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426B1 -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 Google Patents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426B1
KR102186426B1 KR1020190139274A KR20190139274A KR102186426B1 KR 102186426 B1 KR102186426 B1 KR 102186426B1 KR 1020190139274 A KR1020190139274 A KR 1020190139274A KR 20190139274 A KR20190139274 A KR 20190139274A KR 102186426 B1 KR102186426 B1 KR 102186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box
shaft
arm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철
Original Assignee
이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철 filed Critical 이민철
Priority to KR102019013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3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controlled by scanning a recor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18Trays, reservoirs for waste, chips or cut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 박스를 전개하지 않은 상자 형태의 상태에서 간편하게 손잡이를 천공할 수 있는 펀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는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결합하여 박스에 손잡이 구멍을 펀칭하는 박스 펀치부 및, 상기 상기 박스 펀치부와 연결되어 박스 펀치부를 작동하게 하기 위한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펀치부는 펀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펀치부는 일정한 폭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펀치암과 제2 펀치암이 상하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펀치암의 일측 하방으로 연결되고 제2 펀치암을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2 펀치암의 관통구를 홀더로 의지하여 제1 펀치암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펀치축이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손잡이 구멍을 뚫는 칼날이 일측에 형성되고, 기둥 형상으로 된 펀치날과 상기 펀치날을 수용하는 펀치홀이 양 펀치암 각각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펀칭 후 상기 제1 펀치암이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펀치암 복원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박스 펀치부의 펀치축의 하방에 연결되어 제1 펀치암을 아래로 당기는 당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는 대형마트, 대형물류창고 등 대량으로 포장용 박스를 소비하는 환경에서 박스를 전개하지 않고도 박스 측면에 적절한 크기의 손잡이 구멍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천공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PUNCH DEVICE FOR FORMING BOX HANDLE}
본 발명은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 박스를 전개하지 않은 상자 형태의 상태에서 간편하게 손잡이를 천공할 수 있는 펀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거운 짐이 든 박스를 들 때, 박스에 손잡이 구멍이 존재하는 것과 존재하지 않는 것 간의 체감 무게 차이는 매우 크다. 실제로 대형마트 직원이나 소비자 등 재활용 박스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박스에 손잡이 구멍이 있었으면 하는 요구가 번번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존재하는 기술로 박스 손잡이 위치에 구멍을 천공하려고 하면 박스 초기 제조 공정에서 골판지가 전개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만약, 포장 박스를 재활용하거나 상자 형태 박스를 기존에 존재하는 펀치를 이용하여 손잡이 모양으로 천공을 하려고 하면 적절한 위치에 펀치칼날을 가져갈 수 없을 뿐만아니라 펀치칼날의 크기가 손잡이 정도의 크기로 성형할 수도 없다.
따라서, 재활용 박스나 이미 상자형태를 갖춘 박스의 측면에 손잡이를 만들고자 할 경우 칼을 이용하여야 할 수 밖에 없는데, 작업이 불편함은 물론 손을 다칠 우려가 있을 뿐만아니라, 박스의 중심을 잡기 위해 박스의 양쪽 측면 폭 중앙부에 정확히 천공하려면 눈금자를 이용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작업을 피할 수 없다.
박스 펀치 장치와 관련한 선행기술들로는 공개특허 제10-2010-0058911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36923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4609호 및 등록특허 10-1451105호 등의 특허문헌이 존재한다.
KR 10-2010-0058911 A KR 20-0436923 Y1 KR 20-2015-0004609 U KR 10-1451105 B1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박스를 전개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잡이를 뚫을 수 있는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대량으로 포장용 박스를 소비하는 곳에 사용이 편리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는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1)와, 상기 지지대(1)의 상부에 결합하여 박스에 손잡이 구멍을 펀칭하는 박스 펀치부(2) 및, 상기 상기 박스 펀치부(2)와 연결되어 박스 펀치부(2)를 작동하게 하기 위한 작동부(3)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펀치부(2)는 펀치부(21)를 포함하되, 상기 펀치부(21)는 일정한 폭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펀치암(211)과 제2 펀치암(212)이 상하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펀치암(221)의 일측 하방으로 연결되고 제2 펀치암(212)을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2 펀치암의 관통구를 홀더로 의지하여 제1 펀치암(211)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펀치축(213)이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손잡이 구멍을 뚫는 칼날이 일측에 형성되고, 기둥 형상으로 된 펀치날(211)과 상기 펀치날(2111)을 수용하는 펀치홀(2121)이 양 펀치암(211)(212) 각각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펀칭 후 상기 제1 펀치암이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펀치암 복원수단(214)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3)는 상기 박스 펀치부(2)의 펀치축(213)의 하방에 연결되어 제1 펀치암(211)을 아래로 당기는 당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상기 펀치홀(2121)은 제2 펀치암(212)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펀치부(21)는 상기 펀치홀(2121)로부터 떨어지는 박스 파편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펀치암 하부에 파편 수거함(2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스 펀치부(2)는 박스 가이드부(22)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박스 가이드부(22)는 박스가 안착될 때 박스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박스 가이드(221)가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박스 가이드(2210)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박스 가이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박스 가이드 폭 조절부(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스 가이드 폭 조절부(222)는 상기 박스 가이드(221)가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박스 가이드 지지대(2221)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가이드 지지대(2221)상에 좌우로 길게 회전 가능하도록 박스 가이드 폭 조절축(2222)이 형성되고, 상기 박스 가이드 폭 조절축(2222)의 일측단은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폭 조절 핸들(2223)이 형성되며, 상기 박스 가이드(221)의 일측단은 상기 축을 감싸며 축에 의지하는 폭 조절축 홀더가 형성되되, 상기 박스 가이드 폭 조절축의 외주면과 상기 폭 조절축 홀더의 내주면은 각각 상응하는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박스 가이드(221)가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스 가이드부(22)는 상기 박스 가이드 지지대(2221)상에 상기 박스 가이드 폭 조절축(2222)과 평행하게 형성된 박스 가이드 지지 레일(22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3a)는 상기 당김수단으로 일측단이 상기 펀치축(213)과 연결된 펀치축 당김줄(31)과, 상기 펀치축 당김줄(31)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발로 밟을 때 상기 펀치축 당김줄(32)을 당기는 작동 페달(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3a)는 상기 펀치축 당김줄(31)의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당김 폭 확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펀치축 당김줄(31)은 작동 페달(32)에 연결되는 제1 당김줄(311)과 펀치축(213)에 연결되는 제2 당김줄(312)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당김 폭 확장부(33)는 상기 제1 당김줄(311)에 연결되어 작동 페달(3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롤러(331)와 상기 제2 당김줄(312)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롤러(331)와 축을 같이 하여 회전하되, 제1 롤러(331)에 비해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제2 롤러(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부(3b)는 당김수단으로서 전기로 구동되는 실린더(31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리더(31b)는 실린더 고정수단(32b)에 의해 상기 펀치부(21) 하부에 설치되고, 실린더 축(311b)이 상기 펀치축(213)과 연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부(3b)는 제1 펀치암(211)과 제2 펀치암(212) 사이에 설치되어 박스가 삽입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하여 상기 실린더(31b)를 작동하게 하는 박스 삽입 감지 스위치(33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는 대형마트, 대형물류창고 등 대량으로 포장용 박스를 소비하는 환경에서 박스를 전개하지 않고도 박스 측면에 적절한 크기의 손잡이 구멍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손잡이가 형성된 박스는 박스 측면의 폭 중앙에 정확히 펀치칼날을 위치시켜 손잡이를 펀칭한 것이어서 박스 운반자가 중심을 잡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펀치칼날을 박스 폭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작업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박스 손잡이가 형성되면서 발생되는 파편을 작업과 동시에 회수할 수 있어 작업 후 파편 청소를 할 필요가 없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의 수동식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박스 펀치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의 수동식 실시예의 배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의 수동식 실시예의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의 자동식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의 자동식 실시예의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박스 삽입 감지 스위치의 부분 확대도.
도1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수동식으로 작동되는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을 도시한 것이고, 도 6 및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자동식으로 작동되는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는 크게 선반 역할을 하는 지지대(1), 박스에 손잡이용 구멍을 천공하는 박스 펀치부(2) 및 박스가 삽입되었을 때 펀치를 작동하게 하는 작동부(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는 본 발명이 박스 포장을 하기 전단계에 펀칭(punching)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라는 취지에 맞도록 작업자가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일반 성인의 표준 키를 고려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1)는 금속재, 알루미늄,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되, 본 발명의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가 박스(B)를 펀칭할 때 장치의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구조를 취한다. 도면의 실시예는 지지대의 형상은 프레임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박스 펀치부(2)와 작동부(3)의 각 구성요소가 설치되고 지지될 수 있다면, 마트 등에 설치된 박스 포장용 선반 구조나 기타 다양한 선반의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박스 펀치부(2)는 상기 지지대(1)의 상부에 결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 구성요소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B)가 납작하게 전개된 상태가 아니라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상자의 형태를 취한 상태에서 박스(B) 측면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손잡이 구멍을 뚫는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박스 펀치부(2)의 상세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박스 펀치부(2)는 필수적으로 펀치부(21)를 포함하며, 박스(B)의 손잡이 구멍이 측면 폭의 중앙부에 잘 위치하여 운반자가 박스를 들었을 때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박스 가이드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펀치부(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펀치암(211)과 제2 펀치암(212)을 상하로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 펀치암(211)의 일측단에 수직 하방으로 연결되고 제2 펀치암(212)을 관통하여 연결되어 제2 펀치암의 관통구를 홀더로 의지하여 제1 펀치암(211)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펀치축(213)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박스에 손잡이 형태의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일측에 칼날이 형성된 기둥형상으로 된 펀치날(2111)과 상기 펀치날을 수용하는 펀치홀(2121)이 양 펀치암(211)(212) 각각의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펀치암이 박스 손잡이를 펀칭한 후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도록 펀치암 복원수단(214)을 포함한다. 상기 펀치날 및 펀치홀과 펀치축 사이의 거리는 박스의 뚜껑 역할을 하는 날개를 충분히 수용함과 동시에 손잡이 위치를 잡을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박스를 기준으로 하거나 제일 큰 박스의 날개 폭을 고려하여 형성되어야한다.
또한 상기 펀치부(21)는 박스 손잡이를 형성한 후 발생되는 파편을 작업 중에 즉시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펀치암(212) 하부에 박스 파편 수거함(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펀치홀(2121)은 제2 펀치암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펀치홀(2121)의 하부로 상기 박스 파편 수거함의 개방구가 형성되어 작업중 박스 파편을 수거한다.
상기 박스 가이드부(22)는 박스(B)의 일측면이 상기 제1 펀치암(211)과 제2 펀치암 사이에 안착했을 때, 박스의 양측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박스 가이드(221)가 상기 펀치부(21)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박스 가이드(221)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박스 가이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박스 가이드 폭 조절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 가이드 폭 조절부(222)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 가이드(221)가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박스 가이드 지지대(2221)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가이드 지지대(2221)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박스 가이드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박스 가이드 폭 조절축(2222)이 형성되고, 상기 박스 가이드 폭 조절축(2222)의 일측단은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폭 조절 핸들(2223) 이 형성되며, 상기 박스 가이드(221)의 일측단은 상기 축을 감싸며 축에 의지하는 폭 조절축 홀더(도시생략)가 형성되되, 상기 박스 가이드 폭 조절축의 외주면과 상기 폭 조절축 홀더의 내주면은 각각 상응하는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박스 가이드(221)가 이동하며 폭이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박스 가이드 폭 조절부는 상기와 같은 나사운동에 의한 폭조절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이동 수단을 통해 박스 가이드(221)의 폭을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박스 가이드부(22)는 박스 가이드(221)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박스 가이드 지지대(2221)상에 상기 박스 가이드 폭 조절축(2222)과 평행하게 형성된 박스 가이드 지지 레일(2224)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작동부(active part)(3)는 상기 펀치축(213)과 연결되어, 상기 펀치축을 당김으로써 제1 펀치암을 아래로 이동시켜 펀치날(2111)이 펀치홀(2121)에 관통될 수 있도록 작동하게 하는 수단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작동부(2)가 특징적인 구조를 가진 이유는 박스에 손잡이를 펀칭하는 작업을 하는 동안 양손이 박스를 잡아야 하므로 펀치 작동에 손을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동부(3)는 발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게 하는 구조와 전기적 구성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발을 사용하는 수동식 작동부(3a)의 실시예는 도1 내지 5에서 참조 할 수 있는바, 상기 작동부(3a)는 펀치축 당김줄(31)과 작동 페달(32)을 포함한다. 상기 펀치축 당김줄(31) 상기 펀치축(213) 하단과 상기 작동 페달(32)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작동 페달(32)을 밟았을 때, 펀치축(213)을 아래로 당겨 제1 펀치암(211)의 이동으로 펀치날(2111)이 박스의 손잡이를 뚫게 한다.
상기 작동 페달(32)은 상기 펀치축 당김줄(31)이 연결된 부분의 반대편 측단에 힌지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발로 밟았을 때 일정한 폭의 회전운동을 통해 펀치축 당김줄(31)을 당기는 구조를 취한다.
한편, 박스 일면을 장치에 삽입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펀치암(211)과 제2 펀치암(212) 사이의 폭을 더욱 크게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 작동 페달(32)의 경우 발목이 젖혀지는 폭은 한계가 있어 펀치축 당김줄(31)을 당기는 폭을 작동 페달(32)에 의한 이동 폭보다 확장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상기 수동식 작동부(3a)는 상기 펀치축 당김줄(31)의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당김 폭 확장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김 폭 확장부(33)와 연결하기 위해 상기 펀치축 담김줄(31)은 작동 페달(32)에 연결된 제1 당김줄(311)과 펀치축에 연결된 제2 당김줄(312)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상기 당김 폭 확장부(33)는 상기 제1 당김줄(311)에 연결되어 작동 페달(3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롤러(331)와, 상기 제2 당김줄(312)에 연결되고 상기 제1롤러(331)와 축을 같이 하여 회전하되, 직경이 제1 롤러(331)에 비해 일정 비율 더 크게 형성되어 작동 페달(32)에 의한 당김 폭보다 펀치축(213) 쪽의 당김폭을 더 크게 하도록 회전하는 제2 롤러(332)를 포함한다.
작업을 좀 더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전기로 작동하는 실린더를 작동 수단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자동식 작동부(3b)의 실시예는 도6 및 8에서 참조할 수 있는바, 전기로 구동되는 실린더(31b)를 펀치부(21)가 설치된 하부에 전기 실린더 고정수단(32b)으로 고정하고, 상기 실린더(31b)의 실린더 축(311b)를 상기 펀치축(213) 하단과 고정함으로써, 상기 실린더의 축이 상하로 운동을 할 때 펀치축(213)과 연결된 제1 펀치암의 이동으로 박스 손잡이를 천공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식 작동부(3b)는 제1 펀치암과 제2 펀치암 사이에 박스 삽입 감지 스위치(33b)를 더 포함 함으로써 박스가 일정 깊이로 삽입 되었을 때 실린더(31b)가 자동으로 작동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박스 삽입 감지 스위치(33b)는 레버 방식의 물리적 스위치일 수도 있고, 광센서일 수도 있으며, 기타 사물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스위치를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지대 2: 박스 펀치부
21: 펀치부 211: 제1 펀치암
2111: 펀치날 212: 제2 펀치암
2121: 펀치홀 213: 펀치축
214: 펀치암 복원 수단 22: 박스 가이드부
221: 박스 가이드 222: 박스 가이드 폭 조절부
2221: 박스 가이드 지지대 2222: 박스 가이드 폭 조절축
2223: 박스 가이드 폭 조절핸들 2224: 박스 가이드 지지레일
3: 작동부 3a: 수동식 작동부
31: 펀치축 당김줄 311: 제1 당김줄
312: 제2 당김줄 32: 작동 페달
33: 당김폭 확장부 331: 제1 롤러
332: 제2 롤러 3b: 자동식 작동부
31b: 실린더 311b: 실린더 축
32b: 실린더 고정수단 33b: 박스 삽입 감지 스위치

Claims (9)

  1.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결합하여 박스에 손잡이 구멍을 펀칭하는 박스 펀치부 및, 상기 상기 박스 펀치부와 연결되어 박스 펀치부를 작동하게 하기 위한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펀치부는 펀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펀치부는 일정한 폭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1 펀치암과 제2 펀치암이 상하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펀치암의 일측 하방으로 연결되고 제2 펀치암을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2 펀치암의 관통구를 홀더로 의지하여 제1 펀치암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펀치축이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손잡이 구멍을 뚫는 칼날이 일측에 형성되고, 기둥 형상으로 된 펀치날과 상기 펀치날을 수용하는 펀치홀이 양 펀치암 각각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펀칭 후 상기 제1 펀치암이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펀치암 복원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박스 펀치부의 펀치축의 하방에 연결되어 제1 펀치암을 아래로 당기는 당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홀은 제2 펀치암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펀치부는 상기 펀치홀로부터 떨어지는 박스 파편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펀치암 하부에 파편 수거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펀치부는 박스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박스 가이드부는 박스가 안착될 때 박스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박스 가이드가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박스 가이드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박스 가이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박스 가이드 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가이드 폭 조절부는 상기 박스 가이드가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박스 가이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가이드 지지대상에 좌우로 길게 회전 가능하도록 박스 가이드 폭 조절축이 형성되고, 상기 박스 가이드 폭 조절축의 일측단은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폭 조절 핸들이 형성되며, 상기 박스 가이드의 일측단은 상기 축을 감싸며 축에 의지하는 폭 조절축 홀더가 형성되되, 상기 박스 가이드 폭 조절축의 외주면과 상기 폭 조절축 홀더의 내주면은 각각 상응하는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박스 가이드가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가이드부는 상기 박스 가이드 지지대상에 상기 박스 가이드 폭 조절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박스 가이드 지지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당김수단으로 일측단이 상기 펀치축과 연결된 펀치축 당김줄과, 상기 펀치축 당김줄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발로 밟을 때 상기 펀치축 당김줄을 당기는 작동 페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펀치축 당김줄의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당김 폭 확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펀치축 당김줄은 작동 페달에 연결되는 제1 당김줄과 펀치축에 연결되는 제2 당김줄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당김 폭 확장부는 상기 제1 당김줄에 연결되어 작동 페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2 당김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롤러와 축을 같이 하여 회전하되, 제1 롤러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제2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당김수단으로서 전기로 구동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실린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펀치부 하부에 설치되고, 실린더 축이 상기 펀치축과 연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제1 펀치암과 제2 펀치암 사이에 설치되어 박스가 삽입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상기 실린더를 작동하게 하는 박스 삽입 감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KR1020190139274A 2019-11-04 2019-11-04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KR102186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274A KR102186426B1 (ko) 2019-11-04 2019-11-04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274A KR102186426B1 (ko) 2019-11-04 2019-11-04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426B1 true KR102186426B1 (ko) 2020-12-03

Family

ID=7377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274A KR102186426B1 (ko) 2019-11-04 2019-11-04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42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296Y1 (ko) * 1993-07-31 1998-04-16 성충영 포장물 원단의 접착제 바름장치
KR19990046091A (ko) * 1999-03-19 1999-06-25 황중호 창틀샤시자동커터기
KR100689261B1 (ko) * 2006-08-23 2007-03-08 (주)제이아이티 인쇄회로기판 가이드홀의 펀칭 장치
KR200436923Y1 (ko) 2007-04-23 2007-10-18 이윤수 스테플러 겸용 펀치
KR100862805B1 (ko) * 2007-03-20 2008-10-13 주식회사 포스코 포터블형 펀칭 장치
KR20100058911A (ko) 2008-11-25 2010-06-04 한국다이보드 주식회사 포장박스 손잡이 천공을 위한 홀더 커터
KR100966103B1 (ko) * 2008-07-16 2010-06-28 주식회사 대홍전기 배선용 전선보호 덕트 절단 장치
KR101451105B1 (ko) 2014-03-12 2014-10-15 주식회사 지씨에이 펀치스크랩 제거 기능을 가진 펀칭 시스템
KR20150004609U (ko) 2014-06-18 2015-12-29 시에 이 머시너리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자동 펀치의 이동탑재 장치
KR101899106B1 (ko) * 2016-10-10 2018-09-14 (주)지웨이브 펀칭머신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296Y1 (ko) * 1993-07-31 1998-04-16 성충영 포장물 원단의 접착제 바름장치
KR19990046091A (ko) * 1999-03-19 1999-06-25 황중호 창틀샤시자동커터기
KR100689261B1 (ko) * 2006-08-23 2007-03-08 (주)제이아이티 인쇄회로기판 가이드홀의 펀칭 장치
KR100862805B1 (ko) * 2007-03-20 2008-10-13 주식회사 포스코 포터블형 펀칭 장치
KR200436923Y1 (ko) 2007-04-23 2007-10-18 이윤수 스테플러 겸용 펀치
KR100966103B1 (ko) * 2008-07-16 2010-06-28 주식회사 대홍전기 배선용 전선보호 덕트 절단 장치
KR20100058911A (ko) 2008-11-25 2010-06-04 한국다이보드 주식회사 포장박스 손잡이 천공을 위한 홀더 커터
KR101451105B1 (ko) 2014-03-12 2014-10-15 주식회사 지씨에이 펀치스크랩 제거 기능을 가진 펀칭 시스템
KR20150004609U (ko) 2014-06-18 2015-12-29 시에 이 머시너리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자동 펀치의 이동탑재 장치
KR101899106B1 (ko) * 2016-10-10 2018-09-14 (주)지웨이브 펀칭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426B1 (ko) 박스 손잡이 펀치 장치
CN113280220A (zh) 一种金融工程项目管理分析装置
CN110625991A (zh) 一种防偏移的瓦楞纸板切割装置
CN216938482U (zh) 一种用于电力施工的打孔装置
CN116061242A (zh) 汽车内饰皮革的智能裁切加工设备
CN212046174U (zh) 一种塑料袋生产用具有收集碎渣功能的分切装置
CN112110372A (zh) 一种窗扇辅助安装装置
CN220218631U (zh) 一种线束管套生产用切割装置
CN215069230U (zh) 一种可移动的防噪声屏
CN214831436U (zh) 一种校服直线裁切工具
CN115924597B (zh) 一种塑料复合袋生产线的收卷装置
CN210939698U (zh) 一种具有自动判定产品尺寸功能的双头打孔机构
JP3179943U (ja) 断裁機
CN216101307U (zh) 一种艺术设计用画板
US1977187A (en) Paper dispensing device
CN220998271U (en) Packaging film roll moving device
CN216060323U (zh) 一种立式纸巾架
CN215847608U (zh) 一种平磨用固定刀片的工装
JP2703190B2 (ja) 刃板片引き抜き装置
CN214772231U (zh) 基于桌布加工用裁切装置
CN220922686U (zh) 一种具有定位结构的打孔装置
CN214321985U (zh) 一种五金配件用便于调节尺寸的切割装置
CN117260246B (zh) 一种功率放大器外壳加工用翻转加工装置
CN215946246U (zh) 一种加工用分切机
CN219054599U (zh) 一种带有废料收集装置的切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