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294B1 - 원통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원통형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294B1
KR102186294B1 KR1020190064478A KR20190064478A KR102186294B1 KR 102186294 B1 KR102186294 B1 KR 102186294B1 KR 1020190064478 A KR1020190064478 A KR 1020190064478A KR 20190064478 A KR20190064478 A KR 20190064478A KR 102186294 B1 KR102186294 B1 KR 102186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carbon nano
secondary battery
cylindrical metal
patter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주
윤중락
이종규
Original Assignee
삼화콘덴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콘덴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콘덴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4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3Cylindrica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01M2/0285
    • H01M2/0292
    • H01M2/0413
    • H01M2/04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는 내측에 전극조립체가 수납되는 원통형 케이스; 원통형 케이스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카본 나노 패턴층; 및 카본 나노 패턴층에 형성되는 그래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통형 이차전지{Cylindrical shap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원통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통형 캔의 표면적에 카본 나노 패턴(carbon nano pattern)을 인쇄한 후 카본 나노 패턴을 시드(seed)로 카본 나노 패턴에 그래핀(graphen)을 도포하여 열을 방출하는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열 방출을 용이하게 하여 열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탈리된 리튬 이온이 전해질 내에서 이동하여 음극에 삽입되는 원리를 이용해 전하를 저장한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조립 구조에 따라 파우치형이나 원통형으로 분류되며, 원통형 이차 전지에 관련된 기술이 특허문헌 1(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9354호)에 공개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9354호는 방열에 의해 안전성이 향상된 원통형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는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가 리튬 전해액과 함께 전지 케이스로서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으며, 전지 케이스는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의 음극에 접속되어 있고 리튬 전해액과 접하는 내면이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구리로 도금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9354호와 같은 종래의 원통형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가 전극 조립체의 음극에 접속되어 있고 그 것의 내면에 구리가 도금되어 있으므로, 전지의 내부에서 과열이 발생된 경우에는 전해액과 접하는 구리의 방열 특성을 이용해 안전성을 개선하고 있지만, 열 방출의 표면적 증가가 없는 상태에서는 열 방출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935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통형 캔의 표면적에 카본 나노 패턴(carbon nano pattern)을 인쇄한 후 카본 나노 패턴을 시드(seed)로 카본 나노 패턴에 그래핀(graphen)을 도포하여 열을 방출하는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열 방출을 용이하게 하여 열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는 내측에 전극조립체가 수납되는 원통형 케이스;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카본 나노 패턴층; 및 상기 카본 나노 패턴층에 형성되는 그래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는 원통형 캔의 표면적에 카본 나노 패턴(carbon nano pattern)을 인쇄한 후 카본 나노 패턴을 시드(seed)로 카본 나노 패턴에 그래핀(graphen)을 도포하여 열을 방출하는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열 방출을 용이하게 하여 열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통형 이차전지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분확대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도 2에 도시된 카본 나노 패턴층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원통형 이차전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1 및 도 7에 각각 도시된 전극조립체의 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는 원통형 케이스(110), 카본 나노 패턴층(120) 및 그래핀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통형 케이스(110)는 내측에 전극조립체(10)가 수납되고, 카본 나노 패턴층(120)은 원통형 케이스(110)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며, 그래핀층(130)은 카본 나노 패턴층(120)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10)는 도 2 및 도 8에서와 같이 원통형 케이스(110)의 내측에 수납되며, 전극조립체(10)의 상세한 구성은 하나 이상의 양극박(11), 하나 이상의 음극박(12) 및 하나 이상의 분리막(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하나 이상의 양극박(11), 하나 이상의 음극박(12) 및 하나 이상의 분리막(13)은 각각 중공 보빈(10a)을 이용해 젤리 롤형(jelly roll shape)으로 권취되어 조립된다.
전극조립체(10)의 하나 이상의 양극박(11)은 각각 재질이 알루미늄이 사용되며, 각각은 캡조립체(112)의 전극리드(electrode lead)(112a)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양극박(11)은 각각 일측이나 타측 표면에 각각 양극 전극물질(11a)이 도포되며, 양극 전극물질(11a)은 LCO(LiCoO2)나 LMO(LiMn2O4)가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음극박(12)은 각각 양극박(11)과 마주대하도록 각각 위치되어 적층되고, 각각의 재질은 알루미늄이 사용되며, 각각은 원통형 금속캔(111)에 연결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음극박(12)은 각각 일측이나 타측 표면에 각각 음극 전극물질(12a)이 도포되며, 음극 전극물질(12a)은 그래파이트(graphite), 하드 카본(hard carbon) 및 소프트 카본(soft carbon) 중 하나가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분리막(13)은 각각 양극박(111)과 음극박(112)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원통형 케이스(110)의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원통형 금속캔(cylindrical shape metal can)(111)과 캡(cap)조립체(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통형 금속캔(111)은 일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전극조립체(10)가 수납되며 외측 표면에 카본 나노 패턴층(120)이 형성된다. 원통형 금속캔(111)은 내측 표면에 절연성 재질층(111a)이 형성되며 일측에 전극조립체(10)의 일측의 끝단이나 캡조립체(112)를 각각 지지하는 비드(bead)(111b)가 형성되고 외측 표면에 카본 나노 패턴층(120)이 형성된다. 절연성 재질층(111a)의 재질은 각각 수지, 실리콘 및 고무 중 하나가 사용되며, 전극 조립체(10)와 원통형 금속캔(111)의 내측 하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서로 직접 연결되게 원통형 금속캔(111)의 내측의 표면에 형성된다. 원통형 금속캔(111)은 내측에 전극 조립체(10)의 조립 시 비드(111b)에 의해 지지되는 전극 조립체(10)의 상부와 전기적으로 도통되지 않도록 전극 조립체(10)와 비드(111b) 사이에 보조 가스켓(113a)이 개재된다. 보조 가스켓(113a)의 재질은 수지, 실리콘 및 고무 중 하나가 사용된다.
캡(cap)조립체(112)는 원통형 금속캔(111)의 일측의 끝단에 가스켓(113)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원통형 금속캔(111)의 내부가 밀봉되도록 한다. 가스켓(113)의 재질은 수지, 실리콘 및 고무 중 하나가 사용된다. 캡조립체(112)는 원통형 금속캔(111)의 일측의 끝단에 가스켓(113)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원통형 금속캔(111)의 내부가 밀봉되도록 하고, 상측에 전극리드(112a)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원통형 금속캔(111)과 캡조립체(112)의 재질은 각각 알루미늄이 사용된다. 이러한 캡조립체(112)는 원통형 금속캔(111)의 상단에서 내부로 휘어진 컬링(curling)부(111d)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카본 나노 패턴층(12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은 각각 원통형 케이스(110)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은 각각 CNT(carbon nano tube)나 CNF(carbon nano fiber)가 사용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은 각각 원통형 케이스(110) 즉, 원통형 금속캔(111)의 외주면에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게 형성되고, 각각은 폭(D1)이나 두께(D2)가 10 내지 200㎚가 되게 형성된다. 즉,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은 각각 하나 이상의 CNT나 CNF로 형성된다.
그래핀층(13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그래핀(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다수개의 그래핀(131)은 각각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에 각각 연결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두께(D3)는 10 내지 50㎚가 되게 형성된다. 즉,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은 각각 다수개의 그래핀(131)이 각각 연결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것과 같이 원통형 케이스(11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을 각각 시드(seed)로 하여 각각에 다수개의 그래핀(131)을 연결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열전도도가 높은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과 다수개의 그래핀(131)으로 원통형 케이스(110)의 외주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열 방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열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시 레이저 마킹 방법을 이용해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과 다수개의 그래핀(131)이 형성된 원통형 케이스(110)의 외주면에 직접 입력하여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에 관련된 정보의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하거나 외부 절연 필요 시 슬리브(sleeve)(1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슬리브(140)는 그래핀층(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즉, 슬리브(140)는 원통형 케이스(110)의 상부와 하부가 노출되게 원통형 케이스(110)를 감싸지게 그래핀층(130)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슬리브(140)는 80 내지 200℃에서 열수축하여 수축율이 5 내지 20%가 되도록 형성되며, 재질은 수지 96 내지 99wt%, 그래핀 0.05 내지 0.5wt% 및 CNT(carbon nano tube)나 CNF(carbon nano fiber) 0.95 내지 3.5wt%를 혼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수지는 PP(polypropylene)나 PE(polyethylene)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통형 케이스(110)에 슬리브(140)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슬리브(140)에 열전도도가 높은 그래핀과 CNT나 CNF가 혼합되며, 원통형 케이스(11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을 각각 시드(seed)로 하여 각각에 다수개의 그래핀(131)을 연결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열전도도가 높은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과 다수개의 그래핀(131)으로 원통형 케이스(110)의 외주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열 방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열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즉, 원통형 금속캔(111)의 외주면에 카본 나노 패턴층(120)과 그래핀층(130)을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원통형 금속캔(111)이 형성되며, 원통형 금속캔(111)의 하측의 표면은 절연성 마스킹 부재(도시 않음)을 이용해 커버한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원통형 금속캔(111)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절연성 패턴(151)을 포함하는 절연성 패턴층(150)을 형성한다. 즉, 다수개의 절연성 패턴(151) 사이에 카본 나노 패턴(121)이 형성될 공간(152)을 갖는 절연성 패턴층(150)을 형성하며, 절연성 패턴층(150)의 형성방법은 인쇄방법을 이용해 형성한다.
카본 나노 패턴층(120)의 형성방법은 원통형 금속캔(111)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절연성 패턴(151)을 포함하는 절연성 패턴층(150)이 형성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전기영동법 등을 이용해 각각 하나 이상의 CNT나 CNF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121)을 포함하는 카본 나노 패턴층(120)을 형성한다. 카본 나노 패턴층(120)이 형성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절연성 패턴층(150)을 제거한 후 카본 나노 패턴층(120)의 제조를 완료한다. 여기서, 카본 나노 패턴(121)에 포함되는 CNT나 CNF의 열전도도는 900 내지 2300W/m.K로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다.
그래핀층(130)은 도 6에서와 같이 카본 나노 패턴층(120)이 형성되면 카본 나노 패턴층(120)이 형성된 원통형 금속캔(111)을 용액 삽입법을 이용해 하나의 카본 나노 패턴(121)에 포함되는 CNT나 CNF에 다수개의 그래핀(131)이 연결되게 형성함으로써 원통형 금속캔(111)의 외주면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그래핀(131)의 열전도도는 4800 내지 5300 W/m.K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는 원통형 캔의 표면적에 열전도도가 높은 카본 나노 패턴(carbon nano pattern)을 인쇄한 후 카본 나노 패턴을 시드(seed)로 카본 나노 패턴에 카본 나노 패턴보다 열전도도가 높은 그래핀(graphen)이 연결되게 형성함으로써 열을 방출하는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열 방출을 용이하게 하여 열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통형 이차전지는 이차전지나 커패시터와 같은 제품의 제조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10: 전극조립체 11: 양극박
12: 음극박 13: 분리막
110: 원통형 케이스 111: 원통형 금속캔
112: 캡조립체 120: 카본 나노 패턴층
121: 카본 나노 패턴 130: 그래핀층
131: 그래핀 140: 슬리브

Claims (10)

  1. 내측에 전극조립체가 수납되는 원통형 케이스;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카본 나노 패턴층; 및
    상기 카본 나노 패턴층에 형성되는 그래핀층;을 포함하며,
    상기 카본 나노 패턴층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외측 표면에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은 각각 CNT(carbon nano tube)나 CNF(carbon nano fiber)가 사용되는 원통형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케이스는 일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전극조립체가 수납되며 외측 표면에 상기 카본 나노 패턴층이 형성되는 원통형 금속캔; 및
    상기 원통형 금속캔의 일측의 끝단에 가스켓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원통형 금속캔의 내부가 밀봉되도록 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케이스는 일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전극조립체가 수납되며 외측 표면에 상기 카본 나노 패턴층이 형성되는 원통형 금속캔; 및
    상기 원통형 금속캔의 일측의 끝단에 가스켓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원통형 금속캔의 내부가 밀봉되도록 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금속캔은 내측 표면에 절연성 재질층이 형성되며 일측에 전극조립체의 일측의 끝단이나 상기 캡조립체를 각각 지지하는 비드(bead)가 형성되고 외측 표면에 상기 카본 나노 패턴층이 형성되며, 상기 캡조립체는 상기 원통형 금속캔의 일측의 끝단에 가스켓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원통형 금속캔의 내부가 밀봉되도록 하고, 상측에 전극리드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금속캔과 상기 캡조립체의 재질은 각각 알루미늄이 사용되며, 상기 절연성 재질층과 상기 가스켓의 재질은 각각 수지, 실리콘 및 고무 중 하나가 사용되는 원통형 이차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일측이나 타측 표면에 각각 양극 전극물질이 도포되는 하나 이상의 양극박;
    상기 양극박과 마주대하도록 각각 위치되어 적층되며 일측이나 타측 표면에 각각 음극 전극물질이 도포되는 하나 이상의 음극박; 및
    상기 양극박과 상기 음극박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양극박과 하나 이상의 음극박과 상기 하나 이상의 분리막은 각각 젤리 롤형(jelly roll shape)으로 권취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양극박은 각각 캡조립체의 전극리드와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음극박은 각각 원통형 금속캔에 연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양극박과 하나 이상의 음극박의 재질은 각각 알루미늄이 사용되며, 상기 양극 전극물질은 LCO(LiCoO2)나 LMO(LiMn2O4)가 사용되며, 상기 음극 전극물질은 그래파이트(graphite), 하드 카본(hard carbon) 및 소프트 카본(soft carbon) 중 하나가 사용되는 원통형 이차전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은 각각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게 형성되고, 각각은 폭이나 두께가 10 내지 200㎚가 되게 형성되는 원통형 이차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층은 카본 나노 패턴층의 다수개의 카본 나노 패턴에 각각 다수개의 그래핀이 연결되게 형성되는 원통형 이차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층은 두께가 10 내지 50㎚가 되게 형성되는 원통형 이차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층의 상측은 슬리브(sleeve)가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는 원통형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가 노출되게 원통형 케이스를 감싸지게 그래핀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원통형 이차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80 내지 200℃에서 열수축하여 수축율이 5 내지 20%가 되도록 형성되며, 재질은 수지 96 내지 99wt%, 그래핀 0.05 내지 0.5wt% 및 CNT(carbon nano tube)나 CNF(carbon nano fiber) 0.95 내지 3.5wt%를 혼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수지는 PP(polypropylene)나 PE(polyethylene)가 사용되는 원통형 이차전지.
KR1020190064478A 2019-05-31 2019-05-31 원통형 이차전지 KR102186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78A KR102186294B1 (ko) 2019-05-31 2019-05-31 원통형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78A KR102186294B1 (ko) 2019-05-31 2019-05-31 원통형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294B1 true KR102186294B1 (ko) 2020-12-04

Family

ID=7377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478A KR102186294B1 (ko) 2019-05-31 2019-05-31 원통형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2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887B1 (ko) 2021-03-25 2021-11-17 주식회사 유로셀 원통형 이차전지
KR20220167967A (ko) 2021-06-15 2022-12-22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인서트형 전지 모듈
WO2024039221A1 (ko) * 2022-08-18 2024-02-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354A (ko) 2006-07-24 2008-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열에 의해 안전성이 향상된 원통형 이차전지
KR20160000173A (ko) * 2014-06-24 2016-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WO2016152688A1 (ja) * 2015-03-23 2016-09-29 日本碍子株式会社 放熱調整構造、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流体流通装置
KR20190042986A (ko) * 2017-10-17 2019-04-25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고속 충방전용 고출력 에너지 저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354A (ko) 2006-07-24 2008-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열에 의해 안전성이 향상된 원통형 이차전지
KR20160000173A (ko) * 2014-06-24 2016-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WO2016152688A1 (ja) * 2015-03-23 2016-09-29 日本碍子株式会社 放熱調整構造、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流体流通装置
KR20190042986A (ko) * 2017-10-17 2019-04-25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고속 충방전용 고출력 에너지 저장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887B1 (ko) 2021-03-25 2021-11-17 주식회사 유로셀 원통형 이차전지
KR20220167967A (ko) 2021-06-15 2022-12-22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인서트형 전지 모듈
WO2024039221A1 (ko) * 2022-08-18 2024-02-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294B1 (ko) 원통형 이차전지
JP6505859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6012827A (ja) 二次電池
KR101502080B1 (ko) 신축가능한 에너지 저장소자용 전극 구조물의 제조방법,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소자
JP2009094068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WO2016047199A1 (ja) 角形二次電池
WO2017141613A1 (ja) 角形二次電池
KR20150143030A (ko)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5331B1 (ko) 이차 전지
JP6336821B2 (ja) 二次電池
JP2004253330A (ja) 角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84086A (ko) 이차 전지
JP2016103412A (ja) 角形二次電池
JP2000048825A (ja) 熱発散手段を有する円筒形電池
KR20210039568A (ko) 리튬 공기전지 패키지
JP2011228552A (ja)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16806A (ja) 二次電池
JP2011176137A (ja) 電気化学デバイス
JP2008021443A (ja) 積層型電池
JP2005174779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11176141A (ja) 電気化学デバイス
JP2010199502A (ja) 巻回形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55141B1 (ko) 이차 전지용 배터리 셀의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JP2011176140A (ja) 電気化学デバイス
KR102018170B1 (ko) Edlc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