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626B1 -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626B1
KR102221626B1 KR1020190141096A KR20190141096A KR102221626B1 KR 102221626 B1 KR102221626 B1 KR 102221626B1 KR 1020190141096 A KR1020190141096 A KR 1020190141096A KR 20190141096 A KR20190141096 A KR 20190141096A KR 102221626 B1 KR102221626 B1 KR 10222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mobile device
controlled
app
ope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현
Original Assignee
유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현 filed Critical 유경현
Priority to KR1020190141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는, 원격제어의 대상이 되는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인 원본화면이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허용될 수 있게 만든다.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는,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통신접속이 확립되면,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하여 자신을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키고;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생성한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상기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하고; 및 가상화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측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REMOTE CONTROL SUPPOR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WITH COMMUN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다른 하나의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원격제어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다른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시도는 종래로부터 존재하였는데, 예를 들면,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8216호 (명칭: 스마트폰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를 참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폰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원격제어될 대상이 되는 피제어 스마트폰과, 상기 피제어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원격제어 기능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과, 피제어 스마트폰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피제어 스마트폰의 화면을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는 원격제어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다.
여기서, 피제어 스마트폰에는, 피제어 스마트폰의 화면, 소리, 정보, 데이터 등을 원격제어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과 원격제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전송된 원격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원격제어 명령에 따르도록 피제어 스마트폰을 동작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피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한편, 원격제어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탑재하여 상기 피제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화면, 소리, 정보, 데이터 등을 확대하여 출력하며, 특히, 피제어 스마트폰의 상기 피제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원격제어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원격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된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는 거의 대부분, 심지어 모든 스마트폰은, 운영체제 레벨에서, 사용자에 의해 추가로 설치된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애프터마켓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원격제어 명령을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스마트폰이 서로 영상을 공유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교환할 수는 있더라도, 적어도 피제어측 스마트폰은 이러한 정보를 운영체제 레벨에서 무시하게 될 것이므로, 스마트폰 사이의 원격제어는 실제로는 불가능하다.
즉, 종래 기술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실제 현장에서는 실현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거의 대부분, 심지어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가, 추가로 설치한 애프터마켓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원격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관련된 정보를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모바일 디바이스간의 원격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격제어를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송하는 원격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정보가 원격제어의 대상이 되는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허용될 수 있게끔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와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별도의 상용 통신망, 통신 장비 및 통신 서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제어를 수행함에 대하여 데이터 요금이 부과되지 않고, 빠른 통신 속도를 보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이나 이동전화 통신망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중계기를 통한 직접 통신이나 단순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는 서버를 통해서 원격제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통신 속도를 보장하고, 복잡한 인증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격제어의 대상이 되는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인 원본화면이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허용될 수 있게 하는 원격제어 지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는: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통신접속이 확립되면,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하여 자신을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키고;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생성한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상기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하고; 및 가상화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측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접속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1:1 통신을 지원하는,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NFC,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인터넷 및 이동전화망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방식, 또는 USB 및 RS232 통신을 포함하는 유선 접속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원격제어앱이 구동되고 - 상기 원격제어앱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구동하는 피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본화면이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복사화면 또는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을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로서 상기 피제어앱에 송신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상기 피제어앱이 구동되는 것 -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원본화면을 복사하여 상기 원격제어앱에 송신하고, 상기 원격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 측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된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체제에 제공하도록 구성됨 -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원격제어앱이 설치되어 구동되고 - 상기 원격제어앱과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는 통신가능하게 결합됨 -, 및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피제어앱이 설치되어 구동되고 - 상기 원격제어앱과 상기 피제어앱 사이에 상기 통신접속이 확립됨 -, 상기 원격제어앱은, 상기 피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본화면이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복사화면 또는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을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로서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원본화면을 복사하여 상기 원격제어앱에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된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체제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는, 상기 원격제어앱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상기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하여 상기 피제어앱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제어앱은, 복수의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의 원격제어앱이 동시에 접속될 수 있는 1:N 통신 접속을 지원할 수 있으며,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복수의 원격제어앱의 각각에 대해 동시에 상기 원본화면을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원격제어앱 중 제어권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만을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는, 상기 피제어앱에 의해, 가상의 장치로서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현되어 상기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원격제어의 대상이 되는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원본화면이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허용될 수 있게끔 우회시키는 원격제어 지원 장치를 이용한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원격제어 지원 방법은: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접속을 확립하는 것; 상기 통신접속이 확립되면,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하여 자신을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키는 것;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가,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생성한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입력받는 것; 및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가, 입력받은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상기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가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하고, 가상화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계들에 앞서서,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원격제어앱이 구동되는 것,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피제어앱이 구동되는 것 -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원격지원앱과의 통신 및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와의 통신을 각각 확립하고,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중계함 -, 및 상기 피제어앱이, 상기 원본화면을 상기 원격제어앱에 전송하는 것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가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입력받는 것은, 상기 원격제어앱이, 상기 피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본화면이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복사화면 또는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을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로 구성하여 상기 피제어앱에 송신하는 것, 및 상기 피제어앱이, 상기 원격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 측으로 전송하는 것 - 상기 피제어앱은, 이후에,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체제에 제공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계들에 앞서서,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원격제어앱이 구동되는 것, 상기 원격제어앱과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가 통신접속을 확립하는 것,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피제어앱이 구동되는 것 -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원격지원앱과의 통신 및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와의 통신을 각각 확립하고,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중계함 -, 및 상기 피제어앱이, 상기 원본화면을 상기 원격제어앱에 전송하는 것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가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입력받는 것은, 상기 원격제어앱이, 상기 피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본화면이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복사화면 또는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을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로 구성하여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로 직접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에 의하면,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원격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정보를, 자신에게 정상적으로 연결된 허용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된 외부 조작 정보라고 인식하고 자체의 동작에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의 복사화면을 손이나 전자펜으로 터치하거나, 전자펜의 버튼을 조작하거나, 제스처를 취하거나 사용자 영상을 입력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의 입력을 수행하거나,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물리/소프트 버튼 또는 터치 스위치 등을 조작함으로써,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와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별도의 통신망, 통신 장비, 서버 등을 거치지 않고 직접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제어를 수행함에 대하여 데이터 요금이 부과되지 않고, 빠른 통신 속도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1:1 통신에 의하여 복잡한 인증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이나 이동전화 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중계기를 통한 직접 통신이나 단순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는 서버를 통해서 원격제어를 처리할 때, 빠른 통신 속도를 보장하고, 복잡한 인증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폰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의 사용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의 동작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의 연결 관계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그 기능을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용어 자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예측하고 한정하여 이해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심지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휴대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전자기기들 또는 휴대를 목적으로 설계되지 않은 임의의 전자기기라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노트북, 태블릿, 데스크탑 PC, 게임기, TV,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웨어러블 기기, IOT 기능을 구비한 모든 전자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인접한 디바이스들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호 접속된 후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사용가능한 통신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NFC,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인터넷이나 이동전화망 통신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식과, 서로 단자결합되어 이루어지는 USB 통신 또는 RS232 통신 등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 방식을 들 수 있다.
한편, 통신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채로 설계 및 제조된 전자제품일지라도 자체의 회로 중 일부에 특수한 장치를 결합함으로써 다른 전자제품과의 통신이 구현될 수 있다면, 그러한 전자제품 역시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디바이스"로서 "스마트폰"을 예시적으로 지정하여 기재되고 설명한다. 따라서, 당연하게도, 이하에서 사용된 "스마트폰", 그리고 "원격제어폰" 및 "피제어폰"이라는 용어들은, 디바이스의 다른 표현일 뿐이라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의 사용 방식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원격제어될 대상이 되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이하, '피제어폰'이라 함)(100)는, 표시부(110)와 운영체제(120)와 피제어앱(130)을 구비할 수 있다. 피제어폰(100)의 표시부(110)에는 원본화면(115)이 표시된다. 또한, 피제어폰(100)은, 원격제어폰과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151)와, 원격제어 지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3 통신부(153)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피제어폰(100)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이하, '원격제어폰'이라 함)(200)는, 표시부(210)와 운영체제(220)와 원격제어앱(230)을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폰(200)의 표시부(210)에는 원본화면(115)이 동일하게 또는 크기변환되어 복사화면(215)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원격제어폰(200)은 피제어폰의 제1 통신부(151)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부(25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체제(120, 220)와 피제어앱(130)과 원격제어앱(230)은 모두 물리적으로 구현되기보다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의 집합이지만, 각각 물리적 구성부인 것으로 간주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피제어폰의 운영체제(120)는, 피제어폰(100)의 모든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운영체제(120)는, 표시부(110)를 통해서, 원본화면(115)을 표시한다. 원본화면(115)은, 피제어폰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표시해야 하는 화면 및/또는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중 현재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또한, 운영체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현재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음향을 피제어폰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된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운영체제(120)는, 원본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손가락의 터치 및/또는 전자펜의 터치를 인식하고, 터치된 위치의 좌표를 식별하고, 식별된 좌표에의 터치에 대응하여 피제어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120)는, 피제어폰(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또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즉, 외부 조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외부 조작 정보를 원본화면(115)에 적용하여 조작된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는, 예를 들면, 임의의 좌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전자펜 및 전자펜 감지 장치, 마우스, 자이로스코프, 마이크, 음향 센서, 카메라 및 사용자 영상 분석 장치, 3차원 제스처 입력 장치, 키보드, 조이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제어폰의 피제어앱(130)은, 애프터마켓으로부터 다운로드되어 피제어폰(100)에 설치될 수 있다. 피제어앱(130)은, 운영체제(120)에 대하여 외부 통신용 인터페이스라고 등록될 수 있다. 이후에, 피제어앱(130)은, 제1 통신부(151)를 통해서 원격제어폰의 제2 통신부(252)와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피제어앱(130)은 제3 통신부(153)를 통해서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의 제4 통신부(354)와도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제어앱(130)은 현재 피제어폰(100)에서 표시되고 있는 원본화면(115)과, 피제어폰(100)에서 출력하는 음향에 관련된 정보 및 임의의 데이터(예를 들면, 센서 데이터 및/또는 통신 감도 데이터)를, 피제어폰과 통신접속된 원격제어폰의 원격제어앱(230)에 실시간 송신한다. 또한, 피제어앱(130)은, 원격제어폰의 원격제어앱(230)에서 전송하는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수신하면, 이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운영체제(120)로 즉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 측으로 우회시킨다. 그리고 이후에, 피제어앱(130)은,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로부터 외부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상기 외부 조작 정보는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로부터 생성된 정보임), 이것을 운영체제(120)에 전송한다.
원격제어폰의 운영체제(220)는, 원격제어폰(200)의 모든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원격제어폰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과 원격제어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중 현재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부(110)를 통해 화면에 표시(즉, 원본화면)한다. 또한, 운영체제(220)는, 원격제어폰(200)의 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터치(T)의 좌표를 인식하고, 인식된 좌표에의 터치(T)에 대응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고,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를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화면상에서 이루어진 사용자의 터치(T)로부터 인식된 좌표는 원격제어앱(230)에 제공될 수 있다.
원격제어앱(230)은, 애프터마켓에서 다운로드되어 원격제어폰(200)에 설치될 수 있다. 원격제어앱(230)은, 운영체제(220)에 대하여 외부 통신용 인터페이스라고 등록될 수 있어서, 피제어폰의 피제어앱(130)과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51)와 제2 통신부(252)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상용 통신망, 중계 장치나 제어 서버를 거치지 않고 상호 1:1 직접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51)와 제2 통신부(252)는, 예를 들면,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NFC,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기타 공지된 또는 장래의 모든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으로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비록 1:1 직접 통신만을 언급하고 있지만, 인터넷이나 이동전화 통신망의 중계 서버를 경유하여 무선 접속되는 것도 물론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WIFI 무선 중계기를 통한 WIFI 접속도, 본 발명에서의 직접 통신 접속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51)와 제2 통신부(252)는 USB 통신 방식 또는 RS232통신 방식 등을 통해 유선 접속될 수도 있다. 하지만, 원격제어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제1 통신부(151)와 제2 통신부(252)는 상기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원격제어앱(230)과 피제어앱(130)이 상기 통신부들을 통해서 서로 통신 결합된 상태에서, 원격제어앱(230)은 피제어앱(130)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원본화면(115)과 음향 신호 및 기타 임의의 데이터(예를 들면, 센서 데이터 및/또는 통신 감도 데이터 등)를 수신하면, 원본화면(115)은 적절히 영상처리하여 운영체제(220)를 통해서 자체의 표시부(210)에서 표시하는 화면에 복사화면(215)으로서 표시하고, 음향 신호는 자체의 스피커 등을 통해 음향으로 출력한다. 기타 임의의 데이터는 대응하는 방식으로 출력한다. 원본화면(115)을 복사한 복사화면(215)은, 원격제어폰(200) 자체의 화면 내에 PIP(Picture in Picture)의 형태로 표시되거나 원격제어폰(200)의 화면 전체 크기에 맞도록 해상도가 변환되어 전체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의 일례로는, 원본화면의 크기 조정, 색상 조정, 프레임 갱신 속도 조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앱(230)은 원격제어폰(200)에서 이루어지는, 특히 원격제어폰(200)의 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사화면(215) 상에서 이루어진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버튼 조작 및/또는 음향 입력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피제어폰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성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로 구성하여 피제어앱(130)에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이하에서, '원격제어 지원 장치', '지원 장치' 등으로 약칭할 수 있음)는, 사용자가 원격제어폰(200)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피제어폰(1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특히, 원격제어폰(200)에서 생성한 (피제어폰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사용자의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가 피제어폰의 운영체제(120)에서 허용될 수 있게끔 만드는 부품이다.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는, 피제어폰(100)의 제3 통신부(153)와 통신하는 제4 통신부(354)를 구비한다.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가 지원하는 기능은 MPU(310)에 의해 구현 및 제어될 수 있다.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 돌출형 커넥터(358)를 이용하여 피제어폰(100)에 구비된 OTG 소켓(158)에 물리적으로 결합되거나, 피제어폰(100)의 근방에 위치시켜진 상태에서 피제어폰(100)에 무선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는 자체의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고 연결된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지원 장치(300)는 피제어폰(100)의 USB 커넥터(158)에 유선으로 결합되어, 유선 데이터 통신 뿐만 아니라 전원도 즉시 공급받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는 피제어폰(100)에 통신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면, 피제어폰(100)에 대하여(특히, 피제어폰의 운영체제에 대하여) 자신을 피제어폰에서 허용하는 특정의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킨다.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는, 예를 들면, 소정의 터치 표면을 구비한 터치 패드, 태블릿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 마우스나 트랙볼과 같은 좌표 입력 장치,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장치, 전자기적으로 3차원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는 3차원 좌표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체제(120)에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된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는, 이후에, 원격제어폰(200)에서 제공하는 (피제어앱을 경유하여 제공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된) 자신에게 직접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자신이 직접 생성한 정보인 것으로 가상화시키고, 가상화되어 생성된 외부 조작 정보를 피제어폰의 피제어앱(130)에 제공한다. 피제어앱(130)은 제공받은 외부 조작 정보를 피제어폰의 운영체제(120)로 전송한다. 그러면, 운영체제(120)는, 입력되는 외부 조작 정보를 허용된 입력이라고 간주하고 피제어폰의 동작에 적용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원격제어폰(200)을 조작함으로써 피제어폰(100)에 원하는 조작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원격제어의 대상이 되는 스마트폰인 피제어폰(100)이, 애프터마켓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입력되는 원격제어를 위한 사용자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천적으로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을지라도, 원격제어폰(200)에 의한 원격제어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피제어폰(100)에 피제어앱(130)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원격제어폰(200)에도 원격제어앱(230)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된다(S10). 애프터마켓에 제공되는 피제어앱(130)과 원격제어앱(230)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들은 각 스마트폰에서 동작을 개시할 때 피제어폰용 피제어앱으로서 동작될 것인지 원격제어폰용 원격제어앱으로서 동작될 것인지 선택될 수 있고, 선택에 따라 각자의 스마트폰에 필요한 기능이 설치됨으로써, 피제어앱(130)과 원격제어앱(230)으로서 기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서로 통신 결합된 각자의 폰에서 각자의 피제어앱(130)과 원격제어앱(230)이 구동되면, 피제어앱(130)과 원격제어앱(230)은 제1 통신부(151)와 제2 통신부(252)를 통해 상호 접속을 시도하게 될 것이다. 즉, 예를 들면, 각 앱들이 WIFI Direct를 이용한 무선 통신으로 상대방을 탐색하고, 상대방이 탐색되면 상호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대방을 인증하여 직접 통신 가능한 상태로 통신이 확립된다(S20).
제1 통신부(151)와 제2 통신부(252)를 통해서 피제어앱(130)과 원격제어앱(230)의 통신이 확립되면, 피제어앱(130)은 피제어폰(100)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원본화면(115)과 음향 신호 및 각종 데이터를, 원격제어폰의 원격제어앱(230)에 실시간으로 송신하게 되고, 원격제어앱(230)은 전송된 원본화면(115)을 원격제어폰(200)의 화면에 복사화면(215)으로써 실시간으로 표시하게 하고, 음향 신호를 실시간으로 출력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게 한다.
또한, 피제어앱(130)과 원격제어앱(230)의 통신이 확립되면, 원격제어앱(230)은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 특히, 복사화면(215)에서 이루어지는 터치(T)에 관련된 정보를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로서 피제어앱(130)에 실시간에 송신한다.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는, 터치에 관련된 정보 외에도, 원격제어폰(200)에 구비된 버튼이나 스위치의 조작 관련 정보, 원격제어폰(200)에 내장된 각종 센서,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장 센서, 카메라, 조도 센서, 근접 감지 센서, 모션 센서, RGB 센서, 지문 센서, 심박 센서, 온도/습도 센서, GPS, 마이크 등의 센싱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제3 통신부(153)와 제4 통신부(354)가 서로 통신하여, 피제어앱(130)과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와의 통신이 확립된다(S30). 예를 들면, 지원 장치(300)는 피제어폰의 USB 커넥터(158)에 OTG(358) 또는 OTG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장치를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USB 커넥터(158)에서 공급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피제어폰(100)과 특히 피제어앱(130)과 상호 통신가능한 상태로 설정된다. 피제어앱(130)은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와의 통신이 확립되면, 원격제어폰(200)으로부터의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피제어폰의 운영체제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접속된 지원 장치(300) 측으로 우회시킨다.
그리고 지원 장치(300)는, 피제어폰(또는, 피제어앱)과의 통신이 확립되면, 피제어폰의 운영체제(120)에 대하여, 자신이 피제어폰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키고, 자신이 생성하여 전송하는 외부 조작 정보가 허용될 수 있도록 보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40).
이처럼 각각의 장치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지원 장치(300)는 원격제어폰에서 생성하여 전송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수신한다(S50). 상기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는 피제어앱(130)이 우회시킨 것이다. 한편,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면, 지원 장치(300)는 원격제어앱(230)으로부터 직접 또는 원격제어폰(200)으로부터 직접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어서, 지원 장치(300)는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상기 등록된 외부 사용자 입력장치가 직접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인 것으로 가상화한다(S60). 그리고, 지원 장치(300)는, 가상화된 외부 조작 정보를 피제어앱(130)에 제공하게 되고, 피제어앱(130)은 외부 조작 정보를 운영체제(120)에 제공할 것이고, 피제어폰의 운영체제(120)는 제공된 외부 조작 정보를 허용하여 자신의 동작에 적용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과 같이, 원격제어폰(200)에 피제어폰의 원본화면(115)이 실시간으로 복사되어 표시되고, 사용자가 원격제어폰(200)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복사화면(215)을 조작하여(예를 들면, 터치, 및/또는, 원격제어폰에 구비된 물리 버튼을 조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음) 생성되는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가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로 우회하여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된 후 다시 운영체제(120)로 입력되는 방식에 의하면, 적어도 피제어폰의 운영체제(120)가 원격제어앱(230)에서 제공하는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었다고 하더라도, 피제어폰의 운영체제(120)는 자체에 등록된 허용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 사용자 조작이 발생하여 이에 근거하여 생성된 정보가 입력되고 있다고 판단할 것이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폰(200)을 사용하여 피제어폰(100)을 원격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의 연결 관계 및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가 원격제어폰(200) 및 피제어폰(100) 중 임의의 것과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방식과 관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제어앱(230)이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피제어앱으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 측으로 직접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원격제어앱(230)은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상호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는, 원격제어폰의 USB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물리적으로 삽입되어 유선으로 결합되거나, 원격제어폰의 원격제어앱(230)에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NFC,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앱(230)에서 제공하는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하고, 가상화된 외부 조작 정보를 피제어앱(130)에 송신한다.
피제어앱(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한 외부 조작 정보를 운영체제(12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가 피제어앱(130) 또는 원격제어앱(230) 내에 가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피제어앱(130)이, 운영체제(120)에 대하여, 원격제어 지원 장치(또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가 소정의 통신 포트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되게끔 가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제어앱(130)은,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가상으로 연결된 원격제어 지원 장치의 가상으로 구현된 허용된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하고, 가상화된 외부 조작 정보를 운영체제(120)로 전송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원격제어 지원 장치를 별도의 부품으로 구현할 필요가 없다.
한편,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피제어앱(130)에 복수의 원격제어앱이 동시에 1:N 통신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는 피제어폰의 피제어앱(130)에 1:1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피제어앱(130)은 복수의 원격제어앱 전체에 대하여 원본화면(115) 및/또는 음향 신호 및/또는 기타 데이터(예를 들면, 센서 데이터 및/또는 통신 감도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피제어앱(130)은 복수의 원격제어앱 중 제어권이 부여된 어느 하나 또는 미리설정된 소정 개수의 원격제어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만을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수신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원격제어 지원 장치(300)로 우회시킨 다음(원격제어 지원 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서처럼 피제어앱 내에 가상화될 수도 있음), 가상화된 외부 조작 정보를 피제어폰의 운영체제(120)로 전송하도록 하는 구현이 가능하다.

Claims (9)

  1. 원격제어의 대상이 되는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인 원본화면이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허용될 수 있게 하는 원격제어 지원 장치로서: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통신접속이 확립되면,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하여 자신을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키고;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생성한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상기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에서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하고; 및
    가상화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측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원격제어앱이 구동되고,
    상기 원격제어앱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구동하는 피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본화면이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복사화면 또는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을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로서 상기 피제어앱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상기 피제어앱이 구동되고,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원본화면을 복사하여 상기 원격제어앱에 송신하고, 상기 원격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 측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된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로부터 가상화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체제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접속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1:1 통신을 지원하는,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NFC,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인터넷 및 이동전화망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방식, 또는 USB 및 RS232 통신을 포함하는 유선 접속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앱은, 복수의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의 원격제어앱이 동시에 접속될 수 있는 1:N 통신 접속을 지원하고,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복수의 원격제어앱의 각각에 대해 동시에 상기 원본화면을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원격제어앱 중 제어권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만을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
  6. 삭제
  7. 원격제어의 대상이 되는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원본화면이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허용될 수 있게끔 우회시키는 원격제어 지원 장치를 이용한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원격제어앱이 구동되는 것;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피제어앱이 구동되는 것 - 상기 피제어앱은, 상기 원격제어앱과의 통신 및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와의 통신을 각각 확립하고,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중계함 -;
    상기 피제어앱이, 상기 원본화면을 상기 원격제어앱에 전송하는 것;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접속을 확립하는 것;
    상기 통신접속이 확립되면,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가,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하여 자신을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허용하는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라고 등록시키는 것;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가,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생성한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입력받는 것; 및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가, 입력받은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상기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가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하고, 가상화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가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입력받는 것 및 가상화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측으로 전송하는 것은:
    상기 원격제어앱이, 상기 피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본화면이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사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복사화면 또는 상기 제어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을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로 구성하여 상기 피제어앱에 송신하는 것,
    상기 피제어앱이, 상기 원격제어앱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 측으로 전송하는 것,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가,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원격제어용 조작 정보를 상기 외부 사용자 입력 장치가 생성한 외부 조작 정보라고 가상화하고, 가상화된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측으로 전송하는 것, 및
    상기 피제어앱이, 상기 원격제어 지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외부 조작 정보를 상기 피제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체제에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90141096A 2019-11-06 2019-11-06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 KR102221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096A KR102221626B1 (ko) 2019-11-06 2019-11-06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096A KR102221626B1 (ko) 2019-11-06 2019-11-06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626B1 true KR102221626B1 (ko) 2021-03-02

Family

ID=7516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096A KR102221626B1 (ko) 2019-11-06 2019-11-06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6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947A (ko) * 2010-06-03 2011-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99916A (ko) * 2011-03-02 2012-09-12 남궁성 다자 동시 제어를 허용하는 실시간 원격 360도 전방향 영상 감시 시스템
KR20140067186A (ko) * 2012-10-30 2014-06-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원격 단말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947A (ko) * 2010-06-03 2011-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99916A (ko) * 2011-03-02 2012-09-12 남궁성 다자 동시 제어를 허용하는 실시간 원격 360도 전방향 영상 감시 시스템
KR20140067186A (ko) * 2012-10-30 2014-06-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원격 단말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8959B (zh) 虚拟场景中的组队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083684B (zh) 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US11954200B2 (en) Contro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9889348B (zh) 一种图像分享方法及装置
WO2019103396A1 (en) Method for configuring input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WO2019182403A1 (en) Method for supporting user inpu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20181955A1 (zh) 界面控制方法及终端设备
US11755186B2 (en) Screen captur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20140112920A (ko) 사용자 기기의 오브젝트 운용 방법 및 장치
CN110502287B (zh)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及终端
CN115454291A (zh) 用于设备的双重存在的现实到虚拟现实门户
CN111010523B (zh) 一种视频录制方法及电子设备
CN109828731B (zh) 一种搜索方法及终端设备
WO2021190373A1 (zh) 一种交互方法、交互系统和显示设备
WO2019184902A1 (zh) 一种图标显示控制方法及终端
WO2022199102A1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TW201706825A (zh) 雙向顯示及控制系統及其方法、電子裝置及顯示控制方法
CN109002245B (zh) 一种应用界面的操作方法及移动终端
WO2021208991A1 (zh) 屏幕扩展方法及电子设备
CN112988254B (zh) 管理硬件设备的方法、装置和设备
KR102221626B1 (ko) 통신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원격제어 지원 장치
CN109542218B (zh) 一种移动终端、人机交互系统及方法
CN111178306A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WO2020050432A1 (ko) 이동 단말기
WO2021238824A1 (zh) 屏幕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