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352B1 -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 Google Patents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352B1
KR101554352B1 KR1020140083976A KR20140083976A KR101554352B1 KR 101554352 B1 KR101554352 B1 KR 101554352B1 KR 1020140083976 A KR1020140083976 A KR 1020140083976A KR 20140083976 A KR20140083976 A KR 20140083976A KR 101554352 B1 KR101554352 B1 KR 101554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panel
latching
pane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현
이준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4008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는: 도어 판넬의 설치공에 결합되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설치공에 걸려지는 걸림부재와, 걸림부재에 형성되어 도어 판넬의 두께가 다른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걸림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단차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PANNEL VARIABLE TYPE DOOR CONNECT}
본 발명은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재에 단차수용부를 형성하여 두께가 다른 도어 판넬 모두를 장착하므로 호환성을 개선하고, 도어 커넥터의 종류를 축소하여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커넥터(door connect)는 플로어하네스(floor harness)와 도어 하네스(door harness)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구를 말하는 것으로서, 도어 판넬(door pannel)에 주로 후크 결합 방식으로 장착된다.
기존의 도어 커넥터는 양측에 걸림부재가 구비되어 도어 판넬에 관통 형성된 설치공을 통해 걸림 장착되어 도어 판넬에 설치된다.
그런데, 기존의 걸림부재는 차종에 따라 도어 판넬의 두께가 달라지므로 어느 차종의 도어 판넬에는 도어 커넥터를 장착할 수 있지민 도어 판넬의 두께가 커지는 다른 차종의 도어 판넬에는 도어 커넥터를 장칙할 수 없다, 이로써, 도어 두께 차이에 따라 별개의 도어 커넥터를 제작해야 하므로 호환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두꺼운 도어 판넬을 기준으로 걸림부재를 제작하는 경우, 두께가 얇은 도어 판넬은 헐거워져 도어 커넥터의 걸림부재가 이탈되거나 차량 소음을 유발할 수 있고, 도어 판넬의 휨 또는 용접 불량에 의한 특이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장착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56520호(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도어용 커넥터, 공개일: 2003.07.04)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커넥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재에 단차수용부를 형성하여 두께가 다른 도어 판넬 모두를 장착하므로 호환성을 개선하고, 도어 커넥터의 종류를 축소하여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는, 도어 판넬의 설치공에 결합되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공에 걸려지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판넬의 두께가 다른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걸림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단차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도어 판넬을 접촉 지지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중심부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부재가 구부려지도록 지지하는 돌출지지부; 및 상기 돌출지지부에서 상기 걸림부재가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양측으로 개방형성된 개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지지부 및 상기 걸림부재의 상측 둘레부위는 상기 설치공으로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상측 둘레부위의 곡률은 상기 돌출지지부의 상측 둘레부위의 곡률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차수용부는, 상기 도어 판넬 중 얇은 두께의 제1도어 판넬의 설치공에 걸려지도록 상기 걸림부재에 마련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제1걸림부에서 연장되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도어 판넬 중 두꺼운 두께의 제2도어 판넬의 설치공에 걸려지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걸림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되,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하측부위가 회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회동공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에 상기 제2도어 판넬의 설치공이 걸려질때, 설치공의 내측면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의 외측면이 눌려지면서 상기 회동공간부에서 상기 걸림부재의 하측부위가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도어 판넬의 설치공의 내측면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의 외측면이 눌려질 때, 일부 영역이 수축되도록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재에 단차수용부를 형성하여 두께가 다른 다수 개의 도어 판넬 모두를 장착할 수 있고, 도어 판넬에 휨 또는 용접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장착 가능하므로 호환성이 개선되고, 도어 커넥터의 종류를 축소하여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차수용부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단차수용부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의 조립 상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얇은 도어 판넬에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꺼운 도어 판넬에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가 ?합된 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의 조립 상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얇은 도어 판넬에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꺼운 도어 판넬에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가 ?합된 상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100)는, 커넥터 본체(10), 걸림부재(20) 및 단자수용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100)는, 플로어하네스)와 도어 하네스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도어에 장착된 각종 버튼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기 제어 신호를 상호 간 전달하도록 하는 커넥터이다.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100)는 후크 걸림방식으로 도어 판넬(1)에 탈부착된다. 이러한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100)는 도어 판넬(1)에 관통 형성된 설치공(6)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진다.
커넥터 본체(10)는 도어 판넬(1)의 설치공(6)에 걸림 방식으로 결합된다, 설치공(6)은 통상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원형 또는 사각형을 제외한 다른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커넥터 본체(10)는 도어 판넬(1)의 설치공(6)의 상측으로 삽입되는 부위와 도어판넬(1)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부위로 이루어진다.
커넥터 본체(10)의 양측에는 도어 판넬(1)과 결합을 유지하게 해주는 걸림부재(20)가 구비된다.
걸림부재(20)는 도어 판넬(1)의 설치공(6)에 진입시 오므려 졌다가 펼쳐지면서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U 자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걸림부재(20)는 커넥터 본체(10)의 양측에서 탄성력을 발휘하여 오무려졌다가 펼쳐질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커넥터 본체(10)는 도어 판넬(1)을 접촉 지지하는 플랜지부(12)와, 플랜지부(12)의 중심부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걸림부재(20)가 구부려지도록 지지하는 돌출지지부(14)와, 돌출지지부(14)에서 걸림부재(20)가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양측으로 개방형성된 개방홈부(116)를 포함한다.
플랜지부(12)는 상측에서 볼 때, 모서리부위가 라운드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부(12)는 커넥터 본체(10)를 도어 판넬(1)의 설치공(6)에 삽입할 때, 도어 판넬(1)의 측면에 접촉되어 더 이상 진입을 못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12)는 커넥터 본체(10)의 조립시 도어 판넬(10) 측으로의 진입을 멈추기 위해 커넥터 본체(10)의 상측 둘레 전체 부위에 설정 길이 돌출된다.
돌출지지부(12)는 중심부위에 와이어 하네스를 연결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개방홈부(16)는 걸림부재(20)가 휘어지는 것을 도와줄 수 있도록 돌출지지부(14)와 걸림부재(20) 사이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개방되는 홈이다. 개방홈부(16)는 양측에 2개 씩 모두 4개가 형성된다.
돌출지지부(14)와 걸림부재(20)의 상측 둘레부위는 설치공(6)으로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진입 위치가 정확하지 않아도 가이드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재(20)의 상측 둘레부위의 곡률은 돌출지지부(14)의 상측 둘레부위의 곡률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커넥터 본체(10)를 도어 판넬(1)에 삽입할 때, 돌출지지부(14)가 먼저 접촉되도록 하여 걸림부재(20)가 먼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걸림부재(20)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설치공(6)에서 커넥터 본체(10)의 진입이 점차 이루어질수록 걸림부재(20)가 접촉될 수 있도록 걸림부재(20)의 곡률은 돌출지지부(14)의 곡률보다 더 커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나중에는 걸림부재(20)의 외측면이 설치공(6)에 접촉되면서 걸려져 도어 판넬(1)에 결합이 이루어진다.
단차수용부(30)는 걸림부재(20)에 형성되어 도어 판넬(1)의 두께가 다른 경우 이의 단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단차수용부(30)는 걸림부재(20)에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수용부(30)는, 걸림부재(20)의 외측면에 다양한 형태의 걸림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차수용부(30)는 도어 판넬(1) 중 얇은 두께의 제1도어 판넬(2)의 설치공(6)에 걸려지도록 걸림부재(20)에 마련되는 제1걸림부(32)와, 제1걸림부(32)에서 연장되어 하나 이상 구비되고, 도어 판넬(1) 중 두꺼운 두께의 제2도어 판넬(4)의 설치공(6)에 걸려지는 제2걸림부(34)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 판넬(2)이 걸리는 제1걸림부(32)와 제2도어 판넬(4)이 걸리는 제2걸림부(34)의 단차수용부(30) 걸림부위가 모두 2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도록 한다. 이때, 단차수용부(30)는 3개 이상의 걸림부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도어 판넬(1)은 두꼐가 얇은 제1도어 판넬(2)과, 제1도어 판넬(2)에 비해 두께가 두꺼운 제2도어 판넬(4)로 지정하도록 한다. 이로써, 단차수용부(30)는 제1,제2도어 판넬(2,4)과 같이 2종류를 수용하할 수 있도록 2단계로 도시하였으나, 3종류 이상의 도어 판넬를 수용할 수도 있다.
제1걸림부(32)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정점부위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제1걸림부(32)는 단면에서 볼 때, 약간 비 대칭인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32)에 제1도어 판넬(2)의 설치공(6)이 걸려지는 경우, 걸림부재(20)는 젖혀졌다가 다시 복귀하면서 거의 수직으로 위치하여 걸림 작용을 수행한다.
제2걸림부(34)는 제1걸림부(32)의 상측으로 연장되되,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걸림부(34)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정점부위에서 다시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제1걸림부(32)는 단면에서 볼 때, 거의 대칭인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제2걸림부(32,34)의 걸림부위가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유는 걸림부재(20)의 하단 부위를 내측으로 젖혀서 제1,제2도어 판넬(2,4)의 설치공(6)에서 이탈시킬 때,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플랜지부(12)에는 걸림부재(20)의 하측부위가 회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회동공간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부(34)에 제2도어 판넬(4)의 설치공(6)이 걸려질때, 설치공(6)의 내측면에 의해 제1걸림부(32)의 외측면이 눌려지면서 회동공간부(40)에서 걸림부재(의 하측부위가 젖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걸림부(34)에 제2도어 판넬(4)의 설치공(6)이 걸려지는 경우, 걸림부재(20)는 젖혀?다가 다시 복귀하는 과정에서 제1걸림부(32)의 외측면이 접촉되므로 걸림부재(12)가 회동공간부(40) 내에서 약간 경사지는 상태로 걸림 작용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100)는 제2도어 판넬(4)의 설치공(6)의 내측면에 의해 제1걸림부(32)의 외측면이 눌려질 때, 일부 영역이 수축되도록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100)는, 커넥터 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재(20)에 단차수용부(30)를 형성하여 두께가 다른 다수 개의 도어 판넬 모두를 장착할 수 있고, 도어 판넬에 휨 또는 용접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장착 가능하므로 호환성이 개선되고, 도어 커넥터의 종류를 축소하여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차수용부(30)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단차수용부(30)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도어 판넬 2,4 : 제1,제2도어 판넬 :
6 : 설치공 10 : 커넥터 본체
12 : 플랜지부 14 : 돌출지지부
16 : 개방홈부 20 : 걸림부재
30 : 단차수용부 32 : 제1걸림부
34 : 제2걸림부 40 : 회동공간부
100 :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Claims (8)

  1. 도어 판넬의 설치공에 결합되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공에 걸려지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판넬의 두께가 다른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걸림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단차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수용부는,
    상기 도어 판넬 중 얇은 두께의 제1도어 판넬의 설치공에 걸려지도록 상기 걸림부재에 마련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제1걸림부에서 연장되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도어 판넬 중 두꺼운 두께의 제2도어 판넬의 설치공에 걸려지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의 하측부위가 회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에 회동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걸림부에 상기 제2도어 판넬의 설치공이 걸려질 때, 설치공의 내측면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의 외측면이 눌려지면서 상기 회동공간부에서 상기 걸림부재의 하측부위가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도어 판넬을 접촉 지지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중심부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부재가 구부려지도록 지지하는 돌출지지부; 및
    상기 돌출지지부에서 상기 걸림부재가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양측으로 개방형성된 개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와 상기 걸림부재의 상측 둘레부위는 상기 설치공으로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상측 둘레부위의 곡률은 상기 돌출지지부의 상측 둘레부위의 곡률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걸림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되,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 판넬의 설치공의 내측면에 의해 상기 제1걸림부의 외측면이 눌려질 때, 일부 영역이 수축되도록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KR1020140083976A 2014-07-04 2014-07-04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KR101554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976A KR101554352B1 (ko) 2014-07-04 2014-07-04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976A KR101554352B1 (ko) 2014-07-04 2014-07-04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352B1 true KR101554352B1 (ko) 2015-09-21

Family

ID=54248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976A KR101554352B1 (ko) 2014-07-04 2014-07-04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3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824A (ko) * 2018-11-23 2020-06-02 김홍수 천장에 시공되는 점검구
KR102181214B1 (ko) * 2019-06-05 2020-11-20 김홍수 천장 점검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3621A (ja) * 2010-05-31 2011-12-15 Sanyo Denki Co Ltd 電気部品の取付構造及びコネクタ用アダプ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3621A (ja) * 2010-05-31 2011-12-15 Sanyo Denki Co Ltd 電気部品の取付構造及びコネクタ用アダプ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824A (ko) * 2018-11-23 2020-06-02 김홍수 천장에 시공되는 점검구
KR102145789B1 (ko) * 2018-11-23 2020-08-28 김홍수 천장에 시공되는 점검구
KR102181214B1 (ko) * 2019-06-05 2020-11-20 김홍수 천장 점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195215A (ja) 充電用コネクタ
JP2018032625A (ja) コネクタ位置保証ロック機構およびコネクタ位置保証ロック機構の操作方法
JP5660113B2 (ja) 電気コネクタ
US9356398B2 (en) Lock mechanism of shield connector
KR20160054988A (ko)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한 도어 커넥터
US9263823B2 (en) Lever connector
US9694763B2 (en) Wire harness protector having grounding function
KR101554352B1 (ko) 판넬 가변형 도어 커넥터
JP5937046B2 (ja) 係止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
JP5641354B2 (ja) 充電コネクタ
US9048577B2 (en) Lever connector with waterproofing
JP2017073300A (ja) コネクタ
JP6100158B2 (ja) 電気コネクタ
JP5804041B2 (ja) 電気コネクタ
JP5246086B2 (ja) コネクタ
WO2017217208A9 (ja) コネクタ
KR200484128Y1 (ko) 커넥터의 터미널 고정 구조,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JP4830803B2 (ja) 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5678794B2 (ja) 固定具
KR101810131B1 (ko) 커넥터
JP6406961B2 (ja) 照明ユニット係止構造
JP2013016399A (ja) コネクタ
JP2015032784A (ja) ターミナル保護構造
JP5786932B2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金具
JP2019087436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