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394B1 - 어업용 부구 - Google Patents

어업용 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394B1
KR102185394B1 KR1020190021312A KR20190021312A KR102185394B1 KR 102185394 B1 KR102185394 B1 KR 102185394B1 KR 1020190021312 A KR1020190021312 A KR 1020190021312A KR 20190021312 A KR20190021312 A KR 20190021312A KR 102185394 B1 KR102185394 B1 KR 102185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ispherical
reinforcing
outer rim
reinforcing fram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820A (ko
Inventor
현해성
Original Assignee
(주)오케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케이바이오 filed Critical (주)오케이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02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39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빈공간을 가지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내주면에는 개방 단부의 모서리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복수개의 보강 리브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방 단부가 맞닿아 상호 접합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의 개방 단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이를 보강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어업용 부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어업용 부구 {Marine floats}
본 발명은 어업용 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압이나 기타 외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하여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어업용 부구에 관한 것이다.
어업용 부구는 수산물 양식을 위해 또는 수중의 어구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해상에 부유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래에 스티로폼이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스티로폼 재질의 부구는 저렴한 비용에도 불구하고 내구성이 약해 해류나 조류에 쓸려 표면이 침식 및 부식될 뿐만 아니라, 떨어져 나온 스티로폼 잔여물이 해상을 오염시키는 이차 피해를 유발한다.
한편,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부구는 반구형으로 제작된 한 쌍의 구성품을 서로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착하고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해상에서 부력을 얻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부구의 한 예로서, 특허 등록 제10-1861759호는 개방된 반구형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상호 맞붙이고 영융착 또는 접착제로 접합시킨 어업용 부구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부구는 수면 아래로 잠겨 수압이 가해지는 환경에서는 적절한 내구성을 보장하지 못한다.
구체적으로, 어업용 부구는 해상에 부유하도록 설치되지만, 해류 또는 조류가 지속적으로 작용하거나, 태풍 등의 기상 변화로 인해 수면 아래로 잠기는 경우가 허다하다. 상기 부구에 매달려 지지되는 양식장 시설이나 어구가 상당한 하중을 가지는 경우에는 부구의 수중 잠김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부구는 수중에서 작용하는 수압의 영향으로 쉽게 파손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파손은 부구의 취약 부위인 접합부, 즉 위에서 개시된 발명의 경우에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접합 부위에서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발명의 부구는 내부에 보강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내구력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상기 보강모듈은 부구 전체에 미치는 외력에 저항력을 제공할 뿐이고, 상기 접합부와 같은 취약 부위에서의 파손이나 균열이 발생하는 것은 억제하지 못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1759호 : 어업용 부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제1 반구형 몸체와 제2 반구형 몸체 사이의 접합부를 보강 프레임을 이용하여 지지 및 접합함으로써 외력이나 수압에 의해서 상기 반구형 몸체들 사이의 접합부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업용 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구형 몸체에 작용하는 외력이 보강 프레임 상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반구형 몸체들 사이의 접합부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어업용 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부구는, 내부에 빈공간을 가지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내주면에는 개방 단부의 모서리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복수개의 보강 리브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방 단부가 맞닿아 상호 접합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의 개방 단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이를 보강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의 개방 단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이를 지지하는 외측 림부; 상기 외측 림부를 지지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스포크부; 및 상기 스포크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내측 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프레임의 외측 림부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체결홈이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 리브의 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프레임의 외측 림부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의 개방 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보조홈에 삽입 체결되는 보조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프레임의 외측 림부 표면에는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계 돌기부가 상기 외측 림부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의 개방 단부는 상기 경계 돌기부의 측면과 각각 맞닿아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프레임의 외측 림부의 표면에는, 상기 제1 반구형 몸체의 보강 리브의 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제1 체결홈과, 상기 제2 반구형 몸체의 보강 리브의 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제2 체결홈이 독립적으로 교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빈공간을 가지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내주면에는 개방 단부의 모서리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복수개의 보강 리브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방 단부가 맞닿아 상호 접합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 및 상기 보강 리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홈이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동시에 그 외측면이 상기 개방 단부와 동일 평면 상에 놓이거나 또는 그 보다 상기 반구형 몸체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어업용 부구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부구는, 제1 반구형 몸체와 제2 반구형 몸체 사이의 접합부를 보강 프레임을 이용하여 지지 및 접합함으로써 외력이나 수압에 의해서 상기 반구형 몸체들 사이의 접합부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업용 부구에 따르면, 반구형 몸체에 작용하는 외력이 보강 프레임 상에 골고루 분산되므로 상기 반구형 몸체들 사이의 접합부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상된 효과와 이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결합 상태의 어업용 부구에 있어서 접합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른, 결합 상태의 어업용 부구에 있어서 접합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선에 따른, 결합 상태의 어업용 부구에 있어서 접합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D-D'선에 따른, 결합 상태의 어업용 부구에 있어서 접합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어업용 부구의 보강 프레임이 반구형 몸체에 결합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어업용 부구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는 내부에 빈공간을 가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와,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접합부를 보강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폴리우레탄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반구형"이라 함은, 내부에 빈공간을 가진 기하학적 반구체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그러한 반구체의 형상이 소정 부분 변형된 것으로서 한 쌍의 반구체가 상호 결합하여 그 내부에 빈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개방된 측의 단부(110, 111)(이하 "개방 단부(110, 111)"라 함)는 그 모서리 방향(D1)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원형, 타원형, 또는 이에 준하는 모양을 이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방 단부(110, 111)의 모서리 방향(D1)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D2)으로 복수개의 보강 리브(130, 131)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 리브(130, 131)는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으로서, 그 돌출 높이와 굵기 및 보강 리브(130, 131) 사이의 간격 등은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에 작용하는 외력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의 부분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 리브(130, 131)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보강 프레임(200)의 체결홈(210)에 삽입되는 리브 체결부(130a, 131a)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리브 체결부(130a, 131a)는 상기 보강 리브(130, 131)의 단부 일부의 높이를 보강 리브(130, 131)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브 체결부(130a, 131a)와 보강 리브(130, 131) 사이에는 높이차로 인한 걸림턱(132, 134)이 형성되는데, 이 걸림턱(132, 13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200)의 결합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보강 리브(130, 131)의 단부에는 별도의 리브 체결부(130a, 131a)가 형성되지 않은 채, 상기 보강 리브(130, 131)의 단부가 상기 보강 프레임(200)의 체결홈(210)에 직접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외주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에 양식용 설비나 어구 등을 매달기 위한 로프 체결구(140, 14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프 체결구(140, 141)는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체결된 로프 등이 외부 물체와 접촉되는 정도를 줄여 그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200)은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개방 단부(110, 111)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개방 단부(110, 11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외측 림부(220)와, 상기 외측 림부(220)를 지지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스포크부(230) 및 상기 스포크부(23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내측 림부(2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포크부(230)와 내측 림부(240)는 상기 외측 림부(220)가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개방 단부(110, 111)를 지지하여 외력이나 수압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 개수 및 배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 림부(220)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스포크부(230)는 상기 체결홈(210)이 형성된 부위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보강 리브(130, 131)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홈(21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200) 역시 전술한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와 마찬가지로 폴리우레탄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프레임(200)의 외측 림부(220)의 표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체결홈(210)이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210)들은 전술한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보강 리브(130, 131)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가 상호 접할될 때 상기 보강 리브(130, 131)의 단부에 형성된 리브 체결부(130a, 131a)가 상기 체결홈(210)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는 상기 보강 프레임(200)을 사이에 두고 그 개방 단부(110, 111)가 서로 맞닿은 채로 접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내주면에 형성된 보강 리브(130, 131)의 단부는 상기 보강 프레임(200)의 외측 림부(220)에 형성된 체결홈(21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데, 상세하게는, 상기 보강 리브(130, 131)의 단부에 형성된 리브 체결부(130a, 131a)가 상기 체결홈(210)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보강 리브(130, 131)와 리브 체결부(130a, 131a) 사이의 걸림턱(132, 134)이 상기 외측 림부(220)의 측면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리브 체결부(130a, 131a)가 체결홈(210)에 삽입되는 길이가 제한됨과 동시에, 상기 외측 림부(220)는 양측에 맞닿은 걸림턱(132, 134)으로 인해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개방 단부(110, 111)는 서로 맞닿은 채로 접착제 또는 열융착 등의 이미 알려진 방법으로 상호 접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개방 단부(110, 111)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수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개방 단부(110, 111)의 내주면 전체가 상기 보강 프레임(200)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개방 단부(110, 111)가 보강 프레임(200)의 외측 림부(220)에 의해 수직 방향(D3)(즉, 수압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보강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보강 리브(130, 131)가 체결홈(21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당해 부분의 변형에 의해 측방향(모서리 방향 D1)으로의 움직임 또는 변형도 함께 억제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는 외력 또는 수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반구형 몸체의 접합부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프레임(200)의 외측 림부(220)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홈(250, 25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홈(250, 251)은 상기 체결홈(21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반구형 몸체(100)에 상응하는 제1 보조홈(250)과 상기 제2 반구형 몸체(101)에 상응하는 제2 보조홈(251)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반구형 몸체(100)의 개방 단부(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보조홈(250)에 대응하는 보조 돌기(15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반구형 몸체(101)의 개방 단부(111)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보조홈(251)에 대응하는 보조 돌기(도 4의 15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돌기(150, 151)가 보조홈(250, 251)에 결합될 경우, 개방 단부(110, 111)가 상기 모서리 방향(D1)의 직각 방향(즉, D2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반구형 몸체의 접합부 보강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보조홈(250, 251)과 보조 돌기(150, 151)가 상기 외측 림부(220)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될 경우 이러한 보강 효과는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선에 따른, 결합 상태의 어업용 부구에 있어서 접합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에 있어서, 보강 프레임(200')의 외측 림부(220)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계 돌기부(260)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이 경계 돌기부(260)는 상기 외측 림부(22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에, 외측 림부(22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조홈(250, 251)은 상기 경계 돌기부(26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가 상호 결합될 때,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개방 단부(110, 111)는 상기 경계 돌기부(260)의 측면과 각각 접촉하여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계 돌기부(260)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가 접합될 때 외부 표면이 연속성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두께에 상응하는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개방 단부(110, 111)가 전술한 걸림턱(132, 134)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130, 131)의 단부에는 별도의 걸림턱(132, 134)이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보강 리브(130, 131)의 단부가 상기 체결홈(210)에 바로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개방 단부(110, 111)가 상기 보강 프레임(200)의 외측 림부(220)와 상기 경계 돌기부(260)에 동시에 접합되므로 결합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D-D'선에 따른, 결합 상태의 어업용 부구에 있어서 접합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에 있어서, 보강 프레임(200")의 외측 림부(220) 표면에는 제1 반구형 몸체(100)의 보강 리브(130)의 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제1 체결홈(310)과, 상기 제2 반구형 몸체(101)의 보강 리브(131)의 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제2 체결홈(311)이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들 제1 및 제2 체결홈(310, 311)은 서로 교번하도록 배열된다.
즉, 상기 외측 림부(220)의 일측 모서리에 제1 체결홈(310)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홈(31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외측 림부(220)의 타측 모서리에 상기 제2 체결홈(3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홈(310)과 제2 체결홈(311)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반구형 몸체(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보강 돌기(130)와 제2 반구형 몸체(101)의 내주면에 형성된 보강 돌기(131)도 서로 교번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이러한 구성은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에 있어서 보강 리브(130, 131) 사이의 취약 부위를 보완하기 위함인데,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에 외부로부터 강한 수압이나 외력이 작용할 경우, 그 힘은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보강 리브(130, 131)를 통해 상기 보강 프레임(200)으로 전달된다. 그런데,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보강 리브(130, 131)들이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내주면에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경우 이들이 받는 외력은 상기 체결홈(210)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체결홈(310)과 제2 체결홈(311)을 서로 교번되도록 형성하고, 이에 결합되는 보강 리브(130, 131) 또한 상호 교번되도록 형성한 경우에는 (즉, 일직선 상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 리브(130, 131)에 전달되는 외력이 보강 프레임(200)의 외측 림부(220) 상에서 적절히 분산될 수 있으므로 높은 수압이나 외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제1 체결홈(310)과 제2 체결홈(311) 사이에는 각각 제1 보조홈(350)과 제2 보조홈(351)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반구형 몸체(100, 101)의 개방 단부(110, 1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보조 돌기(150, 151)가 삽입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반구형 몸체(100)와 제2 반구형 몸체(101)에 상응하는 제1 및 제2 보조홈(350, 351)들도 상호 교변되도록 위치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외력에 의한 하중 분산을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에 있어서, 외측 림부(220) 표면에 상호 교번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체결홈(310, 311)과 제1 및 제2 보조홈(350, 351) 사이에는 경계 돌기부(460)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계 돌기부(460)는 상기 외측 림부(22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에, 외측 림부(220)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계 돌기부(460)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가 접합될 때 외부 표면이 연속성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두께에 상응하는 정도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가 상호 결합될 때, 그 개방 단부(110, 111)는 상기 경계 돌기부(460)의 측면과 각각 접촉하여 접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개방 단부(110, 111)가 전술한 걸림턱(132, 134)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130, 131)의 단부에는 별도의 걸림턱(132, 134)이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보강 리브(130, 131)의 단부가 상기 체결홈(310, 311)에 바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개방 단부(110, 111)가 상기 보강 프레임(200)의 외측 림부(220)와 상기 경계 돌기부(460)에 동시에 접합되므로 접합부의 결합 강도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구는 내부에 빈공간을 가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와,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 중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110, 111)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프레임(20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방 단부(110, 111)의 모서리 방향(D1)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D2)으로 복수개의 보강 리브(530)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 리브(530)의 단부에는 상기 보강 프레임(200-1)의 체결홈(210)에 삽입되는 리브 체결부(530a)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리브 체결부(530a)는 상기 보강 리브(530)의 단부 일부의 높이를 보강 리브(53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브 체결부(530a)와 보강 리브(530) 사이에는 높이차로 인한 걸림턱(도 3의 132, 134 참조)이 형성되는데, 이 걸림턱(132, 134)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보강 프레임(200-1)의 결합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브 체결부(530a)의 길이는 상기 보강 프레임(200-1)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크도록 설정되고,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 프레임(200-1)이 상기 제1 반구형 몸체(100)의 내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개방 단부(110)와 상기 보강 프레임(200-1)의 외측면(270)은 동일 평면 상에 놓이도록 정렬되거나 또는 반구형 몸체(100)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200-1)은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 중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110, 111)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개방 단부(110, 11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외측 림부(220)와, 상기 외측 림부(220)를 지지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스포크부(230) 및 상기 스포크부(23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내측 림부(2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200-1)의 외측 림부(220)의 표면에는, 상기 보강 리브(530)의 단부에 형성된 리브 체결부(530a)가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체결홈(210)이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보강 프레임(200-1)의 외측 림부(220)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홈(550)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반구형 몸체(100) 및/또는 제2 반구형 몸체(101)의 개방 단부(110 및/또는 111)의 내주면에는 상기 보조홈(550)에 대응하는 보조 돌기(15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프레임(200-1)은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 중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110, 111)측 내주면에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성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라, 보강 프레임(200-1)이 제1 반구형 몸체(100)의 개방 단부(110)측 내주면에 접하도록 삽입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와 같은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1 반구형 몸체(100)의 개방 단부(110)와 상기 보강 프레임(200-1)의 외측면(270) (즉, 도 11에서는 좌측면)은 동일 평면 상에 놓이도록 정렬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결합상태에서, 보강 프레임(200-1)의 외측면(270)은 상기 제1 반구형 몸체(100)의 개방 단부(110) 보다 소정거리 만큼 반구형 몸체의 안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놓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보강 프레임(200-1)의 결합 위치는 리브 체결부(530a)의 길이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걸림턱(132, 134)에 의해 결정 및 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개방 단부(110, 111)가 서로 맞닿은 채로 접착제 또는 열융착 등의 이미 알려진 방법으로 상호 접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프레임(200-1)이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를 상호 결합할 때,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3은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 모두에 각각 보강 프레임(200-1)(200-2)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보강 프레임(200-1)(200-2)의 구성과 결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각각의 보강 프레임(200-1)(200-2)의 측면은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개방 단부(110, 111)와 동일 평면상에 놓이거나 또는 그보다 안쪽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100, 101)의 개방 단부(110, 111)를 상호 접합할 때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은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와 균등예가 있을 수 있다.
100: 제1 반구형 몸체 101: 제2 반구형 몸체
110, 111: 개방 단부 130, 131, 530: 보강 리브
130a, 131a, 530a: 리브 체결부 132, 134: 걸림턱
150, 151: 보조 돌기 200,200',200”: 보강 프레임
210: 체결홈 220: 외측 림부
230: 스포크부 240: 내측 림부
250, 350: 제1 보조홈 251, 351: 제2 보조홈
260, 460: 경계 돌기부 310: 제1 체결홈
311: 제2 체결홈 200-1, 200-2: 보강 프레임

Claims (10)

  1. 내부에 빈공간을 가지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내주면에는 개방 단부의 모서리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복수개의 보강 리브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방 단부가 맞닿아 상호 접합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의 개방 단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이를 보강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의 개방 단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이를 지지하는 외측 림부; 상기 외측 림부를 지지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스포크부; 및 상기 스포크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내측 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강 리브의 단부에는 상기 보강 프레임의 체결홈에 삽입되는 리브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 체결부와 상기 보강 리브 사이에는 높이차로 인한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외측 림부의 측면과 맞닿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의 외측 림부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의 개방 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보조홈에 삽입 체결되는 보조 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부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의 외측 림부 표면에는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계 돌기부가 상기 외측 림부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의 개방 단부는 상기 경계 돌기부의 측면과 각각 맞닿아 접합되며,
    상기 보조홈은
    상기 경계 돌기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반구형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보조 돌기와 체결되는 제1 보조홈; 및
    상기 경계 돌기부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반구형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보조 돌기와 체결되는 제2 보조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부구.
  7. 삭제
  8. 내부에 빈공간을 가지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내주면에는 개방 단부의 모서리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복수개의 보강 리브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방 단부가 맞닿아 상호 접합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의 개방 단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이를 보강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의 개방 단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이를 지지하는 외측 림부; 상기 외측 림부를 지지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스포크부; 및 상기 스포크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내측 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의 외측 림부의 표면에는, 상기 제1 반구형 몸체의 보강 리브의 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제1 체결홈과, 상기 제2 반구형 몸체의 보강 리브의 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제2 체결홈이 독립적으로 교번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보조홈과, 상기 제2 체결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보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반구형 몸체와 제2 반구형 몸체의 개방 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보조홈에 삽입 체결되는 보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의 외측 림부 표면에는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계 돌기부가 상기 외측 림부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의 개방 단부는 상기 경계 돌기부의 측면과 각각 맞닿아 접합되며, 상기 경계 돌기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반구형 몸체가 접합될 때 외부 표면이 연속성을 가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반구형 몸체의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부구.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21312A 2019-02-22 2019-02-22 어업용 부구 KR102185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312A KR102185394B1 (ko) 2019-02-22 2019-02-22 어업용 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312A KR102185394B1 (ko) 2019-02-22 2019-02-22 어업용 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20A KR20200102820A (ko) 2020-09-01
KR102185394B1 true KR102185394B1 (ko) 2020-12-01

Family

ID=7245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312A KR102185394B1 (ko) 2019-02-22 2019-02-22 어업용 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39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016U (ko) * 2015-09-09 2017-03-17 황인균 내압성 향상을 위한 보강 구조를 갖는 부표
KR101861759B1 (ko) * 2016-04-05 2018-05-28 주식회사 진명 어업용 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20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32704A1 (en) Prefabricated pontoon
KR101252422B1 (ko) 조립식 폰툰
KR101392586B1 (ko) 부유식 프레임 구조체의 지지를 위한 고내구성 부력체
KR101433504B1 (ko)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
KR101734527B1 (ko)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KR102185394B1 (ko) 어업용 부구
KR102055413B1 (ko) 보조 부력체 유닛의 설치를 통해 부분적인 부력보강이 가능한 수상 부유 구조물
KR101666558B1 (ko) 마감재 설치구조가 구비된 부구 조립체
KR101813572B1 (ko) 플로트의 볼트체결구조
KR200435478Y1 (ko) 플로트 조립체의 상부 구조물
KR101669363B1 (ko) 조립식 선박
KR101933975B1 (ko) 해양 구조물 및 블록 조립 방법
KR200435477Y1 (ko)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KR101933643B1 (ko) 빌지 킬 고정 구조물
FR2894931A1 (fr) Engin flottant comportant une coque anti-choc.
KR101240871B1 (ko) 조립식 부잔교
KR20170029142A (ko) 조립식 부력체
KR101919870B1 (ko) 커넥터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 해상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471121B1 (ko) 수상용 부유 조립체의 부유블록
KR101707635B1 (ko) 계류장 및 가두리용 마감재 설치구조가 구비된 부구조립체
CN218949323U (zh) 一种汽车的新型前轮罩总成
KR101498709B1 (ko) 발포 부자용 밴드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해상 부유구조물제작방법
KR102617305B1 (ko) 수중 케이블보호용 콘크리트 매트리스 및 그 시공법
KR102462301B1 (ko)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CN210139950U (zh) 一种加强型中间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