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228B1 - 능동 및 수동 겸용 기립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능동 및 수동 겸용 기립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228B1
KR102184228B1 KR1020180150993A KR20180150993A KR102184228B1 KR 102184228 B1 KR102184228 B1 KR 102184228B1 KR 1020180150993 A KR1020180150993 A KR 1020180150993A KR 20180150993 A KR20180150993 A KR 20180150993A KR 102184228 B1 KR102184228 B1 KR 102184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ing
connection frame
assistance device
standing suppo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649A (ko
Inventor
이규창
이동건
표승현
강필식
Original Assignee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0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2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38Manual lifting aids, e.g. frames or 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립 보조 장치는 능동적인 기립의 보조를 넘어서 수동적인 보조 또한 가능하면서 기립뿐만 아니라 일어선 이후 다른 곳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노인 및 장애인의 일상생활 영역의 증가 및 질적 향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보조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능동 및 수동 겸용 기립 보조 장치{Active and passive stand-up assistance device}
본 발명은 이동식 능동 및 수동 겸용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인과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들은 인지기능 저하뿐만 아니라 하지의 관절 가동성 제한, 통증, 근력 약화 및 균형 능력 저하와 같은 신체적인 기능 저하를 보인다. 특히, 노인의 경우 인구 10명 중 약 8명이 무릎 관절에 퇴행성 질환인 퇴행성 관절염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은 노화로 시작되어 관절의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악화되며, 관절 통증, 근 약화 등을 유발하여 독립적인 기립 활동을 어렵게 한다.
기립은 앉은 상태에서 일어나는 동작으로, 인간이 살아가면서 매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동작이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움직임 중 하나이기 때문에 신체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활동이다. 노인 및 장애인은 신체 기능의 저하와 퇴행성 질환 등으로 독립적인 기립에 어려움을 가지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침대에서 다른 침대, 의자, 휠체어 등으로의 이동 제한, 일상생활 활동 반경의 감소 등으로 삶의 질이 저하된다.
이러한 노인 및 장애인의 기립은 주로 보호자나 간병 인력이 보조하고 있는데, 보호자나 간병 인력이 허리를 구부려 숙인 자세로 환자의 신체를 직접 들거나 다리와 몸을 지지하여 앞쪽으로 끌어당겨 기립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보조자가 직접 신체를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반복적인 동작으로 허리와 같은 신체 특정 부위에 부하가 가해져 근·골격계 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독립적인 기립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기립을 보조하는 의자 형태의 기립 보조 장치의 개발이 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의자 형태의 기립 보조 장치는 기립 보조 기능을 갖춘 특정한 의자에서의 기립만을 보조할 수 있으며, 좌판 각도 조절을 통한 능동적인 기립 동작의 보조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하지 근력이 심하게 감소한 허약한 노인 및 장애인은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여전히 수동적인 보조를 위해서는 보조자가 허리를 굽히거나 힘으로 끌어당겨야 한다는 제한이 있으며, 기립한 이후에 다른 침대나 의자, 휠체어 등으로의 이동 보조는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623699호
본 발명자들은 능동적인 동작의 보조를 넘어서 수동적인 보조 또한 가능하면서, 기립뿐만 아니라 일어선 이후 다른 곳으로의 이동 또한 안전하게 보조해줄 수 있는 보조 장치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능동 또는 수동적으로 효율적인 기립이 가능함과 동시에 기립 후 이동이 가능한 보조 장치를 고안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 보조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능동적인 동작의 보조를 넘어서 수동적인 보조 또한 가능하면서, 기립뿐만 아니라 일어선 이후 다른 곳으로의 이동 또한 안전하게 보조해줄 수 있는 보조 장치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능동 또는 수동적으로 효율적인 기립이 가능함과 동시에 기립 후 이동이 가능한 보조 장치를 고안하였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바퀴(110)가 구비된 하부 이동판(100); 상기 하부 이동판의 양측 단부에 힌지(hinge) 연결된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0);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연결된 한 쌍의 기립 지지대(3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과 상기 기립 지지대는 결착부(210) 및 결착부재(220)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기립 지지대는 막대(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좌우로 이격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연결 프레임에 연결된 것인,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립 보조 장치는 능동적인 기립의 보조를 넘어서 수동적인 보조 또한 가능하면서 기립뿐만 아니라 일어선 이후 다른 곳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노인 및 장애인의 일상생활 영역의 증가 및 질적 향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보조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장치의 기립 지지대의 진자형 운동 전과 후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장치의 능동 또는 수동 기립 시 기립 지지대의 진자형 운동 전과 후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기립 보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립 보조 장치(1)는 복수 개의 바퀴(110)가 구비된 하부 이동판(100);
상기 하부 이동판의 양측 단부에 힌지(hinge) 연결된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0);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연결된 한 쌍의 기립 지지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립 보조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도 2는 본 발명의 기립 보조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를 나타낸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장치는 복수 개의 바퀴(110)가 구비된 하부 이동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동판은 사용자가 상기 하부 이동판 위에 기립을 완료한 후, 보조자가 이를 원하는 위치까지 수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동판은 사각의 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이동판이 사각의 판 형태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바퀴는 상기 하부 이동판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동판의 복수 개의 바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잠금 장치(120)가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바퀴가 고정될 수 있게 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기립 보조 장치를 고정하여 안전하게 능동 또는 수동 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장치는 상기 하부 이동판(100)의 양측 단부에 힌지(hinge) 연결된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하기에서 자세하게 설명할 기립 지지대(300)와 결착부(210) 및 결착부재(220)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착부는 상기 기립 지지대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결착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 프레임에 잠금되어 풀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힌지 회전 축(230)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 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은 사용자가 능동 또는 수동 기립하는 동안 원치 않는 각도의 변경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립 지지대(3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장치는 상기 연결 프레임(200)에 연결된 한 쌍의 기립 지지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립 지지대는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기립할 때, 이를 손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체중을 전상방으로 이동시켜 하지의 근력 및 기립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립 지지대는 막대(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좌우로 이격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연결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립 지지대는 타단에 손잡이(310)가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립 지지대는 상기 한 쌍의 기립 지지대 사이에서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양단이 상기 기립 지지대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가로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가로 프레임은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팔을 앞쪽으로 뻗어 상기 기립 지지대를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기립 지지대 사이에서 상하로 여러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립 지지대는 상기 한 쌍의 기립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다수 개의 가로 프레임과 이격 배치되되, 상기 기립 지지대에 결합되는 무릎 보호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릎 보호판은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상기 기립 지지대를 잡아 당길 때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지렛대의 원리로 하지의 근력 및 기립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립 지지대는 사용자의 능동 또는 수동 기립을 위하여, 상기 연결 프레임의 힌지 회전 축(230)을 중심으로 진자(pendular)형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립 보조 장치의 기립 지지대의 진자형 운동 전과 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기립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힌지 회전 축을 중심으로 사용자 측 또는 보조자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능동 기립 시에는 상기 기립 지지대를 보조자 측으로 고정하여 사용자가 상기 기립 지지대의 가로 프레임을 순차로 잡고 당기는 힘으로 체중을 전상방으로 이동시켜 기립할 수 있다.
또한, 수동 기립 시에는 상기 기립 지지대를 사용자 측으로 고정하여 상기 기립 지지대의 손잡이를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한 후, 보조자가 상기 기립 지지대의 각도를 보조자 측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을 전상방으로 이동시켜 기립하도록 할 수 있다.
1: 기립 보조 장치
100: 하부 이동판 110: 바퀴
120: 잠금 장치 200: 연결 프레임
210: 결착부 220: 결착부재
230: 힌지 회전 축 240: 고정 홈
300: 기립 지지대 310: 손잡이
320: 가로 프레임 330: 무릎 보호판

Claims (5)

  1. 복수 개의 바퀴(110)가 구비된 하부 이동판(100);
    상기 하부 이동판의 양측 단부에 힌지(hinge) 연결된 한 쌍의 연결 프레임(200);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연결된 한 쌍의 기립 지지대(3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과 상기 기립 지지대는 결착부(210) 및 결착부재(220)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기립 지지대는 막대(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좌우로 이격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연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기립 지지대는 상기 한 쌍의 기립 지지대 사이에서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양단이 상기 기립 지지대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가로 프레임(320); 및 상기 한 쌍의 기립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다수 개의 가로 프레임과 이격 배치되되, 상기 기립 지지대에 결합되는 무릎 보호판(330)을 포함하고,
    상기 기립 지지대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힌지 회전 축(230)을 중심으로 진자(pendular)형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힌지 회전 축(230)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 홈(240)을 포함하는 것인, 기립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지지대는 상기 기립 지지대의 타단에 부착된 손잡이(310)를 포함하는 것인, 기립 보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이동판의 복수 개의 바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잠금 장치(120)가 부착된 것인, 기립 보조 장치.
KR1020180150993A 2018-11-29 2018-11-29 능동 및 수동 겸용 기립 보조 장치 KR102184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993A KR102184228B1 (ko) 2018-11-29 2018-11-29 능동 및 수동 겸용 기립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993A KR102184228B1 (ko) 2018-11-29 2018-11-29 능동 및 수동 겸용 기립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49A KR20200064649A (ko) 2020-06-08
KR102184228B1 true KR102184228B1 (ko) 2020-11-27

Family

ID=7108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993A KR102184228B1 (ko) 2018-11-29 2018-11-29 능동 및 수동 겸용 기립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2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0703A (ja) * 2009-06-30 2011-01-20 Paramount Bed Co Ltd 移乗支援機
US20170165139A1 (en) * 2014-05-07 2017-06-15 Blue Orchid Care Inc. Assistive device,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718B2 (ja) * 1990-12-27 1994-10-26 喜美 早川 人体の移乗装置
KR101623699B1 (ko) 2016-01-15 2016-05-23 진은경 기립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0703A (ja) * 2009-06-30 2011-01-20 Paramount Bed Co Ltd 移乗支援機
US20170165139A1 (en) * 2014-05-07 2017-06-15 Blue Orchid Care Inc. Assistive device,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49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6369B2 (ja) 介護補助装置
US11202730B2 (en) Patient transfer and training aid
ES2369469T3 (es) Dispositivo para soporte de equilibrio y orientación corporal.
US20150359692A1 (en) Sit-to-stand apparatus and method
US6742523B2 (en) Ambulator and gait harness system
US10583066B1 (en)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djustable walker
KR101839501B1 (ko) 보행 교정기
CN105853156A (zh) 康复助行器
US10376437B2 (en) Gait assist apparatus
US4307715A (en) Ambulatory aid
JP2012115566A (ja) 下肢屈伸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KR102054767B1 (ko) 운동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건강침대 시스템
KR102184228B1 (ko) 능동 및 수동 겸용 기립 보조 장치
KR101317559B1 (ko) 각도 조절 교정테이블
JP5672616B2 (ja) 身体起立支援支持具付き歩行器
KR200490704Y1 (ko)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
KR20210073159A (ko) 보행보조기
JP2018079132A (ja) 下肢動作支援装具
KR102039222B1 (ko) 기립 보조 장치
KR200484810Y1 (ko) 편마비 환자용 수동형 보행재활 훈련장치
KR102026786B1 (ko) 보행 보조차의 접철장치
KR101527593B1 (ko) 전보행 재활 훈련기
US6626200B1 (en) Therapeutic walking aid
CN109106524A (zh) 一种自动移动残疾人轮椅装置
JP2019092986A (ja) 移動補助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