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740B1 -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등지방두께 판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등지방두께 판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740B1
KR102182740B1 KR1020190127060A KR20190127060A KR102182740B1 KR 102182740 B1 KR102182740 B1 KR 102182740B1 KR 1020190127060 A KR1020190127060 A KR 1020190127060A KR 20190127060 A KR20190127060 A KR 20190127060A KR 102182740 B1 KR102182740 B1 KR 102182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base
polynucleotide
nucleotide sequence
polynucleotide cons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철
임다정
최봉환
박종은
차지혜
손주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2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24Animal traits, i.e. production traits, including athletic performance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반수체(Haplotype)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반수체를 이용하여 한우집단의 도체형질 중 하나인 등지방두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등지방두께가 감소된 고급육을 선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등지방두께 판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dentifying a bovine backfat thickness comprising an agent capable of detecting or amplifying a haplotype}
본 발명은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등지방두께 판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축 육종은 형질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고 선발된 가축을 이용하여 후대를 생산하고, 다시 이들 후대의 형질을 검정하여 우수한 가축을 선발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있다. 기존의 경우 가축이 사육과정에서 발현되는 표현형 정보를 바탕으로 통계적 방법에 따라 육종가치를 추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우수한 가축이 선별되어져 왔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보다 효용성이 높은 가축을 얻기 위해서는 다음 세대의 가축을 생산하는 데 쓰일 우수한 종축(breeding stock)을 선발(selection)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선발을 통한 개량 대상으로 하는 가축의 형질(산유량, 체중 등)은 대부분 많은 수의 유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 양적 형질(quantitative trait)이다. 양적 형질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유전자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환경요인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양적 형질에 있어서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적인 유전자 작용이나 특성과 같은 것을 규명하는 것이 질적 형질(qualitative trait)보다 극히 곤란하다. 때문에, 양적 형질의 유전을 연구하는데 통계적 방법이 강력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양적 형질에 영향을 주는 유전적 요인을 여러 환경 요인으로부터 분리하여 효과적으로 추정하고자 하는 연구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수행되어 왔다.
가축 개량을 위한 분자 유전학적 기법의 이용은 DNA 수준에서의 개체의 유전적 소질에 대한 연구를 가능토록 할 수 있을 것이며, 개량 대상형질에 관련된 유전자, 즉 주유전자(major gene) 혹은 양적 형질 유전자좌위(QTL: Quantitative Trait Loci)에 대한 직접적인 선발 혹은 양적 형질 유전자좌위(QTL)에 연관되어 있는 유전적 표지(genetic marker)에 대한 선발을 통해 유전적 소질을 실현시킬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표현형 정보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분자 유전학적인 정보의 추가적인 이용을 통해 유전적 개량을 보다 가속화할 수 있을 것이다. DNA 수준에서의 정보는 생산자뿐만 아니라 육종가들에게도 특정한 주요 변이체를 선발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이러한 DNA 정보는 표지인자 도움 선발(marker-assisted selection; MAS)이라고 하는 양적 형질(quantitative trait)의 선발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분자표지인자는 종축 등의 선발 정확도를 높이고 성별에 제한적인 형질을 선별할 수 있게 하며, 육질과 같은 도체 형질에 대해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등지방두께(backfat thickness)는 한우 집단의 도체형질(마블링,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중 하나로 농가에게 있어 중요한 경제형질이며 등급판정부위에서 배최장근단면의 오른쪽면을 따라 복부쪽으로 2/3 들어간 지점의 등지방을 mm 단위로 측정한 두께를 말하는데, 도체의 가격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형질중 하나로 소의 등급판정의 1차 기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의 시퀀싱 테크놀로지가 발전하면서 소의 복합성 형질중 하나인 도체형질에 대한 바이오마커를 선별하기 위해서 차세대염기서열(Next-Generation Sequencing) 해독 및 전장유전체연관분석을 이용하는 연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차세대염기서열 해독 및 전장유전체연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소의 도체형질에 대한 바이오마커를 선별하는 경우 상용칩을 사용하여 소의 도체형질에 대한 특정 바이오마커를 선별하는 경우에 비해서 보다 정확하게 소의 도체 형질과 연관된 마커를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소의 도체형질에 대한 바이오마커로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선별하여 사용해왔는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복합성 형질인 등지방두께를 예측하는 마커로 사용하는 경우, 복합성 형질인 등지방두께을 결정하는 인자들은 다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복합성 형질인 등지방두께를 예측시 그 정확성이 낮았던 문제가 있었다.
이에, 소수 개체가 아닌 집단 수준에서 사용 가능한 SNP 정보의 통합 후, 반수체 정보를 생산하여 이를 형질 예측에 활용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반수체(Haplotype)란 SNP보다 기능적으로 유의미한 자료로, 동일 염색체상 복수좌위에서의 대립형질의 조합을 의미하며, 반수체 자체가 양적형질좌위(QTL, Quantitative Trait Loci)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있다. 단일 SNP(bi-allelic)에 비교하여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되어, 초위성체(microsatellite)와 같이 각 개체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력이 높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반수체는 지속적으로 반수체 블록을 구성하여 세대에 전달되어 유지되므로 형질과 연관된 유전 분석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FASN 유전자내의 한우육 품질 판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한우육 품질 판별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25907), 소 등지방 두께 예측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예측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59136) 등이 있으나, 반수체를 이용하여 한우의 도체형질을 판별하는 방법은 개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보다 복합성 형질인 등지방두께를 예측하는데 더 유의성이 높은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의 조합인 반수체를 선별하여, 한우 도체형질 중 하나인 등지방두께와 고도의 유의성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의 도체형질을 판별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일염기다형성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반수체(Haplotype)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의 도체형질을 판별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조성물은 한우집단의 도체형질 중 하나인 등지방두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등지방두께가 감소되어 육량지수가 높은 고급육을 선별할 수 있다.
도 1은 한우 등지방두께 도체형질과 관련된 한우 반수체 마커를 선별하기 위해서 전장유전체연관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서열번호 2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3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C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4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5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6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7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8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9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0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1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2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3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4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5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6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7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8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9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및 서열번호 20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반수체(Haplotype)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뉴클레오티드"는 단일가닥 또는 이중가닥 형태로 존재하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리보뉴클레오티드며, 다르게 특별하게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자연의 뉴클레오티드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는 단일염기다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SNP는 세포핵 속의 염색체가 갖고 있는 30억 개의 염기 서열 중 개인의 편차를 나타내는 한 개 또는 수십 개의 염기변이를 말하며, 이로 인해 표현형, 약제에 대한 반응성 및 질병에 대한 내성 등의 차이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반수체(haplotype)는 일배체형과 동일한 의미이고,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시 하나의 염색체에 위치하고 유전되는 일련의 SNP들의 묶음을 의미하고, 이러한 반수체 또는 일배체형은 동일 염색체상에 존재하는 여러 SNP의 조합으로서 일정한 SNP의 패턴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연관불평형(Linkage Disequilibrium)" 이란 집단유전학에서 반드시 동일 염색체상에 존재하지는 않는 둘 이상의 유전자좌(loci)에서의 대립유전자의 비-무작위적 연관(non-random association)을 의미한다. 즉, 연관불평형은 서로 다른 위치의 대립형질들간의 결합의 척도로서, 만약 각 유전자가 완전히 독립적으로 배합된다면, 유전자 집합은 아마도 연관 평형(linkage equilibrium)을 유지할 것이나, 어떤 대립유전자들은 서로 같이 발견되는 예가 많으며 즉, 무작위적으로 뒤섞이지 않으며, 이런 대립유전자는 연관불평형상태에 있다. 이러한 연관불평형 상태는 대립유전자들이 서로 근접하여 위치하거나, 대립 형질들이 서로 모여 있으면 더 유리한 경우에 자연선택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핵산"은 DNA (gDNA 및 cDNA) 그리고 RNA 분자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갖으며, 핵산 분자에서 기본 구성 단위인 뉴클레오티드는 자연의 뉴클레오티드뿐만 아니라, 당 또는 염기 부위가 변형된 유사체(analogue)도 포함한다.
본 문서에서 용어 "등지방두께(backfat thickness)"는 농가에게 있어 중요한 경제형질로 배최장근단면의 오른쪽면을 따라 복부쪽으로 2/3 들어간 지점의 등지방을 mm 단위로 측정한 두께를 말하는데, 도체의 가격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형질중 하나로 도체중과 함께 등급판정의 1차 기준이 된다.
본 발명의 용어 "반수체 또는 SNP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란, 반수체를 구성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내 SNP가 포함된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SNP가 포함된 부위를 증폭시킬 수 있는 제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SNP가 포함된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프로브, 상기 SNP가 포함된 부위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는 포스포르아미다이트 고체 지지체 방법,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라이머는 상기 SNP가 포함된 부위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한, 당해 분야에 공지된 많은 수단을 이용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예로는 메틸화, 캡화, 천연 뉴클레오티드 하나 이상의 동족체로의 치환, 및 뉴클레오티드 간의 변형, 예를 들면, 하전되지 않은 연결체(예를 들어, 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카바메이트 등) 또는 하전된 연결체(예를 들어,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로의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핵산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공유 결합된 잔기, 예를 들면, 단백질(예를 들어, 뉴클레아제, 독소, 항체, 시그널 펩타이드, 폴리-L-리신 등), 삽입제(예를 들어, 아크리딘, 프로랄렌 등),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금속, 방사성 금속, 철, 산화성 금속 등) 및 알킬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는 필요한 경우, 분광학적, 광화학적, 생화학적, 면역화학적 또는 화학적 수단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 가능한 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지의 예로는, 효소(예를 들어,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제, 알칼린 포스파타아제), 방사성 동위원소(예를 들어, 32P), 형광성 분자 및 화학그룹(예를 들어, 바이오틴)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프로브"는 DNA 또는 RNA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수개 내지 수백 개의 염기에 해당하는 핵산 단편을 의미하며,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프로브, 단쇄 DNA(single stranded DNA) 프로브, 이중쇄 DNA(double stranded DNA) 프로브 또는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포스포르아미다이트 고체 지지체 방법,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브는 상기 SNP가 포함된 부위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한, 당해 분야에 공지된 많은 수단을 이용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예로는 메틸화, 캡화, 천연 뉴클레오티드 하나 이상의 동족체로의 치환, 및 뉴클레오티드 간의 변형, 예를 들면, 하전되지 않은 연결체(예를 들어, 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카바메이트 등) 또는 하전된 연결체(예를 들어,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로의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핵산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공유 결합된 잔기, 예를 들면, 단백질(예를 들어, 뉴클레아제, 독소, 항체, 시그널 펩타이드, 폴리-L-리신 등), 삽입제(예를 들어, 아크리딘, 프로랄렌 등),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금속, 방사성 금속, 철, 산화성 금속 등) 및 알킬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이의 5' 말단에 리포터가 추가로 더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리포터는 FAM(6-carboxyfluorescein), 텍사스 레드(texas red), 플루오레신(fluorescein), 플루오레신 클로로트리아지닐(fluorescein chlorotriazinyl), HEX(2',4',5',7'-tetrachloro-6-carboxy-4,7-dichlorofluorescein), 로다민 그린(rhodamine green), 로다민 레드(rhodamine red), 테트라메틸로다민(tetramethylrhodamine),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오레곤 그린(oregon green), 알렉사 플루오로(alexa fluor), JOE(6-Carboxy-4',5'-Dichloro-2',7'-Dimethoxyfluorescein), ROX(6-Carboxyl-X-Rhodamine), TET(Tetrachloro-Fluorescein), TRITC(tertramethylrodamine isothiocyanate), TAMRA(6-carboxytetramethyl-rhodamine), NED(N-(1-Naphthyl) ethylenediamine), 시아닌(Cyanine) 계열 염료 및 씨아디카르보시아닌(thiadicarbocyani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외에 당업계에서 리포터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이라고 알려진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이의 3' 말단에 소광자가 추가로 더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소광자는 TAMRA, BHQ(black hole quencher) 1, BHQ2, BHQ3, NFQ(nonfluorescent quencher), 답실(dabcyl), Eclipse, DDQ(deep dark quencher), 블랙베리 퀸처(Blackberry Quencher), 아이오와 블랙(Iowa black)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외에 당업계에서 소광자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이라고 알려진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에는 역전사 중합효소, DNA 중합효소, Mg2+와 같은 조인자, dATP, dCTP, dGTP 및 dTTP가 포함될 수 있다. 역전사된 cDNA를 증폭하기 위하여 다양한 DNA 중합효소가 본 발명의 증폭 단계에 이용될 수 있으며, DNA 중합효소의 예로 E.coli DNA 중합효소 I의 클레나우 단편, 열안정성 DNA 중합효소 또는 박테리오파지 T7 DNA 중합효소가 있다. 중합효소는 박테리아 그 자체로부터 분리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하거나 중합효소를 암호화하는 클로닝 유전자의 높은 레벨을 발현하는 세포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반수체는 한우 염색체 13번의 576,926bp에서 730,784bp 사이에 존재하는 SNP 마커군(20개)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기 한우 염색체 13번의 576,926bp에서 730,784bp 사이에 존재하는 SNP 마커군(20개)의 조합은 서열번호 1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서열번호 2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3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C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4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5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6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7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8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9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0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1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2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3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4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5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6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7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8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9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및 서열번호 20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도체형질은 등지방두께일 수 있고, 상기 소는 한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한우(韓牛, Korean Cattle, Hanwoo)" 는 종래부터 한반도에서 운반용이나 농경용으로 사육해오던 재래종의 역우(役牛)를 말하는 것으로 한국소(Bos taurus coreanae)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반수체(haplotype)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소의 도체형질을 판별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성물은 서열번호 1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서열번호 2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3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C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4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5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6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7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8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9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0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1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2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3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4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5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6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7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8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9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및 서열번호 20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SNP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내 SNP가 포함된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SNP가 포함된 부위를 증폭시킬 수 있는 제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SNP가 포함된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프로브, 상기 SNP가 포함된 부위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일 수 있다.
상기 키트는 PCR 키트, DNA 분석용 키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키트는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SNP 마커의 유전자형을 증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키트는 RT-PCR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T-PCR 키트는, 상기 SNP가 포함된 부위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대한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 이외에도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pH 및 마그네슘 농도는 다양), 데옥시뉴클레오티드(dNTPs), Taq-폴리머라제 및 역전사 효소와 같은 효소, DNase 억제제, RNase 억제제, DEPC-수(DEPC-water) 및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키트에 포함되는 성분들은 액상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고, 포함 성분들의 자유도를 낮추어 제품의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건조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건조된 형태로의 제조를 위해서는 건조 단계의 적용이 필요하고, 이때 가온건조, 자연건조, 감압건조, 동결건조 또는 이들의 복합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PCR 증폭과정에 적용되는 경우, "키트"는 선택적으로, PCR 증폭에 필요한 시약, 예컨대, 완충액, DNA 중합효소 (예컨대, Thermus aquaticus (Taq), Thermus thermophilus (Tth), Thermus filiformis, Thermisflavus, Thermococcus literalis 또는 Pyrococcus furiosus (Pfu)로부터 수득한 열 안정성 DNA 중합효소), DNA 중합 효소 조인자 및 dNTP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상기한 시약 성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별도 패키징 또는 컴파트먼트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소로부터 분리된 시료의 DNA로부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2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9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의 SNP를 포함하는 부위를 증폭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SNP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2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9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인, 단계; 및
2) 상기 증폭된 SNP를 포함하는 부위에서 SNP의 염기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의 SNP를 포함하는 부위를 증폭시키는 단계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방법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표적 핵산을 PCR을 통하여 증폭하고 이를 정제하여 얻을 수 있다. 그 외 리가제 연쇄 반응(LCR)(Wu 및 Wallace, Genomics 4, 560(1989), Landegren 등, Science 241, 1077(1988)), 전사증폭(transcription amplification)(Kwoh 등, ProcNatlAcad Sci USA 86, 1173(1989)), 자가유지 서열 복제(Guatelli 등, ProcNatl Acad Sci USA 87, 1874(1990)) 및 핵산에 근거한 서열 증폭(NASBA)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2)의 증폭된 SNP를 포함하는 부위에서 SNP의 염기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는 서열분석,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에 의한 혼성화, 대립유전자 특이적인 PCR(allele specific PCR), 다이나믹 대립유전자 혼성화 기법(dynamic allelespecifichybridization, DASH), PCR 연장 분석, PCR-SSCP, PCR-RFLP 분석 또는 TaqMan 기법, SNPlex 플랫폼(Applied Biosystems), 질량 분석법(예를 들면, Sequenom의 MassARRAY 시스템), 미니-시퀀싱(minisequencing) 방법, Bio-Plex 시스템(BioRad), CEQ and SNPstream 시스템(Beckman), Molecular Inversion Probe 어레이 기술(예를 들면, Affymetrix GeneChip), 및 BeadArray Technologies(예를 들면, Illumina GoldenGate 및 Infinium 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G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G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C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A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A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G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G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A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A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A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1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A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12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G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A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G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G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A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G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A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19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A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의 도체형질 판별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째의 염기가 G인 경우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소의 등지방두께가 얇은 경우, 육량 지수 또는 등급이 높은 고급육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한우 1,116두에서 Illumina 770K SNP Chip 자료에 존재하는 777,962개 단일염기다형성(SNP) 마커 중 611,782개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선별하고, 이를 이용하여 975,945개의 한우 반수체 정보를 구성하였다(실시예 1).
또한,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975,945개의 반수체 정보를 전장유전체연관분석을 수행하여 한우 도체형질 중 등지방두께와 관련된 한우 반수체 마커를 선별하였고, 상기 선별한 한우 반수체 마커중 한우 염색체 13번의 576,926bp에서 730,784bp 사이에 존재하는 SNP 마커군(20개)의 조합인 반수체 마커(HH1_GGCAAGGACGAGAGGCAGAA)는 -log10P-value가 6.1331로, 선별한 한우 반수체 마커는 등지방두께와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따라서, 본 발명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로 이루어진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종래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소의 도체 형질(등지방두께)을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어 고급육을 용이하게 선별해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한우 반수체 정보 구성
<1-1> 단일염기다형성(SNP)의 선별 및 반수체 결정(Haplotype phasing)
농협 한우개량사업소에서 분양받은 한우 1,166두의 DNA와 Illumina 770K SNP Chip 자료에 존재하는 777,962개 단일염기다형성(SNP) 마커 중, MAF(Minor allele frequency) 값이 0.01 이상, HWE(Hardy-Weinberg equilibrium, 하디-바인베르크 평형) 값이 0.000001 이상, Genotyping rate이 0.05 이상인 기준에 따라 611,782개의 단일염기다형성(SNP) 마커와 한우 898 개체를 선별하고, 표현형 이상이 관찰된 한우 1개체를 제외한 897 개체를 추후 분석에 활용하였다. 선별된 611,782개의 단일염기다형성(SNP) 마커에 대해 Shapeit 소프트웨어(https://mathgen.stats.ox.ac.uk/genetics_software/shapeit/shapeit.html#home)를 사용하여 반수체 결정을 위해 Haplotype phasing을 수행하였다.
<1-2> 반수체 정보의 구성
R 패키지 GHap 소프트웨어(version 1.2.2, https://cran.r-project.org/web/packages/GHap/index.htm)에 상기 실시예 1-1에서 선별한 611,782개의 단일염기다형성(SNP) 마커 정보를 적용하여 연관불평형(linkage disequilibrium) 값을 0.2를 기준으로 SNP의 조합인 975,945개의 반수체 정보를 구성하였다. 연관불평형의 값을 0.2부터 0.7까지로 분석해본 결과, 유의한 반수체 마커를 선별할 수 있는 최적의 값으로 0.2를 기준으로 반수체 정보를 구성하였다.
<실시예 2> 한우 도체 형질과 관련된 한우 반수체 마커의 선별
한우 도체 형질과 관련된 한우 반수체 마커를 선별하기 위하여, 하기 수학식 1의 분석모형을 이용하여 차세대염기서열 기반의 전장유전체연관분석(Genome Wide Association Study; GWAS)을 수행하였다.
[수학식 1]
y = Wα + xβ + u + ε
상기 분석모형 수학식 1에서 y는 등지방두께에 대한 표현형이며, W는 고정효과에 대한 공분산 매트릭스, α는 절편을 포함하는 계수, x는 유전자형 벡터, β 는 마커의 유효 사이즈, u는 random effect, ε는 에러에 대한 값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혼합선형모형 연관분석 기법(Mixed Linear Model based Association analysis, MLMA)과 제한최대우도(REML,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평가과에서 수집한 한우 877 개체의 등지방두께 정보와 상기 실시예 1-2에서 구성한 975,945개의 반수체 마커의 연관 유의성을 확인하였고, 이때 한우 등지방두께 표현형에 미치는 효과가 큰 성별과 도축월령을 공변수로 추가하여 보정하였다.
각 반수체 마커에 대하여 형질에 따른 유의성 검증을 위해 GEMMA(version 0.96, http://www.xzlab.org/software.html) 통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다. 각 형질에 대한 유의적인 반수체 마커는 유의성 검정 을 통해, p-value 값이 0.05 이하인 마커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 유의성이 가장 높은 1개의 반수체 마커(한우 염색체 13번의 576,926bp에서 730,784bp 사이에 존재하는 SNP 마커군(20개, 서열번호 1 내지 20)의 조합))를 선별하였다(도 1).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20은 한우 염색체 13번의 576,926bp에서 730,784bp 사이에 존재하는 20개의 SNP 마커를 포함하는 약 500 bp의 염기서열이다.
상기 한우 염색체 13번의 576,926bp에서 730,784bp 사이에 존재하는 SNP 마커군(20개)의 조합은 한우 염색체 13번의 576926 번째, 581487 번째, 584808 번째, 591042 번째, 593487 번째, 599841 번째, 609950 번째, 620225 번째, 623498 번째, 652095 번째, 658242 번째, 661092 번째, 679009 번째, 685341 번째, 692047 번째, 698684 번째, 714002 번째 715178 번째, 719908 번째 및 730784 번째의 염기가 순서대로 'GGCAAGGACGAGAGGCAGAA'(서열번호 21)이다(표 1).
반수체(Haplotype) ID SNP 마커 ID 염색체 위치 유전자형 정보










HH1_GGCAAGGACGAGAGGCAGAA
BovineHD1300000088 13 576926 G/A
BovineHD1300000089 13 581487 G/A
BovineHD1300000090 13 584808 C/A
BovineHD1300000092 13 591042 A/G
BovineHD1300000093 13 593487 A/C
BovineHD1300000094 13 599841 G/A
BovineHD1300000096 13 609950 G/A
BovineHD1300000097 13 620225 A/C
BovineHD1300000098 13 623498 A/C
BovineHD1300000099 13 652095 A/G
BovineHD1300000100 13 658242 A/G
BovineHD1300000101 13 661092 G/A
BTB-01141508 13 679009 A/C
BovineHD1300000103 13 685341 G/A
BovineHD1300000104 13 692047 G/A
BovineHD1300000105 13 698684 A/C
BovineHD1300000108 13 714002 G/A
BovineHD1300000109 13 715178 A/G
Hapmap48136-BTA-96744 13 719908 A/G
BovineHD1300000111 13 730784 G/A
상기 선별한 한우 반수체 마커중 염색체 13번의 576,926bp에서 730,784bp 사이에 존재하는 SNP 마커군(20개)의 조합인 반수체 마커(HH1_GGCAAGGACGAGAGGCAGAA)는 -log10P-value가 6.1331로 선별한 반수체 마커와 한우 등지방두께와의 고도의 유의성이 확인되었다(표 2).
반수체(Haplotype) ID 평균 위치 Haplotype Allele frequency P-value -log10P-value
HH1_GGCAAGGACGAGAGGCAGAA 24656824 0.017 7.36E-07 6.133111
즉, 선별된 반수체 마커는 한우 도체 형질(등지방두께)과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Composition for identifying a bovine backfat thickness comprising an agent capable of detecting or amplifying a haplotype <130> 2019P-09-017 <160> 2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088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G or A <400> 1 tttacatttt gtaaaactca cccagcactt ctgtggataa tggatcaggg aagaataaga 60 tggaagcaaa gagaagaggt agaaggccag ccctgtctag ttccatcttt aaaaaaagac 120 tagaatagcc aagtccaaga tcattctaaa aagtcactaa tcatgctatt acagctcact 180 gtccaagccc tcatgtttag gcgacaggga ccagagaaca tagtccaagg aacaatctgc 240 tgacatgaca nctttgaacg tggatttttc taaaggcact tttatcccta catttccaag 300 gcaaaataca tcctggtata tagtaagtgc tcaataaatg tttacagaat aagaaaatga 360 gccaacttta aagaaagtta tattcttcac ctgagaaact ttgttatttt ctaaatatcc 420 aaatggcaga ctagattggg gtaaacaatt ggtaaactct agggtaaaaa ggagcattat 480 taagtccatt tcaagaggga t 501 <210> 2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089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G or A <400> 2 ccatggactt gagtttgagc aagctctggg agttggtgat ggacagggaa gtctggcatg 60 ctgcagtcca tgaagtcgca aagagtcgga cacgactaag tgactaaact gaagtataag 120 taaaatacct ccagggccca aaagaataaa aagaaggaaa agcaccatga tcctaatgat 180 gtttctcttt tctctccctc tccctcttct cccctaccct cttctgtgtc tcttcctcgt 240 tcccaccctc ncttcctctc cctcattatg catagataaa tgtaatttgt tttaagtaca 300 tatacatgaa taagactaat tacaatggac tgaacacatt tatattaaaa aacaggtcat 360 agtggcagtc ttctaagaac tataatagag ttgacctgct ctaattttgt cttttacata 420 taaattaatc ctttaaaatt ctccaagagc aattagtacc tttatagtca tggaaactgg 480 aaaagagcat ttttaaactt t 501 <210> 3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090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C or A <400> 3 tgtaaacctc aggcgagcgt tctagtccta gccataccca ccacttatca aagatacggc 60 ttacagcttt aaccttccca gttttaactc ctcggttaat gagaatgaga atgatactgc 120 accagattgc tgtaatgctc aaattctgag atagggcatt cagaacatgt gatgtgagca 180 atgtaactgt ttaatgtgat tgaaatgaca atgatgacaa tggagatgat gtggaaacaa 240 tctgaaatca natactgata cttctatgtt agcctataag ctcctctttt gcatgtttat 300 ccataacagt acccagggca gtggtttcta attagaagca cttagaagtg tgtatagggg 360 atggactaaa actttgttga tgtcacatga ctgctaggat gtcatgggat accaggggta 420 ccaaaggttt tgcagtgtgt gagccatcct cacatatcaa acagctgtgt aagccaaaat 480 gtcaatagta tctggtgaga a 501 <210> 4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092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A or G <400> 4 ccagttcatc taaacaaagt gataacttat tggatgcttg aaaaaattcc tagaaattta 60 tagtaggtct ataatagtac tgaagttaaa ttttattttt taaatgttga attttgtcaa 120 aggagtatca caaagagcca aattttcttc aggataagca cacagattct tgaatttgga 180 tatacataat ggtttaaatc ctctttcctt tatagcctca ctttgtattg acctattctg 240 aagtgaactc natggaaaga gaacttctaa aaagatctca agtgtctata tagcttacaa 300 gtgtcatcct gaatcagagc ccaaacattc tccatgtcca gccctatctg ctgcatcttg 360 acctgcatac agatttctca ggaggcaggt aaggtggtct ggtattccca tctctttaag 420 aattttccaa agtttgttgt aatccatata gtcataggct ttggcacaat caataaagaa 480 gaagtagata tatttctgga a 501 <210> 5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093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A or C <400> 5 cagagccggg ctcttcccgg agctacggag aagggcgcgg cgggctcgca gacccggcct 60 tcccagatgg tgcgccgaga ggcccgcccg gcccgcagac ctacccggcc cgctgcgccg 120 gcggcggccc gcctctaaca ggcccgggcc accgaggcca cgcccccttc cgcctagtct 180 cgccgttgcc cggggcgtcg gttgccttgg caacggccgt cctttcttcc ggacggcagt 240 gttgaagata ngcagtgacc caatgttgca taatcagagc ctcactggct actgccaagt 300 aacgggttgg cgcatttggt ttctttctca agagaaaagt ggccaataat taaaatatgc 360 atcctctatt caatgatagc aaaaatagca acagtggact gcaaataaac tgttttactg 420 taatgaaaaa gaagggatgc gttgggcatc ccttactgaa aaggagagga aattttaagt 480 actctttgca tgtgtataac g 501 <210> 6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094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G or A <400> 6 tgcctgagta ttaaatctgc tataaagtta cagtaaagca gggaggtatt tgtataagaa 60 caagcaaata gatggatgga tcaaagtaaa gactcaagaa atgaaactat atgtatgtgg 120 atatttatat atgttaaagg tggtatagtt aacaagataa ggtagattta ggttgcatta 180 acaaataaca aacctcccaa aattggaggt ttgactcaga aagctccttt ctatgtcatg 240 taaaatccac ntctgtctaa gatactctgg ggaaactgaa cattacgcag gctctacaca 300 atccaggctg cttcattctc acaactctgc catctcaatg caaggccttc tccgtgatta 360 cagcagggaa agggaaaaga aaagggctgc aaggggcttc aggcttcctt agtccagaag 420 tagcacatcc tggttcagct catgattcgc tggccagaat taattatgac tgcctcactt 480 gtaggatggg cttcccaggt g 501 <210> 7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096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G or A <400> 7 gctgggagcc acagcagttt gttggcgaga acagggccga gcacaaaggc acctcccacc 60 cgagatggag tcacgccgga tggtgcccac accaatcctc aaatcaaact ctgtgcagcg 120 ggcacagcgc ttcccaactc cccaacctcg gcctgccagc attcagatgt tcctcaccag 180 cgagcaggag ggagatactt cagaattaca gacgtggtag gatagattct gtgtaacacc 240 gtttagccca nttgtcagtg atttgctgga tcactgatgc tactaatcac ttgtgggatt 300 aacaacccac gaccctgagg ctgagaagct cagatcagtt gagtttgcca atttctgtgt 360 ggtaactact cccacatgat tgatttcaaa ctgccaactt gatgtccaag aactagtagc 420 atttctgaaa attgatcagt tggcttttac aatctcgagc aagacgcctc cagaagccca 480 ctacaagcac tgataatact a 501 <210> 8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097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A or C <400> 8 cagaactctt aactaagacc catccgtctt gggtggctct gcaaggcatg gcccatagtt 60 tcattgagtt atgcaagccc ctttgccatg acaagactgt gttccatgaa gggcatgttc 120 ttgtttaaac tgtactaaat actaaaatca gtaggtgtgg catatagcct gttgtcaacc 180 atctgaaaga cacttagaaa cagtttgtgg ctttaattta ttagaggcca ttgtcacatt 240 gagccatgtg natttataga atagtttcaa cctcacacgt attacattat aaacccttca 300 caagctcaga tttgtaagtg agcagctggt gttaagaagt acacagtgaa gaaattttca 360 gttaatttgt tatcagaaag ttacccctga ccctatattg cagatgggaa atattttgca 420 atatttaaaa tacaaaattt gtaacatata caaacacttc tatttgttaa aatgggattt 480 tattccagaa tgaccaactt t 501 <210> 9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098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A or C <400> 9 ccccttcact gccaagtggc atcatttggc cctttcagct gcctcttggg atgctgtaac 60 ccaagtcctg tggtgtaata ttttatcaaa atcctcaagt gtctggagga atcagaactt 120 tagatggcct gcctagctac aaattatata tttcatcaca ggttatattt tttggagata 180 tctattctca attctcctac atcaagtcag ataagatatg aaattcaatg ttttgtgaga 240 gaaatattat ntgattatat caaaaaacct atagctttac catcataatt atgcccaata 300 tctatacatt ttcacagccc agctgtgttc tataaaaata aactattaat taaaatcttt 360 caagtttttc tgtaggcctt tgatgtaatt ctttcaacta tttgtctgtc cattaactta 420 gttatctctg aagaataaga aatgtctgct atgatttatt ttaaaatagt aaaatcattt 480 taaaataaca attctcaaca g 501 <210> 10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099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A or G <400> 10 atggaattgt gaaaatgaca aggaatctgg cattttgatg atgttgaatt tgagatggta 60 cagtgcagaa atgactattt ggaaatcatt atcatttagt ggtagctgag aaaaataaca 120 agataattaa aacgtgagac agtttcatga aaatttaagc ttctcttcta gtctaataaa 180 tattattaca ttttactggg aaaaaaacga atagaaaata gcttccttct aaatggcaat 240 cataattctt ntctcaacta ttctcagaat ggaaaaaatc agagggaata ttattatact 300 acttcatagc aacaacctaa tttgattttc ttttgattac tgccaaaagt ttaagtagat 360 acataatcca tgatcattaa tagtctactt attctagaac accatgggct tttgaaggtt 420 gattctgaga actatcttac ttagacaccc ccgtgccctc tgtggtagta cagactgttg 480 ctaagacccc ctagatatat g 501 <210> 11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100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A or G <400> 11 aggaaaacaa agtttagaaa aaaagtcata ccttcaaaca gtttaaataa aaatcatcga 60 taattctcag atctttattt aaaagaaaat actataagca ctatttctga agccacatgt 120 acctttcata taagaggaaa aataaaaatt ttcctaaaat gataacttag tttttatgct 180 aagtgaaatg gtgcaaacat atcttgtatt ccattgatac aatttccttc tgaacccttc 240 ttttagaatc naaataagga acctgtactt catatggtaa ctctccaaac ctgcatactg 300 gctgggagca aaaaagaaga tcatattcta gggcatttgg ttcttgagaa caatgccctg 360 tgctcccaag gcaggtggca acctgactgt tctgtggatt ggttctagcc agcttttaag 420 atttgcgcca caagatggca atagagtcta taagtataca gtcctttctt ttctgtagga 480 tctttacaaa gctccattat t 501 <210> 12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101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G or A <400> 12 ctccaagtgc aattcaccag catcttctat gtagagaccc gaggttcagg tctacagaac 60 cccttcttta aatgtctagt tttgattagt ccaacacttt cccttttctt ctcttagcct 120 tatgagtgct agttgtttcc tgcaatttta agttgagaaa tagttttttt tttttctttt 180 ctctctgctg cattaatcat tctttgtact gatttctcac tgacaacaaa actggcatga 240 tttctgttcc ntgaatagac actgaccaat aacccttttg tcacttggaa gcatatttca 300 aatcttccct gttgaaaatt tggtaaattt ctcatccagg gtaatgagac atgaattaac 360 acttagcaaa ctttcatctg tattctaaaa tgaaattgag agatattgct tatggcaata 420 tagaaaaaaa atccaaagag gcatctagca aagatgctat ttttgcaaaa tatatgcttg 480 gattctacaa caaaagtatc t 501 <210> 13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TB-01141508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A or C <400> 13 tatggggaag ttacatattc tctacatata aatatttgct atatcataaa atccatgttt 60 gattgtccct catttcctgt tcaagagctt actgattctt aaaatgatgt ttatagtatc 120 tcaccatagt tctattttat taagatctct ctgcatctct gactggtttt gttggcagat 180 ttagctgtca tattcattag tctataactt gttatcttca tcagtaattg taccttttct 240 tgtgcataat nttcctttat cctgttagca ctttcaatct taaattctcc ttctttacat 300 tgttattaca aaatttatgt tctttttagt tttgattacc ttggagctac catgccaatt 360 ctctctctct ctctcttttt ttttttttta aaggaattat tttctttctt ttttagatct 420 ggtataagtt gctacttatg cttgaagttc agaaattttt ccatgatatg tcaagactca 480 tcttatcagc cctgtgagga a 501 <210> 14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103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G or A <400> 14 ctttagcatc gttccttcca aagaacaccc agggctaatc tcctttagaa tggactggtt 60 gcatctcctt gcagtccaag ggactctcaa gagtcttctc caacatcacg gttcaaaagc 120 atccattctt caacactcag ctctatgtta aaaccatctt ctaattaaga agggtctgta 180 gagctcattt ctcctttctt agagttgttt tctaagagat cctgggcctc acagtcatgt 240 ttttaataca ngatcctgtt caacctgttt ctaaagttga ctgaatctga atgacccaag 300 atctataatt ggactatgtc ttcatgagtg aacttgaggg acacaggaga ttctggaccg 360 gttgcttgaa cagaggacag agaagctcaa gagagacaac aaagtaagac atgtattcag 420 aaagagggca aatcattctg caaagacaag ggtaagatta aagtggacac acagagagag 480 gctgagaggg aaatagagaa c 501 <210> 15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104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G or A <400> 15 tactcagtcg tgtctgactt tttgcgactc catgaaccat ataccacatt tttaaaaatc 60 tattcaccca atgaggaaaa cttgggctga tttcaatatg caacatttaa aaaataacag 120 aaaagagtaa aaatctatct tgccatagag tctttaattt ctcaactgtc ttcatagttc 180 caggtcattt ttagtttttt actaacaaaa gttagaaata atcaatctga tggaaaccat 240 gcaagtttgg nggggagcag tggtctcttt ctaatcaatc atattctcac tgaattcctt 300 ctggtttaat gcagttgctt ttgcttccca accagcgtgt ttatggagaa catcgaagga 360 tgattatgtt tcaatgaaga acagctggcc tcatagcaac tggatgacaa agggattatc 420 caagtgtata atttgtaaaa attgggccag aagtcagatt tggggatgga acaccctctc 480 tggctgacgt ttaaggctca a 501 <210> 16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105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A or C <400> 16 ctcacactca agatagatat ttgttgaatg ataagggatt atatttgtat gcatgtctat 60 gctgtaggac atgatttgta tattaagagg ctttgtcgtt gaccctagga tctgcctatc 120 taccaatatg aaaaaagttc tttattgctt ggggcctaag tattgaagag aaaacaaaac 180 catacagagg aaatgaaaga acagtgggga atttagggga ttctaagttg atatttaaaa 240 tgtgtctgag nagttggttt gacttttcag aggaggattt ttttgagaga gaagaggctg 300 tttgaacatt caccttgtaa gagagatcca gttacatggc agggagtgag gatcatggat 360 caggggacct aggaacttcc cactccacca tcatcctgtg gtatttctcc accaaacttt 420 ttctgcctca attagagagg aaaagggaca attagatacc tggagattat cagtggcttt 480 aataaagtca tatgttacta t 501 <210> 17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108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G or A <400> 17 ctcgagggat gtgagtctgg gtgaactccg ggagttggtg atggacaggg aggtctggcg 60 agctgcaatt catggggttg caaagagtca gacacgactg agcgactgaa ctgactgact 120 gctaatgcag gaacccagat ggagagagat ggaatgggtt atgtttaatt gacttagtat 180 tagctgatgg agtcatgttt gagtagtgcc aaaaactatg catgcgtata catgtaagtg 240 atataaattg ntaaagaaca acttactgaa atgcaatcat ttttttaaat tttattttat 300 ttttaaactt tacaatattg tattagtttt gccaaatatc gaaatgaatc caccacaggt 360 atacccgcgt tccccatcct gaaccctcac ttttattaac tttctctctt aagatgctaa 420 gtgctctgct ctatcttcac caataaattt agaataatat tatattttgt gggtcaagga 480 tatttcattt tatctcatta t 501 <210> 18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109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A or G <400> 18 acttctgccc tcaaaaaaag gaaggaggag aaggatgatc tataaaaagt gtgatgactt 60 cattcttttc cctggaacat attcctgtca aaaactggat tgatttcctc cttagctgta 120 aaatgtaatg cctgcctcaa atcaaattgt aaagaaacaa tttgtaaata ttagtgactc 180 ttatatagca taacctaatt aaacaaatta cctttagaag taagctgagt ctgtcagagg 240 tccaattttt ncagaaaatg aaattaagaa gctctcctaa aatcttaaaa ctgataaatc 300 tggatctaga aactaccctt taccattatg ggatggctaa ggagaaatag gacccaggac 360 aaatgtgacc taaggtctgt ttatttgaaa aactggagat tgagaacttg aagctctgcc 420 ctcataagca gctgcaacat ttttgaacag agaagaaact agtgttaaat tcattagaat 480 attcataatt tatgtactat t 501 <210> 19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pmap48136-BTA-96744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A or G <400> 19 aaattagagt ttaaggtccc attattccta cccatacagg agaggaagtt tgagctccat 60 agctctgtaa tgttcatgaa gccacaagga tttgattcta tagcttcagt agagagggcc 120 tgacacacat tctaatttaa ttttaaacaa taaattaaaa tgagaatcct tgtacttaca 180 ttttcatgga ataattctta tctgtttctg tctagtgaat aaaagaaatt atgctgactc 240 agtcttccca naccagaaaa ctgggtcaaa ctgaagagag cagttacctt atacaggcaa 300 tgtccttttt ccatttttgt aaaccaatat tgtgaaaacc cagatttact caaacagaag 360 atttggactt tatatatata tatatatata tatatatata tatatgtata tgtatatatg 420 tgtgtgtgtg tataaatata tatatataaa atctatgtaa aaggtaactc aaaatggtaa 480 taaaaattac tagatgtcta a 501 <210> 20 <211> 5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vineHD1300000111 <220> <221> variation <222> (251) <223> n is G or A <400> 20 tcaagcttaa aaagtggtga ccttctcaca ggtagtgttt aacaatatag atccattcta 60 gctacaccaa agtctatgta aggtacttgg ttggttgttt gtttgtttta atgaccccat 120 atctaaactg cacatcagta acaagcaata tgcaaaactc taaaactaca aaaaaaaaaa 180 aaaagccatg gcaagttctt ggcccccaaa caacttaaac tctatctgga gaaatgagat 240 ataaacaaga naaatgatat gacttaaata gaaaaaagta ataataaatg agcagcttca 300 agacagcaca gcattaattt tcaagtaaat agaataaacc ataaaaacca tgcttgtttg 360 ggaaagcata ttattgtgct gtggaaagat tgagctagac tctgaccgta gctctggaaa 420 ggcaagtacg cggacacgat gcgcatgcgg ttcccgatca ggggagttcc tcaatccctt 480 gagtcagttt atctgaaaca g 501 <210> 2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H1_GGCAAGGACGAGAGGCAGAA <400> 21 ggcaaggacg agaggcagaa 20

Claims (10)

  1. 서열번호 1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서열번호 2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3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C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4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5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6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7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8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9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0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1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2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3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4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5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6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C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7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8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서열번호 19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A 또는 G인 단일염기다형성 및 서열번호 20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1번째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반수체(Haplotype)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한우(Bos taurus coreanae)의 등지방두께(backfat thickness) 판별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NP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인, 한우의 등지방두께 판별용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4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한우의 등지방두께를 판별하기 위한 키트.
  6. 삭제
  7. 삭제
  8. 1) 한우로부터 분리된 시료의 DNA로부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2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번호 19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의 SNP를 포함하는 부위를 증폭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SNP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2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서열번호 19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 및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251번 염기인, 단계; 및
    2) 상기 증폭된 SNP를 포함하는 부위에서 SNP의 염기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우의 등지방두께 판별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27060A 2019-10-14 2019-10-14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등지방두께 판별용 조성물 KR102182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60A KR102182740B1 (ko) 2019-10-14 2019-10-14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등지방두께 판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60A KR102182740B1 (ko) 2019-10-14 2019-10-14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등지방두께 판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740B1 true KR102182740B1 (ko) 2020-11-25

Family

ID=7364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060A KR102182740B1 (ko) 2019-10-14 2019-10-14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등지방두께 판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7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907A (ko) * 2009-05-22 2010-12-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asn 유전자내의 한우육 품질 판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한우육 품질 판별방법
KR20120011728A (ko) * 2010-07-30 2012-02-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우의 육량 또는 육질의 조기 선발에 유용한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KR20160087246A (ko) * 2015-01-13 2016-07-21 오동엽 Adam15 유전자 내의 한우 육질 진단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한우 육질의 진단방법
KR20190045020A (ko) * 2017-10-23 2019-05-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907A (ko) * 2009-05-22 2010-12-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asn 유전자내의 한우육 품질 판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한우육 품질 판별방법
KR20120011728A (ko) * 2010-07-30 2012-02-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우의 육량 또는 육질의 조기 선발에 유용한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KR20160087246A (ko) * 2015-01-13 2016-07-21 오동엽 Adam15 유전자 내의 한우 육질 진단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한우 육질의 진단방법
KR20190045020A (ko) * 2017-10-23 2019-05-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소의 도체형질 판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ABIANA ET AL, BMC GENET. 2013; 14: 47, PP.1_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164B1 (ko) 돼지의 육질형질 판단용 일배체형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213217B1 (ko) 한우의 육량 또는 육질의 조기 선발에 유용한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KR101929391B1 (ko) 돼지의 유두수 증대 예측용 유전자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777161B1 (ko) 개의 고관절이형성증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멀티플렉스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예측 또는 진단 방법
KR101418402B1 (ko) 돼지의 등심단면적 수준 판단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450792B1 (ko) 돼지의 흑모색 판단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312480B1 (ko) 돼지의 갈비뼈 수 판단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081569B1 (ko) 돼지 등지방 두께 예측용 snp 마커 조성물
KR102182740B1 (ko)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등지방두께 판별용 조성물
KR102108737B1 (ko) Snp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육색 판별용 조성물
KR102141566B1 (ko) Snp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마블링 지수 판별용 조성물
KR101784163B1 (ko) 돼지의 등지방두께 저감 판단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EP1660675B1 (en) Polymorphism of the igf2 gene and improving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cattle
KR102083672B1 (ko)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마블링 판별용 조성물
KR101985659B1 (ko)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이용한 백우 품종 식별 방법
KR102083673B1 (ko)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등심단면적 판별용 조성물
KR102108738B1 (ko) Snp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지방색 판별용 조성물
KR102108739B1 (ko) Snp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조직감 판별용 조성물
KR102083674B1 (ko) 반수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도체중 판별용 조성물
KR102669168B1 (ko) 개 개체 식별용 snp 마커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개 개체 식별 방법
KR102083675B1 (ko)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이용한 칡소 품종 식별 방법
KR102470958B1 (ko) 진도개의 체중 조기 예측 유전자 마커 개발
KR20220071774A (ko) Snp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등심단면적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2194879B1 (ko) 개의 주인 친근성 예측용 snp 마커 및 이를 이용한 예측 방법
KR20220071761A (ko) Snp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소의 등지방두께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