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010B1 - 캠락장치 - Google Patents

캠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010B1
KR102188010B1 KR1020200068492A KR20200068492A KR102188010B1 KR 102188010 B1 KR102188010 B1 KR 102188010B1 KR 1020200068492 A KR1020200068492 A KR 1020200068492A KR 20200068492 A KR20200068492 A KR 20200068492A KR 102188010 B1 KR102188010 B1 KR 102188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ead
lower body
fastening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화
박종대
고형식
Original Assignee
제일기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기술산업(주) filed Critical 제일기술산업(주)
Priority to KR1020200068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20Safety or prote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캠락장치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플랜지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와 결합하여 상기 너트부에 삽입되는 몸체부분 및 상기 몸체부분에서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머리부분을 구비하는 볼트부와, 상기 머리부분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볼트부와 결합하고 범용체결공구에 체결되어 상기 범용체결공구를 통해 상기 제1플랜지와 맞대어진 제2플랜지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캠부를 구비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캠락장치{Cam Lock Device}
본 발명은 캠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한 캠락장치에 관한 것이다.
로딩암과 유조선을 연결할 시 사용되는 캠-락(cam-lock) 장치는 별도의 체결장치를 통해 체결 및 해제된다. 이를 위해, 캠에는 별도의 체결장치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캠락장치는 체결장치를 사용하여 캠을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체결장치를 분실하거나 사용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는 체결 및 해제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체결장치를 분실하거나 사용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끌 또는 정을 망치를 사용하여 캠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체결 및 해제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그러나 망치를 사용하여 캠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체결 및 해제하는 경우, 캠의 체결부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끌 또는 정을 망치를 사용하여 타격하는 과정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여 안전사고나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8218호(2011.09.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체결장치뿐만 아니라 육각렌치를 사용하여 캠을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는 캠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캠의 결합 안전성과 체결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캠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스파크 발생으로 인한 화재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캠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락장치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플랜지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와 결합하여 상기 너트부에 삽입되는 몸체부분 및 상기 몸체부분에서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머리부분을 구비하는 볼트부와, 상기 머리부분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볼트부와 결합하고 범용체결공구에 체결되어 상기 범용체결공구를 통해 상기 제1플랜지와 맞대어진 제2플랜지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는 원형의 캠(활꼴)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머리부분의 외주면을 감싸는 하체와, 상기 하체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각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머리부분의 외주면을 감싸며 외측에 범용체결공구가 체결되는 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체와 상기 상체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체의 상면에는 특수체결공구의 돌출부위가 직접 삽입되어 상기 캠부에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체에는 캠 형상의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의 하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체의 내부에는 상기 볼트부가 일정길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는 상기 너트부와 결합하여 상기 너트부에 삽입되는 상기 몸체부분과, 상기 몸체부분에서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머리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분은 상기 하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체에 의해 외주면이 감싸지는 제1머리부 및 상기 제1머리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방지턱의 상면에 얹혀지는 형태로 상기 상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체에 의해 외주면이 감싸지는 제2머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분의 외주면에는 상기 너트부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볼트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나사산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쐐기가 삽입되는 쐐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체는, 상기 다각형의 링 형상을 구성하며 상기 범용체결공구와 체결될 수 있는 다수의 옆면을 포함하고, 상기 특수체결공구의 돌출부위는, 다수로 구성되며 상기 특수체결공구가 상기 캠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캠부의 상체에서 하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은, 상기 수직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수직면으로부터 상기 수직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체의 옆면을 따라 요입 형성되고, 상기 하체의 외주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단차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은 각각, 상기 특수체결공구의 돌출부위의 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특수체결공구가 회전할 때 상기 돌출부위의 상단부분이 상기 수직면에 인접한 상체의 옆면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홈과 상기 수직면에 인접한 상체의 옆면에 동시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면의 양측부분으로부터 상기 수직면에 인접한 상체의 옆면을 향하여 요입되고 상기 수직면에 인접한 상체의 옆면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캠락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체결장치뿐만 아니라 육각렌치를 사용하여 캠을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캠의 결합 안전성과 체결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파크 발생으로 인한 화재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캠락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캠락장치의 캠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캠부에 체결되는 체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캠락장치의 볼트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캠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락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락장치(10)는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배관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를 연결하기 위해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장치로써 너트부(100), 볼트부(200) 및 캠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너트부(100)는 서로 맞대어진 어느 하나의 배관의 일단에 형성된 제1플랜지(20)의 테두리에서 연장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볼트부(200)는 또 다른 배관의 일단에 형성된 제2플랜지(30) 방향에서 제1플랜지(20) 방향으로 너트부(10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볼트부(200)가 너트부(100)에 체결될 시, 일부분은 너트부(100)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캠부(300)는 볼트부(200)의 외부에 노출된 일부분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볼트부(200)와 결합할 수 있다. 볼트부(200)와 결합한 캠부(300)는 제1플랜지(20)와 제2플랜지(30)가 서로 맞대어져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락장치(10)의 너트부(100), 볼트부(200) 및 캠부(3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캠락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캠락장치의 캠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캠부에 체결되는 체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캠락장치의 볼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락장치(10)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플랜지(20)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너트부(100), 너트부(100)와 결합하여 너트부(100)에 삽입되는 몸체부분(210)과 몸체부분(210)에서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머리부분(220)을 구비하는 볼트부(200) 및 머리부분(22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볼트부(200)와 결합하고 체결장치(40)에 체결되어 체결장치(40)를 통해 제1플랜지(20)와 맞대어진 제2플랜지(30)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캠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캠부(300)는 하체(310)와 상체(320)를 구비할 수 있다.
하체(31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너트부(100)에 삽입되는 몸체부분(210)에서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머리부분(220) 중에서 제1머리부(221)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체(320)는 하체(310)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면에 도시된 육각을 비롯한 다각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머리부분(220) 중에서 제2머리부(22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머리부(221)와 제2머리부(222)로 이루어진 볼트부(200)의 머리부분(220)은 캠부(300)의 하체(310)와 상체(320)에 의해 외주면이 완전히 감싸짐에 따라 체결장치(40) 사용 시 체결장치(40)의 힘이 닿는 면적이 넓어져 체결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하체(310)와 상체(320)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형의 링 형상의 하체(310)와 다각형의 링 형상의 상체(320)가 연속되는 일측이 수직의 평면이 되도록 하는 수직면(33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면(330)은 볼트부(200)가 너트부(100)와 결합한 후 캠부(300)가 편심하중을 받도록 하여 체결장치(40)를 통해 체결된 후 진동 등에 의해 캠부(30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체(3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개의 체결홈(311)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특수체결공구(41)의 돌출부위(41a)의 단부가 체결홈(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특수체결공구(41가 회전할 때 돌출부위(41a)의 상단부분이 수직면(330)에 인접한 상체(320)의 옆면에 접촉하여 체결홈(311)과 수직면(330)에 인접한 상체(320)의 옆면(322)에 동시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수직면(330)의 양측부분으로부터 수직면(330)에 인접한 상체(320)의 옆면(322)을 향하여 요입되고, 수직면(330)에 인접한 상체(320)의 옆면(322)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특수체결공(41)의 돌출부위(41a)가 체결홈(311) 체결된 상태로 회전하는 힘이 가해져 특수체결공구(41)를 통해 캠부(300)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캠부(300)는 상체(320)의 외주면이 육각으로 형성됨에 따라 도 4(b)와 같이, 육각렌치 등과 같은 범용체결공구(42)도 캠부(300)와 용이하게 결합하여 캠부(300)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수체결공구(41)와 범용체결공구(42)가 모두 사용 가능함에 따라 체결장치(40)의 손상 또는 분실로 인한 작업지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체결장치(40)의 손상 또는 분실로 인해 망치와 끌 또는 정 등을 통해 캠부(300)를 타격하는 방식으로 체결 또는 해제함으로써 캠부(300)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타격시 발생하는 스파크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하체(310)의 하면에는 단차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312)는 하체(310)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너트부(100)와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단차부(312)에 대한 내용은 추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하체(310)의 내부에는 방지턱(313)이 형성될 수 있다. 방지턱(313)은 하체(310)와 상체(320)의 경계면에 위치하여 머리부분(220)의 제2머리부(222)가 일정길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머리부분(220)의 제1머리부(221) 또는 제2머리부(222)가 각각 하체(310) 또는 상체(320)에 정 위치될 수 있으므로 제1머리부(221)와 제2머리부(222)가 각각 하체(310)와 상체(320)에 의해 외주면이 정확히 감싸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체(310)의 하면에는 경사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314)는 체결장치(40)를 통해 캠부(3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수록 서로 맞대어진 제1플랜지(20)와 제2플랜지(30)를 압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반대로, 체결장치(40)를 통해 캠부(30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수록 서로 맞대어진 제1플랜지(20)와 제2플랜지(30)의 압착이 해제되어 제1플랜지(20)와 제2플랜지(30)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볼트부(200)는 너트부(100)와 결합하여 너트부(100)에 삽입되는 몸체부분(210)과 몸체부분(210)에서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머리부분(220)을 구비할 수 있다.
머리부분(220)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체(310)의 내부에 위치하여 하체(310)에 의해 외주면이 감싸지는 제1머리부(221)와 제1머리부(221)에서 연장되고 방지턱(313)의 상면에 얹혀지는 형태로 상체(32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체(320)에 의해 외주면이 감싸지는 제2머리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분(210)의 외주면에는 너트부(100)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볼트나사산(2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볼트나사산(211)의 일측에는 쐐기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나사산(211)의 일측에 형성된 쐐기홈(212)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쐐기(50)가 삽입될 수 있다. 쐐기(50)는 나사못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너트부(100)와 볼트부(200)가 나사결합 한 후 쐐기홈(212)에 삽입되어 너트부(100)와 볼트부(200)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너트부(100)와 볼트부(200)를 용접하여 완전히 결합하는 종래의 방식과 달리 쐐기(50)를 쐐기홈(212)에 삽입하는 방식과 나사결합을 통해 볼트부(200)를 너트부(100)와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볼트부(200)를 너트부(100)에서 분리하거나 캠부(300)를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볼트부(200)의 몸체부분(210)에는 그리스 니플(60)이 구비되어 윤활유가 볼트부(2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볼트부(200)의 내부로 유입된 윤활유는 이동통로(미부호)와 배출구(미부호)를 통해 이동 및 배출되어 너트부(100) 또는 캠부(300)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너트부(100)는 연장판(110)과 결합구(120)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판(110)은 제1플랜지(20)의 테두리에서 제1플랜지(2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구(12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연장판(110)에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하체(310)의 일면에 형성된 단차부(312)와 맞대어지고 볼트부(200)의 몸체부분(210)이 삽입되어 몸체부분(210)과 나사결합 할 수 있다.
결합구(120)의 내주면에는 몸체부분(210)의 볼트나사산(211)과 나사결합을 하기 위해 너트나사산(121)이 형성될 수 있다.
하체(310)의 단차부(312)와 맞대어지는 결합구(120)의 일면에는 일정길이 길게 형성된 삽입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구(120)에 형성된 삽입홈(122)에는 탄성부(1231)와 볼부(1232)로 이루어진 볼스토퍼(123)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1231)는 삽입홈(122)에 구비되고 볼부(1232)와 연결되어 볼부(1232)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볼부(1232)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볼부(1232)는 캠부(300)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결합구(120)와 맞대어진 단차부(312)에 의해 삽입홈(12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캠부(300)를 해제했을 시에는 캠부(300)에 발생하는 편심하중에 의해 결합구(120)와 맞대어진 단차부(312)가 결합구(120)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삽입홈(122)으로부터 돌출되어 캠부(300)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캠부(300)가 편심하중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부(30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캠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락장치(10)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플랜지(20)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너트부(100), 너트부(100)와 결합하여 너트부(100)에 삽입되는 몸체부분(210)과 몸체부분(210)에서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머리부분(220)을 구비하는 볼트부(200) 및 머리부분(22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볼트부(200)와 결합하고 체결장치(40)에 체결되어 체결장치(40)를 통해 제1플랜지(20)와 맞대어진 제2플랜지(30)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캠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캠부(30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머리부분(220)의 외주면을 감싸는 하체(310), 하체(310)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각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머리부분(2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체(320)를 구비하고, 하체(310)와 상체(320)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볼트부(200)가 너트부(100)와 결합한 후 캠부(300)가 편심하중을 받도록 하여 캠부(30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면(330)이 형성되고, 하체(310)의 상면에는 체결장치(40)가 캠부(300)에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체결홈(311)이 형성되고, 하체(310)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312)가 형성되고, 하체(310)의 내부에는 볼트부(200)가 일정길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3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체(320)의 외주면에는 정전기 방지 패드(321)가 구비될 수 있다. 정전기 방지 패드(321)는 체결장치(40)를 상체(320)에 체결 또는 해제할 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정전기로 인한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한 체결 또는 해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락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캠락장치 20: 제1플랜지
30: 제2플랜지 40: 체결장치
41: 특수체결공구 41a: 돌출부위
42: 범용체결공구 50: 쐐기
60: 그리스 니플 100: 너트부
110: 연장판 120: 결합구
121: 너트나사산 122: 삽입홈
123: 볼스토퍼 1231: 탄성부
1232: 볼부 200: 볼트부
210: 몸체부분 211: 볼트나사산
212: 쐐기홈 220: 머리부분
221: 제1머리부 222: 제2머리부
300: 캠부 310: 하체
311: 체결홈 312: 단차부
313: 방지턱 314: 경사부
320: 상체 321: 정전기 방지 패드
322: 옆면 330: 수직면

Claims (1)

  1. 일정한 간격으로 제1플랜지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와 결합하여 상기 너트부에 삽입되는 몸체부분 및 상기 몸체부분에서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머리부분을 구비하는 볼트부와,
    상기 머리부분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볼트부와 결합하고 범용체결공구에 체결되어 상기 범용체결공구를 통해 상기 제1플랜지와 맞대어진 제2플랜지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는 원형의 캠(활꼴)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머리부분의 외주면을 감싸는 하체와, 상기 하체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각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머리부분의 외주면을 감싸며 외측에 범용체결공구가 체결되는 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체와 상기 상체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체의 상면에는 특수체결공구의 돌출부위가 직접 삽입되어 상기 캠부에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체에는 캠 형상의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의 하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체의 내부에는 상기 볼트부가 일정길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는 상기 너트부와 결합하여 상기 너트부에 삽입되는 상기 몸체부분과, 상기 몸체부분에서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머리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분은 상기 하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체에 의해 외주면이 감싸지는 제1머리부 및 상기 제1머리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방지턱의 상면에 얹혀지는 형태로 상기 상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체에 의해 외주면이 감싸지는 제2머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분의 외주면에는 상기 너트부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볼트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나사산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쐐기가 삽입되는 쐐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체는, 상기 다각형의 링 형상을 구성하며 상기 범용체결공구와 체결될 수 있는 다수의 옆면을 포함하고,
    상기 특수체결공구의 돌출부위는, 다수로 구성되며 상기 특수체결공구가 상기 캠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캠부의 상체에서 하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은, 상기 수직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수직면으로부터 상기 수직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체의 옆면을 따라 요입 형성되고, 상기 하체의 외주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단차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은 각각, 상기 특수체결공구의 돌출부위의 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특수체결공구가 회전할 때 상기 돌출부위의 상단부분이 상기 수직면에 인접한 상체의 옆면에 접촉하여 상기 체결홈과 상기 수직면에 인접한 상체의 옆면에 동시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면의 양측부분으로부터 상기 수직면에 인접한 상체의 옆면을 향하여 요입되고 상기 수직면에 인접한 상체의 옆면과 나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락장치.
KR1020200068492A 2020-06-05 2020-06-05 캠락장치 KR102188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492A KR102188010B1 (ko) 2020-06-05 2020-06-05 캠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492A KR102188010B1 (ko) 2020-06-05 2020-06-05 캠락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471 Division 2019-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010B1 true KR102188010B1 (ko) 2020-12-07

Family

ID=7379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492A KR102188010B1 (ko) 2020-06-05 2020-06-05 캠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01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541A (en) * 1977-01-26 1978-08-15 Marine Moisture Control Company, Inc. Quick acting coupling
JPS60132198A (ja) * 1983-12-20 1985-07-15 株式会社旭機械製作所 カムロツク式フランジ継手
JPH062707A (ja) * 1992-06-19 1994-01-11 Mitsuyoshi Kuratsu ナット回り止め構造
KR960008558U (ko) * 1994-08-29 1996-03-15 볼트고정용 플랜지
JP2009228769A (ja) * 2008-03-21 2009-10-08 Cosmo Oil Co Ltd カムロック式フランジ継手の締結方法、締結治具、及びフランジ締結装置
KR101068218B1 (ko) 2008-11-12 2011-09-28 이재진 드레인 밸브를 구비하는 캠-록킹형 커플링 조립체
JP2018040428A (ja) * 2016-09-08 2018-03-15 株式会社旭機械製作所 フランジ継手の締結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541A (en) * 1977-01-26 1978-08-15 Marine Moisture Control Company, Inc. Quick acting coupling
JPS60132198A (ja) * 1983-12-20 1985-07-15 株式会社旭機械製作所 カムロツク式フランジ継手
JPH062707A (ja) * 1992-06-19 1994-01-11 Mitsuyoshi Kuratsu ナット回り止め構造
KR960008558U (ko) * 1994-08-29 1996-03-15 볼트고정용 플랜지
JP2009228769A (ja) * 2008-03-21 2009-10-08 Cosmo Oil Co Ltd カムロック式フランジ継手の締結方法、締結治具、及びフランジ締結装置
KR101068218B1 (ko) 2008-11-12 2011-09-28 이재진 드레인 밸브를 구비하는 캠-록킹형 커플링 조립체
JP2018040428A (ja) * 2016-09-08 2018-03-15 株式会社旭機械製作所 フランジ継手の締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8808A (en) Mechanical pipe joint
JP4495849B2 (ja) 緩み止めナット
WO2003093691A1 (fr) Fixation de blocage
JPS6030877B2 (ja) 油井管用のねじ継手
WO2021208830A1 (zh) 防拆接头及防拆接头组件
JP2007207489A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WO2016009666A1 (ja) アンカーボルト
KR102188010B1 (ko) 캠락장치
KR20050076367A (ko) 배관지지장치
TWI714439B (zh) 套筒扳手之驅動頭結構
JP2016145607A (ja) 緩み止めナット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JP6358870B2 (ja) 締結固定機構部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ギヤの筐体
WO2022083640A1 (zh) 防拆连接件及防拆连接组件
JPH0640565U (ja) メカニカル継手
JPH09242949A (ja) ステンレス管用管継手
KR100432656B1 (ko) 파이프연결구
TW201608139A (zh) 錨定螺栓
JP3532180B2 (ja) シャートルクナット
KR200346953Y1 (ko) 배관지지장치
JP7278598B2 (ja) 共回り防止具
JP3100027U (ja) 多重緩み防止ナット装置
WO2024111299A1 (ja) 継手構造
JP2733193B2 (ja) ジョイント金具
JPH11201372A (ja) ネジ継手用水圧水侵入防止プロテ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