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001B1 -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001B1
KR102186001B1 KR1020190133170A KR20190133170A KR102186001B1 KR 102186001 B1 KR102186001 B1 KR 102186001B1 KR 1020190133170 A KR1020190133170 A KR 1020190133170A KR 20190133170 A KR20190133170 A KR 20190133170A KR 102186001 B1 KR102186001 B1 KR 102186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eam
image
hook
mounting board
modul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김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경 filed Critical 김은경
Priority to KR102019013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9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forming a crossed-over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B64C2201/123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심지에 집중된 지형물인 각종 건물의 지형물이미지를 실제 지형물에 준하게 도화해서 도화이미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항공촬영 텀이 길고 고비용이 지출되는 비행기를 이용한 항공촬영 대신 값싸고 주기적인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신속히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고, 특히 관리서버를 구성하는 다수의 모듈들을 실장하기 편리하게 하면서 발열로부터 열화되는 것을 예방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고 진동 영향에 의한 처리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도록 한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A spatial image-drawing system that changes the geographic information}
본 발명은 공간영상 도화 기술 분야 중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심지에 집중된 지형물인 각종 건물의 지형물이미지를 실제 지형물에 준하게 도화해서 도화이미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항공촬영 텀이 길고 고비용이 지출되는 비행기를 이용한 항공촬영 대신 값싸고 주기적인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신속히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고, 특히 관리서버를 구성하는 모듈들을 실장하기 편리하게 하면서 발열로부터 열화되는 것을 예방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고 진동 영향에 의한 처리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도록 한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도화이미지는 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 시각적인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간단한 이미지로 제작된다.
특히,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사용자가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는 도화이미지를 쉽고 빠르게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기기의 경우에는 도화이미지의 배경이 실제 모습과는 확연한 차이를 갖는다.
도 1(도화된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의 (a)는 지형 정보를 최대한 단순화시킨 도화이미지이고, (b)는 실제 지형의 모습을 보인 도화이미지이다.
도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a)의 경우에는 해당 지형의 도로 상태와 지형물이미지(B)의 배치모습 등이 이용자에 의해 쉽고 빠르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나, 실제 현장에서 해당 도화이미지와 지형을 비교할 경우, 서로 상이한 지형물이미지(B, B')와 지형물 간의 모습으로 인해 이용자는 실제 현장과 도화이미지의 동일성 여부에 혼란을 느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화이미지에 대한 수정 및 갱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다.
이 시스템은 현장의 실제 지형물에 위치측정기를 설치해서 지형물의 이미지를 확인하고, GPS에서 위치측정기의 좌표값과 위치정보를 별도로 수집하며, 영상도화기는 이렇게 확인된 지형물의 이미지와, 별도로 측정된 좌표값 및 위치정보를 서로 결합시켜서 수치지도DB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 도화이미지를 갱신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위치측정기는 현장에서 GPS와 결합된 상태로 작업이 진행되므로, 각종 지형물에 의한 가림이 없는 광야 또는 상대적으로 한적한 도외지 전용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고층건물이 집중된 도심에서는 GPS위성과의 통신이 곤란하고, 수많은 방해 전파가 범람하며, 이로 인한 각종 센서의 오작동 발생이 빈번한 도심지에서는 지형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측정이 불가능했다.
또한, 매 건물마다 위치측정기를 설치하는 것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항공촬영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자주 촬영할 수 없어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지물의 형상 특성을 신속하게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에도 봉착해 있다.
이에 더하여, 항공촬영은 항공기가 촬영지점을 고속으로 지나가 버리기 때문에 촬영지역에 머무를 수 없어 필요하다면 항공기를 선회시켜 매번 재촬영해야 하는 번거로움, 그에 따른 시간상, 비용상 매우 큰 낭비가 초래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8078호(2011.02.21.)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 합성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도심지에 집중된 지형물인 각종 건물의 지형물이미지를 실제 지형물에 준하게 도화해서 도화이미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항공촬영 텀이 길고 고비용이 지출되는 비행기를 이용한 항공촬영 대신 값싸고 주기적인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신속히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고, 특히 관리서버를 구성하는 모듈들을 실장하기 편리하게 하면서 발열로부터 열화되는 것을 예방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고 진동 영향에 의한 처리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도록 한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좌표기준점 기능을 수행하도록 RF발신기(R1,R2,R3)와 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하고, 측정지점으로 이동하여 멈춘 상태로 기준좌표를 제공하는 적어도 3대의 차량(100,102,104)과; 상기 RF발신기(R1,R2,R3)로부터 수신된 RF를 통해 각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하고 GPS수신기(G1,G2,G3)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를 촬영존에 맞춰 RF발신기(R1,R2,R3) 별로 코딩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드론(200)과; 상기 드론(200)이 생성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여 도화를 수행하는 도화모듈(330)을 갖춘 관리서버(300);를 포함하는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300)가 설치되는 차량의 함체 내부 천정에 고정된 거치고정구(410); 상기 거치고정구(410)에 고정된 걸이구(420); 상기 걸이구(420)에 걸려 고정되는 'ㄹ' 형상의 가로보(430); 상기 가로보(430) 하방에 가로보(430)와 직교되게 배치되는 세로보(440); 상기 세로보(440)를 상기 가로보(430)에 고정하는 보결속부재(450); 상기 세로보(440)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관리서버(300)를 구성하는 DB와 모듈들이 실장되는 다수의 모듈실장보드(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이구(420)는 하단에 'U' 형상의 걸림홈(422)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422)에는 상기 가로보(430)가 삽입되며, 상기 걸림홈(422)의 상부는 체결구(424)에 의해 폐쇄되어 가로보(43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세로보(440)는 'U' 형상을 갖고, 양측 상단은 다시 '∩' 형상으로 절곡 가공되어 걸림후크(442)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결속부재(450)는 상기 가로보(430)를 감싸듯이 내장하는 한 쌍의 수평편(452)에 의해 형성된 보삽입홈(HOM1)과, 상기 수평편(452)의 상단을 연결편(454)으로 연결하되 연결편(454)의 하측면이 상방향으로 다단절곡되어 상기 가로보(430)의 상단이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턱홈(HOM2)과, 상기 수평편(45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로보(440)의 걸림후크(442)가 끼워져 걸림되는 후크홈(458)을 구비하고;
상기 세로보(440)에 모듈실장보드(500)가 고정될 때 고정볼트(BLT)에 지지플랜지(FLG)를 끼운 상태에서 지지플랜지(FLG)와 세로보(440)의 상면 사이에 상부스프링(SPR1)를 개재시키고, 세로보(440)의 하단면과 모듈실장보드(500)의 상단면 사이에는 하부스프링(SPR2)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BLT)를 관통시켜 모듈실장보드(500)의 상면에 볼트 체결시켜 이중 탄성완충 구조를 갖추도록 하며;
상기 가로보(430)의 상단에 돌출턱부(TR)를 핀(Fin) 형태로 더 돌출시키고, 상기 보결속부재(450)의 걸림턱홈(HOM2)의 하단 안쪽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턱부걸림부(456)를 더 형성하여 상호 후크 체결되게 구성하고;
상기 세로보(440)와 보강보(460)는 알루미늄밴드(480)에 의해 결속되되, 상기 알루미늄밴드(480)는 일정폭을 갖는 결속용 밴드로서 양단에는 후크결속구(482)가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후크결속구(482)를 세로보(440)의 걸림후크(442)에 걸고 보강보(460)의 상면에 접하도록 경유한 후 반대쪽 세로보(440)의 걸림후크(442)에 걸어 고정하며;
상기 연결편(454)의 길이는 상기 수평편(452)의 좌우폭 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가로보(430)의 밀착력과 누름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로보(430)의 상단을 서로 결속하여 체결강도를 높이도록 'ㄷ' 형상의 강재인 보강보(46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강보(460)는 걸이형고정구(470)를 통해 가로보(430) 상에 결속되게 하되, 상기 걸이형고정구(470)는 상기 가로보(430)의 상단에 끼워져 걸림되는 고정구홈(472)과, 상기 보강보(460)를 감싼 채로 가로보(430)에 견착시켜 밀착 고정하는 밀착볼트(474)를 포함하며;
상기 슬롯(510)과 슬롯(510) 사이의 공간에는 다수의 판관통공(530)이 모듈실장보드(500)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더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520)의 중앙에 냉각팬(54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심지에 집중된 지형물인 각종 건물의 지형물이미지를 실제 지형물에 준하게 도화해서 도화이미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항공촬영 텀이 길고 고비용이 지출되는 비행기를 이용한 항공촬영 대신 값싸고 주기적인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신속히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고, 특히 관리서버를 구성하는 모듈들을 실장하기 편리하게 하면서 발열로부터 열화되는 것을 예방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고 진동 영향에 의한 처리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방식으로 도화된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을 구성하는 연산기의 연산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중 지도작성부의 구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적용된 모듈실장보드의 완충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실장보드 고정구조의 변형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현을 위한 보결속 구조의 변형예를 보인 부분 발췌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현하는 알루미늄밴드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은 좌표기준점 기능을 수행하도록 RF발신기(R1,R2,R3)와 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하고, 측정지점으로 이동하여 멈춘 상태로 기준좌표를 제공하는 차량(100,102,104)과; 상기 RF발신기(R1,R2,R3)로부터 수신된 RF신호를 통해 각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하고 GPS수신기(G1,G2,G3)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를 촬영존에 맞춰 RF발신기(R1,R2,R3) 별로 코딩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드론(200)과; 상기 드론(200)이 생성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여 도화를 수행하는 도화모듈(330)을 갖춘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량(100,102,104)은 도 3의 예시와 같이, 메모리가 실장된 차량제어기(110)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제어기(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RF를 발신하는 RF발신기(R1,R2,R2)가 각 차량에 하나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차량(100,102,104) 각각에는 상기 차량제어기(110)의 제어신호하에 위성과 통신하여 위치정보, 즉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GPS수신기(G1,G2,G3)도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100,102,104) 각각의 지붕에는 차량용 스테레오카메라(120)가 더 설치되어 입체 영상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는 높이가 높은 건물의 경우 그 직상방에서 드론(200)이 촬영할 경우 측면 이미지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측면 이미지를 입체 영상이미지로 획득한 후 평면 이미지와 합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외관이미지를 3차원 입체 이미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데, 이때 활용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RF발신기(R1,R2,R3)는 RF를 발진시켜 드론(200)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발진된 신호는 RF발신기(R1,R2,R3) 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을 갖는 고유한 RF를 포함하므로 드론(200)은 수신한 RF를 통해 당해 RF를 발진한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RF발신기(R1,R2,R3)는 드론(200)이 촬영대상 지면(즉, 촬영존)에 진입하면 각 차량(100,102,104)에 설치된 차량제어기(110)에 의해 각각 제어되어 단발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연발로 지속해서 발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론(200)은 관리서버(300) 및 차량(100,102,104)과의 무선통신을 비롯한 기능 구현에 필요한 제어를 위해 드론제어기(210)를 탑재한다.
이때, 상기 드론제어기(210)는 촬영존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211)와, RF발신기(R1,R2,R3)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RF수신기(212)와, 드론(200)이 위치한 고도를 측정하는 고도계(213)와,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드론(200)이 현재 위치한 지점의 지피에스 좌표를 확인하는 좌표계(214)와, RF수신기(212)가 수신한 위치정보와 좌표계(214)가 확인한 위치정보 및 고도계(213)에서 확인된 고도정보를 이용하여 각 RF발신기(R1,R2,R3)까지의 지면상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기(215)와, 상기 연산기(215)가 연산한 거리정보와 RF수신기(212)가 수신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여 촬영존의 촬영이미지 상에 위치정보를 합성하는 위치정보합성기(216)와, 합성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드론메모리(21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211)는 촬영존의 촬영을 위한 일반적인 카메라로, 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이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입체영상 이미지 확보를 위해 드론용 스테레오카메라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RF수신기(212)는 RF발신기(R1,R2,R3)가 발신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여 발진신호에 포함된 RF를 확인하여 구별하며, 구별 정보는 드론제어기(210)가 인식한다.
아울러, 상기 연산기(215)는 도 4의 예시와 같이, 촬영존의 둘레중 적어도 3곳에 배치된 RF발신기(R1,R2,R3)와 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한 차량(100,102,104)과, 촬영존 내의 상부 일정높이에서 호버링하고 있는 드론(200)이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촬영존, 즉 드론(200)에 장착된 카메라(211)가 한번에 촬영할 수 있는 단위공간의 크기에 대한 영상이미지에 좌표값, 다시 말해 위치정보를 삽입하여 도화모듈(330)이 도화할 때 정확한 도화가 가능하도록 차량(100,102,104)의 위치정보를 정확히 하기 위해 드론(200)을 기준으로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드론(200)의 위치는 좌표계(214)를 통해 알고 있고, 또한 촬영존의 드론(200) 직하방 지면 지점은 고도계(213)를 통해 알고 있으며, 각 RF발신기(R1,R2,R3)까지의 거리는 RF의 속도와 RF수신기(212)가 수신한 시간을 통해 알 수 있으므로 결국 촬영존 내의 드론(200) 직하방 지면 지점으로부터 각 RF발신기(R1,R2,R3)까지의 거리는 직각삼각형을 형성하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산출되게 된다.
이렇게, 촬영존 내의 드론(200) 직하방 지면 지점을 기준으로 각 GPS수신기(G1,G2,G3)가 획득한 좌표값과, 기준점으로부터 RF발신기(R1,R2,R3)까지의 거리정보를 알기 때문에 결국 촬영된 촬영존의 영상이미지에 RF발신기(R1,R2,R3)의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촬영존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할 때 각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도화하게 되면 정확한 도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론메모리(217)는 위치정보가 합성된 촬영이미지를 저장물 형태로 기록한 후 드론제어기(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화모듈(33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드론메모리(217)는 이를 테면 RAM과 같이 임시 저장기능을 갖는 외장형 디스크(USB방식으로 탈부착되는 기록매체, 또는 SD 카드 형태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디스크일 수도 있으며, 탈부착이 가능한 하드드라이브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300)는 원격지에 설치되고, 메인제어부인 서버제어기(310)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제어기(310)에는 상기 드론(200)과 무선통신하여 도화에 필요한 영상이미지를 수신하는 서버통신부(320)와, 상기 서보통신부(320)를 통해 수신한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도화하는 도화모듈(330)과, 상기 서버제어기(310)에 연결되고 송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메모리(3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300)에는 상기 도화모듈(330) 외에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ata Base), 연산에 필요한 처리모듈들을 다수 구비하고 있지만,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도화모듈(330)을 포함한 다수의 처리모듈들은 무수히 많은 반복작업들 빠르게 수행하기 때문에 많은 열이 발생하고, 또한 처리모듈들의 교체사용시 함체 내부에 서버랙 형태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탈거하기 위해서는 함체 자체의 도어를 개방하고 좁은 공간내에서 볼트를 풀고 조이는 반복작업, 그로 인한 피로도 상승, 협착 등에 따른 손가락 상해 등 많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며, 특히 밀폐된 함체 내부에 설치된 관계로 별도의 냉각설비가 갖추어지지 않는 이상 발열에 따른 열화문제는 시스템의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이는 정보 오류를 양산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관리서버(300)를 구성하는 함체 내부에서 처리모듈들이 서버랙 형태가 아닌 카드, 즉 보드 형태의 모듈실장보드의 슬롯에 꽂을 수 있는 타입으로 바꾸고, 모듈실장보드를 함체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함체 내부에서 원활한 대류가 일어나도록 하며, 함체의 일측에는 송풍팬을 설치하여 공냉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모듈실장보드가 하우징의 천정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하여 대류의 원활성을 확보하고 차량의 흔들림, 충격 등에 따른 진동도 자체 흡수할 수 있도록 진동 흡수성능도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모듈 교체시에도 작업자가 서서 하기 때문에 쉽고 빠르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관리서버(300)를 구성하는 함체의 천정에는 거치고정구(410)가 고정된다.
상기 거치고정구(410)는 체결볼트 형태를 가지며, 플랜지 타입의 조임구(412)가 끼워지고, 조임구(412)의 플랜지와 하우징의 천정 사이에는 흡수스프링(414)이 배치되며, 상기 흡수스프링(414)은 상기 거치고정구(410) 상에 끼워진 채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고정구(410)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충격 등)은 상기 흡수스프링(414)에 의해 1차적으로 흡수 완충되게 되어 안전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모듈들의 접속불량이나 진동에 의해 오동작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고정구(410)에는 걸이구(420)의 상단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걸이구(420)는 가로보(430)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단이 'U' 형상의 걸림홈(422)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보(430)가 걸림홈(422)에 삽입된 후에는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구(424)에 의해 걸림홈(422)의 상단이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로보(430)는 'ㄹ'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보결속부재(450)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갖추도록 하면서 특히, 'ㄹ'형상인 관계로 좌우 양측이 개방되어 있어 상하 탄성완충에 의한 외력(충격, 진동 등)을 2차적으로 흡수 완충하는 특성을 갖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로보(430)의 하측면에는 한 쌍의 세로보(440)가 직교되게 접촉 배치되고, 상기 세로보(440)는 보결속부재(450)를 통해 상기 가로보(430)에 체결되며, 상기 세로보(440)의 하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모듈실장보드(500)가 고정되어 매달린 형태가 된다.
즉, 상기 모듈실장보드(500)는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공중에 떠있는 배치 구조를 갖는다.
때문에, 공기 순환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순환팬에 의해 대류하게 될 때 바닥면에 막힌 부분이 없어 함체 내부 전체를 신속하고 균일하게 대류하면서 균일한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세로보(440)는 도 6의 예시와 같이, 'U' 형상으로 된 부재로서, 양측 상단은 다시 '∩' 형상으로 절곡 가공되어 걸림후크(442)를 갖는 형태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걸림후크(442)는 포밍가공됨은 물론 길이가 짧기 때문에 매우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고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며, 쉽게 변형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보결속부재(450)는 상기 가로보(430)를 감싸듯이 내장하는 한 쌍의 수평편(452)에 의해 형성된 보삽입홈(HOM1)과, 상기 수평편(452)의 상단을 연결편(454)으로 연결하되 연결편(454)의 하측면이 상방향으로 다단절곡되어 상기 가로보(430)의 상단이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턱홈(HOM2)과, 상기 수평편(45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로보(440)의 걸림후크(442)가 끼워져 걸림되는 후크홈(458)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연결편(454)의 길이는 상기 수평편(452)의 좌우폭 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가로보(430)의 밀착력 향상, 누름력 증대 기능을 갖추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되면, 가로보(430)-보결속부재(450)-세로보(440)의 조립구조가 또다른 탄성완충 구조를 갖추기 때문에 3차 진동 흡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가로보(430)의 좌우 양측면은 각각 보결속부재(450)의 각 수평편(452)에 면접지지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한 흔들림 억제 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가로보(430)의 상단을 서로 결속하여 체결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보강보(4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강보(460)는 'ㄷ' 형상의 강재이며, 걸이형고정구(470)를 통해 가로보(430) 상에 결속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형고정구(470)는 상기 가로보(430)의 상단에 끼워져 걸림되는 고정구홈(472)과, 상기 보강보(460)를 감싼 채로 가로보(430)에 견착시켜 밀착 고정하는 밀착볼트(474)를 포함한다.
이렇게 걸이형고정구(470)를 이용하여 보강보(460)를 고정하게 되면, 가로보(430)들끼리의 결속력이 증가되면서 진동에 대한 흔들림 저항성도 함께 커져 그 만큼 안전성, 안정성 모두가 증대되게 된다.
한편, 상기 모듈실장보드(500)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함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게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관리서버(300)를 구성하는 함체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갈 경우 냉각공기를 공급할 때 하방 상방으로 균일하게 대류될 수 있어 균일 냉각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모듈실장보드(500)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듈실장보드(500)는 일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슬롯(510)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510)은 상술한 관리서버(300)를 구성하는 처리모듈들이 실장되는 공간이며, 삽탈 고정식으로 안정적인 접속관계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모듈실장보드(500)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용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모듈실장보드(500)의 상측과 하측에는 사각 형태로 관통된 통기공(520)이 크게 형성되는데, 이는 모듈실장보드(500)들 사이로의 공기 대류과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때문에, 처리모듈은 통기공(520)이 없는 모듈실장보드(500)의 중간부분에 실장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효과적인 냉각과 공기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슬롯(510)과 슬롯(510) 사이의 공간에는 다수의 판관통공(530)이 모듈실장보드(500)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더 형성되면 냉각 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통기공(520)의 중앙에 냉각팬(540)을 더 설치하여 냉각 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도 있다.
아울러, 도 5 및 도 7의 예시와 같이, 상기 모듈실장보드(500)의 하단이 자유단이 되므로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아무래도 흔들릴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완전히 일소시키기 위해 간격유지겸 진동흡수부재(55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겸 진동흡수부재(550)는 상기 모듈실장보드(500)의 하단 양측 모서리부를 서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이를 위해 로드 형태를 갖고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샤프트(552)와, 상기 관통샤프트(552)가 각 모듈실장보드(500)를 관통할 때 각 모듈실장보드(500)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관통샤프트(552)에 각각 끼워지는 완충흡수스프링(554)과, 상기 모듈실장보드(500)를 관통한 관통샤프트(552)의 양단에 나사체결되는 체결헤드(556)로 구성된다.
따라서, 자유단인 모듈실장보드(500)의 하단이 미세하게 유동하더라도 관통샤프트(552)와 이에 끼워진 채 모듈실장보드(500)들 사이에 개재된 완충흡수스프링(554)이 완전하게 흡수 완충하여 해소시키므로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8에서와 같이, 세로보(440)에 모듈실장보드(500)를 고정할 때 고정볼트(BLT)에 지지플랜지(FLG)를 끼운 상태에서 지지플랜지(FLG)와 세로보(440)의 상면 사이에 상부스프링(SPR1)를 개재시키고, 세로보(440)의 하단면과 모듈실장보드(500)의 상단면 사이에는 하부스프링(SPR2)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BLT)를 관통시켜 모듈실장보드(500)의 상면에 볼트 체결시킴으로써 이중 탄성완충 구조를 갖추도록 한다.
그러면, 상부스프링(SPR1)과 하부스프링(SPR2)이 세로보(440)와 모듈실장보드(500) 사이를 완전히 흡수 완충하기 때문에 진동이 거의 전달되지 않고 안정적인 조립 구조를 갖추게 된다.
덧붙여, 보결속부재(450)의 결속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도 9의 예시와 같이, 가로보(430)의 상단에 돌출턱부(TR)를 핀(Fin) 형태로 더 돌출시켜 후크걸림 구조를 갖출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결속부재(450)의 걸림턱홈(HOM2)의 하단 안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턱부걸림부(456)를 더 형성함으로써 상호 후크 체결되게 하여 보결속부재(450)가 더욱 안정적이고 강하고 긴밀한 고정구조를 갖추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매달린 구조지만 매우 안정적인 설치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10의 예시와 같이, 상기 세로보(440)의 길이 중앙을 서로 결속하는 알루미늄밴드(4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밴드(480)는 일정폭을 갖는 결속용 밴드로서, 양단에는 후크결속구(482)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상기 후크결속구(482)를 세로보(440)의 걸림후크(442)에 걸고 보강보(460)의 상면에 접하도록 경유한 후 반대쪽 세로보(440)의 걸림후크(442)에 걸어 고정하는 부재이다.
이때, 상기 알루미늄밴드(480)는 약간의 인장력이 있기 때문에 결속할 길이보다 약간 작게 만든 후 일측 세로보(440)에 후크결속구(482)를 건 상태에서 기계적 힘을 이용하여 당겨 타측 세로보(440)에 후크결속구(482)를 거는 방식으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밴드(480)는 주된 고정부재가 아니라, 보조적인 결속부재이기 때문에 강한 결속력까지는 필요없다. 다만, 세로보(440)와 보강보(460) 사이의 일체감을 강화시킬 수 있을 정도면 족하다.
100: 차량
200: 드론
300: 관리서버

Claims (1)

  1. 좌표기준점 기능을 수행하도록 RF발신기(R1,R2,R3)와 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하고, 측정지점으로 이동하여 멈춘 상태로 기준좌표를 제공하는 적어도 3대의 차량(100,102,104)과; 상기 RF발신기(R1,R2,R3)로부터 수신된 RF를 통해 각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하고 GPS수신기(G1,G2,G3)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를 촬영존에 맞춰 RF발신기(R1,R2,R3) 별로 코딩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드론(200)과; 상기 드론(200)이 생성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여 도화를 수행하는 도화모듈(330)을 갖춘 관리서버(300);를 포함하는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300)가 설치되는 차량의 함체 내부 천정에 고정된 거치고정구(410); 상기 거치고정구(410)에 고정된 걸이구(420); 상기 걸이구(420)에 걸려 고정되는 'ㄹ' 형상의 가로보(430); 상기 가로보(430) 하방에 가로보(430)와 직교되게 배치되는 세로보(440); 상기 세로보(440)를 상기 가로보(430)에 고정하는 보결속부재(450); 상기 세로보(440)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관리서버(300)를 구성하는 DB와 모듈들이 실장되는 다수의 모듈실장보드(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이구(420)는 하단에 'U' 형상의 걸림홈(422)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422)에는 상기 가로보(430)가 삽입되며, 상기 걸림홈(422)의 상부는 체결구(424)에 의해 폐쇄되어 가로보(43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세로보(440)는 'U' 형상을 갖고, 양측 상단은 다시 '∩' 형상으로 절곡 가공되어 걸림후크(442)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결속부재(450)는 상기 가로보(430)를 감싸듯이 내장하는 한 쌍의 수평편(452)에 의해 형성된 보삽입홈(HOM1)과, 상기 수평편(452)의 상단을 연결편(454)으로 연결하되 연결편(454)의 하측면이 상방향으로 다단절곡되어 상기 가로보(430)의 상단이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턱홈(HOM2)과, 상기 수평편(45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로보(440)의 걸림후크(442)가 끼워져 걸림되는 후크홈(458)을 구비하고;
    상기 세로보(440)에 모듈실장보드(500)가 고정될 때 고정볼트(BLT)에 지지플랜지(FLG)를 끼운 상태에서 지지플랜지(FLG)와 세로보(440)의 상면 사이에 상부스프링(SPR1)를 개재시키고, 세로보(440)의 하단면과 모듈실장보드(500)의 상단면 사이에는 하부스프링(SPR2)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BLT)를 관통시켜 모듈실장보드(500)의 상면에 볼트 체결시켜 이중 탄성완충 구조를 갖추도록 하며;
    상기 가로보(430)의 상단에 돌출턱부(TR)를 핀(Fin) 형태로 더 돌출시키고, 상기 보결속부재(450)의 걸림턱홈(HOM2)의 하단 안쪽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턱부걸림부(456)를 더 형성하여 상호 후크 체결되게 구성하고;
    상기 세로보(440)와 보강보(460)는 알루미늄밴드(480)에 의해 결속되되, 상기 알루미늄밴드(480)는 일정폭을 갖는 결속용 밴드로서 양단에는 후크결속구(482)가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후크결속구(482)를 세로보(440)의 걸림후크(442)에 걸고 보강보(460)의 상면에 접하도록 경유한 후 반대쪽 세로보(440)의 걸림후크(442)에 걸어 고정하며;
    상기 연결편(454)의 길이는 상기 수평편(452)의 좌우폭 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가로보(430)의 밀착력과 누름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로보(430)의 상단을 서로 결속하여 체결강도를 높이도록 'ㄷ' 형상의 강재인 보강보(46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강보(460)는 걸이형고정구(470)를 통해 가로보(430) 상에 결속되게 하되, 상기 걸이형고정구(470)는 상기 가로보(430)의 상단에 끼워져 걸림되는 고정구홈(472)과, 상기 보강보(460)를 감싼 채로 가로보(430)에 견착시켜 밀착 고정하는 밀착볼트(474)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실장보드(500)는 일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슬롯(510)이 형성되고,
    상기 모듈실장보드(500)의 상측과 하측에는 사각 형태로 관통된 통기공(520)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510)과 슬롯(510) 사이의 공간에는 다수의 판관통공(530)이 모듈실장보드(500)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더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520)의 중앙에 냉각팬(54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20190133170A 2019-10-24 2019-10-24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2186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170A KR102186001B1 (ko) 2019-10-24 2019-10-24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170A KR102186001B1 (ko) 2019-10-24 2019-10-24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001B1 true KR102186001B1 (ko) 2020-12-04

Family

ID=7377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170A KR102186001B1 (ko) 2019-10-24 2019-10-24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476B1 (ko) * 2023-04-10 2023-07-31 주식회사포앤텍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111A (ja) * 1995-06-16 1997-01-07 Ichikai:Kk システム天井
KR20060004603A (ko) * 2005-06-09 2006-01-12 대한주택공사 천정패널 고정행거
KR101018078B1 (ko) 2010-10-01 2011-03-0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 합성시스템
KR101531411B1 (ko) * 2014-08-07 2015-06-24 이인열 행거형 방진장치
KR20160024890A (ko) * 2016-02-15 2016-03-07 김대식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고정장치
JP2016223464A (ja) * 2015-05-27 2016-12-28 Ntn株式会社 等速自在継手用ブーツの締結バンド
KR101835516B1 (ko) * 2017-10-12 2018-04-19 주식회사 유성 지형지물에 의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111A (ja) * 1995-06-16 1997-01-07 Ichikai:Kk システム天井
KR20060004603A (ko) * 2005-06-09 2006-01-12 대한주택공사 천정패널 고정행거
KR100562998B1 (ko) * 2005-06-09 2006-03-27 대한주택공사 천정패널 고정행거
KR101018078B1 (ko) 2010-10-01 2011-03-0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 합성시스템
KR101531411B1 (ko) * 2014-08-07 2015-06-24 이인열 행거형 방진장치
JP2016223464A (ja) * 2015-05-27 2016-12-28 Ntn株式会社 等速自在継手用ブーツの締結バンド
KR20160024890A (ko) * 2016-02-15 2016-03-07 김대식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고정장치
KR101835516B1 (ko) * 2017-10-12 2018-04-19 주식회사 유성 지형지물에 의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476B1 (ko) * 2023-04-10 2023-07-31 주식회사포앤텍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236B1 (ko) 지피에스 정보를 포함하는 지형정보 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 시스템
RU27431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анализа вибраци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ысокоскоростных видеоданных и применение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анализа вибраций
KR102186001B1 (ko)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US20170199038A1 (en) Flight guidance system
KR101895951B1 (ko) 실시간 데이터 변화의 영상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US20200363491A1 (en) Monitoring and/or recording a position of a tool in an elevator shaft
CN104736458A (zh) 传感器吊舱
CN212074451U (zh) 可稳定固定激光雷达的无人机支架
JP2020010185A (ja) 情報収集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無人航空機
JPH08285590A (ja) 位置特定方法および装置
KR102099778B1 (ko) Gis를 기반으로 공간정보를 처리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N212332993U (zh) 用于云台的增稳系统、无人机及固定装置
KR102163527B1 (ko) 수치지도의 지형지물 위치 확인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의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914164B1 (ko)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드론의 근접 정밀 영상데이터의 영상처리 시스템
KR101560744B1 (ko) 지형지물의 은폐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초정밀 공간도화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1218218B1 (ko) 광학적오차를 최소화하는 항공촬영 이미지 영상의 도화시스템
RU179434U1 (ru) Аппарат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расстояния до объектов, устанавливаемый на беспилотный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JPWO2020049726A1 (ja) 計測装置及び計測装置の据え付け方法
KR102186002B1 (ko) 지피에스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WO2021124579A1 (ja) 飛行体の撮像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CN212580157U (zh) 一种无人机测绘现场取证装置
KR102186003B1 (ko) 수치지도의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지상물의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N220743375U (zh) 无人机用传感器集成固定装置
WO2021065000A1 (ja) 伝搬特性測定システム及び伝搬特性測定方法
CN217384269U (zh) 一种地图测绘装置及移动测绘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