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476B1 -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476B1
KR102561476B1 KR1020230047019A KR20230047019A KR102561476B1 KR 102561476 B1 KR102561476 B1 KR 102561476B1 KR 1020230047019 A KR1020230047019 A KR 1020230047019A KR 20230047019 A KR20230047019 A KR 20230047019A KR 102561476 B1 KR102561476 B1 KR 10256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ehicle
fixed
reference poin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포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포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포앤텍
Priority to KR1020230047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3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sway control, e.g. stabilising or anti-fishtail devices; Sway alarm means
    • B60D1/3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sway control, e.g. stabilising or anti-fishtail devices; Sway alarm means involving dam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ransport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과 같은 무인기를 활용하여 지상기준점을 특정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항공이미지확보시 설정했던 기준점좌표와 일치되는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지상이미지를 확보하고 항공확보이미지와 지상확보이미지를 합성할 때 기준점좌표가 일치되기 때문에 보다 더 정확하고 정밀한 전자지도를 공간영상으로 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상이미지확보용 더미차량의 제동 능력을 강화시켜 현장 이동시 고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digitally maps captured video images}
본 발명은 공간영상 도화 기술 분야 중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과 같은 무인기를 활용하여 지상기준점을 특정하고, 이를 통해 항공이미지확보시 설정했던 기준점좌표와 일치되는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지상이미지를 확보하고 항공확보이미지와 지상확보이미지를 합성할 때 기준점좌표가 일치되기 때문에 보다 더 정확하고 정밀한 전자지도를 공간영상으로 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상이미지확보용 더미차량의 제동 능력을 강화시켜 현장 이동시 고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한 전자지도는 항공이미지확보와 지상이미지확보를 통해 수집한 영상이미지로부터 공간영상도화 처리하여 제작된다.
즉, 수집된 항공영상이미지는 공간영상도화기를 거쳐 도화 이미지로 변환되며, 온라인 전용 3차원 영상정보인 전자지도로 변환 완성되는데, 이러한 전자지도에는 다양한 GIS정보가 저장된다.
종래에는 지상이미지확보에 있어, 한번 촬영 후에 해당 지역에 대한 공간영상 도화용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해당 지역을 방문하고, 해당 지역의 지형지물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하여, 변화에 의해 불확실해진 지형지물의 이미지를 확보함으로써, 수정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이미지를 공간영상도화 처리하여 전자지도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즉, 지형물의 이미지를 확인하고, GPS에서 위치측정기의 좌표값과 위치정보를 별도로 수집하고, 공간영상도화기는 이렇게 확인된 지형물의 이미지와, 별도로 측정된 좌표값 및 위치정보를 서로 결합시켜서 전자지도DB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 공간영상도화이미지를 갱신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일일이 많은 지역을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비교적 많이 번거롭고, 많은 노동력과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뿐만 아니라, 전자지도는 통상 항공이미지확보와 지상이미지확보를 통해 수집한 이미지로부터 제작되고, 이렇게 수집된 이미지는 이웃하는 이미지들 간의 상호 연결을 통해 비로서 하나의 완전한 일체의 전자지도이미지로의 제작이 완성된다.
이렇게 수집된 각 이미지의 상호 연결을 위해서는 각 이미지들 간의 정확한 연결을 위한 기준정보가 필요하고, 그 기준을 정확히 설정하기 위해서는 GPS좌표에 따른 정확한 항공 영상이미지와 지상 영상이미지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즉, GPS좌표별로 항공이미지확보와 지상이미지확보를 정확히 수행해서 상기 GPS좌표별로 정확한 항공 영상이미지와 지상 영상이미지를 수집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이미지확보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이 요구되고, 상기 기준점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또한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8078호(2011.02.21.)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 합성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드론과 같은 무인기를 활용하여 지상기준점을 특정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항공이미지확보시 설정했던 기준점좌표와 일치되는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지상이미지를 확보하고 항공확보이미지와 지상확보이미지를 합성할 때 기준점좌표가 일치되기 때문에 보다 더 정확하고 정밀한 전자지도를 공간영상으로 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상이미지확보용 더미차량의 제동 능력을 강화시켜 현장 이동시 고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동체인 자동차에 접속되어 움직일 수 있는 더미차량(10)과, 상기 더미차량(10)의 구동 차량 접속용 링크암(11)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더미차량(10)에 고정되어 링크암(11) 접속시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완충유닛(80)과, 상기 더미차량(10)에 탑재되고 좌표정보와 함께 지상이미지를 수집하는 좌표정보수집기(20)와, 상기 더미차량(10)에 탑재되고 상기 좌표정보수집기(20)가 수집한 정보와 항공확보이미지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결합하여 전자지도를 도화하는 도화서버(30)와, 항공확보이미지 저장서버(A)로부터 입력받은 기준좌표값이 코딩된 항공확보이미지를 저장하는 항공이미지DB(40)와, 상기 항공이미지DB(40)에서 기준점 좌표값을 추출하여 전자지도를 도화하는 도화서버(30)로 출력하는 기준점좌표추출기(42)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유닛(80)은 원통형상의 유닛하우징(81)과, 상기 유닛하우징(81)의 양측면에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일정길이를 갖는 장방형의 가이드홀(82)과, 일단은 상기 유닛하우징(81)에 장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타단은 개방단으로 남겨진 탄성스프링(83)과, 상기 가이드홀(82)을 관통하여 유닛하우징(81)에 직경방향으로 걸려 고정된 로드(84)와, 상기 탄성스프링(83)의 길이 일부 지점들이 결속되고 단부는 상기 유닛하우징(81) 속에서 상기 로드(84)에 감겨 고정된 고무밴드(8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과 같은 무인기를 활용하여 지상기준점을 특정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항공이미지확보시 설정했던 기준점좌표와 일치되는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지상이미지를 확보하고 항공확보이미지와 지상확보이미지를 합성할 때 기준점좌표가 일치되기 때문에 보다 더 정확하고 정밀한 전자지도를 공간영상으로 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상이미지확보용 더미차량의 제동 능력을 강화시켜 현장 이동시 고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장점 또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인기의 제어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더미차량의 내부구조를 보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카메라의 설치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동모듈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체인 자동차에 접속되어 움직일 수 있는 더미차량(10)과, 상기 더미차량(10)의 구동 차량 접속용 링크암(11)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더미차량(10)에 고정되어 링크암(11) 접속시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완충유닛(80)과, 상기 더미차량(10)에 탑재되고 좌표정보와 함께 지상이미지를 수집하는 좌표정보수집기(20)와, 상기 더미차량(10)에 탑재되고 상기 좌표정보수집기(20)가 수집한 정보와 항공확보이미지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결합하여 전자지도를 도화하는 도화서버(30)와, 항공확보이미지 저장서버(A)로부터 입력받은 기준좌표값이 코딩된 항공확보이미지를 저장하는 항공이미지DB(40)와, 상기 항공이미지DB(40)에서 기준점 좌표값을 추출하여 전자지도를 도화하는 도화서버(30)로 출력하는 기준점좌표추출기(4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완충유닛(80)은 원통형상의 유닛하우징(81)과, 상기 유닛하우징(81)의 양측면에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일정길이를 갖는 장방형의 가이드홀(82)과, 일단은 상기 유닛하우징(81)에 장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타단은 개방단으로 남겨진 탄성스프링(83)과, 상기 가이드홀(82)을 관통하여 유닛하우징(81)에 직경방향으로 걸려 고정된 로드(84)와, 상기 탄성스프링(83)의 길이 일부 지점들이 결속되고 단부는 상기 유닛하우징(81) 속에서 상기 로드(84)에 감겨 고정된 고무밴드(85)를 포함한다.
그러면, 구동 차량에 더미차량(10)을 접속할 때 링크암(11)이 접촉되기 전에 먼저 탄성스프링(83)이 접촉된 상태에서 탄성압축되며, 그 과정에서 고무밴드(85)가 이중 신축되게 잡아주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더미차량(10)을 구동 차량에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완충유닛(80)의 완충기능 때문에 링크암(11)이 구동 차량에 과도하게 충돌하면서 링크암(11)이 파단되거나 휘어지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좌표정보수집기(20)는 승강 및 선회되면서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차량카메라(21)와, 이미지확보지역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수신기(22)와, 차량카메라(21)·GPS수신기(22)를 제어하여 위치정보 및 촬상 정보를 도화서버(30)로 입출력하고 자체 메모리를 갖는 제어기(23)와, 상기 제어기(23)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압을 공급하는 펌프(24)와, 상기 제어기(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5)와, 상기 제어기(23)의 제어신호에 따라 더미차량(10)으로부터 비행하여 지상이미지확보 대상지역의 기준점 좌표로 이동한 후 착륙한 상태에서 램프(63)를 점등하여 기준점 좌표를 확인시키는 무인기(6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도화서버(30)와 항공이미지DB(40)는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보의 입출력이 이루어지며, 상기 항공이미지DB(40)는 입출력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항공확보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항공확보이미지 저장서버(A)로부터 항공촬영시 기준점으로 사용했던 기준점 좌표가 코팅되어 있는 항공확보이미지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준점좌표추출기(42)는 상기 제어기(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항공이미지DB(40)에 저장되어 있는 항공확보이미지중에서 코팅되어 있는 기준점 좌표를 추출하여 상기 무인기(60)의 위치제어에 사용하여 지상이미지확보시 기준점 좌표가 항공이미지와 동일하게 유지시키도록 하고, 도화서버(30)는 지상이미지와 항공이미지를 결합하여 하나의 전자지도로 도화할 때 이 기준점 좌표를 서로 일치시켜 도화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화기술과 코딩된 좌표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은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주된 특징이므로 특징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더미차량(10)은 도 3의 예시와 같이, 일측면에 링크암(11)이 고정되어 자동차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더미차량(10)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자동차에 링크암(11)을 연결하여 촬영장소로 이동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더미차량(10)의 타측면에는 서버접속단(12)이 구비된다.
상기 서버접속단(12)은 단자 형태로서 항공확보이미지 저장서버(A)에 접속하여 저장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화서버(30)를 포함한 카메라(21), GPS수신기(22), 제어기(23), 펌프(24) 등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은 원격지의 경우 배터리(25)로 공급하지만, 주둔지 등에서는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전원공급 구조가 배터리와 상용전원으로 이중화되어 있어 사용상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GPS수신기(22)는 더미차량(10)에 설치되어 제어기(23)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이미지확보지역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GPS수신기(22)는 GPS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해 더미차량(10)의 현재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23)는 차량카메라(21)로부터 획득한 확보이미지정보 및 GPS수신기(22)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도화서버(3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도화서버(30)는 확보이미지정보 및 이미지확보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확보지역에 따른 획득된 지상이미지확보정보와 기존의 항공확보이미지정보를 비교 결합하여 최종적인 전자지도를 도화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더미차량(10)에는 공압탱크(40)가 실장되고, 상기 펌프(24)는 공압탱크(40)의 공기를 인출하여 공급위치로 공급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차량카메라(21)는 도 4의 예시와 같이, 펌프(24)의 구동에 따라 승강로드(21b)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기(21a)와, 상기 승강로드(21b)의 상단에 고정된 'ㅗ'형상의 고정구(21c)와, 상기 고정구(21c)에 베어링고정되고 외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된 회전체(21e)와, 상기 고정구(21c)에 고정된 회전모터(21d)와, 상기 회전모터(21d)의 모터축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체(21e)와 기어결합하는 구동기어(21f)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21e)의 상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어기(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기(21a)가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상기 차량카메라(2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21d)의 회전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량카메라(21)의 촬상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촬영하고자 하는 지역을 원활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카메라(21)의 출몰을 위해 상기 더미차량(10)의 천정면은 일정크기로 개방되고, 커버(미도시)에 의해 개폐될 수 있게 마감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커버를 제어기(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차량카메라(21)가 촬영을 시작하면, 제어기(23)는 차량카메라(21)로부터 확보이미지정보를 수신하고, GPS수신기(22)로부터 이미지확보지역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확보지역에 대한 확보이미지정보 및 위치정보(기준점 좌표)를 도화서버(3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도화서버(30)는 확보이미지정보 및 이미지확보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확보지역에 따른 획득된 지상이미지확보정보와 기존의 항공확보이미지정보를 비교 결합하여 최종적인 전자지도를 도화 또는 공간영상도화한다.
또한, 도 3의 예시와 같이, 상기 더미차량(10)의 내부 천정부에는 무인기를 수납할 수 있는 격납고(R)가 구비되고, 상기 격납고(R)에는 무인기(60)가 탑재된다.
이때, 무인기(60)는 제어기(23)의 제어신호에 따라 더미차량(10)으로부터 비행하여 이미지확보대상 지역의 지상기준점 좌표로 이동한 다음 착륙하고, 착륙 후에는 램프(63)를 점등하여 지상 촬영시 지상기준점이 명확하게 구분되고 확인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여기에서, 상기 무인기(60)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비행을 제어하는 무인컨트롤러(61)와, 상기 무인컨트롤러(6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기(23)과 무선통신하여 비행하여 착륙할 좌표정보를 수신하는 무인무선통신모듈(62)과, 위성통신을 통해 무인기(60)를 착륙할 좌표로 안내하는 무인GPS수신기(64)와, 착륙 좌표에 착륙되면 위치표시를 위해 점등되는 램프(63)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 상기 더미차량(10)의 하면에는 차륜(W)을 직접 고정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제동모듈(5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제동모듈(50)은 더미차량(10)이 구동 차량이 아니므로 차량과 같은 제동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추가되는 것으로, 도 5의 예시와 같이, 차륜(W)의 휠드럼(D)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체결되는 언록킹부재(51)와, 상기 언록킹부재(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록킹홈(52)과, 상기 언록킹부재(51)에 끼워지고 차체에 볼트 체결된 고정환(53)과, 상기 고정환(53)에 직경방향으로 고정된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록킹홈(52)에 선택적으로 삽탈되면서 상기 언록킹부재(51)를 록킹하는 록킹부재(54)와, 펌프(24)가 공급한 공기를 분배하도록 상기 고정환(53) 상에 체결되고 호스를 통해 펌프(24)와 연결된 공압분배기(55)와, 상기 공압분배기(55)와 한 쌍의 록킹부재(54)를 연결하여 록킹부재(54)가 공압으로 동작되도록 배관된 공압분배호스(5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휠드럼(D)은 차륜(W)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로서 이에 고정된 언록킹부재(51)와 함께 회전되며, 차체에 고정된 상기 고정환(53)은 고정체로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언록킹부재(51)와 고정환(53)은 양자 모두 환 형, 즉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홈(52)은 록킹부재(54)의 삽탈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양측이 테이퍼지게 가공된다.
특히, 상기 언록킹부재(51)는 가공성과 조립성을 좋게 하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크리스토발라이트 1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5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5중량부, 디아릴프탈레이트 5중량부, 티타늄옥사이드 5중량부를 첨가 혼합한 조성물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크리스토발라이트(cristobalite)는 분말 형태로 첨가되며, 석영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디스크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크리스토발라이트 분말의 공극 사이로 베이스수지가 침투하여 이들을 바인딩시킴으로써 내열성 증대와 동시에 탄성유지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은 일종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유화성과 분산성을 증대시켜 교반성과 혼화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는 디스크의 표면이 산화에 의한 산패를 막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디아릴프탈레이트(diarylphthalae)는 성분간 접착성과 인성을 개선하여 크랙발생 억제를 포함한 내열성, 치수안정성, 내약품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티타늄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 13463-67-7에 해당하는 물질로서, 자외선을 차단하고, 디스크의 표면 산성화를 방지하여 내구성 저하, 수명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록킹부재(54)는 록킹실린더(54a)와, 상기 록킹실린더(54a)에 내장된 록킹피스톤(54b)과, 상기 록킹피스톤(54b)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록킹실린더(54a)에서 출몰되는 록킹로드(54c)와, 상기 록킹로드(54c)의 삽입단부쪽 내벽면에 고정된 제1원형자석(54d)과, 상기 록킹로드(54c)에 감긴 제1스프링(54e)과, 상기 제1원형자석(54d)을 마주보는 록킹피스톤(54b) 면에 고정되되 상기 제1원형자석(54d)과 척력이 발생하도록 동일 극이 배치 고정된 제2원형자석(54f)과, 상기 록킹피스톤(54b)과 상기 록킹실린더(54a)의 내부 상단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스프링(54g)을 포함하되, 상기 제1스프링(54e)의 탄성계수가 상기 제2스프링(54g) 보다 크게 구성되어 공압이 공급되지 않을 때는 록킹피스톤(54b)이 최대한 상방향으로 상승한 상태를 유지한 것이 홈포지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압분배호스(56)는 상기 록킹피스톤(54b)의 상측 공간, 즉 제2스프링(54g)이 설치된 공간 상으로 연통되게 연결배관된다.
또한, 공압은 펌프(24) 가동시 발생하고, 펌프(24) 가동이 중단되면 제1스프링(54e)과 자석간의 척력에 의한 밀림으로 자연스럽게 공기가 빠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공압이 가해지면, 공압은 상기 코일스프링(55)의 탄발력과 자석의 척력을 이기고 록킹피스톤(54b)을 밀어 록킹로드(54c)가 록킹하우징(54a)으로부터 돌출되게 동작시킨다.
그러면, 돌출되던 록킹로드(54c)는 록킹홈(52) 속으로 들어가면서 록킹되게 된다.
만약, 록킹로드(54c)와 록킹홈(52)이 일치되지 않으면 더미차량(10)을 조금 움직이면 자동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차륜(W)은 안정적으로 제동되며, 해제시에는 펌프(24)의 가동을 중지시키면 공압이 풀리면서 자동적으로 제동이 해제된다.
여기에서, 록킹하우징(54a)과 록킹실린더(54b) 및 록킹로드(54c)는 높은 내열성과 내경화성을 갖도록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탄산나트륨과 이산화규소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5중량부, 히드록시프롤린 10중량부, 탄산바륨 8.5중량부, 비스페놀 A-에피클로로히드린-메타크릴 산 폴리머 5.5중량부, 과산화벤조일(BPO:Benzoyl Peroxide) 5.5중량부, 사이클로메티콘 3.5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조성물로 성형된다.
이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고강도, 내식성, 내크랙성 및 내화성과 내열성, 내구성이 뛰어난 베이스 수지이다.
그리고, 탄산나트륨과 이산화규소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은 탄산나트륨이 이산화규소와 반응하여 규산나트륨을 형성함으로써 내열성과 내화성을 강화시킨다.
즉, Na2CO3 + SiO2 → Na2SiO3 + CO2
이 경우, 이산화규소는 규소의 산화물로 규산(실리카)라고도 하며, 녹는점과 끓는점이 매우 높은 모래와 유리의 주성분이다. 때문에, 자체만으로서 내열성이 매우 뛰어나다.
아울러, 히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은 코팅층의 표면 크랙발생을 억제하고, 갈라짐 방지, 내부식화를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탄산바륨은 응집을 촉진하여 경화성을 좋게 하고, 마찰저항성을 증대시켜 제동력을 높이게 된다.
또한, 비스페놀 A-에피클로로히드린-메타크릴 산 폴리머(bisphenol A-epichlorohydrin-methacrylic acid polymer)는 CAS 번호 36425-15-7에 해당하는 물질로서, 내침식성, 내부식성과 오염방지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과산화벤조일(BPO:Benzoyl Peroxide)은 코팅층의 강성 향상을 위해 더 첨가되며;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은 산화를 억제하여 표면을 보호하고,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은 드론과 같은 무인기를 활용하여 지상기준점을 특정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항공이미지확보시 설정했던 기준점좌표와 일치되는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지상이미지를 확보하고 항공확보이미지와 지상확보이미지를 합성할 때 기준점좌표가 일치되기 때문에 보다 더 정확하고 정밀한 전자지도를 공간영상으로 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상이미지확보용 더미차량의 제동 능력을 강화시켜 현장 이동시 고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10: 더미차량 20: 좌표정보수집기
30: 도화서버 40: 항공이미지DB
50: 제동모듈 60: 무인기

Claims (2)

  1. 구동체인 자동차에 접속되어 움직일 수 있는 더미차량(10)과, 상기 더미차량(10)의 구동 차량 접속용 링크암(11)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더미차량(10)에 고정되어 링크암(11) 접속시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완충유닛(80)과, 상기 더미차량(10)에 탑재되고 좌표정보와 함께 지상이미지를 수집하는 좌표정보수집기(20)와, 상기 더미차량(10)에 탑재되고 상기 좌표정보수집기(20)가 수집한 정보와 항공확보이미지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결합하여 전자지도를 도화하는 도화서버(30)와, 항공확보이미지 저장서버(A)로부터 입력받은 기준좌표값이 코딩된 항공확보이미지를 저장하는 항공이미지DB(40)와, 상기 항공이미지DB(40)에서 기준점 좌표값을 추출하여 전자지도를 도화하는 도화서버(30)로 출력하는 기준점좌표추출기(42)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유닛(80)은 원통형상의 유닛하우징(81)과, 상기 유닛하우징(81)의 양측면에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일정길이를 갖는 장방형의 가이드홀(82)과, 일단은 상기 유닛하우징(81)에 장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타단은 개방단으로 남겨진 탄성스프링(83)과, 상기 가이드홀(82)을 관통하여 유닛하우징(81)에 직경방향으로 걸려 고정된 로드(84)와, 상기 탄성스프링(83)의 길이 일부 지점들이 결속되고 단부는 상기 유닛하우징(81) 속에서 상기 로드(84)에 감겨 고정된 고무밴드(8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정보수집기(20)는 승강 및 선회되면서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차량카메라(21)와, 이미지확보지역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수신기(22)와, 차량카메라(21)·GPS수신기(22)를 제어하여 위치정보 및 촬상 정보를 도화서버(30)로 입출력하고 자체 메모리를 갖는 제어기(23)와, 상기 제어기(23)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압을 공급하는 펌프(24)와, 상기 제어기(23)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5)와, 상기 제어기(23)의 제어신호에 따라 더미차량(10)으로부터 비행하여 지상이미지확보 대상지역의 기준점 좌표로 이동한 후 착륙한 상태에서 램프(63)를 점등하여 기준점 좌표를 확인시키는 무인기(60)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카메라(21)는 펌프(24)의 구동에 따라 승강로드(21b)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기(21a)와, 상기 승강로드(21b)의 상단에 고정된 'ㅗ'형상의 고정구(21c)와, 상기 고정구(21c)에 베어링고정되고 외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된 회전체(21e)와, 상기 고정구(21c)에 고정된 회전모터(21d)와, 상기 회전모터(21d)의 모터축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체(21e)와 기어결합하는 구동기어(21f)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21e)의 상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230047019A 2023-04-10 2023-04-10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56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019A KR102561476B1 (ko) 2023-04-10 2023-04-10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019A KR102561476B1 (ko) 2023-04-10 2023-04-10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476B1 true KR102561476B1 (ko) 2023-07-31

Family

ID=8745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019A KR102561476B1 (ko) 2023-04-10 2023-04-10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4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347B1 (ko) * 2023-07-31 2024-03-04 셀파이엔씨 주식회사 지반탐사 속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형 지피알(gpr) 탐사기의 전동시스템
KR102686230B1 (ko) * 2023-07-31 2024-07-22 셀파이엔씨 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따른 지피알(gpr) 탐사 전자기파 송수신기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장비를 갖춘 탐사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78B1 (ko) 2010-10-01 2011-03-0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 합성시스템
KR101116289B1 (ko) * 2011-11-17 2012-03-14 주식회사 공간정보 지중시설물에 적용된 기준점을 따라 3차원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944724B1 (ko) * 2018-11-29 2019-02-01 네이버시스템(주) 항공촬영이미지를 이용한 고정밀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186001B1 (ko) * 2019-10-24 2020-12-04 김은경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2400256B1 (ko) * 2021-10-14 2022-05-23 (주)엔토포스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78B1 (ko) 2010-10-01 2011-03-0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 합성시스템
KR101116289B1 (ko) * 2011-11-17 2012-03-14 주식회사 공간정보 지중시설물에 적용된 기준점을 따라 3차원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944724B1 (ko) * 2018-11-29 2019-02-01 네이버시스템(주) 항공촬영이미지를 이용한 고정밀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186001B1 (ko) * 2019-10-24 2020-12-04 김은경 지리정보의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2400256B1 (ko) * 2021-10-14 2022-05-23 (주)엔토포스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347B1 (ko) * 2023-07-31 2024-03-04 셀파이엔씨 주식회사 지반탐사 속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형 지피알(gpr) 탐사기의 전동시스템
KR102686230B1 (ko) * 2023-07-31 2024-07-22 셀파이엔씨 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따른 지피알(gpr) 탐사 전자기파 송수신기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장비를 갖춘 탐사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1476B1 (ko)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공간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597429B1 (ko) 움직이는 지형지물을 관측 촬영한 영상신호 처리시스템
KR102246548B1 (ko) 신속하게 지형지물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US20200218286A1 (en) Operation system for working machine
KR102400256B1 (ko)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
JP6618623B2 (ja) 画像管理システムおよび無人飛行体
CN107479554B (zh) 机器人系统及其户外建图导航方法
KR101835516B1 (ko) 지형지물에 의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EP3659916B1 (en) Rotary wing aircraft
KR101650525B1 (ko) 지아이에스 기반 신규데이터에 따른 영상 업데이트 도화시스템
KR102246549B1 (ko)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68325B1 (ko) 정밀한 항공촬영이미지를 이용한 영상도화 편집시스템
JP6505927B1 (ja) 無人小型飛行体を用いた点検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無人小型飛行体
CN101811578A (zh) 电力巡检无人直升机专用光电吊舱
WO2010116362A1 (en) System, floating unit and method for elevating payloads
CN108432222A (zh) 支持包围式成像的系统、方法和移动平台
KR102103357B1 (ko) 수치지도에 링크된 수치좌표를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수치정보갱신시스템
KR102590778B1 (ko) 기준점에 따른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848324B1 (ko) 지형지물의 위치변화를 감시하여 수치지도에 적용하는 시스템
JP2021047558A (ja) 巡視点検システム
KR102597428B1 (ko) 지피에스(gps)와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590779B1 (ko) 초정밀 전자지도 제작을 위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568099B1 (ko) 지아이에스 기반으로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JP2020015488A (ja) 無人小型飛行体を用いた点検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無人小型飛行体
KR102279760B1 (ko) Uav 촬영을 통한 지상기준점 기반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