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937B1 - 원격 촬영 지원 장치 및 원격 촬영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촬영 지원 장치 및 원격 촬영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937B1
KR102187937B1 KR1020190172301A KR20190172301A KR102187937B1 KR 102187937 B1 KR102187937 B1 KR 102187937B1 KR 1020190172301 A KR1020190172301 A KR 1020190172301A KR 20190172301 A KR20190172301 A KR 20190172301A KR 102187937 B1 KR102187937 B1 KR 102187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led
information
controlled devic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현
Original Assignee
유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현 filed Critical 유경현
Priority to KR1020190172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257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서 촬영용 모바일 디바이스의 촬영 기능과 상기 촬영용 모바일 디바이스를 탑재한 탑재 장치의 자세조정 기능이 제어될 수 있게 하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 및 원격 촬영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중, 상기 방법은, 피제어 디바이스가 원본화면을 제어용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제어용 디바이스가 원본화면을 복사화면으로서 표시하고 상기 복사화면 상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에 관련된 원격 정보를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피제어 디바이스가 원격 정보를 자신과 통신접속된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전송하는 것; 원격 촬영 지원 장치가 원격 자세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자세조정 기능을 제어하고 및 원격 촬영 정보를 등록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시켜서 피제어 디바이스에 반환하는 것;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조작 정보에 근거하여 자신의 촬영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촬영 지원 장치 및 원격 촬영 지원 방법{REMOTE SHOOTING SUPPORT APPARATUS AND REMOTE SHOOTING SUPPORT METHOD}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 촬영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서 촬영용 모바일 디바이스의 촬영 기능과 상기 촬영용 모바일 디바이스를 탑재한 탑재 장치의 자세조정 기능이 제어될 수 있게 하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 및 원격 촬영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면서, 무거운 카메라를 사용하는 대신에,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하는 비중이 늘고 있다.
특히, SNS의 '여행 인스타그램'의 대중화, '인생샷' 문화의 활성화, 혼자 떠나는 여행의 증가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진/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요구, 예를 들면, 자신의 뒷모습을 비롯한 자연스럽고 역동적인 찰나의 순간을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촬영하거나, 모든 구성원이 빠지지 않은 단체 사진을 구성원들 각자의 입맛에 맞게 촬영하거나, 원하는 대상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원격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하나의 예로는, 피제어되는 대상인 피제어 디바이스와 피제어 디바이스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어용 디바이스를 서로 동일하게 동작하도록 연동시키는 방식을 상정할 수 있다. 즉, 영상을 촬영할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피제어 디바이스는 자체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 또는 자체의 임의의 센서 모듈에 입력된 정보를 제어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하고, 사용자가 제어용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입력된 정보를 인식하면서 제어용 디바이스를 조작하면, 제어용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조작을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방식이다. 그러면, 피제어 디바이스는 전송된 조작에 따라 자체의 기능을 제어하게 되므로, 원격제어가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연동이 구현된 상태에서, 피제어 디바이스를 촬영할 대상을 향하도록 배치하면 피제어 디바이스는 현재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제어용 디바이스로 실시간 전송하게 되고, 사용자는 제어용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피제어 디바이스를 원격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디바이스 간의 상호 연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8216호 (명칭: 스마트폰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을 들 수 있는데, 여기서는, 2개의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직접 통신에 의한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원격제어 기능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스마트폰을 원격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의 화면을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마트폰에는, 스마트폰의 화면, 소리, 정보, 데이터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전송된 원격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원격제어 명령에 따르도록 스마트폰을 동작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탑재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화면, 소리, 정보, 데이터 등을 확대하여 출력하되, 특히, 터치 스크린에서 이루어진 사용자의 조작인 원격제어 명령을 스마트폰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함으로써, 원격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된다.
하지만, 실제로 현장에서 사용되는 거의 대부분, 심지어 모든 스마트폰은, 운영체제 레벨에서, 사용자에 의해 추가로 설치된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원격제어용 명령을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스마트폰이 서로 영상을 공유하고 조작 정보를 송수신할 수는 있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피제어 디바이스는 전송된 원격제어용 명령을 운영체제 레벨에서 무시하게 될 것이므로, 실질적인 원격제어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전송된 원격제어용 명령을 운영체제에 전송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일부 허가받은 제한된 방법으로 원격제어를 구현할 수 있지만, 일반인이 손쉽게 접근하여 실제현장에서 원격제어를 실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부분 심지어 전부가, 추가로 설치된 애프터마켓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제어용 정보를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원격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원격제어를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용 디바이스에서 전송하는 조작 정보가 원격제어의 대상이 되는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될 수 있게끔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용 디바이스와 피제어 디바이스가 별도의 통신 장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제어를 수행함에 대하여 데이터 통신 요금이 부과되지 않고, 빠른 통신 속도를 보장하고, 복잡한 인증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을 수행할 피제어 디바이스를 장착시켜 원하는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탑재 기능을 구비한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욱,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자세조정 기능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의 촬영 방향을 원하는 방식으로 원격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방법은: 촬영 기능을 구비한 피제어 디바이스가, 자신이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인 원본화면을 자신과 통신접속된 제어용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가, 상기 원본화면을 자신의 표시 수단에 복사화면으로서 표시하고, 상기 복사화면 상에서 또는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에 관련된 원격 정보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원격 정보를 자신과 통신접속된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전송하는 것;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가, 상기 원격 자세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탑재되어 있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조정 기능을 제어하고, 및, 상기 원격 촬영 정보를 상기 등록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시켜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반환하는 가상화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조작 정보에 근거하여 자신의 상기 촬영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여기서, 상기 원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촬영 기능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촬영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자세조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통신접속되는 경우,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게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서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은,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음향을 수신하여 생성한 또는 음향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조명 센서, 자기장 센서, 모션 센서, 온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와의 통신접속은, 상기 디바이스들 사이의 1:1 통신을 지원하는,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NFC,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및 인터넷이나 이동전화망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방식, 또는 USB 및 RS232를 포함하는 유선 접속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는 원격제어앱이 설치되어 구동되고, 그리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는 피제어앱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상기 원격제어앱은, 상기 원본화면이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운영체제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운영체제로부터 상기 복사화면 상에서 또는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사용자 조작을 상기 원격 정보로 구성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원본화면을 복사하여 상기 원격제어앱에 송신하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키고, 상기 원격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격 정보를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 측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인 상기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운영체제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제어앱은: 복수의 디바이스 각자의 원격제어앱들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1:N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복수의 원격제어앱의 각각에 대해 동시에 상기 원본화면을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원격제어앱 중 제어권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격 정보만을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 측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설치될 때,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가 통신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가상화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원격 정보를 수신하면, 적어도 상기 원격 촬영 정보를,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전송하지 않고, 상기 가상으로 통신접속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시켜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운영체제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상기 원격 제어 지원 장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서 등록시키는 상기 가상화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방법은: 촬영 기능을 구비한 피제어 디바이스가, 자신이 표시하고 있는 화면인 원본화면을 자신과 통신접속된 제어용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가, 상기 원본화면을 복사화면으로서 표시하고, 상기 복사화면 상에서 또는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에 관련된 원격 정보를 자신과 통신접속된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전송하는 것;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가, 상기 원격 자세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자체의 자세조정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자신에게 탑재되어 있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조정 기능을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원격 촬영 정보를 상기 등록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시켜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반환하는 가상화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조작 정보에 근거하여 자신의 상기 촬영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상기 원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촬영 기능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촬영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자세조정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통신접속될 때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게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서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는 원격제어앱이 설치되어 구동되고, 그리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는 피제어앱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상기 원격제어앱은, 상기 원본화면이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운영체제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운영체제로부터 상기 사용자 조작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사용자 조작을 상기 원격 정보로 구성하여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원본화면을 복사하여 상기 원격제어앱에 송신하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키고, 상기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된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운영체제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방법은: 입력되는 음성에 의한 촬영 기능을 구비한 피제어 디바이스가, 자신이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인 원본화면을 자신과 통신접속된 제어용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가, 상기 원본화면을 복사화면으로서 표시하고, 상기 복사화면 상에서 또는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 또는 음성 명령에 관련된 원격 정보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원격 정보를 자신과 통신접속된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전송하는 것;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가, 상기 원격 자세조정 정보의 상기 사용자 조작 또는 음성 명령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탑재되어 있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조정 기능을 제어하고, 및, 상기 원격 촬영 정보의 상기 사용자 조작 또는 음성 명령을 자신이 구비한 스피커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시키는 것; 및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음성에 근거하여 자신의 상기 촬영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상기 원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촬영 기능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조작 또는 음성 명령에 관련된 원격 촬영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조작 또는 음성 명령에 관련된 원격 자세조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촬영 기능을 구비한 피제어 디바이스에 통신접속되며,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를 탑재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조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는, 제어용 디바이스와 통신접속되어 있으며, 자신이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인 원본화면을 통신접속된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원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 정보를 자신에게 통신접속된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로부터 전송된 외부 조작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와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를 탑재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에 탑재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임의의 방향으로 조정하는 자세조정부; 및 상기 통신부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통신접속되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등록되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격 정보 중,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자세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자세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촬영 기능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촬영 정보는 상기 등록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시켜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반환시키는 M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NFC,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및 인터넷이나 이동전화망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방식, 또는 USB 및 RS232를 포함하는 유선 접속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와 통신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상기 촬영 기능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상기 원격 정보 중 적어도 상기 원격 촬영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촬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한 음성 명령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상기 음성 명령을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상기 MPU는, 상기 음성 명령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상기 자세제어 기능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상기 원격 정보 중 적어도 상기 원격 자세조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한 음성 명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상기 MPU는, 상기 원격 자세조정 정보의 상기 음성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자세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촬영 기능을 구비한 피제어 디바이스에 통신접속되며,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를 탑재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조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는, 제어용 디바이스와 통신접속되어 있으며, 자신이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인 원본화면을 통신접속된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로부터 전송된 외부 조작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와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및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를 탑재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에 탑재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임의의 방향으로 조정하는 자세조정부; 및 상기 통신부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통신접속되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등록되고,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원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격 정보 중 상기 원격 자세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자세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원격 촬영 정보는 상기 등록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시켜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반환시키는 MPU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상기 원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촬영 기능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촬영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자세조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스마트폰인 피제어 디바이스는, 제어용 디바이스에서 전송하는 조작 정보를, 피제어 디바이스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허용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된 외부 조작 정보라고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어용 디바이스의 화면을 손이나 전자펜으로 터치하거나, 제어용 디바이스에 구비된 물리 버튼 또는 터치 스위치 등을 조작하거나, 제어용 디바이스를 통해 제스처를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얼굴 또는 모션이 촬영되도록 하여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의 기능, 특히 촬영 기능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용 디바이스와 피제어 디바이스가 별도의 통신 장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 촬영 제어를 수행함에 대하여 데이터 요금이 부과되지 않고, 빠른 통신 속도를 보장하고, 복잡한 인증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을 수행할 피제어 디바이스를 장착시켜 원하는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탑재 기능을 구비한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탑재한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가 원격에서 제어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촬영 기능을 원격 제어함과 동시에 피제어 디바이스가 향하는 물리적 방향/자세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이용한 원격 촬영 지원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이용한 원격 촬영 지원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탑재된 디바이스의 촬영 기능이 원격의 디바이스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게 하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그 기능을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용어 자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예측하고 한정하여 이해해서는 안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전자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심지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휴대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전자기기들 또는 휴대를 목적으로 설계되지 않은 전자제품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노트북, 데스크탑 PC, 태블릿, 게임기, TV,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웨어러블 기기, IOT 기능 구비한 모든 전자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인접한 디바이스들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호 접속된 후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사용가능한 통신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NFC,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인터넷이나 이동전화망 통신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식과, USB 통신 또는 RS232 통신 등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 방식을 들 수 있다.
한편, 통신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채로 설계 및 제조된 전자제품일지라도 자체의 회로 중 일부에 특수한 장치를 결합하거나 별도의 통신 모듈을 연결함으로써 다른 전자제품과의 통신이 구현될 수 있다면, 그러한 전자제품 역시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인정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된 "스마트폰"은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예시일 뿐이며, "피제어폰" 및 "원격제어폰"이라는 용어는 상기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각자의 기능에 따라 명칭을 부여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원격제어될 대상이 되는 스마트폰을 "피제어폰"이라 하고, 피제어폰을 원격에서 제어할 상기 다른 스마트폰을 "원격제어폰"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피제어폰과 원격제어폰은, 서로 무선접속되어 무선으로 소정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각각 제1 통신부와 제2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피제어폰과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상호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구현하기 위하여, 각각 제3 통신부와 제4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추가로, 원격제어폰과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특히 무선으로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각각 제5 통신부와 제6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피제어폰은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사용한 촬영 기능을 지원하여야 한다.
또한, 원격제어폰은 영상 표시 기능을 구비하여, 소정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원격제어폰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 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지점에 대한 조작을 입력할 수 있게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일측에는 자체를 지면에 또는 특정 사물에 고정시킬 수 있는 삼각대를 구비할 수 있고, 타측에는 피제어폰을 파지할 수 있는 탑재 수단을 구비한다. 탑재 수단은 자세조정 수단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 상하좌우 방향 이동, 틸팅(tilting), 패닝(panning)될 수 있으며, 이로써 탑재된 피제어폰의 자세가 조정될 수 있어서 피제어폰의 촬영 방향이 조정된다. 또한,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피제어폰의 외부 통신 단자(예를 들면, USB 소켓)에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임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블루투스)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원격 촬영 지원 장치가 외부(예를 들면, 원격제어폰)로부터 수신한 각종 명령이 피제어폰에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피제어폰을 원격제어하여 촬영을 수행하고자 하는 조작자(즉, 피제어폰 또는 원격제어폰 사용자)는, 이러한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탑재 수단에 피제어폰을 장착하고, 피제어폰과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통신 접속시키고, 피제어폰이 탑재된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촬영할 대상을 향해 배치한다. 그리고, 원격제어폰과 피제어폰을 서로 무선으로 통신접속시킨다.
이러한 사전 설정이 완료되면, 원격제어폰에는 피제어폰의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예를 들면, 피제어폰의 표시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즉, 원본화면)이 실시간으로 원격제어폰에 표시될 수 있음), 조작자는 원격제어폰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즉, 원본화면이 복사되어 표시되고 있는 영상(즉, 복사화면))을 보면서 상기 복사화면을 터치함으로써 임의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조작자가 수행한 터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복사화면 내에서의 터치의 좌표, 또는 복사화면 내에서 터치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즉시 피제어폰 측으로 전송되고, 피제어폰은 수신한 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조작자가 복사화면의 촬영 셔터를 터치하면, 복사화면에서의 터치의 좌표를 원본화면에서의 대응하는 지점의 좌표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좌표 정보가 피제어폰 측으로 전송되고, 피제어폰은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피제어폰의 원본화면에서 촬영 셔터가 터치조작된 것으로 판단하여, 촬영을 실행하게 된다. 또는, 조작자가 복사화면의 촬영 셔터를 터치하면, 촬영 셔터가 터치되었음을 나타내는 촬영 셔터 터치 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촬영 셔터 터치 정보가 피제어폰 측으로 전송되고, 피제어폰은 촬영 셔터 터치 정보에 근거하여 촬영을 실행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폰의 표시 수단에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자세조정 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버튼 등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으며, 조작자가 이 인터페이스를 터치 등으로 조작하면, 자세조정 수단을 동작시키라는 정보가 생성되어 원격 촬영 지원 장치 측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자세조정 수단을 동작시킴으로써 피제어폰의 자세를 변경시킨다.
이렇게, 조작자는, 원격제어폰을 이용하여, 삼각대에 설치될 수 있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자세조정 기능을 원격 제어하면서, 동시에,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탑재된 피제어폰의 촬영 기능을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원하는 촬영 대상을 원하는 방향으로 및 원하는 시점에 그리고 원하는 카메라 설정으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조작자는, 단체 사진을 찍을 때, 자신을 포함한 단체 사진을 스스로 촬영할 수 있다. 심지어는, 조작자는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도 자신의 뒷모습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원하는 설정으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사람의 접근을 꺼리는 동물의 주변에 피제어폰과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설치해두면, 조작자가 원격 위치에서 해당 동물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감시하고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다음, 2개의 스마트폰을 상기한 바와 같이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도 2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피제어폰(100)은, 표시부(110)와 운영체제(120)와 피제어앱(130) 그리고 통신부(151, 153)를 구비할 수 있다. 피제어폰(100)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는 원격제어폰(200)은, 표시부(210)와 운영체제(220)와 원격제어앱(230) 그리고 통신부(25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체제(120)와 피제어앱(130)은 물리적으로 구현되기보다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의 집합체이지만, 각각 물리적 구성부인 것으로 간주하도록 한다(이하의 운영체제(220)와 원격제어앱(230)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표시부(110)에는 현재 피제어폰(100)의 상태를 보여주는 원본화면(115)이 표시될 수 있다.
피제어폰의 운영체제(120)는, 피제어폰(100)의 모든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운영체제(120)는, 피제어폰이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과 피제어폰(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중 현재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110)를 통해 원본화면(115)으로서 표시하고, 그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음향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된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운영체제(120)는, 원본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고, 터치된 위치의 좌표 또는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식별된 좌표 또는 오프젝트에의 터치에 대응하여 피제어폰 자체의 동작 및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고,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를 원본화면(115)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120)는, 피제어폰(100)에 구비된 각종 센서들에 입력된 정보를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운영체제(120)는, 피제어폰(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면서 입력이 허용된 임의의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조작 정보(즉, 외부 조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외부 조작 정보를 원본화면(115)에 적용하여 조작된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는, 예를 들면, 임의의 좌표 정보 또는 사용자의 다양한 의도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패드, 전자펜, 마우스, 자이로스코프,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또는 다양한 센서를 구비한 제스처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제어폰의 피제어앱(130)은, 애프터마켓에서 다운로드되어 피제어폰(100)에 설치될 수 있다. 피제어앱(130)은, 운영체제(120)에 대하여 외부 통신용 인터페이스로서 등록될 수 있다. 또한, 피제어앱(130)은, 제1 통신부(151)를 통해서 원격제어폰의 제2 통신부(252)와 통신함으로써, 원격제어앱(230)과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피제어앱(130)은 제3 통신부(153)를 통해서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의 제4 통신부(354)와도 직접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제어앱(130)은 현재 피제어폰(100)에서 표시되고 있는 원본화면(115)과 피제어폰(100)에서 출력할 음향에 관련한 정보 그리고 피제어폰(100)의 각종 센서를 통해 입력된 정보 또는 임의의 데이터를, 제1 통신부(151) 및 제2 통신부(252)를 통해서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원격제어폰의 원격제어앱(230)으로 실시간 송신한다.
또한, 피제어앱(130)은, 제1 통신부(151) 및 제2 통신부(252)를 통해서 원격제어폰의 원격제어앱(230)에서 전송하는 원격 정보를 수신하면, 이 원격 정보를 (운영체제로 즉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제3 통신부(153) 및 제4 통신부(354)를 통해서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 측으로 우회시킨다. 그리고 이후에, 피제어앱(130)은, 제4 통신부(354) 및 제3 통신부(153)를 통해서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로부터의 외부 조작 정보를 수신하면 이것을 운영체제(120)에 전송한다(외부 조작 정보는, 상기 원격 정보 중의 원격 촬영 정보가 가상화된 것임).
원격제어폰의 운영체제(220)는, 원격제어폰(200)의 모든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원격제어폰이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과 원격제어폰(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중 현재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21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음향을 원격제어폰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된 별도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킨다. 또한, 운영체제(220)는, 원격제어폰(200)에서 표시되고 있는 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터치(T)의 좌표를 인식하고, 인식된 좌표 또는 터치된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원격제어폰 자체의 동작 및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고,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를 화면에 반영시킨다. 한편, 화면에 이루어진 사용자의 터치(T)로부터 인식된 좌표 또는 터치된 오브젝트에 관련된 정보는 원격제어앱(230)에 제공될 수 있다.
원격제어폰의 원격제어앱(230)은, 애프터마켓에서 다운로드되어 원격제어폰(200)에 설치될 수 있다. 원격제어앱(230)은, 운영체제(220)에 대하여 외부 통신용 인터페이스로서 등록될 수 있어서, 피제어폰의 피제어앱(130)과 직접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는 것은, 추가적인 중계 장치나 제어 서버를 거치지 않고 통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격제어앱(230)과 피제어앱(130)은, 각자의 스마트폰의 제1 통신부(151) 및 제2 통신부(252)에서 제공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호 1:1 직접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51)와 제2 통신부(252)는, 예를 들면,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NFC,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기타 상호 결합 가능한 공지된 또는 장래의 모든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으로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통신부(151)와 제2 통신부(252) 간의 별도의 중계 장치 없는 직접 통신만을 언급하고 있지만, 인터넷이나 이동전화 통신망의 중계 서버를 경유하여 무선 접속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WIFI 무선 중계기를 통한 WIFI 접속도, 본 발명에서의 직접 통신 접속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51)와 제2 통신부(252)는 USB 통신 방식 또는 RS232통신 방식 등을 통해 유선 접속될 수도 있다. 하지만, 원격제어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제1 통신부(151)와 제2 통신부(252)가 상기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원격제어앱(230)과 피제어앱(130)이 제1 통신부(151)와 제2 통신부(252)를 통해서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원격제어앱(230)은, 피제어앱(130)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원본화면(115)과 음향 신호, 센서 데이터(예를 들면, 피제어폰에 탑재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조명 센서, 자기장 센서, 모션 센서, 온습도 센서 등에서 감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통신 감도 데이터 등을 수신하면, 원본화면(115)은 운영체제(220)를 통해서 자체의 표시부(210)에 복사화면(215)으로서 표시하고 음향 신호는 자체의 스피커 등을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한다. 원본화면(115)은, 크기 조정되어 표시부(210)의 전체 화면에 표시되거나 일부 영역에 PIP(Picture in Picture)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감도 데이터는 적어도 제1 통신부(151)와 제2 통신부(252) 간의 무선 통신의 감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원격제어폰(200)과 피제어폰(100) 사이의 거리 또는 통신 환경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원격제어앱(230)은 원격제어폰(200)에서 이루어지는, 특히 원격제어폰(200)에 표시되고 있는 복사화면(215) 상에서 또는 별도로 제공된 촬영제어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무선 리모콘) 상에서 이루어진 터치 등과 같은 사용자 조작은 피제어폰(100)의 촬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즉, 원격 촬영 정보)로서 구성한다.
또한, 원격제어앱(230)은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자세조정부를 제어하기 위한 자세조정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세 조정부의 회전, 수평/수직 이동, 틸팅, 패닝 등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 슬라이드, 다이얼 등을 표시부(2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세조정 인터페이스는 복사화면(215) 상에 제공되거나, 복사화면(215) 주변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원격제어폰을 직접 물리적으로 자세조정함으로써 원격제어폰의 자세가 피제어폰의 자세에 반영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앱(230)은 상기 자세조정 인터페이스 상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 또는 원격제어폰의 자세를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자세 조정부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정보(즉, 원격 자세조정 정보)로 구성한다. 상기 정보는 피제어앱(130) 측으로 전송된다.
한편, 원격제어앱(230)에서도 원격제어폰(200)에서 감지되는 각종 센서 데이터를 피제어폰(10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앱(230)은, 원격제어폰(200)의 물리버튼의 조작 정보, 원격제어폰(200)에 입력되는 주변 음향 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피제어폰(100) 측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폰(200)에 탑재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조명 센서, 자기장 센서, 모션 센서, 온습도 센서 등에서 감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의 음성이 피제어폰(100)측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제공된 설정에 따라, 피제어폰의 촬영 기능 및 기타 응용 기능에 활용되거나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자세조정부를 제어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격제어폰(200)을 공중에서 움직이면 그 움직임이 그대로 피제어폰(100)의 자세조정에 반영되고, 사용자가 음성으로 또는 원격제어폰(200) 물리버튼으로 촬영을 지시하면 피제어폰(100)에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디바이스용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이하에서, '지원 장치' 등으로 약칭할 수 있음)는, 원격제어폰(200)이 원격에서 피제어폰(100)과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 자신을 제어할 수 있게끔 만드는 부품이다.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통신부(즉, 제4 통신부)(354)와, 탑재부(320)와, 자세 조정부(330)와, MPU(310)를 단일 모듈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삼각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삼각대를 이용해 바닥에 고정되거나, 소정의 굴절 아암을 구비하고 이를 이용해 임의의 사물에 고정될 수 있다.
탑재부(320)에는 피제어폰(100)이 임의의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재부(320)는, 피제어폰(100)의 일부를 탄성적으로 파지하는 핑거, 또는, 피제어폰(1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형 또는 돌출형 구조물, 피제어폰(100)의 후면 또는 일부를 전자기력 또는 점착력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 조정부(330)는, 탑재부(320)의 회전, 수평/수직방향 이동, 틸팅, 패닝을 조절함으로써, 피제어폰(100)의 촬영 자세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하여, 자세 조정부(3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터, 솔레노이드, 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 조정부(330)의 동작 제어는 MPU(3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제4 통신부(354)를 통해서, 피제어폰(100)에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서 제4 통신부는 피제어폰의 제3 통신부에 구비된 OTG 포트에 유선 접속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도시되었음).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자체의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고 연결된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지원 장치(300)는 피제어폰(100)의 USB 커넥터에 유선으로 결합되어, 데이터 통신뿐만 아니라 전원도 공급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MPU(310)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를 구성하는 각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원격제어폰(200)이 피제어폰(100)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적어도 원격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원격제어폰(200)이 자세 조정부(3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원하는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MPU(310)는, 피제어폰(100)에 통신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면, 피제어폰(100)에 대하여(특히, 피제어폰의 운영체제에 대하여) 피제어폰에서 허용하는 소정의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된다.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는, 예를 들면, 소정의 터치 표면을 구비한 터치 패드, 태블릿과 같은 터치 또는 전자펜 입력 장치, 마우스나 트랙볼과 같은 좌표 입력 장치, 전자기적으로 또는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3차원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는 3차원 좌표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가 운영체제(120)에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된 이후에, 제4 통신부(354)를 통해서 원격제어폰(200)에서 제공하는 원격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원격 정보는, 원격 촬영 정보와 원격 자세조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 MPU(310)는 원격 정보에서 원격 촬영 정보와 원격 자세조정 정보를 분리하여 각각을 처리할 수 있다. 원격 촬영 정보는 (허용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된) 상기 등록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가 직접 생성한 조작 정보(즉, 외부 조작 정보)인 것으로 가상화시키고, 가상화되어 생성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제4 통신부(354)를 통해 제3 통신부(153)로 전송한다.
여기서, 원격 촬영 정보는, 피제어폰(100)의 카메라 모듈의 촬영 관련 설정 및 촬영 환경을 변경하고 조정하기 위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또는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 및 촬영을 실행/정지시키기 위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또는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원격 촬영 정보는, 단지 원본화면의 특정 좌표 지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피제어앱(130)은 제3 통신부(153)를 통해 제공받은 외부 조작 정보를 피제어폰의 운영체제(120)로 전송한다. 피제어폰의 운영체제(120)는 입력되는 외부 조작 정보가 허용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온 것이라고 인식하고,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피제어폰의 동작에 적용시킨다.
특히, 외부 조작 정보는 피제어폰(100)의 카메라 모듈의 촬영 관련 설정을 변경하고 조정하기 위한 목적 및 촬영을 실행/정지시키기 위한 원격 촬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므로, 피제어폰은 촬영 기능이 조정될 것이고, 조정된 촬영 기능에 의해 생성되는 화면(즉, 원본화면)이 실시간으로 다시 원격제어폰(200)에 전송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원격제어폰(200)을 조작함으로써 피제어폰(100)에 조작 정보를 원격에서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원격제어의 대상이 되는 스마트폰인 피제어폰(100)이 애프터마켓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원천적으로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을지라도, 원격제어폰(200)에 의한 원격제어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MPU(310)는, 원격 정보로부터 분리된 원격 자세조정 정보에 따라 자세 조정부(3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로써, 피제어폰(100)의 자세가 조정되고,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이용한 원격 촬영 지원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조작자는 촬영을 수행할 피제어폰(100)과 이 피제어폰을 제어할 원격제어폰(200)을 준비한다. 또한, 피제어폰을 장착시킬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를 준비한다(S10).
피제어폰(100)과 원격제어폰(200)은, 각각 피제어앱(130)과 원격제어앱(230)이 설치되어 실행됨으로써, 상호 통신접속된다(S20). 피제어폰(100)의 원본화면(115)이 원격제어폰(200)에 복사화면(215)으로서 표시될 수 있으며, 원격제어폰(200)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이 원격 정보로서 피제어앱(130)으로 전송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피제어폰(100)은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탑재부(320)에 장착되고, 피제어앱(130)과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 사이에서 통신접속이 이루어진다(S30). 이때부터 피제어앱(130)은 수신하는 원격 정보를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 측으로 전달한다. 한편,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피제어폰(100)과의 통신접속이 완료되면, 자신을 피제어폰에서 허용하는 소정의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킨다(S40).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피제어폰(100)으부터 원격 정보를 전달받으면(S50), 원격 정보를 원격 촬영 정보와 원격 자세조정 정보로 구분한다. 그리고, 원격 촬영 정보는, 피제어폰에 등록시킨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시킨 다음, 이를 다시 피제어앱(130)에 반환한다(S60). 피제어앱(130)은 수신한 외부 조작 정보를 운영체제(120)로 전달하여,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촬영 기능이 제어되도록 한다. 한편,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원격 자세조정 정보를 처리하여 자체의 자세 조정부(3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함으로써, 피제어폰(100)의 자세, 즉, 피제어폰의 카메라 모듈이 향하는 방향 및/또는 위치를 조정한다(S70).
예를 들어, 현재 피제어폰(100)에서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어서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고 있는 영상이 피제어폰의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중이라면, 이 영상은 원격제어폰(200)에도 동일하게 복사화면(215)으로써 표시되고 있을 것이다. 조작자는 표시되는 복사화면을 직접 터치하거나 또는 그 주변에 제공된 원격촬영 인터페이스 및/또는 자세조정 인터페이스를 터치하거나, 원격제어폰(200)에 구비된 물리 버튼을 조작하여(예를 들면, 원격제어폰의 음량 버튼 등), 피제어폰(100)의 자세를 조정하고 동시에 촬영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본 변형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에 있어서, 원격제어폰의 원격제어앱(230)이 조작자에 의해 생성된 원격 정보를 피제어폰의 피제어앱(130)으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 측으로 곧바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원격제어폰(200)과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각각 제5 통신부(255)와 제6 통신부(35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5 통신부(255)와 제6 통신부(356)는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NFC,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제5 통신부(255)와 제6 통신부(356)를 통해서, 원격제어앱(230)으로부터 원격 정보를 수신하면, 원격 촬영 정보는 미리 가상으로 등록된 허용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시켜서 피제어앱(130)에 송신하고, 원격 정보의 원격 자세조정 정보는 자체의 자세 조정부(330)를 동작시키는 데에 사용한다.
본 실시예는, 원격 정보의 전송 경로가, 피제어앱(130)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에 제공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각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모두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이용한 원격 촬영 지원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조작자는 촬영을 수행할 피제어폰(100)과 원격제어폰(200)을 준비한다. 또한, 피제어폰(100)을 장착시킬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를 준비한다(S12).
피제어폰(100)과 원격제어폰(200)에서는, 각각 피제어앱(130)과 원격제어앱(230)이 설치되어 실행되고, 제1 통신부(151)와 제2 통신부(252)를 통해 통신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피제어폰(100)과 원격제어폰(200)이 상호 통신접속되고(S22), 피제어폰의 원본화면이 원격제어폰에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된다.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탑재부(320)에 피제어폰(100)이 장착된다. 피제어폰의 피제어앱(130)과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 사이에서는, 제3 통신부(153)와 제4 통신부(354)를 통해서 통신접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원격제어앱(230)과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 사이에서는, 제5 통신부(255)와 제6 통신부(356)를 통해서 통신접속이 이루어진다(S32). 이로써, 원격제어폰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이 원격 정보로서 원격 촬영 지원 장치로 직접 전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피제어앱(130)과의 통신접속이 이루어지면, 자신을 피제어폰(100)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킨다(S42).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원격제어폰(200)으로부터 전송된 원격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S52), 원격 정보를 원격 촬영 정보와 원격 자세조정 정보로 구분한다. 그리고, 원격 촬영 정보를, 피제어폰(100)에 등록시킨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시킨 다음, 이를 피제어앱(130)에 전송한다(S62). 피제어앱(130)은 수신한 외부 조작 정보를 운영체제(120)로 전달하여,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촬영 기능이 제어되도록 한다. 한편, 원격 자세조정 정보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 자체의 자세 조정부(3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됨으로써, 피제어폰(100)의 카메라 모듈이 향하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S72).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제1 실시예의 구성에서,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가 음향 출력부(38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폰과 같은 일반적인 디바이스들은 마이크를 구비하고, 특정의 음향에 의해 촬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음향 제어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촬영", "찰칵", "김치" 등의 음향이 입력되면, 카메라가 동작하여 사진을 찍는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폰들은, 자체에 구비된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 또는 자체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음향에 의해서는 반응하지 않도록 설계된 경우가 많다.
한편,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격제어앱(230)은 원격제어폰의 마이크(281)를 통해 입력되는, 피제어폰의 촬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향 정보를 원격 정보로서 피제어앱(130) 측으로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원격 정보에는 원격 자세조정 정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원격제어앱(230)이, 상기한 바와 같은 음향을 수신하면, 지정된 음성에 따라 촬영을 지시하는 명령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명령을 원격 촬영 정보로서 피제어폰(100) 측으로 전송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피제어앱(130)은 음향 정보와 원격 자세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정보를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전달한다.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피제어앱(130)으로부터 전송된 원격 정보 중 음향 정보는 음향 출력부(380)를 통해 출력하고, 원격 자세조정 정보는 자세 조정부(330)의 제어에 사용한다.
이로써, 음향 출력부(380)를 통해 출력되는 조작자의 음향에 의하여 피제어폰(100)의 촬영 기능이 동작할 수 있게 되므로, 원격 촬영 제어가 실현된다.
추가로, 조작자의 음성이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의 자세 조정에 이용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조작자가 "오른쪽으로 90도 회전"이라고 음성을 말하면, 이 내용은 자세 조정부(330)를 오른쪽으로 90도 회전시키는 원격 자세조정 정보로 변환되어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 측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피제어폰(100)의 제3 통신부(153)와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의 제4 통신부(354)가 서로 통신접속되고,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가 자신을 피제어폰(100)에 대해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킴으로써,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 측에서 피제어폰(100) 측으로 가상화된 외부 조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전술한 실시예의 기능 및 설명을 참고 가능)(점선으로 표시함).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촬영 기능은 음향 출력부(380)에 의한 음향으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점선으로 표시된 이러한 구현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의 구성에서,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가 음향 출력부(38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제어폰(100)과 원격제어폰(200)은 각각 마이크(181, 281)를 구비하고, 특히 피제어폰(100)은 특정의 음향에 의해 촬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음향 제어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제6 통신부(356)는 원격제어폰의 제5 통신부(255)와 통신 접속되고, 이로써, 원격제어앱(230)은 원격제어폰의 마이크(281)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정보를 원격 정보로서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 측으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원격제어앱(230)으로부터 전송된 원격 정보 중 음향 정보를 음향 출력부(380)를 통해 출력한다. 이로써, 피제어폰(100)은 마이크(181)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음향 정보를 감지하여 자신의 촬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조작자가 원격에서 피제어폰(100)의 촬영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원격 자세조정 정보를 자세 조정부(330)의 제어에 사용한다. 이로써, 조작자는 원격제어폰(200)의 표시부(210)에 표시되는 자세조정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피제어폰(100)의 촬영 자세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피제어폰의 제3 통신부(153)와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제4 통신부(354)가 서로 통신접속되고, 이로써,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에서 피제어폰(100) 측으로 가상화된 외부 조작 정보가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변형예를 간략하게 도시한다. 변형예에 따른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상기한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구성부 중에서, 탑재부(320)와 자세 조정부(330)가 별도의 구성물로 모듈화(즉, 틸팅 모듈)되고, MPU(310)와 통신부(들)(354 및/또는 356)를 또 하나의 구성물로 모듈화(즉, 원격제어 지원 모듈)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에서, 탑재부(320)와 자세 조정부(330)는 틸팅 모듈을 구성하고, 통신부(즉, 제4 통신부와 제6 통신부)(354 및 356)와 MPU(310)는 원격 제어 지원 모듈을 구성한다.
그리고, 틸팅 모듈과 원격 제어 지원 모듈을 별도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서로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격 제어 지원 모듈은 틸팅 모듈과 분리되어 단독으로 피제어폰(100)에 결합되어 동작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비록 피제어폰(100)의 방향을 조정하는 기능은 제공할 수 없지만, 원격제어폰(200)에서 피제어폰(100)이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기능(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촬영 기능)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원격제어 지원 모듈을 피제어폰(100)에 결합시키고 피제어폰(100)을 틸팅 모듈의 탑재부(320)에 장착시킨 합체 구조는, 상기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의 변형예에서, 하나의 피제어앱(130)에 복수의 원격제어앱이 동시에 1:N 통신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구성도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는 자신이 장착된 피제어폰의 피제어앱(130)에 대해서만 1:1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에서, 피제어앱(130)은 복수의 원격제어앱 전부에 대하여 원본화면(115) 및/또는 음향 신호 그리고 각종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하지만, 피제어앱(130)은 복수의 원격제어앱 중 제어권이 부여된 어느 하나 또는 미리설정된 소정 개수의 원격제어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정보만을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그것(또는 그것들)으로부터 수신한 원격 정보만을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로 전송하여 우회시킨 다음, 가상화된 외부 조작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하게 되는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서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300)의 적어도 일부가 피제어앱(130) 또는 원격제어앱(230) 내에 가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피제어앱(130)이, 운영체제(120)에 대하여, 가상의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가 소정의 통신 포트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인식되게끔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제어앱(130)은, 원격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한 원격 정보 중 원격 촬영 정보는 가상으로 구현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하여 운영체제(120)로 전송한다. 또한, 피제어앱(130)은 원격 정보의 원격 자세조정 정보는 제3 통신부(153)를 통해 원격 촬영 지원 장치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Claims (14)

  1. 촬영 기능을 구비한 피제어 디바이스가, 자신이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인 원본화면을 자신과 통신접속된 제어용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가, 상기 원본화면을 자신의 표시 수단에 복사화면으로서 표시하고, 상기 복사화면 상에서 또는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에 관련된 원격 정보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 상기 원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촬영 기능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촬영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자세조정 정보를 포함함 -;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원격 정보를 자신과 통신접속된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전송하는 것 -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통신접속되는 경우,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게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서 등록됨 -;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가, 상기 원격 자세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탑재되어 있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조정 기능을 제어하고, 및, 상기 원격 촬영 정보를 상기 등록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시켜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반환하는 가상화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조작 정보에 근거하여 자신의 상기 촬영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원격 촬영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은,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음향을 수신하여 생성한 또는 음향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조명 센서, 자기장 센서, 모션 센서, 온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 지원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와의 통신접속은,
    상기 디바이스들 사이의 1:1 통신을 지원하는,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NFC,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및 인터넷이나 이동전화망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방식, 또는 USB 및 RS232를 포함하는 유선 접속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 촬영 지원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는 원격제어앱이 설치되어 구동되고 - 상기 원격제어앱은, 상기 원본화면이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운영체제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운영체제로부터 상기 복사화면 상에서 또는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사용자 조작을 상기 원격 정보로 구성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됨 -, 그리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는 피제어앱이 설치되어 구동되는 -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원본화면을 복사하여 상기 원격제어앱에 송신하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키고, 상기 원격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격 정보를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 측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인 상기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운영체제에 제공하도록 구성됨 -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 지원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앱은:
    복수의 디바이스 각자의 원격제어앱들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1:N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복수의 원격제어앱의 각각에 대해 동시에 상기 원본화면을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원격제어앱 중 제어권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격 정보만을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 측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 지원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설치될 때,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가 통신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가상화하고 - 이 경우,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원격 제어 지원 장치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키는 상기 가상화 기능을 수행하지 않음 -, 그리고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원격 정보를 수신하면, 적어도 상기 원격 촬영 정보를,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전송하지 않고, 상기 가상으로 통신접속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시켜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운영체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 지원 방법.
  7. 촬영 기능을 구비한 피제어 디바이스가, 자신이 표시하고 있는 화면인 원본화면을 자신과 통신접속된 제어용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가, 상기 원본화면을 복사화면으로서 표시하고, 상기 복사화면 상에서 또는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에 관련된 원격 정보를 자신과 통신접속된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전송하는 것 - 상기 원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촬영 기능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촬영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자세조정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통신접속될 때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게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서 등록됨 -;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가, 상기 원격 자세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자체의 자세조정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자신에게 탑재되어 있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조정 기능을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원격 촬영 정보를 상기 등록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시켜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반환하는 가상화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조작 정보에 근거하여 자신의 상기 촬영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원격 촬영 지원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는 원격제어앱이 설치되어 구동되고 - 상기 원격제어앱은, 상기 원본화면이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운영체제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운영체제로부터 상기 사용자 조작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사용자 조작을 상기 원격 정보로 구성하여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됨 -, 그리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는 피제어앱이 설치되어 구동되는 -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원본화면을 복사하여 상기 원격제어앱에 송신하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키고, 상기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된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운영체제에 제공하도록 구성됨 -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 지원 방법.
  9. 입력되는 음성에 의한 촬영 기능을 구비한 피제어 디바이스가, 자신이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인 원본화면을 자신과 통신접속된 제어용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가, 상기 원본화면을 복사화면으로서 표시하고, 상기 복사화면 상에서 또는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의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 또는 음성 명령에 관련된 원격 정보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 상기 원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촬영 기능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조작 또는 음성 명령에 관련된 원격 촬영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조작 또는 음성 명령에 관련된 원격 자세조정 정보를 포함함 -;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원격 정보를 자신과 통신접속된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전송하는 것;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가, 상기 원격 자세조정 정보의 상기 사용자 조작 또는 음성 명령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탑재되어 있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조정 기능을 제어하고, 및, 상기 원격 촬영 정보의 상기 사용자 조작 또는 음성 명령을 자신이 구비한 스피커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시키는 것; 및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음성에 근거하여 자신의 상기 촬영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원격 촬영 지원 방법.
  10. 촬영 기능을 구비한 피제어 디바이스에 통신접속되며,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를 탑재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조정 기능을 제공하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로서 -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는, 제어용 디바이스와 통신접속되어 있으며, 자신이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인 원본화면을 통신접속된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원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 정보를 자신에게 통신접속된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로부터 전송된 외부 조작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됨 -,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와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를 탑재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에 탑재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임의의 방향으로 조정하는 자세조정부; 및
    상기 통신부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통신접속되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등록되고,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격 정보 중,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자세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자세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촬영 기능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촬영 정보는 상기 등록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시켜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반환시키는 M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NFC,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및 인터넷이나 이동전화망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방식, 또는 USB 및 RS232를 포함하는 유선 접속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와 통신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상기 촬영 기능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상기 원격 정보 중 적어도 상기 원격 촬영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촬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한 음성 명령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상기 음성 명령을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상기 MPU는, 상기 음성 명령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상기 자세조정부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상기 원격 정보 중 적어도 상기 원격 자세조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한 음성 명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의 상기 MPU는, 상기 원격 자세조정 정보의 상기 음성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자세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
  14. 촬영 기능을 구비한 피제어 디바이스에 통신접속되며,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를 탑재하여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조정 기능을 제공하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로서 -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는, 제어용 디바이스와 통신접속되어 있으며, 자신이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면인 원본화면을 통신접속된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로부터 전송된 외부 조작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됨 -,
    상기 원격 촬영 지원 장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와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및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를 탑재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에 탑재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임의의 방향으로 조정하는 자세조정부; 및
    상기 통신부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통신접속되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등록되고,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원격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원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촬영 기능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촬영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에 관련된 원격 자세조정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격 정보 중, 상기 원격 자세조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자세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원격 촬영 정보는 상기 등록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시켜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반환시키는 M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촬영 지원 장치.
KR1020190172301A 2019-12-20 2019-12-20 원격 촬영 지원 장치 및 원격 촬영 지원 방법 KR102187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301A KR102187937B1 (ko) 2019-12-20 2019-12-20 원격 촬영 지원 장치 및 원격 촬영 지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301A KR102187937B1 (ko) 2019-12-20 2019-12-20 원격 촬영 지원 장치 및 원격 촬영 지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937B1 true KR102187937B1 (ko) 2020-12-07

Family

ID=7379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301A KR102187937B1 (ko) 2019-12-20 2019-12-20 원격 촬영 지원 장치 및 원격 촬영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9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069A (ko) *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20110071220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격 존재 로봇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142824A (ko) * 2012-06-20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3130B1 (ko) * 2015-08-12 2016-12-06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로컬 영역의 사용자와 원격 존재 로봇이 위치하는 원격 영역의 사용자 사이의 인터랙션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단말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069A (ko) *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20110071220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격 존재 로봇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142824A (ko) * 2012-06-20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3130B1 (ko) * 2015-08-12 2016-12-06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로컬 영역의 사용자와 원격 존재 로봇이 위치하는 원격 영역의 사용자 사이의 인터랙션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단말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22940B2 (ja) 画像通信システム、画像通信端末、画像通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9952757B (zh) 基于虚拟现实应用录制视频的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8888959B (zh) 虚拟场景中的组队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1954200B2 (en) Contro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10026589A1 (en) Communication terminal, image communication system,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WO2016035421A1 (ja) パン・チルト操作装置、カメラシステム、パン・チルト操作用プログラム及びパン・チルト操作方法
JP2020150330A (ja) 画像通信システム、撮像装置、モード切替方法、プログラム
EP3847530B1 (en) Display device sharing and interactivity in simulated reality (sr)
US20190317490A1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remote control for vr apparatus
WO2021136266A1 (zh) 虚拟画面同步方法及穿戴式设备
KR20220005087A (ko) 촬영 방법 및 단말
WO2019028855A1 (zh) 一种虚拟显示装置、智能交互方法和云端服务器
JP2017536024A (ja) ビデオ画像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20107952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WO2022199102A1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KR102163894B1 (ko) 이동 단말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CN109806583B (zh) 用户界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系统
US9742987B2 (en) Image pickup display apparatus, image pickup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187937B1 (ko) 원격 촬영 지원 장치 및 원격 촬영 지원 방법
JP2021174317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CN108837509B (zh) 配置虚拟场景的设置参数的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7000289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1195003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US105457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221626B1 (ko)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