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093B1 -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093B1
KR102187093B1 KR1020200081428A KR20200081428A KR102187093B1 KR 102187093 B1 KR102187093 B1 KR 102187093B1 KR 1020200081428 A KR1020200081428 A KR 1020200081428A KR 20200081428 A KR20200081428 A KR 20200081428A KR 102187093 B1 KR102187093 B1 KR 102187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ormwork
moving
shaft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김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태 filed Critical 김정태
Priority to KR102020008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31C1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11/00Machinery for winding combined with other machinery
    • B31C11/02Machinery for winding combined with other machinery for additionally shap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086Making hollow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5/00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 B31F5/06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by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7/00Continuously-adjustable nibs, e.g. for drawing-pens; Hold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1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for circular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종이를 겹겹이 말아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지관을 포함하는 종이거푸집을 수평 거치하며, 한쪽 단부를 지지하는 축지지부와, 상기 축지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종이거푸집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종이거푸집을 회전시키는 회전축부와, 상기 종이거푸집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종이거푸집의 표면에 표시선을 긋는 이동축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표시선을 통해 콘크리트 기둥 시공에 대해 정확한 수직도 및 콘크리트 기둥 형상의 자유도 높일 수 있고, 기존 종이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시공에 비해 공기 단축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Marking line forming device on paper formwork}
본 발명은 종이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선을 통해 콘크리트 기둥 시공에 대해 정확한 수직도를 조절하여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할 수 있고, 기둥과 보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콘크리트 기둥 형상의 자유도 높일 수 있고, 기존 종이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시공에 비해 공기(공사기간) 단축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내부에 벽체, 콘크리트 기둥 및 바닥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거푸집이 설치되고, 이러한 거푸집을 통해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다음, 앞서 설치된 거푸집을 제거하는 것으로 벽체, 콘크리트 기둥 및 바닥 등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은 벽체, 콘크리트 기둥 및 바닥 등의 설치 위치에 따라 그에 적합한 모양의 조립구조를 가지도록 미리 제작된 다음 시공 현장에서 조립되어 사용되고, 이 중 원형 콘크리트 기둥용 거푸집은 목재, 금속 및 종이 재질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 1은 단일겹의 반원형 지관 하이브리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 구조물의 성형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거푸집은,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거푸집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측 말단에 구비되며 거푸집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거푸집 외측 일부분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형상 유지부를 포함하는 금속 지지대와, 반원형 지관을 금속 지지대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밴딩 및 한 쌍의 반원형 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반원형 지관의 내주면은 PET 코팅지 또는 OPP 코팅지로 마감 처리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지관 거푸집은 반복하여 사용되면 강성이 약해져 당초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기가 어렵고,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보관하기 어렵고, 사용시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거푸집의 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밴딩이 설치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거푸집의 조립과 분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특허문헌 2는 콘크리트 기둥 모양을 본떠 사등분으로 분할된 소정의 중량을 갖는 갱폼 모양의 본체를 크레인으로 리프트하여 각각 위치에 작업자가 고정파이프와 고정쇠를 체결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거푸집 설치에 효율 면에서 특허문헌 1에 비해 더욱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시공비 증가, 공기가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기존에 비해 더욱 쉽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정확하게 수직도는 물론, 콘크리트 기둥 시공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거푸집 및 시공방법 개발이 요구된다.
KR 10-1163026 B1 KR 10-2095821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이거푸집의 표면에 다양한 표시선을 적용하여 기존에 비해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직도를 조절하여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할 수 있고, 기둥과 보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현장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종이거푸집을 절단/조립하여 콘크리트 기둥 형상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존에 시공하는 콘크리트 기둥에 비해 공기 단축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이를 겹겹이 말아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지관을 포함하는 종이거푸집을 수평 거치하며, 한쪽 단부를 지지하는 축지지부와, 상기 축지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종이거푸집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종이거푸집을 회전시키는 회전축부와, 상기 종이거푸집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종이거푸집의 표면에 표시선을 긋는 이동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를 제안한다.
상부에 각각 배치된 축지지부, 회전축부, 이동축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용이한 이동을 위한 캐스터를 갖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축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진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에 장착되어 종이거푸집의 표면에 표시선을 긋는 플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플로터는 실선을 긋는 펜 또는 테이프를 부착하는 롤로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안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직도를 조절하여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할 수 있고, 기둥과 보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현장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콘크리트 기둥 형상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존에 시공하는 콘크리트 기둥에 비해 공기 단축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의 작동상태 및 일부 확대 측면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에 의해 표시선이 형성된 종이거푸집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이거푸집(10)에 경우 종이를 겹겹이 말아 소정의 두께를 갖는 속지(10a)와, 제품의 로고 또는 사용 설명을 원지에 인쇄한 후 코팅하여 속지의 표면에 테이핑하여 견고성 및 방수성을 보완하는 외지(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직경을 표시하는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물 등의 구조 중 기둥을 시공하기 위해 종이거푸집(10)을 수직으로 가설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이하, 라인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와 같이, 베이스(140)의 상부에 축지지부(110), 회전축부(120), 이동축부(130)를 포함하는 구조로 종이거푸집(10)의 표면에 표시선(11)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축지지부(110)는 종이거푸집(10)을 수평 거치하며, 한쪽 단부를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축지지부(110)는 베이스(140)의 상부에 돌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113)과, 이 지지프레임(113)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어 종이거푸집(10)의 한쪽 끝에 자유 회전 가능하기 지지하는 지지축(111)을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축부(120)는 축지지부(110)에 대응하여 종이거푸집(10)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종이거푸집(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축부(120)는 구동모터(123)와, 회전축(121)으로 이루어져 구동모터(123)의 구동으로 회전축(121)을 회전시켜 종이거푸집(1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미리 결정된 소정의 각도로 회전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동축부(130)는 종이거푸집(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종이거푸집(10)의 표면에 표시선(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축지지부(110), 회전축부(120), 이동축부(130)가 베이스(140)의 상부에 유기적으로 배치되며, 견고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140)는 상부에 각각 배치된 축지지부(110), 회전축부(120), 이동축부(130)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41) 및 용이한 이동을 위한 캐스터(143)를 갖는 베이스(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동축부(130)는 베이스(140)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레일(145)과, 이 레일(145)을 따라 전/후진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131)와, 종이거푸집(10)의 표면에 표시선(11)을 긋는 플로터(133)가 이동대차(131)에 장착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플로터(133)는 실선을 긋는 펜(133a) 또는 테이프를 부착하는 롤(133b)로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한 작동 및 제작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가 종이거푸집(10)을 수평으로 뉘어 한쪽 단부를 회전축부(120)의 회전축(121)에 착탈로 결합하고, 반대쪽에 축지지부(110)의 지지축(111)에 착탈 결합한다.
이동축부(130)의 이동대차(131)는 베이스(140)의 레일(145)을 따라 종이거푸집(10)에 대응하여 전/후진으로 이동하면서 플로터(133)가 종이거푸집(10)의 표면에 표시선(11)을 긋는다.
표시선(11)에 경우 콘크리트 기둥의 시공에 필요한 수직선(11a), 수평선(11b), 눈금선(11c), 수직띠(11d), 절단선(11e) 등을 종이거푸집(10)의 표면에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의하면, 표시선(11)은 종이거푸집(10)의 표면에 길이 방향의 수직선(11a) 또는 둘레 방향의 수평선(11b)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표시될 수 있다.
수직선(11a)에 경우 회전축(121) 및 이동대차(131)를 포함하여 라인장치(100)를 통해 종이거푸집(10)의 표면에 선을 그어 제공할 수 있다.
수직선(11a)에 경우 상기 라인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종이거푸집(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2방, 4방, 8방, 16방 중 어느 한 가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4개의 선을 갖는 4방으로 형성되는 것이 최소 수직선(11a)으로 적용되어 가장 적합하게 수직도를 확인 조절할 수 있다.
즉, 회전축부(120)의 회전축(121)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복수의 수직선(11a)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 후 이동축부(130)의 길이방향 이동으로 종이거푸집(10)의 표면의 동일 간격으로 복수의 수직선(11a)을 형성할 수 있다.
수평선(11b)에 경우 설계상 작업자가 원하는 간격을 제조공장에서 미리 수평선(11b)을 형성한 한 후 현장에서 작업자가 수평선(11b)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콘크리트 기둥을 세울 수 있는 종이거푸집(10)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표시선(11)은 종이거푸집(10)의 표면에 길이 방향의 눈금선(11c)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눈금선(11c)에 경우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고자 하는 현장 환경이 정확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하여 현장에서 작업자가 눈금선(11c)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종이거푸집(10)을 절단하여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선(11)은 종이거푸집(10)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표면에 하나 이상 길이 방향의 수직띠(11d)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선(11)은 종이거푸집(10)의 표면에 기하학적인 절단선(11e)(11e)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종이거푸집(10)에 형성되는 절단선(11e)(11e)에 경우 회전축(121) 및 이동대차(131)를 포함하여 종이거푸집(10)의 회전과 동시에 왕복 작동하여 선을 긋는 라인장치(100)를 통해 종이거푸집(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안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직도를 조절하여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할 수 있고, 현장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콘크리트 기둥 형상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존에 시공하는 콘크리트 기둥에 비해 공기 단축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종이거푸집
11: 표면
12: 표시선
100: 라인장치
110: 축지지부
111: 지지축
113: 지지프레임
120: 회전축부
121: 회전축
123: 구동모터
130: 이동축부
131: 이동대차
133: 플로터
133a: 팬
133b: 롤
140: 베이스
141: 전원부
143: 캐스터
145: 레일

Claims (4)

  1. 종이를 겹겹이 말아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지관을 포함하는 종이거푸집(10)을 수평 거치하며, 한쪽 단부를 지지하는 축지지부(110)와;
    상기 축지지부(110)에 대응하여 상기 종이거푸집(10)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종이거푸집(1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부(120)와;
    상기 종이거푸집(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종이거푸집(10)의 표면에 표시선(11)을 긋는 이동축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에 각각 배치된 축지지부(110), 회전축부(120), 이동축부(130)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41) 및 용이한 이동을 위한 캐스터(143)를 갖는 베이스(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부(130)는,
    상기 베이스(140)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레일(145)과;
    상기 레일(145)을 따라 전/후진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131)와;
    상기 이동대차(131)에 장착되어 종이거푸집(10)의 표면에 표시선(11)을 긋는 플로터(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133)는 실선을 긋는 팬(133a) 또는 테이프를 부착하는 롤(133b)로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
KR1020200081428A 2020-07-02 2020-07-02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 KR102187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428A KR102187093B1 (ko) 2020-07-02 2020-07-02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428A KR102187093B1 (ko) 2020-07-02 2020-07-02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093B1 true KR102187093B1 (ko) 2020-12-04

Family

ID=7377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428A KR102187093B1 (ko) 2020-07-02 2020-07-02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09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069A (ko) * 2000-04-28 2001-11-08 이병호 지관의 자동 왁싱 장치
KR200424545Y1 (ko) * 2006-06-08 2006-08-22 김광석 주방용기 인쇄장치
JP2008178936A (ja) * 2007-01-24 2008-08-07 San-Ei Faucet Mfg Co Ltd パイプ差し込み長さマーキング用治具
KR101163026B1 (ko) 2009-09-16 2012-07-09 이피아이주식회사 단일겹의 반원형 지관 하이브리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 구조물의 성형방법
KR20200009729A (ko) * 2018-07-20 2020-01-30 이관철 원통체 입체 인쇄 장치
KR102095821B1 (ko) 2019-11-12 2020-04-01 박남석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069A (ko) * 2000-04-28 2001-11-08 이병호 지관의 자동 왁싱 장치
KR200424545Y1 (ko) * 2006-06-08 2006-08-22 김광석 주방용기 인쇄장치
JP2008178936A (ja) * 2007-01-24 2008-08-07 San-Ei Faucet Mfg Co Ltd パイプ差し込み長さマーキング用治具
KR101163026B1 (ko) 2009-09-16 2012-07-09 이피아이주식회사 단일겹의 반원형 지관 하이브리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 구조물의 성형방법
KR20200009729A (ko) * 2018-07-20 2020-01-30 이관철 원통체 입체 인쇄 장치
KR102095821B1 (ko) 2019-11-12 2020-04-01 박남석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26538B (zh) 反力箱和反力墙的施工方法
KR101562665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시공과 탈형이 용이한 자가 승강식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2187093B1 (ko) 종이거푸집 표시선 형성장치
CN107838341B (zh) 组合式多功能钢筋笼制作模架及制作方法
CN206028377U (zh) 一种筒体圆度矫正装置
JP2017186802A (ja) トンネル覆工用鉄筋籠の製作方法、及び、トンネル覆工方法
JPH10160040A (ja) 竪管の施工方法、竪管施工用の仮固定装置及び竪管施工用配管折れ防止治具
CN107268987B (zh) 横跨式可调节爬升机位反力架及其施工方法
KR102267974B1 (ko) 표시선을 갖는 종이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20000106U (ko) 표시선을 갖는 종이거푸집
CN209736518U (zh) 一种圆盘钢筋调直配套支架
CN210084531U (zh) 一种自动停止卷布的卷布机
CN218881578U (zh) 一种模板支撑机构
CN217889164U (zh) 一种接地扁钢转弯制作台座机
CN108193875B (zh) 一种圆拱门施工模架支撑方法
CN214059695U (zh) 一种高速公路建设用的吊装设备
CN111703968A (zh) 一种电缆用绕线装置
CN210429033U (zh) 一种园林设计辅助模型
CN110258987A (zh) 一种现浇悬挑式旋转楼梯及其施工工法
CN213359432U (zh) 一种钢筋排布标识器
CN207058848U (zh) 覆膜装置及混凝土预制件生产设备
CN211572265U (zh) 钢筋保护层精确控制装置
CN114960456B (zh) 一种预制墩柱承台预埋钢筋定位装置及方法
CN204893268U (zh) 一种用于网架结构定位支撑的组合型卡盘胎具
CN217861114U (zh) 一种适用于大层高打孔作业的电锤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