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938A -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938A
KR20150069938A KR1020130156692A KR20130156692A KR20150069938A KR 20150069938 A KR20150069938 A KR 20150069938A KR 1020130156692 A KR1020130156692 A KR 1020130156692A KR 20130156692 A KR20130156692 A KR 20130156692A KR 20150069938 A KR20150069938 A KR 20150069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board
mold
manufactu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천균
박중민
이호달
이종헌
김충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진이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진이공(주)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6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938A/ko
Publication of KR20150069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은 모재로서의 기재에 원단이 접합된 자동차 내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a) 소정 크기의 원단과 보드를 각각 제공하고, (b) 보드를 예열기를 통해 예열하며, (c) 금형에 상기 보드와 원단을 셋팅하고, 소정 온도로 예열된 금형을 통해 원단과 보드를 압착하여 일정 형태의 내장 제품을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INTERIOR SHEET FOR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과 같이 보드에 원단이 라미네이트 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로는 도어 트림, 필러, 트렁트 매트, 패키지 트림, 헤드라이너 등이 있으며, 이러한 내장재로는 차종에 따라 경질의 기재만으로 사출 성형된 것을 사용하거나 경질의 기재 표면에 연질의 표피재를 접합한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자동차의 내장재는 부직포와 같이 표면에 기모가 있게 직조된 원단을기재로서의 보드에 라미네이트 한 것으로, 예를 들면 트렁크의 러기지 룸 또는 해치백 타입의 차량에서 리어 시트와 테일 게이트 사이의 러기지 룸에 장착되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러기지 사이드 트림 등의 내장재를 제조하는 공정으로는, 도 1에서와 같이 라미네이팅 장치를 통해 보드에 원단을 라미네이트 하고(S11), 보드에 원단이 합지된 소재를 예열기를 통해 예열하며(S12), 이렇게 예열된 상기한 합지 소재를 금형에 투입하여 그 금형에 의한 압축 성형을 통해 내장재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S13).
이와 같은 일련의 제조 과정에서, 보드에 원단을 라미네이트 하는 공정(S11), 합지 소재를 예열하는 공정(S12) 및 합지 소재를 압축 성형하는 공정(S13)에서는 원단에 열을 직접 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이 라미네이트 공정, 예열 공정 및 성형 공정에서 원단에 열을 가하기 때문에, 기모형 직물로 직조된 원단이 열 손상을 받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부드럽고 볼륨감이 있는 원단의 고유한 질감을 살리지 못해 상품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모형 직물 원단의 열 손상을 최소화하여 고급감과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은, 모재로서의 기재에 원단이 접합된 자동차 내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a) 소정 크기의 원단과 보드를 각각 제공하고, (b) 상기 보드를 예열기를 통해 예열하며, (c) 금형에 상기 보드와 원단을 셋팅하고, 소정 온도로 예열된 상기 금형을 통해 상기 원단과 보드를 압착하여 일정 형태의 내장 제품을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금형에 상기 보드와 원단을 개별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금형에 의한 상기 보드와 원단의 압착 성형 공정에서만 상기 원단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보드로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드와 원단의 라미네이트 공정, 예열 공정 및 성형 공정에서 원단에 열을 가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금형장치에 의한 보드와 원단의 압착 성형 공정에서만 원단에 열을 가하므로, 열에 의한 원단의 기모 열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클램퍼를 통해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간의 클리언스를 증대시킴으로써 이들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에 의한 보드와 원단의 압착 성형 시, 원단의 기모 눌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단의 기모 열 손상 및 눌림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부드러운 촉감과 볼륨감이 있는 원단의 고유한 질감을 살려 내장재의 고급감 및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에 적용되는 금형장치의 클램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은 자동차의 도어 트림, 필러, 러기지 트림, 패키지 트림 등에 사용되는 내장재를 제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자동차 내장재는 트렁크의 러기지 룸 또는 해치백 타입의 차량에서 리어 시트와 테일 게이트 사이의 러기지 룸에 장착되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한 종류 및 용도에 적용 가능한 자동차용 내장재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 내장재는 기재로서의 보드(1: 이하 도 4 참조) 상에 부직포와 같이 기모형 직물로 직조된 원단(3: 이하 도 4 참조)이 일체로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기재로서의 보드(1)는 비교적 저가형 재질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며, 원단은 PET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전체 제조 공정에서 원단(3)에 열을 가하는 공정을 최소화하여 원단(3)의 기모 열 손상을 줄임으로써 내장재의 고급감과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공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공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은 보드(1)와 원단(3)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다(S21 단계).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열을 발생시키는 예열기를 통해 보드(1)를 일정 온도로 예열한다(S22 단계). 이는 후 공정에서 보드(1)의 성형성 및 원단(3)의 접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형장치의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의 하부 금형 상에 보드(1)를 투입한 후, 그 보드(1) 상으로 원단(3)을 투입한다(S23 단계).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형장치를 일정한 온도로 예열한 상태에서,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 측으로 하강시키며 이들 금형 사이에 셋팅된 보드(1)와 원단(3)을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을 통해 열 압착한다.
그러면, 상기 보드(1)와 원단(3)은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열 압착에 의해 보드(1)의 상면에 원단(3)이 접합(합지)되면서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의 형태로 압착 성형될 수 있다(S24 단계).
상기한 보드(1)와 원단(3)의 압착 성형 과정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상부 금형(11)과 하부 금형(12) 사이에서 하부 금형(12) 상에 셋팅된 보드(1)와 원단(3)은 이들의 가장자리를 면대 면 방식으로 클램핑 하는 클램퍼(10)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드(1)와 원단(3)의 가장자리를 클램퍼(10)를 통해 면대 면 방식으로 클램핑 함에 따라, 핀 방식으로 보드와 원단의 합지 소재를 고정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상부 금형(11)과 하부 금형(12) 간의 클리언스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클램퍼(10)를 통해 상부 금형(11)과 하부 금형(12) 간의 클리언스를 증대시킴으로써 이들 상부 금형(11)과 하부 금형(12)에 의한 보드(1)와 원단(3)의 압착 성형 시, 원단(3)의 기모 눌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원단(3) 기모의 복원력 증대로 내장재의 외관 상품성(촉감 및 볼륨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드(1)와 원단(3)의 압착 성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보드(1)와 원단(3)의 합지 소재(제품 소재)를 냉각하여 금형장치로부터 취출하고(S25 단계), 제품 소재의 트리밍 가공을 실시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공정이 모두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보드와 원단의 라미네이트 공정, 예열 공정 및 성형 공정에서 원단에 열을 가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금형장치에 의한 보드(1)와 원단(3)의 압착 성형 공정에서만 원단(3)에 열을 가하므로, 열에 의한 원단(3)의 기모 열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클램퍼(10)를 통해 상부 금형(11)과 하부 금형(12) 간의 클리언스를 증대시킴으로써 이들 상부 금형(11)과 하부 금형(12)에 의한 보드(1)와 원단(3)의 압착 성형 시, 원단(3)의 기모 눌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드와 원단의 라미네이트 공정, 예열 공정 및 성형 공정에서 원단에 열을 가하고, 핀 방식으로 보드와 원단의 합지 소재를 고정함에 따라, 도 4의 (a)에서와 같이 보드(101) 상의 원단(103)이 기모 열 손상 및 눌림 현상으로 인해 플레인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원단 기모의 부드러운 촉감과 볼륨감을 살리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단(3)의 기모 열 손상 및 눌림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도 4의 (b)에서와 같이 부드럽고 볼륨감이 있는 원단(3)의 고유한 질감을 살려 내장재의 고급감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보드
3... 원단
10... 클램퍼
11... 상부 금형
12... 하부 금형

Claims (4)

  1. 모재로서의 기재에 원단이 접합된 자동차 내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소정 크기의 원단과 보드를 각각 제공하고;
    (b) 상기 보드를 예열기를 통해 예열하며;
    (c) 금형에 상기 보드와 원단을 셋팅하고, 소정 온도로 예열된 상기 금형을 통해 상기 원단과 보드를 압착하여 일정 형태의 내장 제품을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금형에 상기 보드와 원단을 개별적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 의한 상기 보드와 원단의 압착 성형 공정에서만 상기 원단에 열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로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KR1020130156692A 2013-12-16 2013-12-16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KR20150069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692A KR20150069938A (ko) 2013-12-16 2013-12-16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692A KR20150069938A (ko) 2013-12-16 2013-12-16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938A true KR20150069938A (ko) 2015-06-24

Family

ID=5351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692A KR20150069938A (ko) 2013-12-16 2013-12-16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993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905A (ko) 2018-12-21 2020-07-01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러기지 보드 제조방법
KR20200077908A (ko) 2018-12-21 2020-07-01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KR20200077898A (ko) 2018-12-21 2020-07-01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KR20200077901A (ko) 2018-12-21 2020-07-01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KR20200077900A (ko) 2018-12-21 2020-07-01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KR20200077899A (ko) 2018-12-21 2020-07-01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905A (ko) 2018-12-21 2020-07-01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러기지 보드 제조방법
KR20200077908A (ko) 2018-12-21 2020-07-01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KR20200077898A (ko) 2018-12-21 2020-07-01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KR20200077901A (ko) 2018-12-21 2020-07-01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KR20200077900A (ko) 2018-12-21 2020-07-01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KR20200077899A (ko) 2018-12-21 2020-07-01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러기지 보드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9938A (ko)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US10005246B2 (en) Methods for making interior panels for motor vehicles
US9770849B2 (en) Method of making a sandwich-type, compression-molded, composite component having improved surface appearance
US10279512B2 (en) Method of making a laminated trim component at a molding station
JPH08142770A (ja) 自動車用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285194A (zh) 汽车备胎盖板成型装置及其成型方法
US970105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molded member
KR101558603B1 (ko) 차량용 헤드라이닝 제조 방법
US7005099B2 (en) Method of forming an interior trim component
MX2015006509A (es) Metodo para producir componentes de al menos dos capas, y componente.
EP2875930A1 (en) Press molding with reinforcing rib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50321396A1 (en) Method of making a trimmed, laminated trim component
KR101954178B1 (ko) 단일니들펀칭기를 이용한 상, 하 방향 동시 니들펀칭에 의한 3층 복합부직포 제조방법
US20190389102A1 (en) Method of Making a Trim Component Having an Edge-Wrapped, Fibrous Decorative Covering
JPH1148877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US10166704B2 (en) Method of making a laminated trim component at a pair of spaced first and second molding stations
JP5049410B1 (ja) パッケージトレイおよびパッケージトレイの製造方法
CN201544878U (zh) 一种不带脱模剂的汽车内饰顶篷
KR101421951B1 (ko) 사이드인슐레이터 및 그 제조방법
JPH06312464A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JP5994494B2 (ja) 車両内装品の製造方法
US20150321395A1 (en) Method of making a laminated trim component
KR100769091B1 (ko) 가죽 표면을 갖는 사출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9310A (ko) 원단 접착 생산성이 향상된 차량용 리어 시트 백커버 제조방법
JP2015517036A (ja) 異なる硬度の不織布複合層製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