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214B1 - 천장 점검구 - Google Patents

천장 점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214B1
KR102181214B1 KR1020190066800A KR20190066800A KR102181214B1 KR 102181214 B1 KR102181214 B1 KR 102181214B1 KR 1020190066800 A KR1020190066800 A KR 1020190066800A KR 20190066800 A KR20190066800 A KR 20190066800A KR 102181214 B1 KR102181214 B1 KR 102181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over
frame
groove
skele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수
Original Assignee
김홍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수 filed Critical 김홍수
Priority to KR102019006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를 포함하는 천장 점검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천장 점검구{Ceiling Mounted Door}
본 발명은 천장 점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형성된 탄성고정단을 프레임 외측 둘레에 형성함으로써 천장 점검구가 천장의 두께에 맞게 인입될 수 있고, 덮개의 고정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홈부에 턱부를 형성하여 덮개의 개폐시 덮개가 천장 점검구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아 안전하며, 발광부가 천장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점검자의 작업 용이성을 제고하는 천장 점검구에 관한 것이다.
상하수도배관, 전기배선, 수도 및 가스배관 등의 설비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천장을 열어 점검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배관, 배수 및 수도 설비를 점검할 때 마다 매번 천장을 해체해야 하면 해체 기술자가 매우 수고로울 뿐만 아니라 천장에도 무리가 가게 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배관, 배수 및 수도를 점검할 때 천장 해체 작업 없이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천장에 별도로 점검구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56819호 '천장 점검구', 한국실용신안공보 제1996-0006680호 '천장 점검구의 록킹장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20891호 '천장형 에어컨의 배관 점검 장치'가 이와 같은 기술에 해당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56819호 '천정점검구'는 개폐편에 스프링 및 작동축을 구비하여 개폐편의 회전으로 개폐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도어부 외면 및 외부틀에 걸림편 및 돌출부를 구비하여 외부틀이 위로 젖혀 올라감과 어긋남을 방지하는데 상이한 천장 두께에 적용하여 설치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국실용신안공보 제1996-0006680호 '천정점검구의 록킹장치'는 프레임에 힌지축으로 결합된 문의 적정부위에 숫부재를 설치하고 그에 상응하는 암부재를 설치하여, 문의 밀폐시 푸쉬버튼 방식으로 문이 착탈되게 함으로써 개폐를 용이하게 하나, 상이한 천장 두께에 적용하여 설치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20891호 '천장형 에어컨의 배관 점검 장치'는 후크와 후크부재 및 렛치부재를 설치하여 커버를 천장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커버가 프레임에서 이탈되어 회동이 가능하게 하나, 커버와 프레임의 고정이 불안정하고 상이한 천장 두께에 적용하여 설치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천장 점검구를 통한 천장 점검 시, 어두운 천장 내부를 비추기 위해 작업자는 한 손에 손전등 등을 들고 작업해야 하므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56819호 한국실용신안공보 제1996-0006680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208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으로 형성된 탄성고정단을 프레임 외측 둘레에 형성함으로써 천장의 두께에 맞게 인입될 수 있는 천장 점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덮개의 고정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홈부에 턱부를 형성하여 덮개의 개폐시 천장 점검구로부터 덮개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아 안전성이 제고된 천장 점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바가 걸림턱 내에서 이동됨으로써 덮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천장 점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부가 천장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점검자의 작업 용이성을 제고하는 천장 점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점검구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개구를 형성하는 골격부, 상기 골격부의 외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고정단,상기 골격부의 전방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를 개폐하는 누름부, 상기 골격부의 후방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되어있는 결함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단은, 천장의 상이한 두께에 대응하여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검구의 설치시, 천장 하측방향 및 상기 골격부의 외측 방향으로 빗변을 가지는 제1 걸림돌기, 상기 제1 걸림돌기로부터 천장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천장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덮개를 누르는 경우 상기 덮개가 열리도록 상기 덮개와의 접촉면이 경사져 있는 누름판, 및 상기 누름판의 양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덮개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부는, 종 홈부, 상기 종 홈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골격부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있는 횡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횡 홈부에는 상기 덮개의 이탈 방지를 위해 턱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종 홈부는, 외측으로 경사져있는 상기 종 홈부의 도입 개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을 천장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골격부의 둘레에 형성된 고정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은, V 형상이며, 천장의 상이한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이한 높이의 위치에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골격부의 좌우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골격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를 열었을 때 상기 천장 방향으로 발광되도록 상기 골격부의 내측으로 소정 거리 경사져 삽입 형성 된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판부, 상기 판부의 후방 좌우측면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판부의 전방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과의 접촉면이 경사져 있는 이동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은, 상기 프레임과 접촉되는 면이 경사져 있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양측 하방으로 단차져 형성되어 있는 제1 평탄부, 및 상기 경사부 및 상기 제1 평탄부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평탄부로부터 상방으로 단차져 형성되어 있는 제2 평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판부의 좌우측면에 각각 내측으로 연설되어 있는 레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를 열었을 때 상기 천장 방향으로 발광되도록 상기 판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단으로 형성된 탄성고정단을 프레임 외측 둘레에 형성함으로써 천장 점검구가 천장의 두께에 맞게 인입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덮개의 고정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홈부에 턱부를 형성하여 덮개의 개폐시 덮개가 천장 점검구롤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누름부와 이동단의 접촉면이 경사져 형성되어 있어서 작은 힘으로도 덮개를 용이하게 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레바가 걸림턱 내에서 이동됨으로써 덮개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광부가 천장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점검자의 작업 용이성을 제고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점검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고정단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 부분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홈부 부분과 고정 홈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 구비된 제1 발광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바와 걸림턱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에 구비된 제2 발광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점검구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점검구(1000)는 프레임(100), 및 덮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천장에 인입되어 천장 점검구가 천장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덮개(200)는 프레임(100)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천장 점검구(1000)의 각 구성요소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프레임(100)은 개구를 형성하는 골격부(110), 탄성고정단(120), 누름부(130), 및 결함홈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격부(110)는 개구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골격부(110)가 사각 형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 형상, 삼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단(120)은 상기 골격부(110))의 외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장 점검구(1000) 설치시, 천장의 두께에 맞게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누름부(130)은 상기 골격부(110)의 전방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부(13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덮개(200)가 개폐된다.
상기 결합홈부(140)는 상기 골격부(110)의 후방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20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고정단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탄성 고정단(120)은 제1 걸림돌기(121), 및 제2 걸림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단(120)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어, 천장(A)의 상이한 두께에 대응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돌기(121)는 천장의 상이한 두께에 대응하여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장 점검구의 설치시, 천장(A) 하측방향 및 상기 골격부(110)의 외측 방향으로 빗변을 가진다.
상기 제2 걸림돌기는(122) 상기 제1 걸림돌기(121)로부터 천장(A)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천장(A)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걸림돌기(121)의 하단부(W3)가 가장 넓은 형태이며 제 2걸림돌기(122)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단부(W2) 너비가 하단부(W3)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천장(A)의 두께에 따라 탄성 고정단이 맞게 끼워질 수 있어 천장 점검구(1000)가 천장과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 부분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4 및 5를 참조하면, 누름부(130)는 누름판((131) 및 지지판(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판(131)은 사용자가 상기 덮개(200)를 열기 위해 누르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누름판(131)은 상기 덮개(200)가 용이하게 열리도록 상기 덮개(200)와의 접촉면(b)이 경사져 있다.
상기 지지판(132, 133)은 상기 누름판(131)의 양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20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덮개(200)를 지지한다.
상기 누름부(130)에 대해서는 덮개(200)의 이동단과 함께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홈부 부분과 고정 홈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6을 참조하면, 결합 홈부(140)는 종 홈부(141), 횡 홈부(142), 턱부(143), 및 경사가이드(1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고정 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 홈부(141)는 상기 프레임(100) 내에 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횡 홈부(142)는 종 홈부(141)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턱부(143)는 상기 횡 홈부(142)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턱부(143)로 인해 상기 덮개(200)의 고정돌기(도 8, 220)는 결합 홈부(14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되므로, 상기 덮개(200)가 천장 아래로 떨어져버리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가이드(144)는 상기 종 홈부(141)의 도입 개구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으로 경사진 구조이다. 상기 경사가이드(144)는 덮개(200)의 종 홈부(141)로의 인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고정홈(150)은 상기 골격부(110, 도 2)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150)에는 고정핀(미도시)이 끼워지는 복수의 홀(151)이 상이한 높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천장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의 홀(151)에 고정핀을 끼움으로써 천장 점검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홈(150)은 'V' 형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I” 형상, 역 “V”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 구비된 제1 발광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발광부(170)는 덮개(200)를 열었을 때 천장 방향으로 발광되도록 상기 골격부(110)의 내측으로 소정 거리 삽입되어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천장 점검시, 점검자는 어두운 천장 내부를 비추기 위해 손전등과 같은 발광기구를 손에 들고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양손을 자유롭게 쓰지 못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 발광부(170)가 구비되어 있으면, 작업자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발광부(170)는 덮개(200)가 닫혀 있을 때는 발광하지 않고, 덮개(200)가 열렸을 때 발광하도록 제어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200)는 판부(210), 고정돌기(220), 및 이동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220)는 상기 판부(210)의 후방 좌우측면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220)는 상기 프레임(도 6, 100)의 결합 홈부(도 6, 140)에 삽입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 홈부(140)의 종 홈부(141)의 도입 개구 부분이 외측으로 경사져 있어 상기 고정돌기(200)의 결함 홈부(140)로의 삽입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고정돌기(220)가 결합홈부(140)에 체결된 경우, 횡 홈부(142)에 형성되어 있는 턱부(143)로 인해 상기 고정돌기(220)는 결합홈부(14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게 되므로, 덮개(200) 바닥으로 떨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 5 및 8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단(230)은 상기 판부(210)의 전방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234), 제1 평탄부(233) 및 제2 평탄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34)는 상기 프레임(100)과 접촉되는 면, 보다 상세하게는, 누름부(130)의 누름판(131)과 접촉되는 면(S)이 경사져 있다.
상기 제1 평탄부(233)는 상기 경사부(234)의 양측 하방으로 단차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평탄부(232)는 상기 경사부(234) 및 상기 제1 평탄부(233)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평탄부(232)로부터 상방으로 단차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130)와 상기 이동단(230)의 작동에 의한 상기 덮개(200)의 개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덮개(200)가 닫혀져 있는 경우, 상기 누름부(130)의 지지판(132, 133)은 상기 이동단(230)의 제1 평탄부(23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 평탄부(233)에 대한 상기 지지판(132, 133)의 지지력에 의해서 상기 덮개(200)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천장 점검이 필요하여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130)의 누름판(131)을 누르면, 상기 누름판(131)의 경사면(b)이 상기 경사부(234)의 경사면(S)을 누르게 되어 상기 경사부(234)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경사부(234)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는 제2 평탄부(232) 역시 뒤로 밀리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평탄부(232)와 상기 덮개(230)의 이동판부(231)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2 평탄부(232)는 상기 빈 공간으로 용이하게 밀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234)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경사부(234)의 양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제1 평탄부(233)도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상기 제1 평탄부(233)를 지지하고 있던 상기 누름부(130)의 상기 지지판(132, 133)은 상기 제1 평탄부(233)와 떨어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덮개(200)가 열리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누름판(131)과 상기 경사부(234)가 접촉되는 면이 경사져 있어서, 작은 힘만으로도 상기 덮개(200)를 용이하게 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바와 걸림턱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상기 레바(240)는 덮개(200)의 판부(210)의 좌우측면에 각각 내측으로 연설되어 있다. 기 걸림턱(160)은 상기 레바(240)의 타단과 체결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걸림턱(160)에는 상기 레바(240)와의 체결 자리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바(240)가 상기 걸림턱(160)의 복수의 체결 자리 중 어느 체결 자리에 체결됨에 따라 덮개(200)의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바(240)가 걸림턱(160)의 전방측 체결자리에 체결되는 경우와 걸림턱(160)의 후방측 체결자리에 체결되는 경우를 비교해보면, 상기 레바(240)가 전방측 체결자리에 체결되는 경우보다 후방측 체결자리에 체결되는 경우 덮개가 더 많이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레바(240)의 걸림턱(160) 내의 체결 위치에 따라 덮개(200)의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점검자는 자신의 작업 상황에 맞추어 덮개의 개폐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에 구비된 제2 발광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발광부(250)는 덮개(200)를 열었을 때 천장 방향으로 발광되도록 판부(210)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 발광부(250)는 판부(210)의 후방 측에 설치되되, 발광되는 면이 판부(2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덮개(200)를 열었을 때 제2 발광부(250)에서 발광되는 빛은 천장 방향을 향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발광부(250)가 구비되어 있으면, 작업자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발광부(250)는 덮개(200)가 닫혀 있을 때는 발광하지 않고, 덮개(200)가 열렸을 때 발광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점검구(1000)는 앞서 설명한 제1 발광부(170)와 제2 발광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A 천장
b 누름판 경사면
h 골격부와 누름부의 이격 높이
W1,2 제2 걸림돌기 다단 너비
W3 제1 걸림돌기 하단부 너비
1000 천장 점검구
110 골격부
120 탄성고정단
121 제1 걸림돌기 122 제2 걸림돌기
130 누름부
131 누름판 132, 133 지지판
140 결합홈부
141 종 홈부 142 횡 홈부
143 턱부 144 경사가이드
150 고정홈 151 고정홈 내 홀
160 걸림턱
170 제1 발광부
200 덮개
210 판부
220 고정돌기
230 이동단
240 레바
250 제2 발광부

Claims (15)

  1. 천장 점검구에 있어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개구를 형성하는 골격부;
    상기 골격부의 외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고정단;
    상기 골격부의 전방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를 개폐하는 누름부;
    상기 골격부의 후방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되어있는 결합홈부;
    상기 프레임을 천장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골격부의 둘레에 형성된 고정 홈; 및
    상기 덮개를 열었을 때 상기 천장 방향으로 발광되도록 상기 골격부의 내측으로 소정 거리 삽입되어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제1 발광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고정단은,
    상기 천장의 상이한 두께에 대응하여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장 점검구의 설치 시, 상기 천장의 하측방향 및 상기 골격부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빗변을 가지는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1 걸림돌기로부터 상기 천장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장의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걸림돌기;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걸림돌기는 서로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걸림돌기는, 상기 골격부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정점에서 상기 골격부의 내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며,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상기 제1 걸림돌기로부터 상기 천장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뒤 정점에서 상기 골격부의 내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제1 단과, 상기 제1 단으로부터 상기 천장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뒤 정점에서 상기 골격부의 내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제2 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돌기의 정점에서의 폭은 상기 제1 단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의 폭은 상기 제2 단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홈은, 상기 천장 점검구의 설치 시, 역 V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천장의 상이한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천장 점검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역 V 형상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복수의 홀들을 포함하는, 천장 점검구.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덮개를 누르는 경우 상기 덮개가 열리도록 상기 덮개와의 접촉면이 경사져 있는 누름판; 및
    상기 누름판의 양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덮개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는,
    종 홈부; 및
    상기 종 홈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골격부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있는 횡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횡 홈부에는 상기 덮개의 이탈 방지를 위해 턱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종 홈부는, 상기 종 홈부의 도입 개구 부분이 외측으로 경사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홈의 복수의 홀들은 상기 역 V 형상을 따라 서로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골격부의 좌우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판부;
    상기 판부의 후방 좌우측면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판부의 전방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과의 접촉면이 경사져 있는 이동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은,
    상기 프레임과 접촉되는 면이 경사져 있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양측 하방으로 단차져 형성되어 있는 제1 평탄부; 및
    상기 경사부 및 상기 제1 평탄부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평탄부로부터 상방으로 단차져 형성되어 있는 제2 평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판부의 후방 좌우측면에 각각 내측으로 연설되어 있는 레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를 열었을 때 상기 천장 방향으로 발광되도록 상기 판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KR1020190066800A 2019-06-05 2019-06-05 천장 점검구 KR102181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800A KR102181214B1 (ko) 2019-06-05 2019-06-05 천장 점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800A KR102181214B1 (ko) 2019-06-05 2019-06-05 천장 점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214B1 true KR102181214B1 (ko) 2020-11-20

Family

ID=73697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800A KR102181214B1 (ko) 2019-06-05 2019-06-05 천장 점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2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4563A (ko) 2022-08-17 2024-02-26 주식회사 코리아스태플 천장 점검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680A (ko) 1994-07-30 1996-02-23 배순훈 송수신 기능을 갖는 리모콘 장치
KR200350773Y1 (ko) * 2004-02-27 2004-05-13 성종제 개폐가 용이한 조명등기구의 케이스
KR100456819B1 (ko) 2001-12-27 2004-11-10 황점수 천정점검구
KR100820891B1 (ko) 2007-05-07 2008-04-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천장형 에어컨의 배관 점검 장치
JP2010275747A (ja) * 2009-05-27 2010-12-09 Jr Higashi Nippon Birutekku Kk 点検口照明
JP2013040540A (ja) * 2011-08-11 2013-02-28 Nakazawa Chuzo Hanbai Kk 天井点検口枠
KR101554352B1 (ko) * 2014-07-04 2015-09-21 주식회사 경신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KR101797934B1 (ko) * 2015-11-26 2017-11-16 주식회사 기연써프라이 천장 점검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680A (ko) 1994-07-30 1996-02-23 배순훈 송수신 기능을 갖는 리모콘 장치
KR100456819B1 (ko) 2001-12-27 2004-11-10 황점수 천정점검구
KR200350773Y1 (ko) * 2004-02-27 2004-05-13 성종제 개폐가 용이한 조명등기구의 케이스
KR100820891B1 (ko) 2007-05-07 2008-04-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천장형 에어컨의 배관 점검 장치
JP2010275747A (ja) * 2009-05-27 2010-12-09 Jr Higashi Nippon Birutekku Kk 点検口照明
JP2013040540A (ja) * 2011-08-11 2013-02-28 Nakazawa Chuzo Hanbai Kk 天井点検口枠
KR101554352B1 (ko) * 2014-07-04 2015-09-21 주식회사 경신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KR101797934B1 (ko) * 2015-11-26 2017-11-16 주식회사 기연써프라이 천장 점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4563A (ko) 2022-08-17 2024-02-26 주식회사 코리아스태플 천장 점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958B1 (ko) 조명등 설치구조
KR102181214B1 (ko) 천장 점검구
KR101322809B1 (ko) 엘이디 조명기구용 고정장치
KR101781149B1 (ko) 조명장치
KR101696184B1 (ko) 조명커버 착탈용 탄지구
KR20130123530A (ko) 방화문(防火門)의 힌지장치
KR20090087634A (ko) 환기창용 셔터개폐장치
KR102145789B1 (ko) 천장에 시공되는 점검구
NO20150209A1 (en) Concealed toilet cistern assembly
KR100775126B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GB2486776A (en) Draining apparatus for a toilet cistern
KR20100016239A (ko) 천정 매입형 조명 기구
KR101033942B1 (ko) 천정 매입형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KR102344343B1 (ko) 평판조명기구용 천장브라켓 어셈블리 설치구조
KR102034086B1 (ko) 공동주택용 배전선 설치기구
EP1972723A2 (en) Inspection cover
KR20100009243A (ko) 맨홀용 받침틀과 덮개의 잠금장치
KR20150117386A (ko) 다운라이트의 천정 고정구조
KR101111495B1 (ko) 맨홀 방수장치
JPH07112884A (ja) エレベータ
KR20160123698A (ko) 천장 매립등 체결장치
KR200428653Y1 (ko) 미닫이 개폐식 커버를 갖는 천정등
AU2014304073B2 (en) Spring actuated engagement device
KR200480255Y1 (ko) 천정등 케이스
JP2021026920A (ja) シーリングライト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