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285B1 -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285B1
KR102184285B1 KR1020180167253A KR20180167253A KR102184285B1 KR 102184285 B1 KR102184285 B1 KR 102184285B1 KR 1020180167253 A KR1020180167253 A KR 1020180167253A KR 20180167253 A KR20180167253 A KR 20180167253A KR 102184285 B1 KR102184285 B1 KR 102184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uggage board
jig
housing
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898A (ko
Inventor
윤재호
오은택
유환조
유희갑
Original Assignee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유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유희갑 filed Critical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7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2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54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laminate, e.g. by adjusting the nip or platen g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기지보드지그유닛과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부직포지그유닛, 부직포지그이송유닛, 히터유닛, 히터이송유닛에 의해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자동으로 감쌀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러기지 보드의 신뢰성과 품질을 향상하고,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감소하여 러기지 보드의 판매량을 증대시키며, 사용자의 편의성과 작업자의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Apparauts for manufacturing luggage board}
본 발명은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과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부직포지그유닛, 부직포지그이송유닛, 히터유닛, 히터이송유닛에 의해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자동으로 감쌀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하고,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감소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료는 도어 트럼, 필러, 트렁크 매트, 러기지 보드, 패키지 트럼, 헤드라이너 등이 있으며, 이러한 내장재료는 차종에 따라 경질의 기재만으로 사출 성형된 것을 사용하거나 경질의 기재 표면에 연질의 표피재를 접합한 것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트렁크 룸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수납공간이 마련되며, 이러한 수납 공간에는 타이어의 펑크시 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보조 타이어 또는 키트가 수납되기 위한 보조 공간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luggage board)는 상기와 같은 보조 공간에 안착되어 트렁크 룸의 수납공간과 보조 공간이 구분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러기지 보드는 차량 트렁크에 무거운 짐을 적재할 수 있도록 고강성을 가진 부품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샌드위치 판넬(sandwich panel)은 서로 다른 재질의 판넬을 서로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샌드위치 판넬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각각의 판넬은 재료 및 형태 등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샌드위치 판넬은 경량화와 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종래 러기지 보드는 블로우 성형 후 강성을 위해 스틸을 중간에 삽입하거나 허니컴 양쪽면에 보강섬유 매트를 적층하고 최종면에 부직포를 접한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도 경량화 및 강성의 요구에 의해 허니컴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판넬을 적용하고 있다.
스틸 인서트 재료나 허니컴구조의 샌드위치 판넬 모두 러기지 보드로 사용하기 위해 연질의 표피재로 부직포와 같이 표면에 기모가 있게 직조된 원단을 기재로표면을 접합한다.
종래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러기지 보드 자체를 제조하고, 부직포를 접합하기 위해 별도의 장비 없이 수작업으로 부직포를 감싸거나, 프레스 성형기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부직포와 러기지 보드를 안착한 상태에서 다시 프레스 성형기를 구동시켜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고, 작업능률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수작업으로 진행하거나 단순한 프레스 성형기로 러기지 보드 감싸기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러기지 보드의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이 증가하고 러기지 보드의 판매단가를 증가시켜 매출을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거나 단순한 프레스 성형기로 여러 공정을 통해 러기지 보드를 제조함에 따라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작업자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수작업 또는 프레스 성형기로 러기지 보드 감싸기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가 들뜨거나 균일하게 붙지 않아 불량품 발생이 증가하고, 러기지 보드의 신뢰성과 품질이 감소하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5-006993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7-01167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러기지보드지그유닛과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부직포지그유닛, 부직포지그이송유닛, 히터유닛, 히터이송유닛에 의해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자동으로 감쌀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러기지 보드의 신뢰성과 품질을 향상하고,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감소하여 러기지 보드의 판매량을 증대시키며, 사용자의 편의성과 작업자의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가 안착되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에 의해 공급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는 부직포지그유닛;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를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을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을 높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부직포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기 전에 상기 러기지 보드와 상기 부직포를 히팅하는 히터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히터이송유닛; 및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 상기 부직포지그유닛,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상기 부직포지그이송유닛, 상기 히터유닛, 상기 히터이송유닛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 작동시간,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가 안착되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에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러기지 보드를 공급하는 러기지보드공급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에 의해 공급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는 부직포지그유닛;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를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을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을 높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부직포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기 전에 상기 러기지 보드와 상기 부직포를 히팅하는 히터유닛;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히터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가 안착되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에 의해 공급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는 부직포지그유닛;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 상기 러기지 보드를 감싸기 위한 부직포를 공급하는 부직포공급유닛;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를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을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을 높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부직포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기 전에 상기 러기지 보드와 상기 부직포를 히팅하는 히터유닛;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히터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가 안착되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에 의해 공급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는 부직포지그유닛;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를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을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을 높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부직포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지 전에 상기 러기지 보드와 상기 부직포를 히팅하는 히터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히터이송유닛; 및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서 부직포 감싸기가 완료된 러기지 보드를 취출하는 러기지보드취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서 부직포 감싸기가 완료된 러기지 보드를 냉각하는 냉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하우징유닛의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수평방향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하우징유닛의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높이가 상기 제2 하우징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상기 하우징유닛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은 안착되는 러기지 보드의 크기에 따라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은 상기 러기지 보드를 감싸는 부직포의 크기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상기 히터유닛은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과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교체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 안착되는 부직포는 상기 히터유닛으로 가열되는 상기 부직포의 일면에 핫멜트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은 상기 부직포지그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지그;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상기 상지그와 높이방향을 따라 마주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를 감싸기 위한 부직포가 안착되는 하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부직포지그유닛의 상기 하지그는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상기 히터유닛은 상기 상지그에 흡착된 러기지 보드의 부직포와 접촉되는면과 상기 하지그에 안착된 부직포의 핫멜트 필름 면을 동시에 가열하도록 상기 히터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상지그와 상기 하지그 사이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부직포지그유닛의 상기 상지그는 상기 러기지 보드를 부직포로 감싸기 위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에 의해 공급된 상기 러기지 보드를 흡착한 상태로 상기 부직포지그이송유닛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승강하고, 상기 히터유닛에 의해 상기 러기지 보드가 히팅된 후에 상기 부직포지그이송유닛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하지그에 안착된 부직포와 러기지 보드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과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부직포지그유닛, 부직포지그이송유닛, 히터유닛, 히터이송유닛에 의해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한번에 자동으로 감쌀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능률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자동으로 한번에 감쌈에 따라 부직포와 러기지 보드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러기지 보드의 강성과 품질을 향상하여 러기지 보드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의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감소하여 러기지 보드의 판매단가 감소에 따라 판매량을 증대하고 수출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작업자의 안정성을 증대하고, 최적의 공간설계를 통해 장비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공간활용도를 극대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서 러기지보드공급유닛, 부직포공급유닛, 러기지보드취출유닛, 및 냉각유닛이 제거된 상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서 히터유닛이 작업존으로 이동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투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서 부직포지그유닛과 부직포지그이송유닛이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직포지그유닛의 하지그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지그의 일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작업존과 셋업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작업존과 셋업존을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과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히터유닛과 히터이송유닛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작업존과 대기존을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히터유닛과 히터이송유닛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제어유닛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에서 러기지보드공급유닛, 부직포공급유닛, 러기지보드취출유닛, 및 냉각유닛이 제거된 상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서 히터유닛이 작업존으로 이동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투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서 부직포지그유닛과 부직포지그이송유닛이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직포지그유닛의 하지그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지그의 일부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8은 작업존과 셋업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0은 작업존과 셋업존을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과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히터유닛과 히터이송유닛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12는 작업존과 대기존을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히터유닛과 히터이송유닛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제어유닛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가로방향, 즉 도 1 내지 도 12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하고, "수직방향"이란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 즉 도 1 내지 도 12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하며, "높이방향"이란 길이방향과 폭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높이방향, 즉 도 1 내지 도 12에서 Z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방(상부)이란 "높이방향"에서 위쪽 방향, 즉 도 1 내지 도 12에서 Z축의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하부)이란 "높이방향"에서 아래쪽 방향, 즉 도 1 내지 도 12에서 Z축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승강(상승)"이란 도 1 내지 도 12에서 높이방향인 Z축의 위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하강"이란 도 1 내지 도 12에서 높이방향인 Z축의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내부)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 즉, 도 1 내지 도 12에서 안쪽을 의미하고 외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서 먼쪽 즉 도 1 내지 도 12에서 바깥쪽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이란, 수직방향에서 작업존에 가까운 쪽을 의미하며, "후방"이란 수직방향에서 대기존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하우징유닛(100), 러기지보드유닛(200), 부직포지그유닛(300),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 히터유닛(600), 히터이송유닛(700), 및 제어유닛(800)을 포함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는 하우징유닛(100), 러기지보드유닛(200),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 부직포지그유닛(300),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 히터유닛(600), 및 히터이송유닛(700)을 포함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는 하우징유닛(100), 러기지보드유닛(200), 부직포지그유닛(300), 부직포공급유닛(1000),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 히터유닛(600), 및 히터이송유닛(700)을 포함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는 하우징유닛(100), 러기지보드유닛(200), 부직포지그유닛(300),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 히터유닛(600), 히터이송유닛(700), 및 러기지보드취출유닛(1100)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는 냉각유닛(1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유닛(100)은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유닛(100)은 제1 하우징부(110)와 제2 하우징부(120)를 구비한다. 제1 하우징부(110)와 제2 하우징부(12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2 하우징부(120)는 제1 하우징부(110)의 수평방향(X축 방향) 일측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14에 하우징유닛(100)의 제1 하우징부(110)가 좌측에 제2 하우징부(120)가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하우징부의 높이(H1)가 제2 하우징부의 높이(H2)보다 높게 형성된다.(H1>H2) 즉, 제1 하우징부의 높이방향(Z축 방향) 길이가 제2 하우징부의 높이방향(Z축 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유닛(100)은 제1 하우징부(110)의 수직방향(Y축 방향)의 길이가 제2 하우징부(120)의 수직방향(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제1 하우징부(110)가 수직방향으로 제2 하우징부(120)보다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유닛(100)의 대기존(C)이 제1 하우징부(110)의 후방에 형성되고, 작업존(A)이 제1 하우징부(110)의 전방에 형성되며, 셋업존(B)이 제2 하우징부(120)의 전방에 형성됨에 따라 장비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작업시간 감소를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결국,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유닛(100)은 전체적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 하우징부(110)에 있는 작업존(A)과 제2 하우징부(120)에 있는 셋업존(B)을 분리하여 히터유닛(600)으로 러기지 보드(2)와 부직포(3)를 히팅시에 셋업존(B)에서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새로운 러기지 보드를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정렬하고 셋업(SER-UP)할 수 있어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 지그를 감싸는 시간에 대한 싸이클 시간 감소를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작업능률을 향상하며, 장비의 소형화 도모를 통해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은 제2 하우징부(120)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2)가 안착된다.
부직포지그유닛(300)은 제1 하우징부(110)에 설치되어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의해 공급된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러기지 보드(2)에 부직포(3)를 감싸는 작업을 행한다.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은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의 높이방향 하부에 설치되어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안착된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러기지 보드(2)를 부직포지그유닛(300)에 공급하기 위해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을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은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의 하우징유닛(10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제1 하우징부(110)와 제2 하우징부(12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은 제1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되어 부직포지그유닛(300)을 높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히터유닛(600)은 제1 하우징부(110) 내부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기 전에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를 히팅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히터이송유닛(700)은 제1 하우징부(11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히터유닛(600)을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제어유닛(800)은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 부직포지그유닛(300),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 히터유닛(600), 히터이송유닛(700)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 작동시간,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를 제어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어유닛(800)은 하우징유닛의 일부에 설치되거나, 하우징유닛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800)은 후술하는 러기지보드공급유닛, 부직포공급유닛, 러기지보드취출유닛, 및 냉각유닛의 작동순서, 작동시간,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도 제어할 수 있다.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은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러기지 보드를 공급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부직포공급유닛(1000)은 부직포지그유닛(30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부직포지그유닛(300)에 러기지 보드를 감싸기 위한 부직포를 공급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러기지보드취출유닛(1100)은 부직포지그유닛(300)에 인접하면서 부직포공급유닛(1000)과 간섭이 없도록 설치되어 부직포지그유닛(300)에서 부직포 감싸기가 완료된 러기지 보드를 취출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은 제2 하우징부(120)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부직포공급유닛(1000)은 제1 하우징부(110)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러기지보드취출유닛(1100)은 제1 하우징부(110)에 인접하면서 부직포공급유닛(1000)과 간섭이 없도록 최적화딘 공간에 설치되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설치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며,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 부직포공급유닛(1000), 및/또는 러기지보드취출유닛(1100)은 이송이 가능한 로봇장치 또는 이송용 컨베이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유닛(1200)은 하우징유닛(100)에 최대한 인접하게 설치되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비작업시간 감소를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냉각유닛(1200)은 러기지 보드를 냉각하기 위한 팬 장치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과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부직포지그유닛, 부직포지그이송유닛, 히터유닛, 히터이송유닛, 러기지보드공급유닛, 부직포공급유닛, 러기지보드취출유닛, 냉각유닛에 의해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한번에 자동으로 감쌀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능률을 향상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은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의 안착부(220)에 안착되는 러기지 보드(2)의 크기에 따라 교체가능하도록 제2 하우징부(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부직포지그유닛(300)은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의해 공급되는 러기지 보드를 감싸는 부직포(3)의 크기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히터유닛(600)은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과 부직포지그유닛(300)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교체 가능하게 제1 하우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히터유닛(600)은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의해 공급되는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지그유닛(300)에 안착되는 부직포를 한번에 가열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교체 가능하게 제1 하우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처럼,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 부직포지그유닛(300), 히터유닛(600)이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의 크기에 대응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한번에 설치된 하우징유닛(100)를 철거하지 않고 단순히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 부직포지그유닛(300), 히터유닛(600)만을 교체하여 사용함에 따라 설치시간과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생산성을 향상하며 교체타입으로 범용설비로 사용하여 사용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대기존(C)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존(A)과 히터준(C)을 분리하고, 필요에 따라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를 한번에 히팅하기 위해 대기존(C)의 증대가 가능하여 새로운 장치 제조를 위한 비용을 절감하고, 자원낭비를 예방하며,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부직포지그유닛(300)의 하지그(320)의 수용부(323)에 안착되는 러기지 보드를 감싸기 위한 부직포(3)는 히터유닛으로 가열되는 부직포의 일면에 핫멜트 필름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러기지 보드의 수명과 내구성을 증대시켜 유지비용을 감소하고,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의 접착력을 강화하여 불량품 발생률을 감소하며,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를 신속하게 결합하여 러기지 보드의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러기지 보드이 경량화를 도모하여 자동차의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3,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부직포지그유닛(300)은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에 의해 제1 하우징부(110)의 내부에서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지그(310)와 제1 하우징부(110)의 내부에서 상지그(310)와 높이방향을 따라 마주하도록 제1 하우징부(1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를 감싸기 위한 부직포가 안착되는 하지그(320)를 포함한다.
도 5, 도 6,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부직포지그유닛(300)의 하지그(320)는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에 의해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수평방향(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1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즉, 하지그(320)의 높이방향 길이(H4)가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의 높이방향 길이(H3)보다 작게 되도록(H4<H3) 하지그(320)가 제1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러기지보드이송유닛(400)에 의해 제2 하우징부(120)와 제1 하우징부(110)의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결국, 러기지 보드를 히터유닛으로 히팅하는 동안에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제2 하우징부(120)로 복귀하고, 이후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 또는 수작업으로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새로운 러기지 보드를 셋팅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동선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4,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히터유닛(600)은 상지그(310)에 흡착된 러기지 보드의 부직포와 접촉되는면과 하지그(320)에 안착된 부직포의 핫멜트 필름 면을 동시에 가열하도록 히터이송유닛(700)에 의해 상지그(310)와 하지그 사이로 수직방향(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1 하우징부(110)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지그가 러기지 보드를 흡착하여 상승하고, 히터유닛이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를 동시에 히팅한 후에 상지그가 하강한 상태로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를 가압하여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는 싸이클 타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장비의 소형화를 도모하며, 공간활용도 향상을 통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상지그(310)는 러기지 보드를 부직포로 감싸기 위해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의해 공급된 러기지 보드를 흡착한 상태로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에 의해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승강한다.
또한, 히터유닛(600)에 의해 러기지 보드가 히팅된 후에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하지그에 안착된 부직포와 러기지 보드를 가압한다.
따라서,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한번에 자동으로 감쌀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능률을 향상할 수 있고, 부직포와 러기지 보드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러기지 보드의 강성과 품질을 향상하여 러기지 보드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부직포지그유닛(300)의 상지그(310)는 본체부(311), 브릿지부(312), 가압부(313), 링블로워(314), 복수의 흡착공(315), 및 흡착감지부(316)을 포함한다.
본체부(311)는 하우징유닛(100)의 제1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체부(311)는 상지그(3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브릿지부(312)는 일측이 본체부(311)의 높이방향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가압부(313)의 높이방향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부(311)와 가압부(313)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압부(313)는 브릿지부(312)의 타측에 결합되어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의해 공급된 러기지 보드(2)를 링블로워에 의해 흡착하고 추후에 하강하여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압부(313)는 본체부(311)와 높이방향으로 마주하면서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가압부(313)는 본체부(31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링블로워(314, ring blower)는 제1 하우징부(110) 또는 본체부(311)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를 흡착하도록 공기를 흡입한다. 링블로워(314)는 가압부(313)와 관이나 자라라 호수와 같은 연결라인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흡착공(315)이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의해 공급되는 러기지 보드를 흡착하기 위해 가압부(313)의 하부면에 관통 형성되어 링블로워(314)와 연결라인으로 연통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복수의 흡착공(315)은 러기지 보드를 균일하게 흡착하고, 러기지 보드가 상지그의 이동중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압부의 하부면에 균일하게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흡착감지부(316)는 가압부(313)에 설치되어 가압부에 러기지 보드의 흡착유무를 감지한다. 즉, 흡착감지부(316)는 링블로워(314)가 작동하여 가압부(313)의 복수의 흡착공(315)을 통해 러기지 보드를 흡착하는 순간부터 링블로워(314)가 정지하여 흡착이 정지될 때까지 러기지 보드가 가압부(313)에 흡착되었는지 유무를 확인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유닛(800)의 수신부(83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지그의 이동중에 러기지 보드가 이탈되는 경우 장치가 자동으로 정지하여 오작동에 의한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불량품 발생을 예방하며, 장비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부직포지그유닛(300)의 하지그(320)는 베드(321), 테이블(322), 수용부(323), 가이드블록(324), 전후진이동부(325), 승하강이동부(326), 전후진감지부(327), 및 승하강감지부(327)을 포함한다.
베드(321)는 제1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상지그의 본체부(311)와 높이방향(Z축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베드(321)는 하지그(320)이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한다.
테이블(322)은 베드(321)의 상부에 설치된다.
수용부(323)는 테이블(322)의 상부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를 감싸기 위한 부직포(3)가 안착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용부(323)는 러기지 보드를 감싸는 부직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부직포의 외형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부직포공급유닛(1000) 또는 수작업으로 수용부(323)에 부직포를 신속하게 안착하여 러기지 보드의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가이드블록(324)는 수용부(323)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의 테두리 부분에 부직포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러기지 보드의 테두리 부분이 박리되지 않고 한번에 효율적으로 감싸기 위해 가이드블록(324)은 수용부의 테두리를 따라 분할하여 복수개로 설치된다.
전후진이동부(325)는 상지그(310)가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에 의해 하강하여 러기지 보드(2)와 부직포(3)를 가압할 때에 러기지 보드의 테두리 부분에 부직포를 감싸기 위해 가이드블록을 전후진 이동시키도록 가이드블록(324)에 인접하여 테이블(322) 또는 베드(321)에 설치된다. 전후진이동부(325)는 전후진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게를 최소화하고, 설치공간을 축소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승하강이동부(326)은 전후진이동부(325)에 의해 가이드블록(324)이 전진 또는 후진된 상태에서 가이드블록을(324) 승강 또는 하강 이동시키도록 가이드블록(324)에 인접하여 테이블(322) 또는 베드(321)에 설치된다. 승하강이동부(326)는 승하강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게를 최소화하고, 설치공간을 축소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전후진감지부(327)는 전후진이동부(325)에 설치되어 전후진이동부의 전후진 상태를 감지한다. 즉, 전후진감지부(327)는 상지그가 하강하여 러기지 보드로 부직포를 가압할 때에 러기지 보드의 테두리를 부직포로 감쌀 수 있도록 전후진이동부(325)가 전진하여 승하강이동부(326)에 의해 하강하고, 다시 후진하여 승하강 이동부(326)에 의해 상승할 때가지 전후진이동부(325)의 전진 상태와 후진 상태를 확인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유닛(800)의 수신부에 전달한다.
승하강감지부(328)은 승하강이동부(326)에 설치되어 승하강이동부의 승하강 상태를 감지한다. 즉, 승하강감지부(328)는 상지그가 하강하여 러기지 보드로 부직포를 가압할 때에 러기지 보드의 테두리를 부직포로 감쌀 수 있도록 전후진이동부(325)가 전진하여 승하강이동부(326)에 의해 하강하고, 다시 후진하여 승하강 이동부(326)에 의해 상승할 때가지 승하강이동부(325)의 승강 상태와 하강 상태를 확인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유닛(800)의 수신부에 전달한다.
전후진감지부와 승하강감지부에 의해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가이드블록이 전진하여 하강한 상태 또는 전진하여 상승한 상태에서 상지그가 이동하거나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이 제1 하우징부의 작업존(A)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파손이나 손상을 예방하여 유지시간과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비가공시간 감소에 따라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장치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은 지지부(510), 지주부(520), 볼스크류부(530), 모터부(540), 모터감지부(550)를 포함한다.
지지부(510)는 본체부(31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1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지부(510)는 본체부(311)와 서로 마주하면서 대응하도록 본체부(311)와 유사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주부(520)는 본체부(311)를 관통하여 지지부(510)에 연결 설치된다. 즉, 복수의 지주부(520)를 따라 본체부(311)가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주부(520)는 본체부(311)와 지지부(510)의 4개의 코너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체부(311)가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에 의해 높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할 때에 상지그(3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볼스크류부(530)는 일측이 본체부(311)와 연결되도록 지지부(510)에 고정 설치된다. 즉 볼스크류부(530)는 일측이 본체부(311)에 연결되고, 모터부(540)의 구동에 의해 본체부(311)를 승하강 시키도록 지지부(510)에 고정 설치된다.
모터부(540)는 볼스크류부(530)를 구동하여 지주부를 따라 본체부를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모터부(540)는 서보모터(SERVO MOTOR)로 형성되어 제어유닛의 지령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모터감지부(550)는 모터부(540)에 설치되어 모터부의 작동상태, 회전속도, 작동시간을 감지한다. 즉, 모터감지부(550)는 제어유닛(800)의 지령부(860)의 신호에 따라 작동할 때에 모터부(540)의 작동유무, 회전속도, 작동시간을 감지하고, 이러한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부(830)에 전달하고, 제어유닛의 판단부(850)는 해당 신호의 피드백을 통해 모터부(540)의 작동유무, 회전속도, 작동시간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러기지 보드의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감소하여 러기지 보드의 판매단가 감소에 따라 판매량을 증대하고 수출을 도모하고, 자동화를 통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불량품 발생률을 감소할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은 베이스부(210), 안착부(220), 정렬부(230), 조절부(240), 및 정렬감지부(25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10)는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에 의해 수평방향(X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베이스부(210)는 판 형상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또는 복합소재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외형을 형성한다.
안착부(220)는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가 안착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안착부(220)는 러기지 보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러기지 보드의 외형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 또는 수작업으로 안착부(220)에 러기지 보드를 신속하게 안착하여 러기지 보드의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정렬부(230)는 안착부(220)에 안착된 러기지 보드의 위치를 정렬하도록 안착부에 복수개로 설치된다. 즉, 정렬부(230)에 의해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에 의해 작업존으로 이동하기 전에 안착부(220)에 안착된 러기지 보드의 정위치를 정렬하여 부직포를 감쌀때에 불필요한 부분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불량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정렬부(230)는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에 의해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작동하여 러기지 보드가 안착부(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항상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정렬부(230)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최소한의 비용과 설치공간으로 장치를 형성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작동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조절부(240)는 베이스부(210) 상에서 안착부(2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베이스부(210) 상에서 안착부와 접촉하도록 복수개로 설치된다. 즉, 조절부(240)는 안착부(220)이 위치가 변경된 경우 안착부(220)의 세밀한 정위치를 조절하여 불량품 발생률을 감소하고 장치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정렬감지부(250)는 정렬부(230)에 설치되어 정렬부의 작동 상태를 감지한다. 즉, 정렬감지부(250)는 셋업존(B)에서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에 의해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이동하기 전에 안착부(220)에 러기지 보드가 안착된 상태에서 작동하는 순간부터 작업존(A)으로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이 이동하여 상지그가 하강하여 러기지 보드를 흡착하여 상승하는 순간까지 정렬감지부(25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유닛(800)의 수신부(830)에 전달한다.
정렬감지부(250)에 의해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셋업존에서 러기지 보드 셋업중에 발생하는 인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파손이나 손상을 예방하여 유지시간과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비가공시간 감소에 따라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장치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의 조절부(240)는 복수의 서포트부(241), 조정바(242), 및 고정부재(243)를 포함한다.
복수의 서포트부(241)는 안착부에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베이스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안착부(220)의 정위치를 효율적이고 가장 안정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복수의 서포트부(241)는 안착부(220)의 각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베이스부(210)이 상부에 8개가 설치된다.
조정바(242)는 안착부(242)를 가압하면서 안착부의 둘레면에 접촉하여 안착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서포트부에 삽입 설치된다.
고정부재(243)는 각각의 조정바(242)가 서포트부(24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정바(242)에 삽입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부재(243)는 조절이 가능한 너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정바(242)와 고정부재(243)의 단순조작을 통해 안착부(220)의 위치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제조시간을 감소할 수 있다.
도 3, 도 4, 도 5,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은 레일부(410), 수직프레임부(420), 실린더부(430), 충격방지부(440), 및 실린더감지부(450)를 포함한다.
레일부(410)는 제1 하우징부(110)와 제2 하우징부(110)를 걸쳐 수평방향(X축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레일부(410)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을 셋업존(B)에서 작업존(A)으로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제1 하우징부(110)와 제2 하우징부(11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수직프레임부(420)는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높이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베이스부를 지지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직프레임부(420)는 베이스부(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레일부(41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복수개가 설치된다.
실린더부(430)는 수직프레임부(420)를 레일부(41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실린더부(430)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최소한의 비용과 설치공간으로 장치를 형성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작동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충격방지부(440)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제1 하우징부(110)의 작업존(A)과 제2 하우징부(120)의 셋업존(B)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지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부의 전진단과 후진단에 설치된다. 즉, 충격방지부(440)는 실린더부(430)의 이동 행정거리에 맞추어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이 셋업존(B)에 위치하는 후진단과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작업존(A)에 위치하는 전진단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러기지 보드의 정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불량품 발생률을 최소화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충격방지부(440)는 업쇼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감지부(450)는 실린더부(440)에 설치되어 실린더부의 전후진 상태를 감지한다. 즉, 실린더감지부(450)는 셋업존(B)에서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의 안착부(220)에 러기지 보드가 안착되어 정렬부(230)가 작동하여 정렬감지부(250)가 제어유닛(800)의 수신부(830)에 신호를 발생하는 순간부터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에 의해 작업존(A)으로 이동한 후에 다시 셋업존(B)으로 복귀하는 순간까지 실린더부(23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유닛(800)의 수신부(830)에 전달한다.
실린더감지부(450)에 의해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셋업존에서 러기지 보드 준비중에 발생하는 인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파손이나 손상을 예방하여 유지시간과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비가공시간 감소에 따라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장치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 도 3, 도 4,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히터이송유닛(700)은 래크(710), 피니언(720), 구동부(730), 및 구동감지부(740)를 포함한다.
래크(710)가 제1 하우징부(110)의 수직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즉, 래크(710)가 히터유닛(700)을 대기존(C)에서 작업존(A)으로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제1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수직방향(Y)으로 설치된다.
피니언(720)은 래크(710)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히터유닛에 설치된다.
구동부(730)는 피니언(72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부(730)는 제1 하우징부(110)의 내부 또는 히터유닛(600)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부(730)는 서보모터로 형성되어 제어유닛에 의해 정밀한 제어를 통해 히터유닛의 이동을 제어한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필요에 따라 히터이송유닛(700)이 소형화를 도모하고, 히터유닛(600)의 효과적인 이동을 위해 구동부(730)와 연결되고 피니언(720)과 치합되는 평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감지부(740)는 구동부(730)에 설치되어 구동부의 작동 상태를 감지한다. 즉, 구동감지부(740)는 대기존(C)에서 히터이송유닛이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히터유닛이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부터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의해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셋업존(B)에서 작업존(A)으로 이동한 후에 상지그가 하강하여 러기지 보드를 흡착하여 상승한 순간부터 히터유닛(600)을 작업존(A)으로 이동시켜서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를 동시에 가열한 후에 대기존(C)으로 원위치 할때까지 구동부(73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유닛(800)의 수신부(830)에 전달한다.
구동감지부(740)에 의해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대기존에서 히터유닛의 대기중 또는 작업존에서 히터유닛의 히팅중에 발생하는 인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파손이나 손상을 예방하여 유지시간과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비가공시간 감소에 따라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장치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 도 3, 도 4,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히터유닛(600)은 제1 가열부(610), 제 가열부(620), 결합부(630), 제1 근적외선 램프(640), 제2 근적외선 램프(650), 제1 온도감지부(660), 및 제2 온도감지부(670)를 포함한다.
제1 가열부(610)는 상지그에 흡착되는 러기지 보드를 가열하는 기능을 수해한다.
제2 가열부(620)는 하지그에 안착되는 부직포를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합부(630)는 제1 가열부(610)와 제2 가열부(620)를 연결한다.
제1 근적외선 램프(640)가 제1 가열부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를 가열한다.
제2 근적외선 램프(650)가 제2 가열부에 설치되어 부직포를 가열한다.
결국, 히터유닛(600)의 제1 가열부(610)와 제2 가열부(620)는 높이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1 가열부에 설치되는 제1 근적외선 램프가 상지그에 흡착된 러기지 보드의 하부면을 가열할 때에 제2 가열부에 설치도는 제2 근적외선 램프가 하지그에 안착된 부직포의 상부면을 동시에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히터유닛(600)이 히터이송유닛(700)에 의해 대기존(C)에서 작업존(A)으로 이동하여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를 동시에 기 설정된 온도까지 한번에 가열함에 따라 가열 공정 동안의 사이클 시간을 감소하여 전체적인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2 근적외선 램프를 사용함에 따라 전기료 등의 유지비용과 시간을 감소하고, 교체시에 편의성을 확보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제1 온도감지부(660)는 제1 가열부(610)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의 가열 온도를 감지한다.
제2 온도감지부(670)는 제2 가열부(620)에 설치되어 부직포의 가열 온도를 감지한다.
즉, 제1 온도감지부(660)와 제2 온도감지부(670)는 히터유닛(600)이 대기존(C)에 대기하다가 히터이송유닛(700)에 의해 작업존(A)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어유닛(800)의 신호에 의해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를 가열할 때에 각각 제어유닛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온도데이터와 시간데이터를 통해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가 적정 온도까지 가열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이에 따라 제1 온도감지부(660)는 제1 근적외선 램프(640)에 의해 러기지 보드가 가열되는 순간에 실시간으로 러기지 보드의 온도를 제어유닛의 수신부에 전달하고, 제2 온도감지부(670)는 부직포가 제2 근적외선 램프(650)에 의해 가열되는 순간에 실시간으로 부직포의 온도를 제어유닛의 수신부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최적의 온도로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를 가열하여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의 접착성을 강화하여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러기지 보드나 부직포가 타는 것을 방지하여 자원의 낭비와 불량품 발생률을 최소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하우징유닛(100)은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작업존(A)으로 인입되거나 인출 또는 셋업존(B)으로의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제1 하우징부(110)와 제2 하우징부(120)의 수평방향 양측 선단에 설치되는 안전바센서(130)를 더 포함한다. 안전바센서(130)에 의해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에 의해 움질일때에 안전바센서(130)가 작동되고, 이러한 작동신호를 제어유닛(800)의 수신부(830)에 전달한다. 또한,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에 의해 움직이지 않을 때, 즉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작업존(A) 또는 셋업존(B)에 있을 때에는 안전바센서(130)가 작동하지 않고 이러한 신호를 제어유닛의 수신부(830)에 전달함에 따라 작업자 또는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이 다음 작업을 준비함에 따라 러기지 보드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공간활용도를 극대활 수 있다.
도 4 및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제어유닛(800)은 조작부(810), 데이터 저장부(820), 수신부(830), 비교부(840), 판단부(850), 및 지령부(860)를 포함한다.
제어유닛(800)은 NC(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를 포함하고, 각종 수치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즉, 제어유닛(800)에는 서보 모터의 구동프로그램,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가동프로그램 등이 내장되고, 제어유닛의 구동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로딩되어 작동한다. 또한, 제어유닛(800)은 안전바센서(130),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 부직포지그유닛(300),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 히터유닛(600), 히터이송유닛(700),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 부직포공급유닛(1000), 러기지보드취출유닛(1100), 및 냉각유닛(1200)과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유닛(800)은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의 정렬부(230)와 정렬감지부(250),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의 실린더부(43)와 실린더감지부(450), 부직포직그유닛(300)의 상지그(310)의 링블로워(314)와 흡착감지부(316), 부직포지그유닛(300)의 하지그(320)의 전후진이동부(325)와 전후진감지부(327) 및 승하강이동부(326)과 승하강감지부(328),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의 모터부(540)와 모터감지부(550), 히터유닛(600)의 제1, 2 근적외선 램프(640, 650)와 제1, 2 온도감지부(660, 670), 히터이송유닛(700)의 구동부(730)와 구동감지부(740),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 부직포공급유닛(1000), 러기지보드취출유닛(1100), 및/또는 냉각유닛(1200)으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전달 받는다.
조작부(810)는 하우징유닛 또는 하우징유닛의 외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조작부는 화면표시 프로그램과 화면표시 선택에 따른 데이터 입력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화면표시 프로그램의 출력에 따라 표시화면에 소프트웨어 스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소프트웨어 스위치의 온(ON)/오프(OFF)를 인식하여 기계 동작의 입출력 명령을 내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작부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제어유닛(800)의 조작부(810)는 시작 버튼부(811)와 비상정지버튼부(812)를 포함한다.
시작 버튼부(811)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작동을 시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작업자가 시작 버튼부(811)의 조작을 하면 셋업존(B)에서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에서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러기지 보드가 공급되고, 부직포공급유닛(1000)에서 부직포지그유닛(300)에 부직포가 공급되며,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에 의해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셋업존(B)에서 작업존(A)으로 이동하고,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에 의해 부직포지그유닛(300)의 상지그가 상승한다.
이후,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에 의해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작업존(A)에서 셋업존(B)으로 이동하고, 히터유닛(600)이 히터이송유닛(700)에 의해 대기존(C)에서 작업존(A)으로 이동하여 러기지 보드오 부직포를 가열한다. 이후, 히터이송유닛(700)에 의해 히터유닛(600)이 작업존(A)에서 대기존(C)으로 이동하고,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에 의해 부직포지그유닛(300)의 상지그가 다시 하강하여 러기지 보드로 부직포를 가압하고, 하지그의 전후진이동부와 승하강이동부를 작동시켜 자동으로 러기지 보드의 테두리까지 부직포를 감싸게 된다.
이후, 상지그가 상승한 후에 러기지보드취출유닛(1100)에 의해 부직포지그유닛(300)의 하지그의 수용부에 있는 부직포 감싸기가 완료된 러기지 보드를 자동으로 취출하고, 이를 냉각유닛(1200)으로 전달하여 냉각한다. 이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자동으로 수행한다.
즉, 시작 버튼부(811)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됨에 따라 러기지 보드 제조공정의 신속성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비상정지버튼부(812)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비상시에 비상정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작동 중에 갑자기 긴급한 경우가 있는 경우 작업자가 수동으로 비상정지버튼부(812)를 누르면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긴급한 상황이나 사고발생시에 추가사고를 방지하고, 인사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820)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가동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수신부(830)는 안전바센서(130),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 부직포지그유닛(300),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 히터유닛(600), 히터이송유닛(700),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 부직포공급유닛(1000), 러기지보드취출유닛(1100), 및 냉각유닛(1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비교부(840)는 데이터 저장부(820)에 저장된 데이터와 수신부(830)에서 수신된 신호를 통해 이상유무를 비교한다.
판단부(850)는 비교부(840)의 비교결과에 따라 현재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의 작동순서를 판단한다.
지령부(860)는 판단부(850)의 판단결과에 따라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 부직포지그유닛(300),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 히터유닛(600), 히터이송유닛(700),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 부직포공급유닛(1000), 러기지보드취출유닛(1100), 및/또는 냉각유닛(1200)에 작동신호를 전송한다.
조작부(810), 데이터 저장부(820), 수신부(830), 비교부(840), 판단부(850), 및 지령부(860)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수신부(830)와 비교부(840)와 판단부(850) 및 지령부(860)는 계속해서 수신부(830)와 비교부(840)와 판단부(850) 및 지령부(860)에서 발생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비교부(840)와 판단부(850) 및 지령부(860)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구비하고, 수치제어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명령을 받아 작동하여 상술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제어유닛(800)의 데이터 저장부(820)는 기본 데이터 저장부(821), 위치데어터 저장부(822), 온도데이터 저장부(823), 시간데이터 저장부(824), 및 작동 프로그램 저장부(825)를 포함한다.
기본 데이터 저장부(821)는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부직포지그이송유닛, 히터이송유닛의 이동속도와 이동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위치데이터 저장부(822)는 상지그(310)의 초기위치와 이동위치,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의 작업존으로 이동위치와 복귀위치, 히터유닛의 대기존에서 작업존으로의 이동위치와 복귀위치를 저장한다. 부직포지그이송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상지그의 이동위치와 상지그로 러기지 보드를 흡착한 상태에서 부직포를 가압하는 거리와 속도 압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이 러기지보드이송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히터이송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히터유닛의 이동 위치를 저장한다. 최소한의 이동을 통해 러기지 보드 제조를 수행함에 따라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온도데이터 저장부(823)는 히터유닛으로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를 동시에 가열할 때에 가열온도를 저장한다. 즉, 온도데이터 저장부(823)는 제1 근적외선 램프(640)로 러기지 보드를 가열할 때에 제1 온도감지부(660)의 감지를 통한 설정온도와 제2 근적외선 램프(650)로 부직포를 가열할 때에 제2 온도감지부(670)의 감지를 통한 설정온도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가열을 방지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여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시간데이터 저장부(824)는 상지그로 부직포를 가압할 때의 가압시간과 히터유닛으로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를 동시에 가열할 때의 가열시간을 저장한다. 이에 따라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부직포의 핫멜트가 타는 것을 방지하여 박리를 예방하며 러기지 보드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작동 프로그램 저장부(825)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작동 순서에 대한 작동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즉, 작동 프로그램 저장부(825)는 작업자가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기 위한 작동프로그램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기계연계 인터페이스(Human-Machine Interface)를 제공한다. 작업자는 작동 프로그램 저장부(825)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공작물 가공프로그램을 입력한다.
또한, 작동 프로그램 저장부(825)는 수치제어부를 포함하고, 수치제어부는 작동 프로그램 저장부(825)에 저장된 작동 프로그램을 전송받아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기 위한 파라메터들을 입력하고 작동 경로를 생성한다. 수치제어부는 NC(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를 포함하고, 각종 수치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즉, 수치제어부는 실린더부, 모터부, 구동부, 전후진이동부, 승하강이동부, 정렬부의 구동프로그램, 러기지보드공급유닛, 부직포공급유닛, 러기지보드취출유닛의 작동프로그램 등이 내장되고, 수치제어부의 구동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로딩되어 작동한다.
이처럼,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 공급에서부터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기까지 일련의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됨에 따라 작업시간 감소를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장치 구동의 세밀한 부분 제어를 통해 불량품 발생률 감소에 따라 제품의 품질을 극대화하고, 장치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1)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작업자가 시작 버튼부(811)의 조작을 하면 셋업존(B)에서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에서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러기지 보드가 공급되고, 부직포공급유닛(1000)에서 부직포지그유닛(300)에 부직포가 공급된다. 이때에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과 부직포공급유닛(1000)이 없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에 러기지보드를 안착하고, 부직포지그유닛(300)에 부직포를 수작업으로 안착할 수 있다.
작업자 또는 러기지보드공급유닛(900)에 의해 러기지 보드가 안착부(220)에 안착되면, 제어유닛(800)의 지령부(860)의 신호에 의해 정렬부(230)가 작동하여 러기지 보드를 정렬하고, 이때부터 정렬감지부(250)가 감지 신호를 제어유닛의 수신부(830)에 전송한다.
이후, 제어유닛(800)의 지령부(860)의 신호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의 위치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데이터와 기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속도에 따라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의 실린더부(430)가 작동하여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을 셋업존(B)에서 작업존(A)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실린더감지부(450)는 감지신호를 수신부에 전송하고 안전바센서(130)가 작동하여 작동신호를 수신부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 또는 러기지보드고급유닛(900)을 통해 셋업존(B)으로의 이동이나 출입이 제한된다.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이 작업존(A)으로 인입되면 하지그(3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령부(860)의 신호에 의해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의 모터부가 기본 데이터 저장부와 위치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로 속도와 시간로 작동하여 상지그(310)를 초기위치에서 이동위치로 높이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이후, 링블로워가 작동하여 상지그가 러기지 보드를 흡착한다. 이후, 흡착감지부가 작동하여 러기지 보드의 이탈유무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수신부에 전달한다.
이후, 지령부의 신호에 의해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의 모터부가 기본 데이터 저장부와 위치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로 속도와 시간로 작동하여 상지그(310)를 이동위치에서 초기위치로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이후, 지령부의 신호에 의해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400)의 실린더부가 작동하여 러기지보드지그유닛(200)을 작업존(A)에서 셋업존(B)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에 안전바센서가 안전신호를 제어유닛의 수신부에 전달함에 따라 작업자 또는 러기지보드공급유닛이 셋업존으로 인입되어 대기중인 러기지보드지그유닛에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새로운 러기지 보드를 준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시간 감소를 통해 작업능률을 향상하고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후, 지령부의 신호에 의해 히터이송유닛(700)의 구동부(730)가 작동하여 히터유닛(600)을 대기존(C)에서 작업존(A)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에 구동감지부가 작동하여 해당 신호를 수신부에 전달한다.
이후, 지령부의 신호에 의해 히터유닛의 제1 근적외선 램프와 제2 근적외선 램프가 작동하여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를 동시에 가열한다. 이때에 데이터 저장부의 온도데이터 저장부와 시간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온도와 시간까지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가 가열되도록 히터유닛이 작동한다. 즉, 히터유닛의 제1, 2 근적외선 램프가 작동함과 동시에 제1, 2 온도감지부가 작동하여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의 실시간 표면온도를 체크하고, 제1, 2 근적외선 램프의 작동시간을 체크하여 이를 온도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기설정 온도와 시간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시간과 실시간으로 비교부에서 비교한다. 이후, 러기지 보드의 표면과 부직포의 핫멜트가 구비된 표면 온도가 온도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온도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판단부의 판단에 의해 작동을 정지하도록 지령부가 히터유닛의 작동 정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처럼, 부직포와 러기지 보드를 접합하기 좋은 최상의 온도로 동시에 가열함에 따라 제조시간을 절감하고, 너무 많은 가열에 의해 부직포나 러기지 보드가 손상되거나 너무 적은 가열에 이해 부직포의 핫멜트 필름이 녹지 않는 것을 방지하여 부직포와 러기지 보드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러기지 보드의 내구성과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이후, 지령부에 의해 히터이송유닛(700)의 구동부가 작동하여 히터유닛(600)을 작업존(A)에서 대기존(C)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지령부에 의해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의 모터부가 재작동하여 부직포지그유닛(300)의 상지그를 높이방향으로 재하강시켜 시간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시간과 위치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로 하강하여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를 가압한다.
이때에, 지령부에 의해 부직포지그유닛의 하지그의 전후진이동부가 먼저 작동하여 가이드블록을 전진시키고, 승하강이동부가 작동하여 가이드블록을 하강시켜 러기지 보드의 테두리부분까지 한번에 부직포를 감싸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후진감지부와 승하강감지부가 작동하여 해당 신호를 수신부에 전달한다.
이후, 지령부에 의해 승하강이동부가 작동하여 가이드블록을 상승시키고, 전후진이동부가 작동하여 가이드블록을 후진시킨다.
이와 동시에 부직포지그이송유닛(500)의 모터부가 재작동하여 부직포지그유닛(300)의 상지그를 높이방향으로 재상승시켜 러기지 보드와 부직포를 가압을 해제한다.
이후, 지령부에 의해 러기지보드취출유닛(1100)이 작동하여 부직포지그유닛(300)의 하지그의 수용부에 있는 부직포 감싸기가 완료된 러기지 보드를 자동으로 취출하거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지그의 수용부에 있는 부직포 감싸기가 완료된 러기지 보드를 취출한다.
이후, 지령부에 의해 부직포 감싸기가 완료된 러기지 보드를 냉각유닛(1200)으로 전달하여 냉각한다. 이후, 상술한 과정을 계속하여 반복하여 자동으로 수행하면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 감싸기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한번에 자동으로 감쌀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능률을 향상할 수 있고,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자동으로 한번에 감쌈에 따라 부직포와 러기지 보드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러기지 보드의 강성과 품질을 향상하여 러기지 보드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의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감소하여 러기지 보드의 판매단가 감소에 따라 판매량을 증대하고 수출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작업자의 안정성을 증대하고, 최적의 공간설계를 통해 장비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공간활용도를 극대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 :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2 : 러기지 보드,
3 : 부직포, 100 : 하우징유닛,
200 : 러기지보드지그유닛, 300 : 부직포지그유닛,
400 :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500 : 부직포지그이송유닛,
600 : 히터유닛, 700 : 히터이송유닛,
800 : 제어유닛, 900 : 러기지보드공급유닛,
1000 : 부직포공급유닛, 1100 : 러기지보드취출유닛,
1200 : 냉각유닛.

Claims (16)

  1.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가 안착되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에 의해 공급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는 부직포지그유닛;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를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을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을 높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부직포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기 전에 상기 러기지 보드와 상기 부직포를 히팅하는 히터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히터이송유닛; 및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 상기 부직포지그유닛,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상기 부직포지그이송유닛, 상기 히터유닛, 상기 히터이송유닛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 작동시간,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2.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가 안착되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에 부직포 감싸기가 필요한 러기지 보드를 공급하는 러기지보드공급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에 의해 공급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는 부직포지그유닛;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를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을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을 높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부직포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기 전에 상기 러기지 보드와 상기 부직포를 히팅하는 히터유닛;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히터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3.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가 안착되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에 의해 공급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는 부직포지그유닛;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 상기 러기지 보드를 감싸기 위한 부직포를 공급하는 부직포공급유닛;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를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을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을 높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부직포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기 전에 상기 러기지 보드와 상기 부직포를 히팅하는 히터유닛;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히터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4.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러기지 보드가 안착되는 러기지보드지그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에 의해 공급된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는 부직포지그유닛;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를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을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을 높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부직포지그이송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에 부직포를 감싸지 전에 상기 러기지 보드와 상기 부직포를 히팅하는 히터유닛;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히터이송유닛; 및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서 부직포 감싸기가 완료된 러기지 보드를 취출하는 러기지보드취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서 부직포 감싸기가 완료된 러기지 보드를 냉각하는 냉각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수평방향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높이가 상기 제2 하우징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은 안착되는 러기지 보드의 크기에 따라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은 상기 러기지 보드를 감싸는 부직포의 크기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유닛은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과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교체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에 안착되는 부직포는 상기 히터유닛으로 가열되는 상기 부직포의 일면에 핫멜트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지그유닛은,
    상기 부직포지그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지그; 및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상기 상지그와 높이방향을 따라 마주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 보드를 감싸기 위한 부직포가 안착되는 하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그는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유닛은 상기 상지그에 흡착된 러기지 보드의 부직포와 접촉되는면과 상기 하지그에 안착된 부직포의 핫멜트 필름 면을 동시에 가열하도록 상기 히터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상지그와 상기 하지그 사이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그는 상기 러기지 보드를 부직포로 감싸기 위해 상기 러기지보드지그유닛에 의해 공급된 상기 러기지 보드를 흡착한 상태로 상기 부직포지그이송유닛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승강하고,
    상기 히터유닛에 의해 상기 러기지 보드가 히팅된 후에 상기 부직포지그이송유닛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하지그에 안착된 부직포와 러기지 보드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KR1020180167253A 2018-12-21 2018-12-21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KR102184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253A KR102184285B1 (ko) 2018-12-21 2018-12-21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253A KR102184285B1 (ko) 2018-12-21 2018-12-21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898A KR20200077898A (ko) 2020-07-01
KR102184285B1 true KR102184285B1 (ko) 2020-11-30

Family

ID=7160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253A KR102184285B1 (ko) 2018-12-21 2018-12-21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2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222B1 (ko) * 2013-02-05 2015-01-05 주식회사 이큐스앤자루 Fpcb 적층용 이형필름 자동 접합 장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694B1 (ko) * 2010-08-31 2012-11-0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내장부품의 변형 방지 장치
KR20150069938A (ko) 2013-12-16 2015-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KR20170116793A (ko) 2016-04-12 2017-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러기지 보드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222B1 (ko) * 2013-02-05 2015-01-05 주식회사 이큐스앤자루 Fpcb 적층용 이형필름 자동 접합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898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42147A (zh) 自动上料汽车轴承压装机及其加工工艺
CN210646989U (zh) 一种自动上下料的喷涂设备
CN211279800U (zh) 一种汽车顶棚翻转式自动组立机
KR102129883B1 (ko)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KR102184285B1 (ko)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KR102129888B1 (ko)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KR102129906B1 (ko)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KR102129878B1 (ko)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CN101126000A (zh) 热熔接方法
KR102129902B1 (ko) 러기지 보드 제조방법
CN107718522B (zh) 汽车复合内饰件成型生产线安全总线控制系统
CN107877161B (zh) 一种灯泡灯头装配设备
CN210557684U (zh) 用于机械加工的翻转架
KR101762641B1 (ko) 멀티 형상 구조의 제품 공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9334023A (zh) 汽车扰流板压合装置
JPH03219907A (ja) 木材加工装置における被加工物の加工方法および装置
CN212169645U (zh) 一种机械制造加工用夹持装置
CN113714770A (zh) 一种基于汽车电子行业的半自动化压合工装
CN210967682U (zh) 一种双轴横向旋转框架变位机
WO2005109134A1 (ja) 物品の組立て台、組立て方法および工程表示装置
CN210007088U (zh) 一种铁壳自动组装机
CN217965229U (zh) 一种小台面螺柱焊设备
CN211916378U (zh) 一种高比强度热塑性塑料机壳制备专用打磨设备
CN214602602U (zh) 产品表面热压网布并激光切割辅助网布的设备
CN215846756U (zh) 一种基于汽车电子行业的半自动化压合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