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997B1 -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997B1
KR102187997B1 KR1020190025044A KR20190025044A KR102187997B1 KR 102187997 B1 KR102187997 B1 KR 102187997B1 KR 1020190025044 A KR1020190025044 A KR 1020190025044A KR 20190025044 A KR20190025044 A KR 20190025044A KR 102187997 B1 KR102187997 B1 KR 102187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server
parking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616A (ko
Inventor
신상용
이화진
Original Assignee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이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이화진 filed Critical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997B1/ko
Priority to EP19918027.4A priority patent/EP3933804A4/en
Priority to PCT/KR2019/017710 priority patent/WO2020179992A1/ko
Publication of KR20200106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997B1/ko
Priority to US17/466,313 priority patent/US2021039842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inside the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 G06Q90/20Destination assistance within a business structure or complex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회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는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3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SYSTEM FOR IDENTIFTYING PARKING-LOCATION}
본 개시는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에서는 사용자가 하차 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주차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주차 위치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설명된다.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범위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기재하였다는 이유로 선행 기술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전자제어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차량에서도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작동하던 각종 장치들이 운전자의 편리상 및 운행의 안정성 등의 이유로,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 구동되고 있으며, 차량의 시스템은 점차 고도화되고 최첨단화되어 가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차량에 텔레매틱스(Telematics) 장치를 장착하여, 원격 공조, 문 열림 및 문 잠김, 주차위치 확인, 목적지 전송, 차량 상태확인 등을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연동된 스마트 컨트롤, SOS긴급출동 서비스와 도난추적, 도난 경보 알림 서비스와 같은 안전 보안, 실시간 교통정보를 활용해 빠른 길을 안내해주는 드라이빙 서비스, 및 차량 상태 진단을 통해 차량의 정비 필요 여부를 알려주는 차량 관리 서비스 등이 제공되고 있다.
기존의 텔레매틱스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여전히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해 주차한 위치를 직접 기억해야만 하는 실정이다.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차량에 장착된 램프를 지속적으로 깜박거리게 하는 블링킹(blinking) 기능, 또는 원거리에서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짧고 강한 신호음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크립 사운드(chrip sound) 기능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 방식의 경우 차량의 정확한 방향과 거리를 인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차량에서 멀지 떨어져 있을 경우, 차량의 위치를 찾는 것이 더욱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는 위와 같은 서비스와 더불어 차량의 사용자에게,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하여, 주차 시, 자동으로 차량의 주차 위치를 확인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확인된 주차 위치를 알려주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차를 위한 공간은 복수의 층에 걸쳐 크고 복잡할 수 있다. 이런 공간에서 사용자는 주차 위치를 기억해야 한다는 사실 자체를 잊거나, 주차 위치를 기억하더라도 정확한 위치를 다시 기억해 내는데 어려움을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사용자의 능동적인 행위 없이도 차량이 직접 주차 위치를 확인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회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는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3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상기 프로세서는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에 관련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는 상기 수신된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에 관련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측위 기술은 셀 ID(Cell ID) 방식, 증강 셀 ID(Enhanced cell ID) 방식, AOA(Angle of Arrival) 방식, TOA(Time of Arrival) 방식,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 또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와 관련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주차 공간의 지도 데이터 내에 상기 위치 정보를 매칭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지도 데이터 및 상기 매칭된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상기 주차 공간의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상기 주차 공간의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차 공간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상기 주차 공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는, 상기 주차 공간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요청된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차량 위치 확인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차량 위치 확인 입력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기계식 버튼에 대한 입력,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아이콘에 대한 입력, 상기 차량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입력,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는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송신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생성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3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차량으로부터 송출된 신호에 기반하여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에 관련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측위 기술은 셀 ID(Cell ID) 방식, 증강 셀 ID(Enhanced cell ID) 방식, AOA(Angle of Arrival) 방식, TOA(Time of Arrival) 방식,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 또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주차 공간의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차 공간 정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요청된 주차 공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른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확인을 위한 시스템에 포함된 전자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주차 위치 확인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포함된 차량 내의 전자 장치의 예시적인 작동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주차 위치 확인의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출입 설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b은 도 6a에 도시된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 에서의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주차 위치 확인의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에서는 사용자가 하차 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주차 위치가 감지되고 사용자의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주차 위치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설명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에서의 결제를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여기서, 서버(13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독립형 서버, 웹 서버 및 기타 데이터 송수신 기능, 데이터 식별 기능 및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춘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네트워크(150)는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 전화 네트워크, TCP/IP 데이터 네트워크(WAN, LAN, VPN 등을 포함) 및 기타 통신 기능을 갖춘 임의의 장치 또는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110)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10)은 서버(11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160), 사용자 단말(14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장치와의 통신은 네트워크(150)를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50)는 무선 원거리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가 포함될 수 있다. 차량(110)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서, 결제 서비스, 주차위치 확인 서비스 등의 각종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또는 제공받을 수 있다. 차량(110)이 특정 영역, 예를 들어 주차장(120)에 진입할 수 있고 주차장(120)에 진입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특정 영역(120)은 주차장(120)으로 혼용되어 지칭도리 수 있다.) 차량(11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WPS(wi-fi positioning system), CPS(cellular positioning system), 삼각 측위 등의 다양한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110)이 주차장(120)에서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10)은 주차장(120)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에 의해 수행되는 삼각 측위에 의해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측위 기술은 셀 ID(Cell ID) 방식, 증강 셀 ID(Enhanced cell ID) 방식, AOA(Angle of Arrival) 방식, TOA(Time of Arrival) 방식,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 또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CPS를 위한 기지국, WPS를 위한 AP(access point), 비콘(beacon)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160) 중 적어도 하나는 주차장(12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차량(110)이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은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130)는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30)는 차량(1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으로부터 차량(110)의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차량(110)이 위치한 특정 영역(120)(예: 주차장)에 대한 주차 공간 정보와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주차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30)는 생성된 주차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주차 위치 확인 서버스를 제공받도록 허용할 수 있다.
더하여, 서버(130)는 부과될 요금을 수집하여 과금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서버(130)는 결제시스템과 결합하여 부과된 요금이 결제되어 정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과금정보는 주차시간에 기초한 주차요금 정보, 할인정보, 기타 결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결제 정보는 주차장(120)에 설치된 세차 설비에 대한 요금 정보, 주차장(120)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설비에 대한 요금 정보, 주차장(120)이 귀속된 특정 장소(예를 들어, 정비소, 쇼핑몰 등)에서의 결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열거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에서의 결제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10) 내에 설치된 전자 장치(201)는 네트워크(150)(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40) 또는 서버(130)와 통신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141)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40)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서버(130)를 통하여 전자 장치(201)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입력 장치(240), 음향 장치(250), 표시 장치(또는, 디스플레이)(260), 전력 관리 모듈(270), 또는 통신 모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26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240)(예: 터치 회로)가 표시 장치(260)에 임베디드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3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210)에 연결된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210)는 다른 구성요소(예: 입력 장치(240)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221)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221)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222)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1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3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221)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2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230)은 메모리(22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231), 미들 웨어(232) 또는 어플리케이션(233)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50)는, 전자 장치(2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1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2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2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버튼형 또는 다이얼형의 물리적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250)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201)의 외부로 출력하거나,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250)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레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레코더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코더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260)는 전자 장치(2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2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2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70)은 전자 장치(2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70)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전력 관리 모듈(270)을 통해 외부(예: 차량(1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및/또는 내부의 배터리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모듈(270)은 차량(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부터 내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1)에 공급함과 동시에 내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통신 모듈(280)은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사용자 단말(140), 또는 서버(130))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21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네트워크(121)(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통신 모듈은 근거리 네트워크(122)(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 단자(290)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201)가 ECU(291)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ECU(291)은 차량(110)의 구동, 제동, 조향 등 차량 운행에 대한 모든 부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CU(291)는 엔진, 자동 변속기, ABS(anti-lock brake system)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ECU(291)는 전자 장치(20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ECU(291)는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210)로서 기능하거나, 프로세서(210)를 대신하여 기능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네트워크(150)에 연결된 서버(130)를 통해서 전자 장치(201)와 사용자 단말(140)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전자 장치(201)와 다양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140)은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2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236) 또는 외장 메모리(2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1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주차 위치 확인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의 흐름도는 도 1의 차량(110), 서버(130), 사용자 단말(14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 상에서 구현되는 알고리즘을 기본적으로 상정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2의 차량(110)에 설치된 전자 장치(201)의 각 구성요소들이 도 3의 각 프로세스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프로세스가 반드시 도 2의 구성요소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스는 차량(110)의 특정 영역(예: 도 1의 주차장(120))에서의 주차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1)가 주차 위치 확인을 개시하는 블록(301)에서 시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차 위치 확인'이란, 사용자가 차량(110)을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영역(예: 도 1의 주차장(120))에 주차를 하고, 차량(110)이 스스로 주차된 위치를 확인하는 동작을 트리거링 또는 개시하는 동작을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자 장치(201)(또는 차량(110))은 주차 위치를 확인해야하는 상황을 감지하고 스스로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스스로 개시할 수 있다. 주차 위치 확인이 개시되면, 차량(110) 내에 설치된 전자 장치(201)는 차량(1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련된 적어도 일부의 구성요소(예: 통신 모듈(2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의 프로세서(210)는 차량(110)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적어도 일부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는 입차 상태에서는 프로세서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는 보조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엔진이 꺼짐이 검지되는 경우 주차 위치 확인을 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엔진이 꺼진 후 핸드 브레이크(주차 브레이크 또는 사이드 브레이크라고도 지칭)의 조작이 검지되는 경우, 주차 위치 확인을 개시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사용자 단말(140) 또는 원격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차량(110)의 문 등을 잠그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주차 위치 확인을 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엔진의 정지와 시동을 검지하기 위해 차량(110)의 ECU(291)로부터 차량 구동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차량(110)에 설치된 입력 장치(24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주차 위치 확인을 개시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차량(110)은 주차 위치 확인을 개시하기 위한 별도의 물리적 키(예: 도 4의 버튼(241))을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키(241)는 누름 버튼(push button) 또는 다이얼 키(dial key)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물리적 키(24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주차 위치 확인을 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표시 장치(260)에 표시된 인터페이스 상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주차 위치 확인을 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10)은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표시 장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표시 장치(260)를 통해 주차 위치 확인의 개시를 위한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상에 주차 위치 확인의 개시를 위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예: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주차 위치 확인을 개시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차량(110)은 마이크로폰(예: 도 4의 242)을 통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통해 주차 위치 확인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기설정된 특정 음성 입력(예: 사용자의 “주차 위치 확인!”이라는 발화)의 수신을 감지하는 경우, 주차 위치 확인을 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주차 위치 확인이 개시되는 경우, 통신 모듈(280)을 통해 제1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결제 정보 요청 신호는 무선 원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에 송신될 수 있다. 제1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기-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제1 신호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전자 장치(201)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사이에서 송신 및 수신되는 신호는 LTE와 같은 셀룰러 통신일 수 있으며 각각의 신호에는 제어정보(PDCCH) 및 데이터(PDSCH)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PDSCH)에는 차량(11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비콘인 경우에, 전자 장치(201)는 제1 신호를 방송(broadcast)할 수 있다. 다만, 추후 설명될 실시 예와 같이, 전자 장치(201)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이 상호 통신 상대를 이미 알고 있는 경우, 제1 신호는, 예를 들어 헤더에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여 유니캐스트(unicast)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1)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복수의 쌍방향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에서 먼저 전자 장치(201)를 향해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쌍방향 신호 송수신을 이용하여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의 위치를 특정하거나, 실시간으로 추적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의 위치를 특정 또는 추적하기 위한 측위 기술은 셀 ID(Cell ID) 방식, 증강 셀 ID(Enhanced cell ID) 방식, AOA(Angle of Arrival) 방식, TOA(Time of Arrival) 방식,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 또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AOA 방식이란 적어도 세 개의 기지국(160) 각각이 전자 장치(201)로부터 송신된 신호(예: 제1 신호)의 수신되는 입사각(incident angle)에 따르는 신호의 위상(phase)을 측정하고, 기지국(160) 사이의 거리와 위상차를 활용하여 입사각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1)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TOA 방식이란 신호의 전송시간을 활용한 방식으로, 적어도 세 개의 기지국(160)이 모두 시간 동기화가 정확히 되어있다는 가정 하에서, 전자 장치(201)로부터 기지국(160) 각각의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전자 장치(201)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RSSI 방식이란,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세 개의 기지국(160)에 수신하는 전자 장치(201)로부터의 신호(예: 제1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전자 장치(201)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신호는 전자 장치(201)가 직접 GPS 등을 이용하여 측위한 전자 장치(201)의 직접적인 위치 정보(예: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이 전자 장치(201)(또는 차량(110))으로부터 수신한 제1 신호를 수시하고,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블록(303)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제2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이 전자 장치(201)로부터 수신한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신호들을 그대로 포함하거나, 제1 신호로부터 차량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취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2 신호는 제1 신호를 송신한 전자 장치(201)의 정보(예: 단말 식별자, 식별 번호) 또는 전자 장치(201)가 포함된 해당 차량(110)의 정보(예: 차량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생성될 차량 위치 정보의 객체, 즉 어떤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측정하기 위함이다.
프로세스는, 서버(130)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으로부터 수신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블록(405)으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 위치 정보'는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의 절대적인 2차원 또는 3차원의 위치 정보, 또는 2차원 또는 3차원 절대 좌표를 지칭할 수 있다. 차량 위치 정보에서, 좌표 공간은 표준의 지역 좌표계 또는 세계 좌표계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차량 위치 정보에서, 좌표 공간은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해 디자인된 특유의 좌표 공간일 수 있다. 차량 위치 정보는 2차원의 위치 정보일 수 있으며, 높이(고도) 정보 등을 더 포함하여 3차원의 위치 정보 일 수 있다.
실시예가 전술된 설명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 위치 정보는 차량(110)에 설치된 전자 장치(201),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서버(130)는 차량 위치 정보를 전자 장치(201)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으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프로세스는, 서버(130)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으로부터 수신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블록(307)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블록(305) 보다 해당 차량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블록(307)이 먼저 실시될 수 있으며, 또는 블록(305) 및 블록(307)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서버(130)는 블록(307)에서 수신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신호는 차량(11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차량 번호, 차량(110) 또는 전자 장치(201)의 식별자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에서 차량(11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retrieve)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차량(110)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40)의 정보(예: 전화번호, 단말 식별자, 또는 이메일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는 확인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40)에 제3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신호는 서버(130)가 생성한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사용자 단말(140)이 공간 정보를 확인하고 및 주차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블록(309)로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위치 정보와 주차 공간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는, 차량 위치 정보의 기준점과 주차 공간 정보의 기준점을 일치시키고 해당 차량(110)이 특정 영역(120)에서 상대적으로 어느 위치에 실재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예를 들어, 차량 위치 정보가 좌표(x1, y1, z1)를 가리킬 때, 특정 영역(120)에서 좌표(x1, y1, z1)가 어느 영역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40)은 차량 위치 정보가 좌표(x1, y1, z1)일 때, 차량(110)이 특정 영역(120)의 주차장 층수(지하 2층), 특정 구역(A1-1)에 주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차량 위치 정보와 주차 공간 정보를 매칭한 다음, 주차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사용자 단말(140)이 주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블록(409)로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40)은 생성된 주차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주차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40)은 사용자가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표시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주차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주차 높이(주차장 층 수), 주차 위치(구획 번호), 현재 사용자 위치 및 주차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40)은 주차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음성신호를 음향 장치를 통해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40)은 음성 신호로 현재 위치로부터 주차 위치 까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안내를 음성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40)은 현재 사용자의 위치와 주자 위치와의 거리가 가까워 짐에 따라 음이 변경되는, 예를 들어 크기(magnitude)가 커지는 음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주차 위치 확인의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흐름도는 도 1에서 도시된, 차량(110), 서버(13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에 상에서 구현되는 프로세스에 대한 것이다. 도 3에서 이미 설명된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전자 장치(201)(또는 차량(110))이 특정 영역(120)으로의 진입을 확인하는 블록(601)에서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스스로 특정 영역(120)으로의 진입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주차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주기적으로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주차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들에 진입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네트워크(150) 또는 근거리 네트워크(141)를 통해 외부로부터 신호를 통해 특정 영역(120)으로의 진입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차량(110)이 특정 통로 또는 차량 출입 설비를 통과할 때, 특정 통로 또는 차량 출입 설비에 설치된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 수단으로부터 특정 영역(120)에 진입하였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1)는 특정 영역으로의 진입을 확인한 뒤, 특정 영역으로 진입했다는 신호를 서버(130)에 송신할 수 있다.
그 다음, 블록(503)에서, 서버(130)는 특정 영역 진입 신호를 송신한 전자 장치(201)(또는 차량(110)이 진입한 특정 영역(120)을 확인할 수 있다. 서버(130)는 확인된 특정 영역(120)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에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대기 상태로 작동하게 하는 입차 확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30)는 특정 영역(120) 마다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대한 식별자(예: 셀 식별자(cell identifier)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130)는 해당 차량(110)에 대응하는 통신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를 확인하고, 특정 영역(120) 주위의 해당 통신사에 소속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입차 확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130)는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입차 확인 신호를 직접 송신하거나, 다른 서버를 경유하여 송신할 수 있다.
그 다음, 프로세스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이 대기 상태로 작동하는 블록(505)로 진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입차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기 상태'란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에서 주차 확인을 개시(블록(301))하는 것에 기초하여 송신한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절전 모드로 동작하다가 서버(130)로부터 송신된 입차 확인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활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송신된 입차 확인 신호에 포함된 입차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대기 상태로 작동하면서, 획득된 차량(11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차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의 접근(access)를 허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대기 상태로 작동함에 따라, 주기적으로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의 추적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이 먼저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에 특정 신호를 발송하고, 차량(110)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11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으로 이뤄질 수 있다.
그 다음,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신호를 서버(130)에 송신한 뒤, 대기 상태가 해제되는 블록(507)로 진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제2 신호를 송신한 경우, 수행할 동작들이 없으므로 대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대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이 절전 모드로 돌아가거나, 차량(1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 일정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중단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출입 설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b은 도 6a에 도시된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 에서의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b의 흐름도는 도 1에서 도시된, 차량(110), 서버(13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에 더하여, 특정 영역(120)에 진입로에 설치된 차량 출입 설비(610)가 더 포함된 상황을 상정하고, 상기 컴포넌트 상에서 구현되는 프로세스에 대한 것이다. 도 3에서 이미 설명된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차량(110)이 특정 영역(예: 도 1의 주차장(120))으로의 진입을 위하여 출입 설비(610)를 통과할 때, 차량(110)의 입차 차량 번호 이미지를 획득하는 블록(601)에서 시작할 수 있다. 차량 출입 설비(610)는 입차하는 차량(110)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해당 차량의 이미지는 차량(110)의 전면 및/또는 후면 영상으로서 해당 차량의 번호판 부분이 포함될 것일 수 있다. 차량 출입 설비(610)는 획득한 차량 번호 이미지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110)의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차량 출입 설비(610)는 해당 차량(110)의 차량 번호에 대한 미인식이 검출되는 경우, 차량 번호 확인을 위해, 획득한 차량 번호 이미지를 서버(130)에 송신할 수 있다. 차량 번호 이미지의 송신은, 직접 서버(130)로 송신되거나, 다른 서버(예: 로컬 서버)를 경유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블록(603)에서 서버(130)는 수신한 차량 번호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서버(130)는 수신한 차량 번호 이미지에 기초하여, 빅데이터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클라이언트-서버, 또는 이에 기반한 머신 러닝 기술 등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30)는 확인한 차량 번호를 차량 출입 설비(6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차량 번호 이미지를 송신한 차량 출입 설비(610) 및/또는 확인된 차량 번호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에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대기 상태로 작동하게 하는 입차 확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30)는 차량 번호 이미지를 송신한 차량 출입 설비(610)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AP, 적어도 하나의 비콘에 입차 확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130)는 각각의 차량 출입 설비(610) 마다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대한 식별자(예: 셀 식별자(cell identifier)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130)는 확인된 차량 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통신사(PLMN)를 확인하고, 차량 출입 설비(610)(또는 특정 영역(120)) 주위의 해당 통신사에 소속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입차 확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130)는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입차 확인 신호를 직접 송신하거나, 다른 서버(예: 로컬 서버(62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에 대한 입차 신호는 차량 출입 설비(610)로부터 직접 또는 다른 서버(예: 로컬 서버(620))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이는 차량 출입 설비(610)가 차량(110)의 차량 번호를 정확히 인식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그 다음, 프로세스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이 대기 상태로 작동하는 블록(605)로 진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입차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기 상태'란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에서 주차 확인을 개시(블록(401))하는 것에 기초하여 송신한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작동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절전 모드로 동작하다가 서버(130)로부터 송신된 입차 확인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활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송신된 입차 확인 신호에 포함된 입차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대기 상태로 작동하면서, 획득된 차량(11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차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의 접근(access)을 허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대기 상태로 작동함에 따라, 주기적으로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의 추적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이 먼저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에 특정 신호를 발송하고, 차량(110)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11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으로 이뤄질 수 있다.
그 다음,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은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신호를 서버(130)에 송신한 뒤, 대기 상태가 해제되는 블록(607)로 진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1, 160-2 160-3)은 제2 신호를 송신한 경우, 수행할 동작들이 없으므로 대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대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이 절전 모드로 돌아가거나, 차량(1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차량(110)(또는 전자 장치(201)) 일정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중단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주차 위치 확인의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3의 흐름도에서 주차 공간 정보의 확인 및 주차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블록(409)의 상세한 흐름도 일 수 있다.
블록(701)에서, 사용자 단말(140)은 주차 공간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 단말(140)은 차량(110)에 진입한 또는 주차한 특정 영역(120)에 대한 주차 공간 정보가 사용자 단말(140)의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공간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프로세스는 차량 위치 정보와 주차 공간 정보를 매칭하는 블록(707)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공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프로세스는 서버(130)에 주차 공간 정보를 요청하는 블록(703)으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40)은 서버(130)에 해당 차량(110)이 주차된 특정 영역(120)에 대한 주차 공간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서버(130)에 송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 단말(140)은 주차 공간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서버(130)가 송신한 주차 공간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수신된 주차 공간 정보는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그 다음 차량 위치 정보와 주차 공간 정보를 매칭하는 블록(707)으로 진행될 수 있다.
블록(707)에서 사용자 단말(140)은 차량 위치 정보와 주차 공간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는, 차량 위치 정보의 기준점과 주차 공간 정보의 기준점을 일치시키고 해당 차량(110)이 특정 영역(120)에서 상대적으로 어느 위치에 실재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예를 들어, 차량 위치 정보가 좌표(x1, y1, z1)를 가리킬 때, 특정 영역(120)에서 좌표(x1, y1, z1)가 어느 영역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40)은 차량 위치 정보가 좌표(x1, y1, z1)일 때, 차량(110)이 특정 영역(120)의 주차장 층수(지하 2층), 특정 구역(A1-1)에 주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차량 위치 정보와 주차 공간 정보를 매칭한 다음, 주차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블록(709)로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블록(709)에서, 주차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위치 정보와 주차 공간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는, 차량 위치 정보의 기준점과 주차 공간 정보의 기준점을 일치시키고 해당 차량(110)이 특정 영역(120)에서 상대적으로 어느 위치에 실재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예를 들어, 차량 위치 정보가 좌표(x1, y1, z1)를 가리킬 때, 특정 영역(120)에서 좌표(x1, y1, z1)가 어느 영역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40)은 차량 위치 정보가 좌표(x1, y1, z1)일 때, 차량(110)이 특정 영역(120)의 주차장 층수(지하 2층), 특정 구역(A1-1)에 주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차량 위치 정보와 주차 공간 정보를 매칭한 다음, 주차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본 개시에 따른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차 위치를 특별히 외우거나, 주차 위치를 기억하기 위한 특별한 조작 없이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공간으로서 특정 영역을 제공하는 사업자 입장에서도, 본 개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새로운 설비의 추가를 최소화하면서 특정 영역에서의 주차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주차 위지 확인 서비스는, 차량(110)에 설치된 전자 장치(201)가 네트워크(150)를 통해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서버(13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과 직접 통신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능동적인 조작 없이도, 주차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은 복합 쇼핑몰의 주차장으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특정 영역은 콘서트장, 자동차 극장, 페스티벌 장소 등과 같이 주차 공간을 제공하되, 사용자가 주차 공간을 기억하기 어려운 공간일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더하여, 본 개시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서, 차량 위치 정보의 생성, 차량 위치 정보와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차 공간 정보의 매칭, 주차 위치 정보의 생성과 같은 프로세스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주체(예: 차량(110)에 설치된 전자 장치(201), 서버(130), 로컬 서버(620), 사용자 단말(14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0) 각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들이 서로 다른 주체에서 수행됨에 따라, 주체들 간에 추가될 수 있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시스템을 하드웨어로 구현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것인지는, 일반적으로 비용 대비 효율의 트레이드오프를 나타내는 설계상 선택 문제이다. 본 개시에서는 프로세스, 시스템, 기타 다른 기술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수단(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이 있으며, 선호되는 수단은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context)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현자가 속도 및 정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결정한다면, 구현자는 주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수단을 선택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가장 중요하다면, 구현자는 주로 소프트웨어 구현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구현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어떤 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차량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특정 영역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특정 영역으로의 진입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특정 영역 진입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는 상기 특정 영역 진입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입차 확인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상기 입차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로 작동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차량 위치 확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 상태로 작동 중인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는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3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상기 프로세서는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에 관련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는 상기 수신된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에 관련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기술은 셀 ID(Cell ID) 방식, 증강 셀 ID(Enhanced cell ID) 방식, AOA(Angle of Arrival) 방식, TOA(Time of Arrival) 방식,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 또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와 관련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주차 공간의 지도 데이터 내에 상기 위치 정보를 매칭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지도 데이터 및 상기 매칭된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상기 주차 공간의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더 송신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상기 주차 공간의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차 공간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상기 주차 공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는, 상기 주차 공간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요청된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위치 확인 입력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기계식 버튼에 대한 입력,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아이콘에 대한 입력, 상기 차량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입력,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한후에 대기 상태를 해제하도록 더 구성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특정 영역으로의 진입을 확인하는 것은, GPS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영역으로의 진입을 확인하거나, 상기 특정 영역에 설치된 차량 출입 설비로부터 수신한 상기 특정 영역에 진입하였다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영역으로의 진입을 확인하는 것인,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는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송신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생성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3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12. 특정 영역에서의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특정 영역으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특정 영역 진입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영역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입차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입차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로 작동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차량으로부터 송출된 신호에 기반하여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에 관련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기술은 셀 ID(Cell ID) 방식, 증강 셀 ID(Enhanced cell ID) 방식, AOA(Angle of Arrival) 방식, TOA(Time of Arrival) 방식,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 또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주차 공간의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차 공간 정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요청된 주차 공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KR1020190025044A 2019-03-05 2019-03-05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 KR102187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044A KR102187997B1 (ko) 2019-03-05 2019-03-05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
EP19918027.4A EP3933804A4 (en) 2019-03-05 2019-12-13 PARKING POSITION VERIFICATION SYSTEM
PCT/KR2019/017710 WO2020179992A1 (ko) 2019-03-05 2019-12-13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
US17/466,313 US20210398426A1 (en) 2019-03-05 2021-09-03 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044A KR102187997B1 (ko) 2019-03-05 2019-03-05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616A KR20200106616A (ko) 2020-09-15
KR102187997B1 true KR102187997B1 (ko) 2020-12-07

Family

ID=7233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044A KR102187997B1 (ko) 2019-03-05 2019-03-05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98426A1 (ko)
EP (1) EP3933804A4 (ko)
KR (1) KR102187997B1 (ko)
WO (1) WO20201799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048A (ko) 2021-11-01 2023-05-09 조중훈 주차 위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328A1 (ja) * 2021-09-29 2023-04-06 Togosys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KR102658728B1 (ko) * 2023-07-17 2024-04-18 주식회사 동성아이텍 모바일과 블루투스를 이용한 위치기반의 주차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00B1 (ko) * 2005-12-01 2007-1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차장 내 차량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7759B1 (ko) * 2007-07-09 2009-05-15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차량번호인식시스템을 이용한 통합 무인주차장 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KR20110133755A (ko) * 2010-06-07 2011-12-14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유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시스템
KR101258689B1 (ko) * 2010-11-03 2013-05-09 (주)한별테크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KR20130082568A (ko) * 2011-12-09 2013-07-22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WO2015188122A1 (en) * 2014-06-06 2015-12-10 Casanova Andres E Wirelessly managing parking
WO2018147519A1 (ko) * 2017-02-13 2018-08-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주차 영역 접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186531B1 (ja) * 2017-03-30 2017-08-23 株式会社オーガスタス 駐車場管理システム
MX2019011781A (es) * 2017-04-01 2019-11-18 Jiangsu hongbao hardware co ltd Sistemas y metodos para determinar una region de estacionamiento de vehiculo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048A (ko) 2021-11-01 2023-05-09 조중훈 주차 위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9992A1 (ko) 2020-09-10
EP3933804A4 (en) 2023-02-08
US20210398426A1 (en) 2021-12-23
EP3933804A1 (en) 2022-01-05
KR20200106616A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10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accuracy location determination and parking
US20210398426A1 (en) 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US11216753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management method
CN107481548B (zh) 停车管理方法及系统
US2017025588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digital signage for directing parking traffic
US202200050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payment in vehicle
US10854077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management method
KR101268903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US10802502B2 (en) Movable body utilizatio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utilizing movable body
KR102585581B1 (ko) 주차관리시스템
JP2020098572A (ja) 音監視及び報告システム
KR20160150280A (ko)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KR20190078996A (ko) 운송 수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82048A (ko) 공유 주차면 요금 결제시스템
KR101844311B1 (ko) 주차위치전송장치
KR20220002840A (ko) 차량 내부에서의 결제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US20200193411A1 (en) MULTIPLE AUTHENTICATION AND PAYMENT SYSTEM AND METHOD USING eSIM
KR20200109680A (ko) IoT 무선 차량 검지 시스템 및 그 방법
EP35598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alert
JP7008915B2 (ja) 出庫判定装置、携帯端末、サーバ装置、出庫判定システム、出庫判定方法及び出庫判定プログラム
KR20160023983A (ko) 비콘을 이용한 택시 이용 서비스 시스템
KR101879978B1 (ko)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JP2018156251A (ja) 車両位置案内システム
US20230041498A1 (en) Driver Assistance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ment In A Drive-Through Lane
KR20230047987A (ko)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