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025B1 -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025B1
KR102183025B1 KR1020150172162A KR20150172162A KR102183025B1 KR 102183025 B1 KR102183025 B1 KR 102183025B1 KR 1020150172162 A KR1020150172162 A KR 1020150172162A KR 20150172162 A KR20150172162 A KR 20150172162A KR 102183025 B1 KR102183025 B1 KR 102183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roller
roller assembly
poi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866A (ko
Inventor
안영환
구자건
손남철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5017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0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창짝 제조용 프로파일에 롤러를 조립해주는 시간을 단축해줌으로써 생산효율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창짝 제조용 프로파일(10)을 일측으로 이송해주는 이송부(110); 상기 이송부(110) 상의 'A' 지점과 'B' 지점에 일렬로 이송된 두 개의 프로파일(10)을 각각 고정해주는 클램핑부(120); 상기 클램핑부(120)에 의해 각각 고정된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내에 공급받은 롤러(11)를 순차적으로 삽입해주는 롤러공급부(130); 및 상기 롤러조립홈(10a) 내에 삽입된 롤러(11)를 체결부재(V)를 매개로 체결 고정해주는 체결부재조립부(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Roller assembling machines for window and door and roller assemb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창짝 제조용 프로파일에 롤러를 조립해주는 시간을 단축해줌으로써 생산효율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햇빛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환기를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호는 재질에 따라 혹은 열림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될 수 있는데, 열림 방식에 따라서는 창짝을 안쪽으로 활짝 여닫을 수 있는 여닫이 방식과, 개폐 시 창짝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슬라이딩 방식 등이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는 창틀프레임의 레일 상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창짝의 저면홈부에 하나 이상의 롤러가 구비된다.
종래의 창짝 저면에 롤러를 체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창짝 저면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조립홈에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롤러를 삽입한 다음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정은 작업자가 창짝의 프로파일 양단부에 롤러를 수작업으로 직접 삽입한 다음, 체결부재를 매개로 일일이 체결해야 함에 따라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프로파일의 안착홈 내에 롤러를 자동으로 위치시켜줌과 아울러 상기 위치된 롤러를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해주는 '창호용 롤러조립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05130호로 선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롤러조립장치는 수작업으로 롤러를 조립해주는 경우에 비해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롤러 조립대상 프로파일의 공급과 위치고정, 그리고 롤러를 조립 및 배출시켜주는 사이클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일련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켜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창짝 제조용 프로파일의 롤러조립홈 내에 적어도 두 개의 롤러를 자동으로 삽입 체결하되, 롤러 조립 대상 프로파일을 한 번에 두 개씩 이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공급한 후 롤러의 삽입 및 고정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프로파일의 롤러조립홈 내부에 적어도 두 개의 롤러를 삽입 고정하는 공정을 이송부 상의 서로 다른 위치('A', 'B' 지점)에서 2단계에 거쳐 순차적으로 진행해줌으로써 단위 시간당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롤러조립기는, 슬라이딩 창짝 제조용 프로파일을 일측으로 이송해주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상의 'A' 지점과 'B' 지점에 일렬로 이송된 두 개의 프로파일을 각각 고정해주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에 의해 각각 고정된 프로파일의 롤러조립홈 내에 공급받은 롤러를 순차적으로 삽입해주는 롤러공급부; 및 상기 롤러조립홈 내에 삽입된 롤러를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 고정해주는 체결부재조립부;를 포함한다.
상기 창호용 롤러조립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프로파일을 일렬로 이송 공급하는 제1단계; 상기 이송부에 의해 'A' 지점으로 먼저 이송된 프로파일을 클램핑부를 통해 고정한 후, 고정된 프로파일의 롤러조립홈 내에 롤러를 삽입 및 고정하는 제2단계; 상기 'A' 지점의 프로파일에 롤러의 삽입 및 고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B' 지점에 또 다른 프로파일을 이송시키는 제3단계; 상기 'B' 지점에 이송된 프로파일을 클램핑부를 통해 고정한 후, 고정된 프로파일의 롤러조립홈 내에 롤러를 삽입 및 고정하는 제4단계; 상기 'A' 지점에서 롤러 조립 공정이 완료된 프로파일을 이송 배출하는 제5단계; 및 상기 'B' 지점에서 롤러 조립 공정이 완료된 프로파일을 이송 배출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롤러 조립 대상 프로파일의 조립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2단계 내지 제6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호용 롤러조립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조립방법은, 상기 이송부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프로파일을 일렬로 이송 공급하는 제1단계; 상기 이송부에 의해 최초 'B' 지점으로 이송된 프로파일을 클램핑부를 통해 고정한 후, 고정된 프로파일의 롤러조립홈 일측(이송방향의 선단)에 롤러를 삽입 및 고정하는 제2단계; 상기 'B' 지점에서 롤러가 조립된 프로파일을 'A' 지점으로 이송 및 고정한 후, 고정된 프로파일의 롤러조립홈 타측(이송방향의 후단)에 나머지 롤러를 삽입 및 고정하는 제3단계; 상기 'A' 지점에서 롤러가 삽입 및 고정되는 동안 'B' 지점에 또 다른 프로파일을 이송 및 고정하는 제4단계; 및 상기 'B' 지점에 위치된 프로파일의 롤러조립홈 일측(이송방향의 선단)에 롤러를 삽입 및 고정하는 동안, 상기 'A' 지점에서 롤러 조립이 완료된 프로파일을 이송 배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롤러 조립 대상 프로파일의 조립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3단계 내지 제5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창짝 제조용 프로파일에 롤러를 조립하는 일련의 공정을 한 번에 두 개의 프로파일에 동시에 실시하거나, 또는 롤러를 로립하는 일련의 공정을 2단계로 분리하여 연속적으로 실시해줌으로써 롤러조립기를 통과하는 프로파일의 수량을 늘릴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위시간당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롤러조립기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부의 측면도 및 작동상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공급부의 측면도 및 작동상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조립부의 측면도 및 작동상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조립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조립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롤러조립기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롤러조립기(100)는, 슬라이딩 창짝 제조용 프로파일(10)을 일측으로 이송해주는 이송부(110)와, 이송부(110) 상의 'A' 지점과 'B' 지점에 일렬로 이송된 두 개의 프로파일(10)을 각각 고정해주는 클램핑부(120)와, 클램핑부(120)에 의해 각각 고정된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내에 공급받은 롤러(11)를 순차적으로 삽입해주는 롤러공급부(130)와, 롤러조립홈(10a) 내에 삽입된 롤러(11)를 체결부재(V)를 매개로 체결 고정해주는 체결부재조립부(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송부(110)는 롤러조립기(100)의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롤러 조립 대상 프로파일(10)의 저면을 지지해줌과 아울러, 일측으로 이송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프로파일(10)은 사각틀 형상으로 조립되는 창짝의 네 개의 프로파일 중 롤러(11)가 조립되는 하측 부분이다. 이러한 프로파일(10)은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롤러(11)가 상측에서 하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롤러조립홈(10a)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송부(110)는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일측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나, 또는 복수의 롤러부재(1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로파일(10)의 개별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부(110)의 구조를 복수의 롤러부재(111)가 이격 설치되고, 그 위에 놓인 프로파일(10)의 양측면을 그립퍼(113)가 파지한 상태로 이송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주는 구조로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파일(10)을 원하는 방법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면 이송부(110)를 다양한 구조로 변경 적용할 수 있다.
클램핑부(120)는 이송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A' 지점과 'B' 지점에 이송된 두 개의 프로파일(10)을 각각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클램핑부(120)는 공압을 공급받아 전·후진 작동되는 로드(123)를 구비하는 실린더(121)와, 로드(123)의 선단에 구비되어 전진 작동시 프로파일(10)의 양 측면을 가압 고정해주는 가압부재(125)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핑부(120)는 프로파일(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가압 고정해주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송된 프로파일(1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해줄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경적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롤러공급부(130)는 복수의 롤러(11)가 수납된 피더(Feeder)(131)(도 1 참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롤러(11)를 파지하여 로딩된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내에 삽입해주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롤러조립홈(10a)에 삽입되는 롤러(11)는 표준창의 경우 두 개가 이격되게 조립되고, 언발란스창의 경우에는 롤러(11) 세 개가 이격되게 조립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프로파일(10)에 롤러(11)가 두 개씩 조립되는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롤러공급부(130)는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X, Y, Z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부재(135)를 포함하는 가이드모듈(133)과, 이송부재(135) 상에 일체로 설치되어 피더(131)에 적재된 복수의 롤러(11)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해주는 그립(13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피더(131)는 회전하는 원판 상에 조립대상 롤러(11) 복수 개가 적재되고, 그립(137)은 상기 복수의 롤러(11)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한 후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내부에 삽입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모듈(133)과 그립(137)은 물류 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요소로 이에 대한 자세한 작동원리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체결부재조립부(140)는 롤러공급부(130)에 의해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내에 삽입된 롤러(11)를 체결부재(V)를 매개로 체결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조립부(140)는 이송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송패널(143)을 구비하는 가이드모듈(141)과, 이송패널(143) 상에 일체로 설치되어 파츠피더(145)로부터 인출된 체결부재(V)를 롤러(11)의 체결공 내에 체결 고정해주는 전동드라이버모듈(147)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재조립부(140)는 이송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동드라이버모듈(147)이 왕복 이동되면서 'A', 'B' 지점(도 1 참조)의 프로파일(10) 내에 삽입된 롤러(11)를 순차적으로 고정해줄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조립부(140)는 작업의 신속성을 위해 'A', 'B' 지점에 제각기 고정된 프로파일(10)에 롤러(11) 체결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 대응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롤러조립기(100)를 이용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조립방법에 대하여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110)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롤러(11) 조립 대상 프로파일(10)을 일렬로 이송 공급한다(제1단계).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A' 지점으로 먼저 이송된 프로파일(10)을 클램핑부(120)를 통해 고정한 후, 롤러공급부(130) 및 체결부재조립부(140)를 이용하여 고정된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내에 적어도 두 개의 롤러(11)를 순차적으로 삽입 및 고정한다(제2단계).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A' 지점의 프로파일(10)에 롤러(11)의 삽입 및 고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B' 지점에 또 다른 프로파일(10)을 이송시킨다(제3단계).
상기 'B' 지점에 이송된 프로파일(10)을 클램핑부(120)를 통해 고정한 후, 고정된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내에 적어도 두 개의 롤러(11)를 순차적으로 삽입 및 고정한다(제4단계).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A' 지점에서 롤러 조립 공정이 완료된 프로파일(10)을 이송 배출한다(제5단계).
상기 'B' 지점에서 롤러 조립 공정이 완료된 프로파일(10)을 이송 배출한다(제6단계).
그리고 이송부(110)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롤러 조립대상 프로파일(10)의 조립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2단계 내지 제6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조립방법에서는 'A', 'B' 지점에 공급되는 프로파일(10)이 소정의 시간 차를 두고 이송되는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두 개의 프로파일(10)을 동시에 공급하고 롤러(11) 조립공정이 완료되면 동시에 배출 시키는 방법으로 변경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롤러조립기(100)를 이용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조립방법에 대하여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110)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프로파일(10)을 일렬로 이송 공급한다(제1단계).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최초 'B' 지점으로 이송된 프로파일(10)을 클램핑부(120)를 통해 고정한 후, 롤러공급부(130) 및 체결부재조립부(140)를 이용하여 고정된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일측(이송방향의 선단)에 롤러(11) 하나를 먼저 삽입 및 고정한다(제2단계).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B' 지점에서 하나의 롤러(11)가 조립된 프로파일(10)을 'A' 지점으로 이송 및 고정한 후, 고정된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타측(이송방향의 후단)에 나머지 롤러(11)를 삽입 및 고정한다(제3단계).
상기 'A' 지점에서 나머지 롤러(11)가 삽입 및 고정되는 동안 'B' 지점에 또 다른 프로파일(10)을 이송 및 고정한다(제4단계).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B' 지점에 위치된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일측(이송방향의 선단)에 롤러(11) 하나를 삽입 및 고정하는 동안, 상기 'A' 지점에서 롤러조립홈(10a)의 롤러 조립이 완료된 프로파일을 이송 배출한다(제5단계).
그리고 이송부(110)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롤러 조립대상 프로파일(10)의 조립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3단계 내지 제5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조립기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은, 창짝 제조용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내에 적어도 두 개의 롤러(11)를 자동으로 삽입 체결하되, 롤러 조립 대상 프로파일(10)을 한 번에 두 개씩 이송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공급한 후 롤러(11)의 삽입 및 고정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내에 적어도 두 개의 롤러(11)를 삽입 고정하는 공정을 이송부(110) 상의 서로 다른 위치('A', 'B' 지점)에서 2단계에 거쳐 순차적으로 진행해줌으로써 단위 시간당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프로파일 10a : 롤러조립홈
11 : 롤러 100 : 롤러조립기
110 : 이송부 111 : 롤러부재
113 : 그립퍼 120 : 클램핑부
121 : 실린더 123 : 로드
125 : 가압부재 130 : 롤러공급부
131 : 피더 133 : 가이드모듈
135 : 이송부재 137 : 그립
140 : 체결부재조립부 141 : 가이드모듈
143 : 이송패널 145 : 파츠피더
147 : 전동드라이버모듈 V : 체결부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슬라이딩 창짝 제조용 프로파일(10)을 일측으로 이송해주는 이송부(110);
    상기 이송부(110) 상의 'A' 지점과 'B' 지점에 일렬로 이송된 두 개의 프로파일(10) 양측에 대칭이 되도록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프로파일(10)을 각각 가압 고정해주는 클램핑부(120);
    상기 클램핑부(120)에 의해 각각 고정된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내에 공급받은 롤러(11)를 순차적으로 삽입해주는 롤러공급부(130); 및
    상기 롤러조립홈(10a) 내에 삽입된 롤러(11)를 체결부재(V)를 매개로 체결 고정해주는 체결부재조립부(140);를 포함하는 창호용 롤러조립기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10)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프로파일(10)을 일렬로 이송 공급하는 제1단계;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A' 지점으로 먼저 이송된 프로파일(10)을 클램핑부(120)를 통해 고정한 후, 고정된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내에 적어도 두 개의 롤러(11)를 순차적으로 삽입 및 고정하는 제2단계;
    상기 'A' 지점의 프로파일(10)에 롤러(11)의 삽입 및 고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B' 지점에 또 다른 프로파일(10)을 이송시키는 제3단계;
    상기 'B' 지점에 이송된 프로파일(10)을 클램핑부(120)를 통해 고정한 후, 고정된 프로파일(10)의 롤러조립홈(10a) 내에 적어도 두 개의 롤러(11)를 순차적으로 삽입 및 고정하는 제4단계;
    상기 'A' 지점에서 롤러 조립 공정이 완료된 프로파일(10)을 이송 배출하는 제5단계; 및
    상기 'B' 지점에서 롤러 조립 공정이 완료된 프로파일(10)을 이송 배출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롤러 조립 대상 프로파일(10)의 조립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2단계 내지 제6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조립기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











  7. 삭제
KR1020150172162A 2015-12-04 2015-12-04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 KR102183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162A KR102183025B1 (ko) 2015-12-04 2015-12-04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162A KR102183025B1 (ko) 2015-12-04 2015-12-04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866A KR20170065866A (ko) 2017-06-14
KR102183025B1 true KR102183025B1 (ko) 2020-11-25

Family

ID=5921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162A KR102183025B1 (ko) 2015-12-04 2015-12-04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942B1 (ko) * 2018-03-07 2018-09-18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호차 자동 장착장치
KR101991419B1 (ko) * 2018-11-12 2019-09-3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39B1 (ko) * 2011-04-20 2013-03-18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부품 자동 삽입기
KR20140105130A (ko) * 2013-02-22 2014-09-01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롤러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866A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025B1 (ko)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
JP6094020B2 (ja) 窓戸用ローラー組立装置
CN108637687A (zh) 一种全自动滚筒刷鸟笼装配机
KR101337803B1 (ko) 롤러조립기
CN104722441A (zh) 筷子自动化上漆装置的筷子上漆机构
EP3028962B1 (de) Förderkette für werkstücktransporteinrichtung
KR102053476B1 (ko) 창호용 프로파일의 보강재 자동 체결장치 및 방법
CN111517104A (zh) 挂具卸料装置
KR101729575B1 (ko) 복각 회동이 가능한 리벳팅 머신
US10414593B2 (en) Transport apparatus for conveying shoe vamp
KR102147525B1 (ko) 양문형 연동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KR101200315B1 (ko) 지퍼용 테이프의 결합장치
CN110549111A (zh) 一种挂锁自动化组装设备
KR101953514B1 (ko) 창호용 롤러조립장치
KR102036946B1 (ko) 창호용 롤러 인서팅 장치
CN108942220A (zh) 一种阀体自动组装设备
CN104117593B (zh) 碳刷架刷盒铆合工装
KR101402435B1 (ko) 창짝 스토퍼 자동 조립장치
KR20130133421A (ko) 창호용 필링피스 자동 조립장치
KR102270636B1 (ko) Pvc 창호용 보강 부재 가공장치
ATE417147T1 (de) Exzenterbetätigte harnischeinzugmechanik, damit ausgerüstete webmaschine, verfahren zum zusammenbau der genannten mechanik
KR101775752B1 (ko) 창호용 프로파일 자동 개공장치
CN207170840U (zh) 一种内轨装拨胶机构
CN104260543A (zh) 一种用于印花机的裁片定位装置和印花机
CN210849059U (zh) 一种窗帘卡扣组件组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