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255Y1 - 천정등 케이스 - Google Patents

천정등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255Y1
KR200480255Y1 KR2020150006885U KR20150006885U KR200480255Y1 KR 200480255 Y1 KR200480255 Y1 KR 200480255Y1 KR 2020150006885 U KR2020150006885 U KR 2020150006885U KR 20150006885 U KR20150006885 U KR 20150006885U KR 200480255 Y1 KR200480255 Y1 KR 200480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housing
flange
ceiling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충열
Original Assignee
유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충열 filed Critical 유충열
Priority to KR2020150006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21V29/0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등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일측에 등커버가 삽입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출입구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형상 및 구조를 단순화시켜 불필요한 부품들의 중복 제작을 방지하고, 별도의 마감부없이 전체적인 디자인을 심플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등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는 실내 천정에 설치 고정되고,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출입구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밀폐하는 등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측벽 하부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내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등커버의 테두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정등 케이스{CEILING LIGHT CASE}
본 고안은 천정등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일측에 등커버가 삽입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출입구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형상 및 구조를 단순화시켜 불필요한 부품들의 중복 제작을 방지하고, 별도의 마감 없이 전체적인 디자인을 심플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등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등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천정에 설치되는 등기구의 일종으로써, 천정에 직접 고정되거나 현수되는 방식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는 형광등, 백열등 또는 기타 광원으로 된 전등과, 상기 전등이 수용된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어 전등을 보호하는 한편, 바닥을 향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빛이 눈 부심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방지하는 커버가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것으로 크게 구성된다.
또한, 천정등은 사용자의 취향과 기호에 따라 실내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거주자가 천정을 보았을 때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천정등의 커버는 그 형상과 모양이 실내 분위기를 크게 좌우한다 할 것이다.
이러한 천정등의 커버는 실내 미관을 우수하게 할 뿐만 아니라, 눈부심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성도 함께 고려되어 개발되고, 최근에는 전등의 수명이 다하여 교체하고자 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커버를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천정등의 케이스 저면과 커버의 상면을 체결볼트나 체결클립 등으로 고정결합 함으로써, 케이스에 대해 커버를 탈거시 상기 체결볼트나 체결클립을 제거한 후 커버 전체를 아래 방향으로 분리시켜야 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천정등은 사용자가 볼트 또는 너트를 분리하여 커버를 완전 탈거 후 다시 장착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다.
(문헌 1)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58964호(2012년 02월 23일 등록)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1111890호(2012년 01월 27일 등록) (문헌 3)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9539호(2010년 07월 12일 등록) (문헌 4)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05838호(2006년 01월 04일 등록)
본 고안은 하우징의 일측에 등커버가 삽입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출입구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형상 및 구조를 단순화시켜 불필요한 부품들의 중복 제작을 방지하고, 별도의 마감 없이 전체적인 디자인을 심플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등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출입구를 통해 등커버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별도의 공구 없이도 형광등, 백열등 또는 기타 광원의 교체 및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등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등커버를 유리, 아크릴, 바리솔 또는 망입유리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다양한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등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 천정등의 본체와 덮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와, 유리(아크릴)커버 또는 본체와 케이스, 유리(아크릴) 등의 중복 제작되는 것을 피하고, 보관 및 설비구조가 조명기구와 일체로 통합되는 하나의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생산설비 구조를 단순화 및 신속화를 통해 작업환경 개선 및 작업효율을 향상과 불필요한 자제(가이드레일, 유리, 고정부속, 케이스 등)를 배제해 제작원가와 제작인건비 및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제품의 디자인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본체가 별도의 개구부나 마감부 없이 심플한 케이스 역할과 높은 방열성능까지 제공할 수 있는 천정등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마감은 광학성능을 높인 다양한 인테리어 소재(유리, 아크릴, 바리솔, 망입유리 등)를 이용해 빠른 설치공정 및 빠른 점검으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디자인이 수려한 내부 슬라이드방식을 채용한 것이고, 삽입높이를 2mm 정도로 높여 하부 마감재의 이탈을 막을 수 있으며, 방열의 성능도 향상되고,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특히, 천정등 제작시 다양한 사이즈의 제품과 테두리라운딩이나 제품의 상부면 높이를 다양하게 하여 해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천정등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는 실내 천정에 설치 고정되고,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출입구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밀폐하는 등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측벽 하부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내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등커버의 테두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고, 하우징 내부에 설치 고정된 형광등, 백열등 또는 기타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 통공 및 제2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구는, 상기 플랜지의 상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와 상기 출입구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은 상기 플랜지 상에 안착된 상기 등커버가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출입구의 상단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출입구와 접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 안착된 등커버가 상기 출입구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부면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움 고정되는 패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패드부는, 상기 등커버가 안착되고, 상기 등커버와 맞닿는 상부면에는 논슬립 처리되어 상기 등커버가 외부 충격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상기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는 하우징의 일측에 등커버가 삽입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출입구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형상 및 구조를 단순화시켜 불필요한 부품들의 중복 제작을 방지하고, 별도의 마감부없이 전체적인 디자인을 심플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는 출입구를 통해 등커버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별도의 공구 없이도 형광등, 백열등 및 기타 광원 등을 교체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는 등커버를 유리, 아크릴, 바리솔 또는 망입유리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다양한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는 종래 천정등의 본체와 덮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와, 유리(아크릴)커버 또는 본체와 케이스, 유리(아크릴) 등의 중복 제작되는 것을 피하고, 보관 및 설비구조가 조명기구와 일체로 통합되는 하나의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생산설비 구조를 단순화 및 신속화를 통해 작업환경 개선 및 작업효율을 향상과 불필요한 자제(가이드레일, 유리, 고정부속, 케이스 등)를 배제해 제작원가와 제작인건비 및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제품의 디자인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본체가 별도의 개구부나 마감부 없이 심플한 케이스 역할과 높은 방열성능까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는 하부마감은 광학성능을 높인 다양한 인테리어 소재(유리, 아크릴, 바리솔, 망입유리 등)를 이용해 빠른 설치공정 및 빠른 점검으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디자인이 수려한 내부 슬라이드방식을 채용한 것이고, 삽입높이를 2mm 정도로 높여 하부 마감재의 이탈을 막을 수 있으며, 방열의 성능도 향상되고,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특히, 천정등 제작시 다양한 사이즈의 제품과 테두리라운딩이나 제품의 상부면 높이를 다양하게 하여 해 다양한 디자인이 용이하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의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의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의 출입구에 스크래치 방지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의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에 가이드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의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의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의 출입구에 스크래치 방지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의 도 6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에 가이드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는 하우징(100), 등커버(200) 및 패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하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실내 천정에 설치 고정되며, 상부 패널에는 형광등, 백열등 또는 기타 광원 및 안정기 등이 설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하우징(100)은 등커버(200)가 출입하는 출입구(110), 등커버(200)를 지지하는 플랜지(120) 및 등커버(200)가 외부로 자연스럽게 나오도록 안내하는 안내바(13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구(110)는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내부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등커버(200)의 두께 및 넓이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등커버(20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된 등커버(2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등커버(200)가 안착되는 플랜지(120)의 상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출입구(110)와 등커버(200)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될 경우, 작업자가 형광등, 백열등 또는 기타 광원을 교체하거나 점검할 때 작업자의 부주의로 흔들게 되면 등커버(200)가 출입구(110)를 통해 이탈되어 바닥으로 떨어져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출입구(110)를 플랜지(120)의 상부면에서 상부로 이격되게 형성하여 출입구(110)와 플랜지(120) 사이에 단턱(111)이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단턱(111)을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플랜지(120)에 안착된 등커버(200)가 하우징(100)의 흔들림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출입구의 하부면 내측 방향으로 등커버(200)에 스크래치가 생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크래치 방지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부(112)는 등커버(200)가 출입구(110)를 통해 삽입될 때 등커버(200)의 하부면이 출입구(110)의 모서리 부분과 마찰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크래치 방지부(112)는 출입구(110)의 외부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출입구(110)의 하부면이 반구 형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20)는 하우징(100)의 하부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내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120)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4개의 측벽 하부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등커버(200)의 테두리 일부분이 지지 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의 하부를 밀폐하기 위해 등커버(20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받침대 역할을 한다.
안내바(130)는 얇은 철판으로 이루어지고, 출입구(110)의 상단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00) 내부에 안착된 등커버(200)가 출입구(110)를 통해 외부로 나오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안내바(130)는 출입구(110)와 접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고, 수평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로 들어, 작업자가 형광등, 백열등 또는 기타 광원을 교체하거나 점검하기 위해 등커버(200)를 하우징(100) 외부로 꺼내야하는데, 이때, 작업자는 하우징(100)의 하부를 통해 손으로 등커버(200)를 들어 출입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등커버(200)를 출입구(110)의 위치로 일치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는데 이러한 안내바(130)를 이용하게 되면 쉽고 편리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가 개방된 하우징(100)의 하부를 통해 등커버(200)를 손으로 들어올리면 등커버(200)의 상부면이 안내바(130)의 하부면에 닿으면서 경사면을 따라 출입구(110)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하우징(100)은 형광등, 백열등 또는 기타 광원(미도시) 및 안정기(미도시)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1 통공(140) 및 제2 통공(1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공(140)은 하우징(100)의 상부면에 천공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제2 통공(150)은 하우징(100)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공(140)은 하우징(100)이 천장에 매설되거나 또는 하우징(100)의 상부면이 천장에 부착 고정될 때, 천장에 구비된 클램프(미도시) 등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통공(150)은 하우징(100)의 상부면이 천장에 밀착되어 고정될 경우 제1 통공(140)이 밀폐되는데, 이때, 하우징(10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등커버(200)는 일정 두께는 갖는 사각 형태의 투광판으로 형성되고, 출입구(110)에 삽입되어 하우징(100)의 하부 부분을 밀폐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등커버(200)는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하우징(100)의 외관을 심플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등커버(200)는 유리, 아크릴, 바리솔 또는 망입유리 재질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다양한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다.
패드부(300)는 일정 폭을 갖는 사각 형태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플랜지(120)에 형성된 끼움홈(160)에 끼움 고정되며, 등커버(200)가 안착되어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패드부(300)는 등커버(200)가 안착되는 패드부(300)의 상부면을 논슬립 방식으로 처리하여 등커버(2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출입구(110)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300)는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는 등커버(200)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즉, 등커버(200)가 출입구(110)로 삽입될 때, 등커버(200)의 일측이 출입구(110)를 통과하면서 하중에 의해 단턱(111)의 높이만큼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패드부(300)는 낙하하는 등커버(200)의 일측 부분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패드부(300)는 하우징(100)의 전후, 좌우에 형성된 플랜지(1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를 참조하면, 패드부(300)는 플랜지(120)의 길이 방향의 전폭으로 형성되어 서로 직교되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끼움홈(160)은 플랜지(120)의 상부면 중간에 일정 깊인 파인 홈 형태로 형성되고, 플랜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패드부(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패드부(30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변형예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 케이스에서 변형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변형예에서, 천정등 케이스는 플랜지(120) 상에 형성된 엠보(400) 및 등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엠보(400)는 플랜지의 중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00)에 형성된 출입구(110)의 하부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등커버(200)가 출입구(1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엠보(400)는 등커버(200)와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단면이 반구형 형태로 형성되고, 등커버(200)의 사면 테두리 일부분이 지지되도록 하우징(100)에 형성된 플랜지(1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등커버(200)가 출입구(110)로 삽입되면, 등커버(200)는 엠보(400)에 의해 수평이 유지되면서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어 등커버(200)의 일측이 출입구(110)에 위치되도록 하고, 반대로 등커버(200)를 배출시킬 때 작업자는 등커버(200)에 형성된 손잡이(210)를 파지하여 외력을 가하면 등커버(200)가 외부로 쉽고 편리하게 배출되게 한다.
손잡이(210)는 등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되고, 등커버(200)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사각 판 형태로 형성되며, 출입구(1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210)는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된 등커버(200)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된 등커버(2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일측 즉 출입구(110) 부분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210)는 등커버(200)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삽입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220)는 손잡이(210)와 하우징(100)의 일측면이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고, 출입구(1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170)에 삽입 고정되며, 손잡이(210)를 하우징(100)에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220)는 원통 형상의 끝단이 반구형 형태로 형성되고, 손잡이(2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삽입홈(17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삽입돌기(220)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돌기(2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하우징 110; 출입구
111; 단턱 112; 스크래치 방지부
120; 플랜지 130; 안내바
140; 제1 통공 150; 제2 통공
160; 끼움홈 170; 삽입홈
200; 등커버 210; 손잡이
220; 삽입돌기 300; 패드부
400; 엠보

Claims (5)

  1. 실내 천정에 설치 고정되고,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출입구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밀폐하는 등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측벽 하부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내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등커버의 테두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플랜지; 및
    상기 출입구의 상단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출입구와 접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 안착된 등커버가 상기 출입구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고, 하우징 내부에 설치 고정된 형광등 또는 백열등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 통공 및 제2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상기 플랜지의 상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와 상기 출입구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은 상기 플랜지 상에 안착된 상기 등커버가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 케이스.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부면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움 고정되는 패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패드부는,
    상기 등커버가 안착되고, 상기 등커버와 맞닿는 상부면에는 논슬립 처리되어 상기 등커버가 외부 충격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상기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 케이스.
KR2020150006885U 2015-10-23 2015-10-23 천정등 케이스 KR200480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85U KR200480255Y1 (ko) 2015-10-23 2015-10-23 천정등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85U KR200480255Y1 (ko) 2015-10-23 2015-10-23 천정등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255Y1 true KR200480255Y1 (ko) 2016-04-29

Family

ID=5591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885U KR200480255Y1 (ko) 2015-10-23 2015-10-23 천정등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5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80Y1 (ko) * 2011-10-12 2013-02-15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투광판의 슬라이딩 결합구조를 갖는 천장등
KR101355139B1 (ko) * 2013-01-31 2014-01-22 (주)에스에이치 엘이디 램프
KR200473087Y1 (ko) * 2012-12-21 2014-06-10 이기종 나무결 문양을 갖는 조명등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80Y1 (ko) * 2011-10-12 2013-02-15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투광판의 슬라이딩 결합구조를 갖는 천장등
KR200473087Y1 (ko) * 2012-12-21 2014-06-10 이기종 나무결 문양을 갖는 조명등기구
KR101355139B1 (ko) * 2013-01-31 2014-01-22 (주)에스에이치 엘이디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5883B1 (en) Window with decorative accessories
KR20170119550A (ko) 조명등 설치구조
KR102171881B1 (ko) 엣지타입 엘이디 등기구 장착용 취부금구 조립체
TW200933068A (en) Shiner
TW200714241A (en) Device for washing dishes
CN202361266U (zh) 灯罩安装结构
KR200480255Y1 (ko) 천정등 케이스
KR20160002823U (ko) 작업의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보장된 등기구커버
KR200420588Y1 (ko) 매입등의 커버 결합구조
KR20130134778A (ko) 천장 매립형 조명장치용 커버
KR20090083559A (ko) 커버판의 간편한 착탈구조를 갖는 천정 조명등
KR200493002Y1 (ko) 탈착형 조명기구
CN104197626A (zh) 冰箱
KR20100004175U (ko) 조명등 케이스의 투과창 장착구조
KR20180003249U (ko) 평면등용 프레임 설치장치
KR101673569B1 (ko) 일체형의 커버프레임이 구비된 led 평판조명장치
KR101086353B1 (ko) 조명기구
KR200480445Y1 (ko) 욕실 천장용 조명장치
KR200428653Y1 (ko) 미닫이 개폐식 커버를 갖는 천정등
CN220623821U (zh) 前置双向锁紧结构以及照明灯具
KR200423403Y1 (ko) 지하철 차량 내의 광고물 설치구조
KR200474513Y1 (ko) 조명등 고정장치
KR200471931Y1 (ko) 매입등의 커버고정구조
CN108087798A (zh) 一种具有良好绝缘的led筒灯
CN209605017U (zh) 一种面板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