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367A - 배관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367A
KR20050076367A KR1020040004323A KR20040004323A KR20050076367A KR 20050076367 A KR20050076367 A KR 20050076367A KR 1020040004323 A KR1020040004323 A KR 1020040004323A KR 20040004323 A KR20040004323 A KR 20040004323A KR 20050076367 A KR20050076367 A KR 20050076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gasket
support device
pipe
pip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7140B1 (ko
Inventor
박순복
Original Assignee
박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복 filed Critical 박순복
Priority to KR102004000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14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주면에 클램프 가스켓이 개재되고, 통공을 갖는 체결부가 양단부에 형성되어 배관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배치된 후 맞대어진 체결부 사이에 와셔를 개재시키고 볼트,너트로 체결되는 클램프로 구성된 배관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셔(4)는 일면에 상기 통공에 억지끼움되는 환턱(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클램프 가스켓(3a)(3b)은 일단부에는 암결합부(39a)(39b)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숫결합부(38a)(38b)가 형성됨으로써, 셔가 클램프에 고정될 수 있고, 클램프 가스켓이 클램프와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어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클램프 가스켓의 내주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진동이나 소음제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각 클램프 가스켓의 끝단이 서로 끼움결합됨으로써 불필요한 틈새를 배제하여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지지장치 { pipe supporter }
본 발명은 배관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진동이나 소음으로부터 배관을 보호할 수 있는 배관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지지장치는 배관을 지지물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배관 자체는 물론 지지물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도 1은 종래 배관지지장치(A')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반원형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고정구(20a')(20b')로 이루어진 클램프가 배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체결되되, 각 고정구의 내주면에는 파이프에 외접하는 복수의 반원형의 클램프 가스켓(3a')(3b')를 개재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구(20a')(20b')는 맞대어진 체결부(22a')(22b') 사이에 와셔(4')를 개재시킨 후 볼트(50')를 체결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은 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와셔가 자주 이탈되어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고, 각 클램프 가스켓의 끝단이 정확히 맞닿지 않아 틈새가 생김으로써 상기 틈새에 결로현상이 발생되어 부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클램프와 클램프 가스켓이 견고히 결합되지 않으므로 클램프 가스켓이 종종 클램프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와셔가 클램프에 고정될 수 있고, 클램프 가스켓이 클램프와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어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클램프 가스켓의 내주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진동이나 소음제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각 클램프 가스켓의 끝단이 서로 끼움결합됨으로써 불필요한 틈새를 배제하여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관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내주면에 클램프 가스켓이 개재되고, 통공을 갖는 체결부가 양단부에 형성되어 배관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배치된 후 맞대어진 체결부 사이에 와셔를 개재시키고 볼트,너트로 체결되는 클램프로 구성된 배관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일면에 상기 통공에 억지끼움되는 환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클램프 가스켓은 양단부에 각각 암, 수결합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의 측단에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결합된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I-I선 단면도, 도 5는 도 1에서 II-II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클램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제작되며 양단부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통공(220a)(220b)을 갖는 체결부(22a)(22b)가 형성된 제1 및 제2고정구(20a)(20b)가 배관(100)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맞대어진 후 상기 체결부(22a)(22b)에 볼트 및 너트를 체결시켜 고정되도록 한 통상의 구조를 따른다.
상기 와셔(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에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40)을 갖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일면에는 상기 삽입공(40)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통공(220a)(220b)에 내접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환턱(42)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환턱(42)을 상기 통공(220a)(220b) 중 어느 하나에 억지끼움결합시켜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가스켓(3a)(3b)은 신축성을 갖는 고무재질로서 내유성(oil resistance)이 좋은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 : 이하 'NBR'이라 함)나 오존 및 자외선에 강하고 신축성이 좋은 네오프렌(neoprene) 재질이 사용된다.
상기 클램프 가스켓(3a)(3b)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의 제1 및 제2고정구(20a)(20b)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하기 위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된 숫결합부(38a)(38b)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숫결합부(38a)(38b)에 대응하는 암결합부(39a)(39b)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고정구(20a)(20b) 사이에서 서로 맞대어진 클램프 가스켓(3a)(3b)이 암,수결합에 의해 꼭맞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 가스켓(3a)(3b)의 폭은 제1 및 제2고정구(20a)(20b)의 폭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시키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의 양측단에 돌출턱(32a)(32b)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턱(32a)(32b)사이의 중앙부가 끼움홈(34a)(34b)이 형성되도록 한 된 것이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구(20a)(20b)가 끼움홈(34a)(34b)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어 공기유입에 의한 들뜸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턱(32a)(32b)의 안쪽면을 내측으로 약 3°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시킴으로써 제1 및 제2고정구(20a)(20b)가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 가스켓(3a)(3b)의 내주면에는 요철부(36a)(36b)를 형성시키되, 원주방향의 양측단에는 단턱(37b)을 형성시키고, 요부의 내벽의 기울기(θ)는 외부에서 충격을 가했을 때 고무의 반력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대략 10 ∼ 15°로 형성시키고, 외부의 힘이 미칠 때 외측으로 분산되는 힘(E)을 감안하여 고무밀도(rubber density)를 15A∼40A까지는 70㎏/㎤, 50A 이상은 75㎏/㎤을 기준으로 하여 조이는 힘(U)를 정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A)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클램프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고정구(20a)(20b)의 내주면에 클램프 가스켓(3a)(3b)을 결합시키되 상기 끼움홈(34a)(34b)에 제1 및 제2고정구(20a)(20b)를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키고, 제1 및 제2고정구(20a)(20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 체결부(22a)(22b)에 형성된 통공에 상기 와셔(4)를 끼움결합시킨다.
이후 제1 및 제2고정구(20a)(20b)를 배관(100)을 사이에 두고 맞대어 배치시키되 각 클램프 가스켓(3a)(3b)의 암결합부(39a)(39b)와 숫결합부(38a)(38b)를 서로 끼움결합시킨 후 각 체결부(22a)(22b)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클램프 가스켓(3a)(3b)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37b)이 배관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요철부(36a)(36b) 내부에는 진공상태가 형성될 수 있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력이 배관에는 전달되지 않게 차단하게 되어 마치 에어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배관(100)에 체결된 클램프의 외측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거(200)를 설치하여 지지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는 와셔가 클램프에 고정될 수 있어 분실을 방지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클램프 가스켓이 클램프와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어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요철부에 의해 진동이나 소음제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각 클램프 가스켓의 끝단이 서로 끼움결합됨으로써 불필요한 틈새를 배제하여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된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I-I선 단면도.
도 5는, 도 1에서 II-II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a,3b : 클램프 가스켓 4 : 와셔
20a, 20b : 제1 및 제2고정구 22a,22b : 체결부
32a,32b : 돌출턱 34a,34b : 끼움홈
36a,36b : 요철부 38a,38b : 숫결합부
39a,39b : 암결합부 42 : 환턱

Claims (3)

  1. 내주면에 클램프 가스켓이 개재되고, 통공을 갖는 체결부가 양단부에 형성되어 배관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배치된 후 맞대어진 체결부 사이에 와셔를 개재시키고 볼트,너트로 체결되는 클램프로 구성된 배관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셔(4)는 일면에 상기 통공에 억지끼움되는 환턱(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클램프 가스켓(3a)(3b)은 일단부에는 암결합부(39a)(39b)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숫결합부(38a)(38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가스켓(3a)(3b)의 외주면의 원주방향 양측단에는 돌출턱(32a)(32b)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턱(32a)(32b) 사이가 끼움홈(34a)(34b)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지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가스켓(3a)(3b)은 내주면에는 원주방향 양측단에 단턱(37b)을 갖는 요철부(36a)(36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지지장치.
KR1020040004323A 2004-01-20 2004-01-20 배관지지장치 KR10062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323A KR100627140B1 (ko) 2004-01-20 2004-01-20 배관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323A KR100627140B1 (ko) 2004-01-20 2004-01-20 배관지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675U Division KR200346953Y1 (ko) 2004-01-20 2004-01-20 배관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367A true KR20050076367A (ko) 2005-07-26
KR100627140B1 KR100627140B1 (ko) 2006-09-25

Family

ID=3726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323A KR100627140B1 (ko) 2004-01-20 2004-01-20 배관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14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522B1 (ko) * 2006-02-16 2007-08-29 박동호 배관 클램프
KR100931545B1 (ko) * 2008-03-10 2009-12-14 (주)파인텍 케미컬 관체 고정장치
KR101105865B1 (ko) * 2011-07-26 2012-01-16 이노화학 주식회사 배관 연결 받침대
KR101252071B1 (ko) * 2010-09-16 2013-04-12 이영우 파이프 고정 장치
KR200473036Y1 (ko) * 2013-02-20 2014-06-2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대구경 나비형 밸브의 스템 고정용 지그 장치
WO2015002339A1 (ko) * 2013-07-02 2015-01-08 엠티코리아(주) 파이프 클램프
KR20170009814A (ko) * 2014-05-20 2017-01-25 발터슈타우펜베르그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파이프 또는 호스의 소음-감소 체결을 위한 장치
US10240692B2 (en) 2015-12-31 2019-03-26 Kepc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Inc. Fastening-type pipe supporting apparatus for curved pipe
KR101979687B1 (ko) * 2018-06-26 2019-08-28 (주)한국이에이치티 미네랄 절연 케이블 및 멀티 클램프를 포함하는 표피 효과 히팅 시스템
KR102023893B1 (ko) * 2018-03-28 2019-09-23 김상현 종방향 흔들림 방지대
CN114382949A (zh) * 2022-01-11 2022-04-22 上昇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软管固定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39B1 (ko) 2014-04-02 2014-10-27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CN109435872B (zh) * 2018-10-16 2022-06-28 徐州华奥纺织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线束管夹
KR102509775B1 (ko) 2022-05-30 2023-03-14 주식회사 아이텍스 파이프 지지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522B1 (ko) * 2006-02-16 2007-08-29 박동호 배관 클램프
KR100931545B1 (ko) * 2008-03-10 2009-12-14 (주)파인텍 케미컬 관체 고정장치
KR101252071B1 (ko) * 2010-09-16 2013-04-12 이영우 파이프 고정 장치
KR101105865B1 (ko) * 2011-07-26 2012-01-16 이노화학 주식회사 배관 연결 받침대
KR200473036Y1 (ko) * 2013-02-20 2014-06-2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대구경 나비형 밸브의 스템 고정용 지그 장치
WO2015002339A1 (ko) * 2013-07-02 2015-01-08 엠티코리아(주) 파이프 클램프
KR20170009814A (ko) * 2014-05-20 2017-01-25 발터슈타우펜베르그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파이프 또는 호스의 소음-감소 체결을 위한 장치
US10240692B2 (en) 2015-12-31 2019-03-26 Kepc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Inc. Fastening-type pipe supporting apparatus for curved pipe
KR102023893B1 (ko) * 2018-03-28 2019-09-23 김상현 종방향 흔들림 방지대
KR101979687B1 (ko) * 2018-06-26 2019-08-28 (주)한국이에이치티 미네랄 절연 케이블 및 멀티 클램프를 포함하는 표피 효과 히팅 시스템
CN114382949A (zh) * 2022-01-11 2022-04-22 上昇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软管固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140B1 (ko) 200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140B1 (ko) 배관지지장치
EP1832793B1 (en) Pipe coupling with a grip washer
EP0945661A2 (en) Device for connecting a pipe joint
EP1281907B1 (en) Sleeve-type pipe joint with axially compressed packing ring
KR200390447Y1 (ko)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KR200346953Y1 (ko) 배관지지장치
KR100983087B1 (ko) 파이프용 커플러
CA2458788C (en) Improved pipe repair clamp
KR20190024024A (ko) 풀림 및 누설이 방지되는 플랜지
KR200242197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200022062A (ko) 파이프 고정 장치 및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장치
KR100883869B1 (ko) 파이프 연결부재용 결속링
KR100535577B1 (ko) 배기파이프의 연결 구조
JP3135228B2 (ja) 管継手
JP5197146B2 (ja) 離脱防止管継手
KR200185380Y1 (ko) 상수도관 이탈방지용 압륜 고정받침쇠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KR100540783B1 (ko) 배관용 연결구
JP3825859B2 (ja) 管継手
KR200363189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JP7246440B2 (ja) 補強治具の装着方法
WO2002046655A1 (en) Pipe joint
TWI831232B (zh) 套管螺母管接頭之防脫管裝置
JP2001254883A (ja) コルゲート管用継ぎ手
KR19990039586U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