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074B1 -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 - Google Patents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074B1
KR102183074B1 KR1020180171666A KR20180171666A KR102183074B1 KR 102183074 B1 KR102183074 B1 KR 102183074B1 KR 1020180171666 A KR1020180171666 A KR 1020180171666A KR 20180171666 A KR20180171666 A KR 20180171666A KR 102183074 B1 KR102183074 B1 KR 102183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design
steel structure
machined par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2127A (ko
Inventor
치엔 쳉 후앙
Original Assignee
후 양 스틸 스트럭처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6146628A external-priority patent/TWI652645B/zh
Priority claimed from TW107132461A external-priority patent/TWI679506B/zh
Application filed by 후 양 스틸 스트럭처 엘티디 filed Critical 후 양 스틸 스트럭처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82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작업 인터페이스 상에 가공부품 편집 구역이 표시되고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서 각종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규격에 대해 가공 설계를 진행하고 이를 각각의 다른 설계 파일로 생성하게 되며, 그중 각각의 설계 파일은 서브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으며, 작업 인터페이스에 최소한 2개의 설계 파일을 불러와서 편집배열 작업을 진행하며, 작업 페이지 내에 각 설계 파일의 서브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하나의 완전한 실행 프로그램으로 조합하게 되며, 설계 변경이 필요할 경우, 작업 인터페이스에서 작업 페이지 중 변경하고자 하는 설계 파일을 직접 교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Method of designing of building materials with steel structure}
본 발명은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단락마다 가공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다시 총괄적 통합을 진행하는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물 건설 계획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단가 및 원활할 공정 진행을 위해 우선 필요한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규격과 수량을 설계하고 통계 작업을 진행한다. 철골구조 건축자재는 오리지널 강철자재를 사용해 설계에 맞춰 서로 다른 단락으로 절단하여 가공 제작하게 되며, 엔지니어가 필요한 철골구조 건축자재 규격 설계를 완료한 후, 총 길이가 오리지널 강철자재를 초과하지 않는 여러 개의 단락을 함께 편집하여 생산함으로써 최적화된 원료 이용률을 달성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컴퓨터 과학 기술의 발달로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설계 작업은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완성된다. 도1,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공 설계 방법은 통으로 된 오리지널 강철자재(61)를 대상으로 하여 그 길이 연신 방향에 맞춰 4줄의 철골구조를 배열하고, 가공 프로그램에서 각 철골구조 건축자재 단락(62~65)의 순서대로 가공 프로그램을 편집 작성하게 되며,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가공 프로그램(7)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 해당 가공 프로그램(7)이 서로 다른 단락(62~65)을 여러 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과도하게 방대하게 보여지고, 복잡하게 표시된 프로그램 코드들로 인해 각 단락(62~65)에 소속된 부분을 분별해 내기 어렵다. 또한 예를 들어 그중 하나의 철골구조를 교체하는 것과 같은 설계 변경을 진행한 후, 프로그램 코드 수정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울 수밖에 없다. 이 외에도 한 곳을 작업하게 되면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 수정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쉽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입각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지가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주요 과제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필요한 규격에 따라 각 철골구조 건축자재 단락에 각각의 가공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이어서 가공이 적합한 여러 개의 철골구조 프로그램을 함께 통합함으로써 설계 변경 시 변경된 일부 가공 프로그램에 대해 직접 수정 작업을 진행하거나 혹은 해당 프로그램을 교체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고 작업 속도가 빠르며 또한 오류 발생이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을 제공하며, 해당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은
작업 인터페이스 상에 가공부품 편집 구역이 표시되고;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서 각종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규격에 대해 가공 설계를 진행하고 이를 각각의 다른 설계 파일로 생성하게 되며, 그중 각각의 설계 파일은 서브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으며;
작업 인터페이스에 최소한 2개의 서로 동일한 규격에 속하는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설계 파일을 불러와서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길이 방향에 의거하여 편집배열 작업을 진행하며;
작업 페이지 내에 각 설계 파일의 서브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하나의 완전한 실행 프로그램으로 조합하게 되며;
설계 변경이 필요할 경우, 작업 인터페이스에서 작업 페이지 중 변경하고자 하는 설계 파일을 직접 교체하게 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비교적 뛰어난 실시예는 해당 작업 인터페이스에 오리지널 강재 미리보기 구역을 표시하고, 해당 오리지널 강재 미리보기 구역에 각 설계 파일을 불러와서 편집배열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비교적 뛰어난 실시예는 각 설계 파일은 대표도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대표도는 소속된 철골구조 건축자재 길이 규격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추고 있으며, 각 설계 파일은 그 대표도의 길이로 오리지널 강재 미리보기 구역에서 편집배열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비교적 뛰어난 실시예는 해당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서 각종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규격에 대해 가공 설계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해당 가공 설계를 진행하는 방법은
가공부품 편집 구역 상에 가공부품 미리보기 구역, 파라미터 입력 구역,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을 표시하며;
가공부품 미리보기 구역에서 가공을 하고자 하는 가공부품을 선택하고, 해당 가공부품은 좌익상판, 우익상판, 복측판으로 정의되며;
해당 가공부품 미리보기 구역에서 해당 좌익상판, 우익상판, 복측판 중 하나를 선택하며;
해당 파라미터 입력 구역에 천공 가공에 사용할 파라미터를 입력하고, 그중 해당 파라미터는 진열식 배열의 천공을 생성하며;
해당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에서 각 천공이 상기 선택된 좌익상판, 우익상판 혹은 복측판 상에 배열되는 상황을 도형 방식으로 표시하며;
각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에서 그중 0개 혹은 1개 이상의 천공 도형을 선택해 삭제를 하고;
삭제되지 않은 각 천공 도형은 가공부품 상의 천공 위치의 좌표 파라미터로 전환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비교적 뛰어난 실시예는 해당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에서 각 천공의 배열 위치에 대해 가로 혹은 세로로 미러링 변화를 진행하는 것이다.
비교적 뛰어난 실시예는 해당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서 각종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규격에 대해 가공 설계하는 방법으로 해당 가공 설계 방법은
해당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 뒤집기 명령이 표시되며;
해당 뒤집기 명령을 실행 시, 해당 가공부품 상에 그 연신 방향을 따라 X축, 해당 X축과 수직을 이루는 Y축, 그리고 해당 X축 및 해당 Y축과 동시에 수직을 이루는 Z축이 정의되며, 해당 X축, Y축, Z축 세 축이 서로 교차되는 곳에 원점이 정의되고, 해당 좌익상판, 우익상판, 및 복측판에는 각각 해당 원점과 서로 대응되는 시작점이 정의되며;
해당 가공부품을 해당 X축, Y축 혹은 Z축과 평행이 되는 회전축을 축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을 진행시키고, 또한 해당 가공부품이 아직 회전되지 않았을 때의 원점, 그 시작점과 좌표 파라미터의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해당 가공부품 상에서 X축, Y축 및 Z축 최대 길이를 이용해 해당 가공부품이 회전 후 해당 좌표 파라미터와 서로 대응되는 상대 좌표 파라미터를 구하고 난 후, 다시 해당 상대 좌표 파라미터를 해당 좌표 파라미터로 대체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흐름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서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규격에 대해 가공 설계를 진행하는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 도6은 본 발명의 작업 인터페이스 부분 구역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설계 파일 내의 가공부품 및 좌표 파라미터를 뒤집기 작업을 진행하는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3개의 가공부품을 편집배열 작업할 때의 상태를 표시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회전시키고자 하는 가공부품을 아직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를 표시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가공부품에 대해 뒤집기 명령으로 회전시킨 후의 상태를 표시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3개의 가공부품이 최적화된 편집배열상태에 도달한 상태를 표시한다.
도12는 종래의 설계 방법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효과 및 구조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은,
작업 인터페이스 상에 가공부품 편집 구역이 표시되고;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서 각종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규격에 대해 가공 설계를 진행하고 이를 각각의 다른 설계 파일로 생성하게 되며, 그중 각각의 설계 파일은 서브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으며;
작업 인터페이스에 최소한 2개의 서로 동일한 규격에 속하는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설계 파일을 불러와서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길이 방향에 의거하여 편집배열 작업을 진행하며;
작업 페이지 내에 각 설계 파일의 서브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하나의 완전한 실행 프로그램으로 조합하게 되며;
설계 변경이 필요할 경우, 작업 인터페이스에서 작업 페이지 중 변경하고자 하는 설계 파일을 직접 교체하게 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설계 방법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2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작업 인터페이스(1)를 구현할 수 있고, 해당 인터페이스는 복수 개의 기능 구역을 갖추고 있으며, 본 실시예 중에서는 해당 작업 인터페이스(1)는 오리지널 강재 미리보기 구역(2) 및 가공부품 편집 구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중 해당 오리지널 강재 미리보기 구역(2)에는 외테두리(21)가 표시되어 가공 및 절단을 거치지 않은 오리지널 강철자재(22)를 나타내고 있다.
엔지니어가 필요한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규격과 수량에 관한 기획 및 통계 작업을 완료한 후, 해당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서 각종 규격에 대해 설계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 프로그램을 편집하는 경우, 사용되는 칼날, 가공 위치, 가공 방법 등과 같은 내용을 편집하고 나서 이를 설계 파일로 저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설계 파일 내용은 오리지널 강철자재에 대한 가공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오리지널 강철자재 가공에 필요한 규격에 관한 프로그램으로서 여기서 「서브 프로그램」의 개념으로 칭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규격을 대표하는 모든 종류의 설계 파일은 각각 하나의 서브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게 된다.
도3,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서 각종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규격에 대해 가공 설계하는 방법은
가공부품 편집 구역 상에 가공부품 미리보기 구역, 파라미터 입력 구역,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을 표시하며;
가공부품 미리보기 구역에서 가공을 하고자 하는 가공부품을 선택하고, 해당 가공부품은 3D 공간 벡터에서 좌익상판, 우익상판, 복측판으로 정의되며;
해당 가공부품 미리보기 구역에서 해당 좌익상판, 우익상판, 복측판 중 하나를 선택하며;
해당 파라미터 입력 구역에 천공 가공에 사용할 파라미터를 입력하고, 그중 해당 파라미터는 진열식 배열의 천공을 생성하며;
해당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에서 각 천공이 상기 선택된 좌익상판, 우익상판 혹은 복측판 상에 배열되는 상황을 도형 방식으로 표시하며;
각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에서 그중 0개 혹은 1개 이상의 천공 도형을 선택해 삭제를 하고;
삭제되지 않은 각 천공 도형은 가공부품 상의 천공 위치의 좌표 파라미터로 전환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도5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파라미터 입력 구역(32)에 입력되는 파라미터는 구멍 수량, 구멍 거리, 시작 구멍 좌표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고, 해당 파라미터를 입력한 후 생성되는 천공을 진열식으로 배열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천공 도형은 해당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33)에 표시된다. 엔지니어가 복측판을 선택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시스템에서 복측판의 좌측 하단각을 참고 원점으로 내정하고, 시작 구멍 위치를 구멍 그룹 좌측 하각 구멍으로 정의하고, 해당 파라미터 입력구역(32)에 시작 구멍 좌표(6080, 110)를 입력한 후, X축방향에 4줄의 구멍을 설정하고, 각 구멍의 거리는 각각 60, 120, 60으로 설정하며, Y축방향에 4줄의 구멍을 설정하고, 각 구멍의 거리는 60으로 설정했다. 그 결과 해당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33) 상에 도형화된 후의 진열식 천공 위치 배열이 표시되었다.
진열식 천공 위치를 기초로 하여 만약 실제 설계와 서로 비교했을 때의 차이는 단지 그중 일부 위치의 천공의 유무이며, 즉 해당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33)에서 설치하고 싶지 않은 천공 위치(A)에 존재하는 천공 도형을 선택한 후 삭제하기를 바로 진행할 수 있고, 해당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33)에는 도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수정 후 편집된 천공 배열 상황이 즉시 나타나게 되어 사용자가 쉽게 식별하고 판독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해당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33)에서 각 천공의 배열 위치에 대해 가로 혹은 세로로 미러링 변화를 진행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어서 천공 위치 편집을 완료한 후,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계산 능력을 이용해 해당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33) 상에서 삭제가 되지 않은 각 천공 도형을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가공부품 상의 천공 위치 좌표 파라미터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 중, 현존하는 각 천공의 좌표는 시스템에서 B포인트를 좌표의 참고 원점으로 내정하여 X축방향(0.00 60.00 180.00 240.00 0.00 60.00 180.00 60.00 240.00 0.00 60.00 180.00)으로 전환되었고, Y축방향(4*-90.00 3*-30.00 2*30.00 3*90.00)으로 전환되었다. 이것은,
가장 바닥 제1열:X축방향은(0.00 60.00 180.00 240.00)이고, Y축방향은(-90.00 -90.00 -90.00 -90.00)이며,
제2열:X축방향은(0.00 60.00 180.00)이고, Y축방향은(-30.00 -30.00 -30.00)이며,
제3열:X축방향은(60.00 240.00)이고, Y축방향은(30.00 30.00)이며,
제4열:X축방향은(0.00 60.00 180.00)이고, Y축방향은(90.00 90.00 90.00)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접속단자 구멍 그룹 설계를 완성한 후, 이를 접속단자 구멍 그룹 파일로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이후 동일한 규격의 접속단자 구멍 그룹 설계가 필요할 경우, 저장한 그룹 파일을 불러와서 바로 사용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해당 철골구조 기타 부위의 가공 위치에 천공, 선그리기, 밀링 작업 등과 같은 설계를 완료한 후, 이를 바로 설계 파일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 설계 파일은 대표도(41~44)처럼 갱생될 수 있으며, 그 내용은 가공 완성 후의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해당 대표도(41~44)는 길이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길이는 소속된 설계 파일 중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길이 규격과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엔지니어가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각종 규격을 모두 설계 파일로 생성하고 난 후, 해당 오리지널 강재 미리보기 구역에서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길이에 의거하여 편집배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오리지널 강철자재(22)의 길이 범위 내에서 최소한 하나의 설계 파일을 선택해 불러오며, 불러온 설계 파일 종류와 수량은 반드시 최적화된 원료 이용률에 부합되어야 한다. 도2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중에서는 4개의 파일을 선택했고, 그중 해당 4개의 설계 파일이 대표하는 길이 규격의 총합은 반드시 오리지널 강철자재(22)의 길이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상술된 편집배열 동작 중, 본 발명은 각 설계 파일의 대표도(41~44)가 구비하고 있는 길이를 통해 철골구조 건축자재 완성품의 길이를 표시함으로써 엔지니어가 일목요연하게 직접적으로 관찰한 후 함께 편집배열하여 생산이 적합한 설계 파일을 선택해 불러올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상의 조작 편리성을 향상시켰다.
이어서 편집배열 작업이 완료된 후,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편집배열의 결과에 따라 작업 페이지 내의 각 설계 파일의 서브 프로그램(51~54)을 추출하여 완전한 실행 프로그램으로 조합하게 되며, 이를 가공기기에 제공해 해당 실행 프로그램이 오리지널 강철자재(22)에 대해 가공 작업을 진행하여 필요한 규격의 철골구조 건축자재 완성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내용은 엔지니어가 편집배열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만약 설계 파일 내의 가공부품 및 좌표 파라미터를 서로 뒤집어야만 최적화된 원료 이용률을 달성할 수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 엔지니어는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서 별도로 설계 파일에 대해 설계를 진행하여 좌표 파라미터와 가공부품을 서로 뒤집을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설계 방법은 도7, 도8에 표시된 바와 같고 그 내용은,
해당 가공부품 편집 구역(3)에 뒤집기 명령(34)이 표시되며;
해당 뒤집기 명령(34)을 실행 시, 해당 가공부품 상에 그 연신 방향을 따라 X축, 해당 X축과 수직을 이루는 Y축, 그리고 해당 X축 및 해당 Y축과 동시에 수직을 이루는 Z축이 정의되며, 해당 X축, Y축, Z축 세 축이 서로 교차되는 곳에 원점이 정의되고, 해당 좌익상판, 우익상판, 및 복측판에는 각각 해당 원점과 서로 대응되는 시작점이 정의되며;
해당 가공부품을 해당 X축, Y축 혹은 Z축과 평행이 되는 회전축을 축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을 진행시키고, 또한 해당 가공부품이 아직 회전되지 않았을 때의 원점, 그 시작점과 좌표 파라미터의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해당 가공부품 상에서 X축, Y축 및 Z축 최대 길이를 이용해 해당 가공부품이 회전 후 해당 좌표 파라미터와 서로 대응되는 상대 좌표 파라미터를 구하고 난 후, 다시 해당 상대 좌표 파라미터를 해당 좌표 파라미터로 대체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어서 설명해 보면, 상술한 가공 설계 방법은 설계 파일 내의 가공부품 및 좌표 파라미터를 180도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 도8~도11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공부품 미리보기 구역에 3개의 가공부품(D1, D2, D3)이 있고, 엔지니어가 도면 중 가장 우측의 가공부품(D3)을 Y축과 평행인 회전축으로 180도 회전을 진행할 때(즉, 해당 가공부품(D3) 상의 좌표 파라미터(F)를 새로운 위치로 다시 설정), 엔지니어는 뒤집기 명령을 통해 시스템에서 해당 가공부품(D3)의 원점O을 기초점으로 하고, 가공부품(D3)이 아직 회전되지 않았을 때의 시작점(C)과 해당 좌표 파라미터(F) 둘 사이의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해당 가공부품의 X축의 최대 길이(L) 및 해당 Z축의 최대 길이 길이(W), 그리고 가공부품(D3)이 회전 후의 시작점(C)을 참고점으로 함께 사용하여 해당 좌표 파라미터(F)가 회전 후의 상대 좌표 파라미터(G)를 연산해 내게 되며, 시스템은 해당 상대 좌표 파라미터(G)를 가공부품(D3) 내의 좌표 파라미터(F)로 대체함으로써 설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엔지니어는 파라미터 입력구역(32)에 별도로 파라미터를 다시 입력할 필요가 없이 가공부품(D1) 및 좌표 파라미터를 뒤집을 수 있으며 후속되는 설계 파일의 편집배열 작업 시 최적화된 원료 이용률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각종 규격의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프로그램을 각각 편집 생성하고, 다시 편집배열을 통해 하나의 완전한 실행 프로그램으로 조합하기 때문에 설계 상에 변경이 발생할 때, 오리지널 강재 미리보기 구역에서 작업 페이지 중 변경하고자 하는 설계 파일만 직접 교체하게 되면 간편하고 신속하게 가공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기술처럼 복잡하고 촘촘하게 쓰여진 프로그램 코드 내에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작업 시간 절약 및 오류 발생률 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결코 이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신청범위 내에서 가한 어떠한 첨가나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상술된 내용과 같은 기술 방안을 사용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뚜렷한 장점과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각종 규격의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프로그램을 각각 편집 생성하고, 다시 편집배열을 통해 하나의 완전한 실행 프로그램으로 조합하기 때문에 설계 상에 변경이 발생할 때, 오리지널 강재 미리보기 구역에서 작업 페이지 중 변경하고자 하는 설계 파일만 직접 교체하게 되면 간편하고 신속하게 가공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기술처럼 복잡하고 촘촘하게 쓰여진 프로그램 코드 내에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작업 시간 절약 및 오류 발생률 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작업 인터페이스 2: 오리지널 강재 미리보기 구역
21: 외테두리 22: 오리지널 강철자재
3: 가공부품 편집 구역 31: 가공부품 미리보기 구역
32: 파라미터 입력 구역 33: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
34: 뒤집기 명령 41~44: 대표도
51~54: 서브 프로그램 61: 오리지널 강철자재
62~65: 단락 7: 가공 프로그램
D1, D2, D3: 가공부품 F: 좌표 파라미터
G: 상대 좌표 파라미터 L, W: 길이

Claims (6)

  1. 컴퓨터를 이용한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으로서,
    작업 인터페이스 상에 가공부품 편집 구역이 표시되고;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서 각종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규격에 대해 가공 설계를 진행하고 이를 각각의 다른 설계 파일로 생성하게 되며, 그중 각각의 설계 파일은 서브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으며;
    작업 인터페이스에 최소한 2개의 서로 동일한 규격에 속하는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설계 파일을 불러와서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길이 방향에 의거하여 편집배열 작업을 진행하며;
    작업 페이지 내에 각 설계 파일의 서브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하나의 완전한 실행 프로그램으로 조합하게 되며;
    설계 변경이 필요할 경우, 작업 인터페이스에서 작업 페이지 중 변경하고자 하는 설계 파일을 직접 교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작업 인터페이스에 오리지널 강재 미리보기 구역을 표시하고, 해당 오리지널 강재 미리보기 구역에 각 설계 파일을 불러와서 편집배열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해당 각 설계 파일은 대표도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대표도는 소속된 철골구조 건축자재 길이 규격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추고 있으며, 각 설계 파일은 그 대표도의 길이로 오리지널 강재 미리보기 구역에서 편집배열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해당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서 각종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규격에 대해 가공 설계를 진행하는 방법은,
    가공부품 편집 구역 상에 가공부품 미리보기 구역, 파라미터 입력 구역,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을 표시하며;
    가공부품 미리보기 구역에서 가공을 하고자 하는 가공부품을 선택하고, 해당 가공부품은 3D 공간 벡터에서 좌익상판, 우익상판, 복측판으로 정의되며;
    해당 가공부품 미리보기 구역에서 해당 좌익상판, 우익상판, 복측판 중 하나를 선택하며;
    해당 파라미터 입력 구역에 천공 가공에 사용할 파라미터를 입력하고, 그중 해당 파라미터는 진열식 배열의 천공을 생성하며;
    해당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에서 각 천공이 상기 선택된 좌익상판, 우익상판 혹은 복측판 상에 배열되는 상황을 도형 방식으로 표시하며;
    각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에서 그중 0개 혹은 1개 이상의 천공 도형을 선택해 삭제를 하고;
    삭제되지 않은 각 천공 도형은 가공부품 상의 천공 위치의 좌표 파라미터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해당 천공 위치 도형 미리보기 구역에서 각 천공의 배열 위치에 대해 가로 혹은 세로로 미러링 변화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해당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서 각종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규격에 대해 가공 설계하는 방법은,
    해당 가공부품 편집 구역에 뒤집기 명령이 표시되며;
    해당 뒤집기 명령을 실행 시, 해당 가공부품 상에 그 연신 방향을 따라 X축, 해당 X축과 수직을 이루는 Y축, 그리고 해당 X축 및 해당 Y축과 동시에 수직을 이루는 Z축이 정의되며, 해당 X축, Y축, Z축 세 축이 서로 교차되는 곳에 원점이 정의되고, 해당 좌익상판, 우익상판, 및 복측판에는 각각 해당 원점과 서로 대응되는 시작점이 정의되며;
    해당 가공부품을 해당 X축, Y축 혹은 Z축과 평행이 되는 회전축을 축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을 진행시키고, 또한 해당 가공부품이 아직 회전되지 않았을 때의 원점, 그 시작점과 좌표 파라미터의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해당 가공부품 상에서 X축, Y축 및 Z축 최대 길이를 이용해 해당 가공부품이 회전 후 해당 좌표 파라미터와 서로 대응되는 상대 좌표 파라미터를 구하고 난 후, 다시 해당 상대 좌표 파라미터를 해당 좌표 파라미터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
KR1020180171666A 2017-12-29 2018-12-28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 KR102183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146628 2017-12-29
TW106146628A TWI652645B (zh) 2017-12-29 2017-12-29 Processing method for steel building materials
TW107132461A TWI679506B (zh) 2018-09-14 2018-09-14 鋼構建材之翻轉加工規劃方法
TW107132461 2018-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127A KR20190082127A (ko) 2019-07-09
KR102183074B1 true KR102183074B1 (ko) 2020-11-26

Family

ID=6716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666A KR102183074B1 (ko) 2017-12-29 2018-12-28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3074B1 (ko)
CN (1) CN1100084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5509B (zh) * 2019-09-06 2023-02-17 久瓴(江苏)数字智能科技有限公司 主屋面开洞加强节点的生成方法和装置
CN110765508B (zh) * 2019-09-06 2023-03-24 久瓴(江苏)数字智能科技有限公司 老虎窗山墙桁架节点的生成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1143915A (zh) * 2019-11-18 2020-05-12 中国化学工程第六建设有限公司 基于Tekla软件平台的钢结构模块化安装方法
CN111079222A (zh) * 2019-12-26 2020-04-28 南宁市松涛建筑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虚拟建筑系统
CN111209628A (zh) * 2020-01-15 2020-05-29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保温胶泥反射隔热涂料外墙外保温施工方法
CN111444563A (zh) * 2020-03-24 2020-07-24 陈东银 一种建筑模型与设计图一致性自动审查方法
CN111767691B (zh) * 2020-06-30 2024-05-07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计算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2570A (ja) * 2000-02-10 2001-08-17 Mukai Kensetsu Kk 建方支援システム
KR100535314B1 (ko) * 2003-04-22 2005-12-08 오용준 건축 철골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제작도면의 자동 생성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2349B2 (ja) * 1997-11-11 2004-09-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鉄骨構造物の設計支援システム
TWI282926B (en) * 2005-10-06 2007-06-21 Fashionow Co Ltd Template-based multimedia editor and editing method thereof
JP5387188B2 (ja) * 2009-07-13 2014-01-15 豊和工業株式会社 Ncプログラムの解析編集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2570A (ja) * 2000-02-10 2001-08-17 Mukai Kensetsu Kk 建方支援システム
KR100535314B1 (ko) * 2003-04-22 2005-12-08 오용준 건축 철골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제작도면의 자동 생성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08497B (zh) 2023-04-07
KR20190082127A (ko) 2019-07-09
CN110008497A (zh) 201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074B1 (ko)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가공 설계 방법
CN107315876B (zh) 一种预制梁的参数化建模生产方法
CN103454972B (zh) 基于ug nx api的刀具五轴数控磨削加工自动编程的方法
CN106471430B (zh) 加工程序编辑辅助装置
CN103310042B (zh) 用于布置三维角筋的方法
CN111914338B (zh) 一种参数化隧道明洞衬砌结构bim模型建立方法
CN112765700A (zh) 墙面砌块排布模型生成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US200301358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test component layouts
KR102183054B1 (ko) 철골구조 건축자재의 천공 가공 설계 방법
CN101464916B (zh) 集成电路版图的器件属性计算方法
CN115994404B (zh) 一种桥墩顶帽钢筋大样快速生成与工程算量方法
JP6571428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作図装置
TWI652645B (zh) Processing method for steel building materials
CN112182717B (zh) 基于bim的假山模型深化设计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3530436A (zh) 基于autocad.net api 的刀具设计图纸参数化生成方法
TW201025054A (en) User-friendly human interactive CAD/CAM system
Abdullayev Algorithmically and programming management of designing process of flexible manufacture system
TWI731548B (zh) 鋼構之截角加工規劃方法
CN117390757B (zh) 基于Dynamo技术的矩形混凝土梁多层主筋BIM建模方法
CN106909721B (zh) 一种可编辑断面获取方法和装置
CN114065350B (zh) 一种矩形结构分区下料精细化排布方法
CN101894016A (zh) 构件多特征点的动态对齐及显示方法
CN115454006A (zh) 工件加工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JP3172846B2 (ja) 形状処理装置
CN115601527A (zh) 一种基于g代码的创建试削毛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