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479B1 -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479B1
KR102181479B1 KR1020200047567A KR20200047567A KR102181479B1 KR 102181479 B1 KR102181479 B1 KR 102181479B1 KR 1020200047567 A KR1020200047567 A KR 1020200047567A KR 20200047567 A KR20200047567 A KR 20200047567A KR 102181479 B1 KR102181479 B1 KR 102181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tch
glutathione
tyrosine
drug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문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셀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셀, 김정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셀
Priority to KR1020200047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61K38/063Glutathi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유지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경피를 통해 공급해주어 영양보충을 통해 신체의 활력을 높여주도록 한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은 아스코르빅애씨드(Ascorbic Acid)와 타이로신(tyrosine)과 글루타티온(glutathione)과 경피약물전달성분 및 피부온도에 감응하여 겔상태에서 졸상태로 변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혼합하되, 아스코르빅애씨드 0.03~3중량%와, 타이로신 0.03~3중량%와, 글루타티온 0.03~3중량%와, 폴리아크릴릭애씨드 45~55중량%와, 아가 0.4~2중량%와, 수산화나트륨 0.01~0.5중량%와, 글리세린 5~15중량%와, 메틸프로판디올 2~8중량%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3~1중량%와,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0.05~0.5중량%와, 나머지는 정제수가 혼합되어 조성된다.

Description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patch composition including nutrient and patch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강유지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경피를 통해 공급해주어 영양보충을 통해 신체의 활력을 높여주도록 한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접착용 패치는 신체 부위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상처를 치료하거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방법은 패치의 소재와 패치에 사용되는 약재를 개발하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의료, 미용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었지만 그 활용범위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피부 접착용 패치는 피부조직 또는 관절에 약용작용을 위한 치료용 형태로 사용되거나 관절 및 근육의 운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는 접착용 패치는 피부와 접촉되는 일측면에 약물을 덫 발라 형성되며 약물의 약효가 피부를 통해 전달되거나 패치의 물리적인 힘으로 관절과 근육을 고정하여 운동성에 영향을 주도록 형성되었다.
또한, 종래의 시중에서 판매되는 피부 접착용 패치는 경구투입되는 약에 의해 발생되는 부작용이 없으며 피부를 통해 약물을 체내로 전달하므로 약효를 유지하거나 위장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치료에 있어서 피부에 행하는 직접적인 치료방법으로 함께 병행되었다. 이의 대표적인 것들로는 파스나 금연패치 등이 있다.
한편, 현대사회에서는 과도한 업무로 인한 과로, 스트레스 등과 같은 원인으로 신체활력이 저하되거나, 바쁜 생활로 인하여 끼니에 맞춰 식사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체내의 영양 불균형 현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 경우에 회복을 위하여 병원에서 링겔주사를 맞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링겔수액에는 주로 비타민, 포도당, 무기염류 등의 영양소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과로, 영양결핍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에게 음식으로 섭취하지 못하여 결핍된 영양소를 혈관으로 직접 주사하여 체내에서 바로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공급하여 신체의 활력을 신속하게 회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링겔은 반드시 병원에 가서 맞아야 하고, 링겔 한 병을 다 맞을 동안 침대에 누워있어야 되므로 활동을 할 수 없고, 시간을 허비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사를 이용해야 하므로 통증이 발생하여 신체적인 불편함으로 인해 자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영양제로 주로 섭취하는 비타민C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 각종 암, 심장질환 등의 예방에 유용한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중년 이후 성인의 동맥을 강화하는데도 유용하고 백내장의 예방에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비타민C는 대부분 환이나 캡슐 등으로 제조되어 건강보조식품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특허공개 제10-2016-0144107호에서와 같이 피부 부착형 패치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 특허는 피부에 접촉되는 내피에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고, 내피를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피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피는 내피에 포함된 영양소가 외부로 유출되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음식 또는 식재료의 모형으로 형성됨은 물론 음식 또는 식재료의 향을 발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영양소의 손실없이 경피를 통해 공급하도록 되어 있기는 하나, 영양소의 흡수력이 좋지 못함은 물론 장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용출되지 않음에 따라 영양소의 공급효과가 미비하였다.
한편, 음식외에 섭취하는 영양소로서 세개의 아미노산(글라이신, 글루타민, 시스테인)으로 이루어진 글루타티온(glutathione) 등이 에너지 공급 및 항산화 효능으로서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글루타티온은 통상 영양제로서 환이나 캡슐 등으로 제조되고 있는 실정이며, 음용제임에 따라 휴대에 따른 불편함은 물론 섭취시 물 등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환경에 제한을 받게 되며, 흡수력에 한계가 있음으로써 단백질로서의 에너지 공급은 물론 항산화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할만한 효과를 발휘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비타민C나 글루타티온을 포함한 영양성분들의 입자크기가 상대적으로 큼에 따라 피부를 통해 모두 침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4107호(2016.12.16.,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영양소가 포함된 피부부착형 양방향 기능성 음식패치)
이에 본 출원인은 피부에 부착하였을 때 영양소의 손실없이 장시간동안 꾸준히 피부에 흡수시켜 줄 수 있는 패치를 제조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피부온도에 감응하여 서서히 녹으면서 피부에 흡수되게 하는 하이드로겔에 영양성분(아스코르빅애씨드와 타이로신 및 글루타티온)을 혼합하여 제조할 경우 지속적으로 용출되면서 경피약물전달성분에 의해 영양성분이 장시간동안 피부에 흡수되어 짐은 물론 영양성분이 리포좀화되어 있어 피부에 더욱 효과적으로 침투하면서 흡수율이 높아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활력을 증가시켜 줄 수 있는 필수 영양성분이 혼합된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제조된 양양소 공급패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은 아스코르빅애씨드(Ascorbic Acid)와 타이로신(tyrosine)과 글루타티온(glutathione)과 경피약물전달성분 및 피부온도에 감응하여 겔상태에서 졸상태로 변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혼합하되, 영양성분인 상기 아스코르빅애씨드와 타이로신 및 글루타티온은 인지질과 각각 0.2 ~ 1 : 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상태에서 2~30분동안 1~3초 간격으로 3~5초간 초음파 처리하여 각 영양성분이 나노입자로 분할되어 인지질에 둘러싸여 리포좀화되어 있으며, 상기 경피약물전달성분은 중화과정을 거쳐 PH농도가 4.8~5.5가 된 폴리아크릴릭애씨드이며, 아스코르빅애씨드 0.03~3중량%와, 타이로신 0.03~3중량%와, 글루타티온 0.03~3중량%와, 중화과정을 거친 폴리아크릴릭애씨드 45~55중량%와, 하이드로겔 물질로서 아가 0.4~2중량%와, 수산화나트륨 0.01~0.5중량%와, 글리세린 5~15중량%와, 메틸프로판디올 2~8중량%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3~1중량%와,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0.05~0.5중량%와, 나머지는 정제수가 혼합되어 조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영양소 공급패치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은, 영양성분인 아스코르빅애씨드와 타이로신 및 글루타티온을 각각 인지질과 0.2 ~ 1 :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상태에서 2~30분동안 1~3초 간격으로 3~5초간 각각 초음파 처리하여 각 영양성분을 나노크기의 입자로 분할시켜 준 상태에서 인지질에 둘러싸여 지게 하여 리포좀화시키는 단계; 폴리아크릴릭애씨드를 중화시켜 PH농도가 4.8~5.5가 되도록 중화과정을 거치는 단계; 리포좀화된 아스코르빅애씨드와 타이로신 및 글루타티온 각각 0.03~3중량%와, 경피약물전달성분으로서 중화과정을 거친 폴리아크릴릭애씨드 45~55중량%와, 하이드로겔 조성물로서 아가 0.4~2중량%와, 수산화나트륨 0.01~0.5중량%와, 글리세린 5~15중량%와, 메틸프로판디올 2~8중량%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3~1중량%와,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0.05~0.5중량%와, 나머지는 정제수를 혼합하여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쳐 조성된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외면에 폴리우레탄이 접합된 부직포 및 신축성 원단의 내면에 도포한 후 55~65℃의 온도에서 60~80시간 열경화시켜 겔상태가 되게 형성한 후 설정된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를 거쳐 패치로 제조하고,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교반기에 폴리아크릴릭애씨드를 투입한 후 정제수와 수산화나트륨을 투입하고, 여기에 아가를 투입하여 100℃로 가열시킨 정제수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을 거친 후 메틸프로판디올과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와 리포좀화된 영양성분을 투입하여 교반한 후 탈포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을 거친 후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를 투입하여 교반해 놓은 글리세린을 용기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 교반기에서 배출하여 액상의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획득하는 제3과정;을 거쳐 조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에 따르면, 피부 온도에 감응하여 겔상태의 하이드로겔이 졸 상태로 변화되면서 리포좀화된 영양성분(아스코르빅애씨드와 타이로신 및 글루타티온)이 경피약물전달성분에 의해 피부속으로 침투되어 흡수되면서 영양 보충은 물론 피로 회복과 항산화효과를 발휘하도록 하고, 특히 장시간 부착하여 사용하더라도 피부에 부작용이 없이 지속적으로 영양성분이 용출될 수 있도록 해주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에 부착한 패치에서 용출되는 영양성분의 용출량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첨가되어 혼합되는 영양성분들에 대해 설명한다.
- 아스코르빅애씨드(Ascorbic Acid): 비타민C 유도체로서 항산화작용을 통해 세포의 손상을 줄여줌은 물론 면역기능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는 한편,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주름개선 및 노화예방에 탁월하고, 이미 생성된 멜라닌을 멜라닌 이전의 도파상태로 되돌려놓아 탁월한 미백효과를 나타낸다.
- 타이로신(tyrosine): 인체에서 단백질을 구성하는 방향족 아미노산의 하나로서, 무색의 고체이다.
타이로신은 도파민의 생성을 돕는 아미노산으로서 통상 음식으로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 필수요소이다. 도파민은 쾌락과 행복감에 관련된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 신경전달물질로 부족하면 쉽게 산만해지고 집중하기 어려워지며, 스트레스나 수면부족은 물론 영양부족 등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타이로신은 아드레날린을 촉진시켜 줌은 물론 신진대사를 관리하는 갑상선 호르몬을 생성하게 된다.
한편, 타이로신은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데 관여한다.
- 글루타티온(glutathione): 세 개의 아미노산 즉, 글루탐산(glutamate), 시스테인(cysteine), 글리신(glycine)이 결합하여 생성된 트리 펩타이드구조이며, 간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물질이다.
글루타티온은 항산화제이자 다른 항산화제를 균형있게 조절하는 조절자 역할을 하며, 해독작용으로 체내 독성물질과 결합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줌은 물론 간기능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멜라닌색소의 침착을 억제하여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주름개선 및 미백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활성 산소 제거 및 생체 이물질의 대사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은 피부온도에 감응하여 경피를 통해 장시간동안 지속적인 흡수효과를 갖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영양성분(아스코르빅애씨드, 타이로신, 글루타티온)을 유효성분으로 혼합하여 음식의 섭취없이 패치를 부착시키는 것만으로 아미노산과 단백질 등의 영양 보충은 물론 피로 회복과 항산화 효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피부온도에 감응하여 겔상태에서 졸상태로 변하면서 경피를 통해 약물을 전달하도록 된 물질로 조성되며, 경피약물전달성분로서 폴리아크릴릭애씨드 45~55중량%와, 하이드로겔 물질로서 아가 0.4~2중량%와, 수산화나트륨 0.01~0.5중량%와, 글리세린 5~15중량%와, 메틸프로판디올 2~8중량%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3~1중량%와,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0.05~0.5중량%와 나머지는 정제수가 혼합되어져 조성된다.
그리고 상기 영양성분은 아스코르빅애씨드 0.03~3중량%와, 타이로신 0.03~3중량%와, 글루타티온 0.03~3중량%가 첨가되어 하이드로겔 조성물과 혼합되어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조성하게 된다.
아스코르빅애씨드와 타이로신 및 글루타티온은 0.03%보다 적게 첨가하면 첨가량이 너무 적음에 따라 기대할 만한 효과를 얻기 힘들고, 3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한 경우에는 그 양이 너무 많아 피부온도에 감응하여 용출되는 하이드로겔 조성성분의 용출시간내에 모든 량의 영양성분이 침투되지 못하며, 또한 섭취하여야 하는 양에 비해 월등한 양이 흡수될 수 있어 오히려 독이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타이로신의 경우에는 도파민 생성과 아드레날린은 물론 갑상선 호르몬 성분과 함께 멜라닌을 생성시키게 되는데, 타이로신의 양이 많아지면 피부가 어두워지거나 색소침착 등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글루타티온은 멜라닌 색소를 제거해 피부를 맑게 하거나 주름 예방 등 피부 노화 개선에 도움을 주게 된다.
따라서, 타이로신과 글루타티온의 효능을 그대로 얻으면서도 글루타티온의 첨가로 인해 타이로신의 섭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시켜 주어 미백개선은 물론 피부노화를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스코르빅애씨드가 첨가됨에에 따라 글루타티온과 함께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아스코르빅애씨드와 타이로신 및 글루타티온은 피부로의 흡수력을 높여주기 위해, 초음파 처리하여 나노크기의 입자로 분할되어 진 것을 혼합하도록 하고, 이때 초음파 처리되어 분할된 입자가 다시 합쳐지지 않도록 리포좀화시켜 놓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영양성분(아스코르빅애씨드, 타이로신, 글루타티온)은 인지질과 각각 0.2 ~ 1 : 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상태에서 초음파 처리과정을 거쳐 각 영양성분이 나노입자로 분할되어진 후 인지질에 둘러싸여 다시 합쳐지지 않은 채 리포좀화되어 서로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게 한다.
초음파 처리시에는 2~30분동안 1~3초 간격으로 3~5초간 초음파 처리할 수 있다.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에는 나노크기로 리포좀화된 영양성분이 혼합되어 있음으로써 패치로 제조하여 피부에 부착한 경우, 영양성분의 입자가 작음은 물론 리포좀화된 상태로 경피를 통과하여 그 내측으로 침투되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해 영양성분의 흡수율이 대폭 높아지게 되어 기대할 만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폴리아크릴릭애씨드는 중화과정을 거쳐 PH농도가 4.8~5.5가 된 것을 혼합한다.
그 이유는 폴리아크릴릭애씨드는 PH농도가 대략 2인 산성을 지니고 있는 반면에 피부의 표피는 약산성을 지니고 있음에 따라, 이와 같은 산성의 폴리아크릴릭애씨드를 상당량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피부온도가 감응하여 영양성분이 용출되더라도 PH농도차이로 인해 피부와의 친밀도가 저하됨으로써 영양성분이 효과적으로 침투되지 못함은 물론 피부트러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와의 친밀도를 높여주도록 하여 영양성분의 효과적인 침투를 가능하게 함은 물론 피부트러블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영양성분이 혼합된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한 영양소 공급 패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영양성분인 아스코르빅애씨드와 타이로신 및 글루타티온을 인지질과 각각 0.2 ~ 1 :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상태에서 2~30분동안 1~3초 간격으로 3~5초간 각각 초음파 처리하여 영양성분을 나노크기의 입자로 분할시켜 준 상태에서 인지질에 둘러싸여지게 하여 리포좀화시킨다.
이 후, 교반기에 리포좀화된 아스코르빅애씨드과 타이로신 및 글루타티온을 각각 0.03~3중량% 첨가하고, 경피약물전달성분로서 폴리아크릴릭애씨드 45~55중량%와, 하이드로겔 물질로서 아가 0.4~2중량%와, 수산화나트륨 0.01~0.5중량%와, 글리세린 5~15중량%와, 메틸프로판디올 2~8중량%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3~1중량%와,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0.05~0.5중량%와 나머지는 정제수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조성한다.
상기한 조성비율로 된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조성과정은 총 3단계로 이루어진다.
제1단계에서는 교반기에 폴리아크릴릭애씨드를 투입한 후 정제수와 수산화나트륨을 투입하고, 여기에 아가를 투입하여 100℃로 가열해 놓은 정제수를 투입하여 교반하게 된다.
2단계에서는 인지질을 혼합하여 초음파 처리하여 리포좀화된 영양성분을 교반기에 투입하고, 메틸프로판디올과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투입하여 교반한 후 탈포과정을 거친다.
3단계에서는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를 투입하여 교반해 놓은 글리세린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하여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조성하게 된다.
이렇게 조성된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외면에 폴리우레탄이 접합된 부직포 및 신축성 원단의 내면에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한 후 이형필름을 부착시킨다.
부직포의 외면에 폴리우레탄이 접합되어 있음에 따라 리포좀화된 영양성분이 포함된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부직포를 통해 외측으로 증발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때 영양성분들이 인지질에 둘러싸여 리포좀화되어 있음으로써 경피를 통해 침투되는 과정에서 영양성분이 손실없이 침투되어져 최대한 흡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계를 거친 후에는 겔상태로 제조하기 위해, 55~65℃의 온도에서 2~4일간 건조시켜 주고, 이후에는 설정된 형상으로 재단하여 패치로 제조하면 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기능성 하이드로겔 패치 제조
아래의 [표 1]과 같이 리포좀화된 영양성분(아스코르빅애씨드, 타이로신, 글루타티온)과 경피약물전달성분 및 하이드로겔 성분을 혼합하여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조성하였으며, 영양성분은 인지질과 혼합한 상태에서 초음파조사를 통해 나노크기의 입자로 분할되어 리포좀화된 것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아크코르빅애씨드 0.05
타이로신 0.05
글루타티온 0.05
폴리아크릴릭애씨드 49
아가 0.8
수산화나트륨 0.1
글리세린 10
메틸프로판디올 5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7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0.2
정제수 34.07
합계 100
[실험예] 영양성분 용출실험
수용체 컴파트먼트(Receptor compartment)에 생리식염수를 채운 후 37℃로 예열하고, 이후 도너 컴파트먼트(Donor compartment)에 제작된 샘플을 무모마우스에서 채취한 피부에 부착하여 30분 간격으로 영양성분의 용출량을 확인하였다.
용출시험 결과, 도 1에 도시된 용출량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날수록 지속적으로 일정량이 용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20분동안 용출시험결과 100%에 이르는 영양성분이 용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아스코르빅애씨드(Ascorbic Acid)와 타이로신(tyrosine)과 글루타티온(glutathione)과 경피약물전달성분 및 피부온도에 감응하여 겔상태에서 졸상태로 변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혼합하되,
    영양성분인 상기 아스코르빅애씨드와 타이로신 및 글루타티온은 인지질과 각각 0.2 ~ 1 : 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상태에서 2~30분동안 1~3초 간격으로 3~5초간 초음파 처리하여 각 영양성분이 나노입자로 분할되어 인지질에 둘러싸여 리포좀화되어 있으며,
    상기 경피약물전달성분은 중화과정을 거쳐 PH농도가 4.8~5.5가 된 폴리아크릴릭애씨드이며,
    아스코르빅애씨드 0.03~3중량%와, 타이로신 0.03~3중량%와, 글루타티온 0.03~3중량%와, 중화과정을 거친 폴리아크릴릭애씨드 45~55중량%와, 하이드로겔 물질로서 아가 0.4~2중량%와, 수산화나트륨 0.01~0.5중량%와, 글리세린 5~15중량%와, 메틸프로판디올 2~8중량%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3~1중량%와,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0.05~0.5중량%와, 나머지는 정제수가 혼합되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영양성분인 아스코르빅애씨드와 타이로신 및 글루타티온을 각각 인지질과 0.2 ~ 1 :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상태에서 2~30분동안 1~3초 간격으로 3~5초간 각각 초음파 처리하여 각 영양성분을 나노크기의 입자로 분할시켜 준 상태에서 인지질에 둘러싸여 지게 하여 리포좀화시키는 단계;
    폴리아크릴릭애씨드를 중화시켜 PH농도가 4.8~5.5가 되도록 중화과정을 거치는 단계;
    리포좀화된 아스코르빅애씨드와 타이로신 및 글루타티온 각각 0.03~3중량%와, 경피약물전달성분으로서 중화과정을 거친 폴리아크릴릭애씨드 45~55중량%와, 하이드로겔 조성물로서 아가 0.4~2중량%와, 수산화나트륨 0.01~0.5중량%와, 글리세린 5~15중량%와, 메틸프로판디올 2~8중량%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3~1중량%와,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0.05~0.5중량%와, 나머지는 정제수를 혼합하여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쳐 조성된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외면에 폴리우레탄이 접합된 부직포 및 신축성 원단의 내면에 도포한 후 55~65℃의 온도에서 60~80시간 열경화시켜 겔상태가 되게 형성한 후 설정된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를 거쳐 패치로 제조하고,
    상기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교반기에 폴리아크릴릭애씨드를 투입한 후 정제수와 수산화나트륨을 투입하고, 여기에 아가를 투입하여 100℃로 가열시킨 정제수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을 거친 후 메틸프로판디올과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와 리포좀화된 영양성분을 투입하여 교반한 후 탈포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을 거친 후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를 투입하여 교반해 놓은 글리세린을 용기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 교반기에서 배출하여 액상의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획득하는 제3과정;을 거쳐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200047567A 2020-04-20 2020-04-20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 KR10218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567A KR102181479B1 (ko) 2020-04-20 2020-04-20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567A KR102181479B1 (ko) 2020-04-20 2020-04-20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479B1 true KR102181479B1 (ko) 2020-11-24

Family

ID=7367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567A KR102181479B1 (ko) 2020-04-20 2020-04-20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4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971A (ko) * 1999-03-19 2002-02-09 출원후보충 피부 노화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아스코르브산 조성물및 방법
KR101154327B1 (ko) * 2011-10-27 2012-06-14 주식회사 에코산업 수용성 나노 고분자를 이용한 상처치료용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방법
KR20160144107A (ko) 2015-06-08 2016-12-16 오석태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영양소가 포함된 피부부착형 양방향 기능성 음식패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971A (ko) * 1999-03-19 2002-02-09 출원후보충 피부 노화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아스코르브산 조성물및 방법
KR101154327B1 (ko) * 2011-10-27 2012-06-14 주식회사 에코산업 수용성 나노 고분자를 이용한 상처치료용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방법
KR20160144107A (ko) 2015-06-08 2016-12-16 오석태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영양소가 포함된 피부부착형 양방향 기능성 음식패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2114B2 (ja) 有益な効果を奏するアルギニンの投薬
CN103948927B (zh) 在癌症化疗和放疗时保护细胞的局部血管收缩剂制品和方法
CN1201723C (zh) 皮肤与组织护理和/或治疗制剂及其应用
KR102093872B1 (ko)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7033998B2 (en) Alcohol-free transdermal insulin composition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and use thereof
JP2008531725A (ja) オリゴペプチドの局所適用及び経皮送達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US20120184894A1 (en) Patches and Methods for the Transdermal Delivery of Agents to Treat Hair Loss
JP2002515401A5 (ko)
US7291591B2 (en) Alcohol-free transdermal insulin composition
CN101340905B (zh) 用于防止或改善皮肤干燥的口服制剂
CA3118311A1 (en) Management of risk of cation overload and electrolyte imbalance with topically applied buffers
CN102688483B (zh) 一种治疗皮肤病的组合物、含有该组合物的制剂及其制备方法
MXPA06004081A (es) Lipolisis local medicamentosa dirigida.
JP5643872B2 (ja) 二酸化炭素経皮・経粘膜吸収用組成物
US20160101139A1 (en) Topical treatment for use as a sleep aid
KR102181479B1 (ko) 리포좀화된 영양소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
KR102169792B1 (ko) 당뇨치료용 리포좀화된 인슐린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
KR102178353B1 (ko) 인슐린과 코로솔산 및 생약추출물이 혼합된 당뇨치료용 경피약물전달 패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패치 제조방법
CN101628008B (zh) 营养泡澡剂
JP5699184B2 (ja) 二酸化炭素経皮・経粘膜吸収用組成物
KR102244147B1 (ko) 스피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근육의 피로 해소, 예방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145376B1 (ko) 콜린알포세레이트를 포함하는 국소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CA2551690A1 (en) Compositions for use with skin
US20160106798A1 (en) Topical treatment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cupuncture or acupressure therapy
KR20170103380A (ko) 피부의 미백과 잔주름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