34 ..... 베어링
100 .... 집진설비 110 .... 호퍼
120 .... 고압공기 분사용 배관 130 .... 필터백
193 .... 상부셔터 194 .... 하부셔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고안은,
호퍼내의 필터백으로 부터 탈락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접속관과 연통연결되는 제 1유입구를 상부외부면에 천공형성하고, 마주하는 하부외부면에 제 1배출구를 천공형성하며, 밀페된 일단내측면에는 축홈과 베어링홈을 형성하며, 개방된 타단에는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패킹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접속관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외부고정원통과,
상기 제 1유입구와 일치하는 제 2유입구를 외부면에 천공형성하고, 상기 제 2배출구와 일치하는 제 2배출구를 외부면에 천공형성하며, 밀페된 양단외측면에는 상기 축홈에 조립되는 제 1회전축과 손잡이가 장착되는 제 2회전축을 각각 장착하여 상기 외부고정원통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부회전원통 및,
상기 제 2회전축이 끼워지는 회전공을 중앙에 관통형성하고, 외부면에는 다수개의 제 1,2,3단 조작표시부를 각각 갖추어 상기 플랜지부에 장착되는 차단플랜지원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설비의 분진배출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설비의 분진배출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진설비의 분진배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집진설비의 분진배출장치(1)는 도 2와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로설비로 공급되는 외부공기내의 분진을 여과하는 호퍼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하부로 낙하하여 적치된 분진을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이러한 장치는 접속관(9), 외부고정원통(10), 내부회전원통(20) 및 차단플랜지원판(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110)의 구성을 종래와 동일한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접속관(9)은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집진이 이루어지는 호퍼(110)의 하부중앙과 플랜지(9a)를 매개로 연통연결되는 중공원통형의 관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고정원통(10)은 접속관(9)과 연통되도록 그 하단에 일체로 연결고정되는바, 상부외부면에는 상기 접속관(9)와 항상 일치되는 제 1유입구(12)를 천공형하며, 이와 마주하는 하부외부면에는 제 1배출구(14)를 천공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고정원통(10)의 밀페된 일단내측면에는 후술하는 내부회전원통(20)의 제 1회전축(21)이 끼워지는 축홈(11)과 베어링홈(11a)을 각각 형성하며, 외측으로 개방된 타단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3a)이 형성된 플랜지부(13)를 형성하는 한편, 원통내주면에는 다수개의 패킹부재(15),(15a)를 각각 장착하여 갖춘다.
또한, 상기 외부고정원통(10)의 내부공간에 회진조작가능하도록 조립되는 내부회전원통(20)은 적재된 분진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유입구(12)와 일치되는 제 2유입구(22)를 외부면에 천공형성하고,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배출구(14)와 일치되는 제 2배출구(24)를 외부면에 천공형성한다. 그리고, 양측면이 밀폐형성된 내부회전원통(20)의 일측 외부면에는 상기 외부고정원통(10)의 축홈(11)에 조립되고, 베어링홈(11a)에 배치되는 베어링(21a)이 조립되는 제 1회전축(21)을 갖추고, 타측 외측면에는 내부회전원통의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손잡이(25)의 나사부(25a)가 체결되는 나사공(23a)을 관통형성한 제 2회전축(23)을 각각 장착한다.
한편, 상기 내부회전원통(20)이 내장된 외부고정원통(10)의 개방된 일측면을 밀페하는 차단플랜지원판(30)은 상기 외부고정원통(10)의 플랜지부(13)에 다수개의 체결부재(16),(16a)로서 조립되도록 외주테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33)을 관통형성하고, 중앙에는 상기 내부회전원통(20)의 제 2회전축(23)이 끼워지는 회전공(31)을 관통형성하는 한편, 상기 회전공(31)의 외부면에는 베어링블록(32)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 2회전축(23)에 베어링(34)을 조립한다. 이때, 외부로 노출된 상기 베어링블록(32)에는 분진 및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마개(35)를 갖추어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플랜지원판(30)의 외부면에는 일정회전각도를 두고 단계적으로 표시되는 제 1,2,3단 조작표시부(30a),(30b),(30c)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부고정원통(10)내에 조립된 내부회전원통(20)를 회전조작할수 있도록 외측으로 노출된 제 2회전축(23)에 조립된 손잡이(25)의 조작을 분진배출작업조건에 맞추어 작업자가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집진설비의 분진배출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집진설비(100)의 호퍼(110)하부에 연결된 접속관내에 분진이 많이 쌍여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본 고안의 분진배출장치(1)를 이용하여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고자 하면, 먼저, 상기 내부회전원통(20)에 연결된 손잡이(25)가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차단플랜지원판(30)에 표시된 제 1단조작표시부(30a)와 일치되게 상기 손잡이(25)를 회전조작하여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단 조작표시부(30a)는 분진유입작업이 이루어지는 내부회전원통(20)의 유입위치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표시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내부회전원통(20)의 양측 제 1,2회전축(21),(23)이 회전가능하도록 축홈(11)과 회전공(31)에 각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부고정원통(10)내에 설치된 내부회전원통(20)이 회전되어 유입위치에 정지되면서 외부면에 천공형성된 제 2유입구(22)와, 상기 접속관(9)에 연통된 외부고정원통(10)의 제 1유입구(12)가 서로 일치됨과 동시에, 상기 접속관(9)으로 부터 적치된 분진이 내부회전원통(10)내부로 전량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개방된 접속관(9), 제 1유입구(12)를 통해 전달되는 호퍼(110)내의 흡입압력이 분진유입과 더불어 내부회전원통(20)내로 미치지만, 유입위치에서 회전정지된 상기 내부회전원통(20)의 제 2배출구(24)는 외부고정원통(10)의 내부면에 장착된 패킹부재(15a)에 밀착되어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외부고정원통(10)의 제 2배출구(14)를 통한 호퍼(110)내의 압력손실은 발생하지 않아 조업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압력분출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우려도 없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내부회전원통(20)내로 유입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제 1단조작표시부(30a)에 수직하게 배치된 손잡이(25)가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제 3단조작표시부(30c)측으로 회전조작하면, 상기 외부고정원통(10)내에 설치된 내부회전원통(20)이 일측으로 회전되다가 배출위치에 정지되면서 상기 패킹부재(15a)에 밀착되었던 제 2배출구(24)와 상기 외부고정원통(10)의 제 1배출구(14)가 서로 일치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회전원통(20)내부로 유입된 분진을 서로 일치되어 개구된 상기 제 1,2배출구(14),(24)를 통하여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3단 조작표시부(30a)는 분진배출작업이 이루어지는 내부회전원통(20)의 배출위치를 알려주는 표시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고정원통(10)의 제 1유입구(12)와 일치하던 제 2유입구(22)가 패킹부재(15a)에 밀착되고, 상기 접속관(9)에 연통된 제 1유입구(12)는 내부회전원통(20)의 외부면에 의해 접하여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외부고정원통(10)의 제 1배출구(14)를 통한 호퍼(110)내의 흡입압력손실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압력분출에 의한 안전사고의 염려없이 분진배출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집진설비의 정상적인 운전시에는, 상기 손잡이(25)를 제 1,3조작표시부(30a),(30c)의 사이에 마련된 제 2조작표시부(20b)에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회전조작하여 정지시키면, 회전조작후 정지된 상기 내부회전원통(20)의 제 2유입구(22)와 제 2배출구(24)는 한쌍의 패킹부재(15a)에 각각 밀착되어 밀페되고, 상기 외부고정원통(10)의 제 1유입구(12)와 제 1배출구(14)는 내부회전원통(20)의 외부면에 접하여 밀페된다. 상기 제 2단 조작표시부(30a)는 집진설비(100)의 정상조업이 이루어지는 내부회전원통(20)의 정상위치를 알려주는 표시이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회전원통(20)내로 호퍼(110)의 흡입압력이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부와 분진배출장치(1)의 내부가 완전히 차단되기 때문에, 고로설비로 청정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집진설비(100)의 정상적인 조업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접속관(9)과 연통되어 고정된 외부고정원통(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된 내부회전원통(20)을 제 1,2,3단 조작표시부(30a),(30b),(30c)에 맞추어 회전조작함으로써, 호퍼(110)내의 흡입압력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안전한 상태에서 분진의 유입, 배출작업을 신속하고, 간단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장치(1)내부와 외부가 완전히 차단한 상태에서 정상적인 조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그리고, 장치(1)의 이상발생시 수리가 용이하여 정비시간을 단축할수 있고, 종래와 같이 스핀들(195)에 그리이스를 도포할 필요가 없어 설비의 관리,유지가 보다 간단해지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호퍼(110)내의 필터백(130)으로 부터 탈락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110)의 하부와 플랜지(9a)를 매개로 연통연결되는 접속관(9)과,
    상기 접속관(9)과 연통연결되는 제 1유입구(12)를 상부외부면에 천공형성하고, 마주하는 하부외부면에 제 1배출구(14)를 천공형성하며, 밀페된 일단내측면에는 축홈(11)과 베어링홈(11a)을 형성하며, 개방된 타단에는 플랜지부(13)를 형성하고,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패킹부재(15a),(15)가 장착되어 상기 접속관(9)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외부고정원통(10)과,
    상기 제 1유입구(12)와 일치하는 제 2유입구(22)를 외부면에 천공형성하고, 상기 제 1배출구(14)와 일치하는 제 2배출구(24)를 외부면에 천공형성하며, 밀페된 양단외측면에는 상기 축홈(11)에 조립되는 제 1회전축(21)과 손잡이(25)가 장착되는 제 2회전축(23)을 각각 장착하여 상기 외부고정원통(1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부회전원통(20) 및,
    상기 제 2회전축(23)이 끼워지는 회전공(31)을 중앙에 관통형성하고, 외부면에는 다수개의 제 1,2,3단 조작표시부(30a),(30b),(30c)를 각각 갖추어 상기 플랜지부(13)에 장착되는 차단플랜지원판(3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설비의 분진배출장치.
KR2019980008818U 1998-05-26 1998-05-26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KR199900417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818U KR19990041799U (ko) 1998-05-26 1998-05-26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818U KR19990041799U (ko) 1998-05-26 1998-05-26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799U true KR19990041799U (ko) 1999-12-27

Family

ID=6951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818U KR19990041799U (ko) 1998-05-26 1998-05-26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179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420B1 (ko) * 2001-11-15 2008-05-26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설비 호퍼의 분진 배출장치
KR101040724B1 (ko) * 2010-08-16 2011-06-10 주식회사 에스더블 테크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420B1 (ko) * 2001-11-15 2008-05-26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설비 호퍼의 분진 배출장치
KR101040724B1 (ko) * 2010-08-16 2011-06-10 주식회사 에스더블 테크 공기이송 더스트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179B1 (ko) 고방사성미세분진폐기물 원격조종이동형청소장치
US6488849B2 (en) Rotating device for continuously filtering a liquid such as a solution containing a precipitate
PL203977B1 (pl) Szlifierka z wyciągiem
DE19646038C2 (de) Stülpfilterzentrifuge
JPH11179631A (ja) スピンドルスルークーラントにおける主軸保護構造
KR19990041799U (ko)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JP4060869B2 (ja) 工作機械におけるミスト捕集及びエアブロー装置
US62993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ip removal
EP1300195B1 (en) Powder processing unit
KR20180072462A (ko)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JP3117052B2 (ja) 流水管の夾雑物除去装置
CN111963486A (zh) 一种放射性环境下大型屏蔽主泵整体拆卸装置及拆卸工艺
CN214723031U (zh) 一种燃气过流切断阀加工用球阀打磨装置
CN115337730A (zh) 节能型空气流量计
KR102319746B1 (ko) 승압기 로터 세척장치
CN209868332U (zh) 一种车载空调压缩机前盖抛丸机
CN216498320U (zh) 一种料仓快速排气装置
CN220370574U (zh) 一种高效清理的抽滤槽结构
DE19815975A1 (de) Schutzgehäuse für Beobachtungsgeräte
JPS6110728Y2 (ko)
TWI590863B (zh) Oil purification machine with a recovery mechanism
CN209405887U (zh) 一种高效率自动吸雾机
CN113941208A (zh) 一种料仓快速排气装置
KR19980022981A (ko) 집진기의 필터 자동 교환장치
KR200365221Y1 (ko) 차량용 매연 포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