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317B1 -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317B1
KR102180317B1 KR1020190029733A KR20190029733A KR102180317B1 KR 102180317 B1 KR102180317 B1 KR 102180317B1 KR 1020190029733 A KR1020190029733 A KR 1020190029733A KR 20190029733 A KR20190029733 A KR 20190029733A KR 102180317 B1 KR102180317 B1 KR 102180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sensor
recipe
user terminal
in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911A (ko
Inventor
김혁
Original Assignee
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혁 filed Critical 김혁
Priority to KR1020190029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31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요리 레시피를 선택하게 되면 이에 대한 조리 데이터를 멀티쿠커로 전송하며, 이를 기준으로 하여 멀티쿠커가 제어됨으로써 쉽고 빠르게 다양한 요리의 조리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Smart multi-cooker system and cook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요리 레시피를 선택하게 되면 이에 대한 조리 데이터를 멀티쿠커로 전송하며, 이를 기준으로 하여 멀티쿠커가 제어됨으로써 쉽고 빠르게 다양한 요리의 조리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를 이용하여 열에너지를 생성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를 쿠커(cooker)라 지칭한다.
쿠커에는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의 종류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가 제품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참고하여 요리 종류를 선택하면, 쿠커가 자동으로 조리 시간 및 온도를 제어하면서 요리를 완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요리를 잘 못하는 사람이나, 요리에 많은 시간을 쏟을 수 없는 사람도 쉽게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쿠커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3125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조리 온도가 제 1 설정온도보다 큰 경우엔 제 1 및 제 2 히터들을 모두 턴 오프시켜 조리를 진행하고, 조리 온도가 제 1 설정온도보다 작은 경우엔 그 중 하나의 히터를 턴 온시켜 조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조리 온도를 상기 제 1 설정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조리 온도에 따라 복수 개의 히터를 동시 또는 단독으로 동작되게 하면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특정 요리의 조리에만 사용이 가능한 것인 바, 다양한 요리를 자동으로 조리하는 기술에 대응하여 사용하기는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KR 10-2005-0033125 A 2005.04.1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요리 레시피를 선택하게 되면 이에 대한 조리 데이터를 멀티쿠커로 전송하며, 이를 기준으로 하여 멀티쿠커가 제어됨으로써 쉽고 빠르게 다양한 요리의 조리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부용기(100); 상기 외부용기(100)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는 인덕션부(200); 자성을 갖되, 열전도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용기(100)의 내측으로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되, 내부에 요리 재료가 수용 가능한 냄비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내부용기(300); 상기 내부용기(30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며,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열감지 센서(S)가 반경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구비되는 뚜껑(400); 복수 개의 요리 레시피를 저장하고, 상기 요리 레시피 중 선택된 요리 레시피를 멀티쿠커(1)의 제어부(500)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조리 상황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2); 및 상기 외부용기(100)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전달받은 요리 레시피에 따라 상기 인덕션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부용기(300)의 손잡이(310)는, 상기 외부용기(100)와의 체결 및 분리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손잡이(310)에는, 절곡된 부분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끝단이 삽입 배치되도록 하는 그립홈(313)이 형성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열감지 센서(S)는, 상기 뚜껑(40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 1센서(S1); 상기 제 1센서(S1)보다 상대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제 2센서(S2); 및 상기 제 2센서(S2)와 상기 뚜껑(400)의 외주둘레 사이에 구비되는 제 3센서(S3);를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요리 레시피를 전달받거나 멀티쿠커(1)의 조리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하는 양방향 통신부(510); 상기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전달받은 요리 레시피를 분석하여 제어 데이터를 결정 도출하는 레시피 분석부(520); 및 상기 열감시 센서(S)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값을 전달받되, 조리 시작시부터 경과 시간을 카운팅하여 기록하며, 상기 제어 데이터의 각 과정 별로 설정된 온도, 설정 조리 시간과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온도값, 카운팅된 경과 시간을 비교하여 각 과정의 조리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값을 상기 제어부(500)로 전달하는 측정값 분석부(530);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온도값은, 복수 개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의 평균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값 분석부(530)는, 상기 제어 데이터의 조리 시간과 카운팅 된 경과 시간을 비교하여 조리가 완료되기 일정 시간 전, 요리 완성에 대한 알람을 미리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멀티쿠커(1)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에서 상기 요리 레시피의 선택이 완료되면, 전원이 자동으로 공급되면서 대기모드가 되도록 하며, 이후 선택된 상기 요리 레시피가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외부용기(100)와 내부용기(300)가 서로 체결된 상태일 때, 상기 내부용기(300)가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잠금부(600)가 상기 외부용기(100)와 내부용기(300)의 사이에 더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을 이용한 조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2)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 종류의 레시피를 선택하여 멀티쿠커(1)의 제어부(500)로 전송하되, 필요한 요리 재료를 사용자 단말기(2)에 출력하는 레시피 준비단계; 상기 멀티쿠커(1)의 제어부(500)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리 레시피를 전달받아 요리 레시피를 분석하여 인덕션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도출하는 레시피 분석단계; 상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인덕션부(200)가 조리 동작이 실시되도록 하는 조리 시작 단계; 상기 조리 시작 단계 이후,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온도값, 경과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제어 데이터의 각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리완료 판단단계;를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로 요리 레시피를 선택하게 되면, 요리 레시피를 분석하여 조리 데이터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요리에 시간을 쏟을 수 없는 사람이나, 요리를 잘 하지 못하는 사람이 편리하게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조리 과정 중 다양한 상황에서 공지 알람이 출력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조리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부용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쿠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쿠커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손잡이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부와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쿠커의 제 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실시예의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체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실시예의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2)에 저장된 요리 레시피를 선택하게 되면 이에 대한 조리 데이터를 멀티쿠커(1)로 전송하며, 이를 기준으로 하여 멀티쿠커(1)가 제어됨으로써 쉽고 빠르게 다양한 요리의 조리가 가능한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부용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쿠커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쿠커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손잡이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부와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쿠커의 제 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실시예의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체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실시예의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외부용기(100), 인덕션부(200), 내부용기(300), 뚜껑(400), 제어부(500) 및 사용자 단말기(2)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부용기(100)는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부용기(100)의 전면에는 조리 상태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리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110)는 요리 종류를 수동으로 선택하고, 전원의 온-오프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버튼과 선택된 요리 종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 등 요리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인덕션부(200)는 상기 외부용기(100)의 하부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내부용기(300)는 자성을 갖되, 열전도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용기(100)의 내측으로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되, 내부에 요리 재료가 수용 가능한 냄비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용기(300)는 상단 둘레에 한 쌍의 손잡이(310)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냄비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310)는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데, 상기 손잡이(310)가 열전도를 차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열전도를 차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열전달 방지부(320)가 상기 손잡이(31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용기(300)의 손잡이(310)는 상기 외부용기(100)와의 체결 및 분리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상기 손잡이(310)는 상기 내부용기(300)의 상부 둘레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311) 및 상기 연결부(311)의 돌출된 끝단으로부터 경사진 하방으로 절곡 돌출되는 걸림부(31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310)를 잡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끝단이 상기 연결부(311)와 맞닿게 된 상태로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내부용기(3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잡은 상태로 분리 및 체결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311)의 돌출된 끝단에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끝단이 삽입 배치되는 그립홈(313)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내부용기(300)의 분리 및 체결이 더욱 안정적인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0)은 상기 내부용기(30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며,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열감지 센서(S)가 반경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구비된다.
부연하면, 상기 뚜껑(400)은 상기 내부용기(300)의 상부를 충분히 덮어 가리는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하면에는 외주와 인접한 위치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밀폐돌기(410)이 상기 뚜껑(400)의 외주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뚜껑(400)은 상기 밀폐돌기(410)이 상기 내부용기(3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밀폐돌기(410)의 외주면이 상기 내부용기(300)의 내주면과 면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내부용기(300)의 열에너지가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열감지 센서(S)는 상기 뚜껑(40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 1센서(S1), 상기 제 1센서(S1)보다 상대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제 2센서(S2) 및 상기 제 2센서(S2)와 상기 밀폐돌기(410) 사이의 상기 뚜껑(400) 하면측에 구비되되 상기 밀폐돌기(410)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제 3센서(S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열감지 센서(S)는 적외선 센서 등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센서(S1)는 상기 내부용기(300)의 내부에서 중심부에 위치한 음식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 3센서(S3)는 상기 내부용기(300)의 내부에서 외주둘레측에 인접하게 위치한 음식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 2센서(S2)는 상기 제 1센서(S1)와 제 3센서(S3) 사이에 배치된 음식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열감지 센서(S)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은 제어부(500)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측정된 온도값을 이용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인덕션부(200)를 제어하되, 측정된 온도값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조리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2)는 복수 개의 요리 레시피를 저장하고, 상기 요리 레시피 중 선택된 요리 레시피를 멀티쿠커(1)의 제어부(500)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조리 상황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이루어지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요리 레시피의 검색, 선택 및 전 조리 과정 중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리 레시피는 음식의 조리시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화 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리시 필요한 요리 재료의 중량, 조리 단계별 가열 온도 및 시간 등을 데이터화 하여 저장한 것이다.
상기 요리 레시피는 기설정되어 저장된 것을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성 저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2)에서 상기 요리 레시피의 선택이 완료되면, 멀티쿠커(1)에 전원이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멀티쿠커(1)가 대기모드가 되도록 하며, 이후, 선택된 요리 레시피의 조리 데이터를 멀티쿠커(1)의 제어부(500)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외부용기(100)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며,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인덕션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00)는 양방향 통신부(510), 레시피 분석부(520) 및 측정값 분석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양방향 통신부(5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와 제어부(500) 간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 등의 통신장비로 이루어져, 상기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요리 레시피를 전달받거나 멀티쿠커(1)의 조리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레시피 분석부(5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전달받은 요리 레시피를 분석하여 제어 데이터를 결정 도출한다.
이때, 상기 제어 데이터란 선택된 요리를 완성하기 위해 조리 시작부터 완료까지의 필요한 전 과정에서 요구되는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에 대한 정보를 말하며, 상기 요리 레시피의 분석을 통해 각 과정의 조리시 필요한 온도에 따라 인덕션부(200)의 제어 온도 및 시간을 결정하여 제어 데이터로 도출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어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인덕션부(200)를 제어하게 되며,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원격으로 조리과정 및 예상 조리 시간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정값 분석부(530)는 상기 열감지 센서(S)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값을 전달받되, 조리 시작시부터 경과 시간을 카운팅하여 기록하며, 상기 제어데이터의 각 과정 별로 설정된 온도, 설정 조리 시간과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온도값, 카운팅된 경과 시간을 비교하여 각 과정의 조리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값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판단값에 따라 상기 인덕션부(200)의 동작을 결정하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상세하게 셜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측정값 분석부(530)는 복수 개의 센서(S)에서 측정되는 센서값의 평균값을 상기 온도값으로 사용하도록 하며, 상기 제 1센서(S1)에서 측정된 온도값과 제 3센서(S3)에서 측정된 온도값의 편차가 일정 수치보다 큰 경우, 센서 이상 또는 내부용기(30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알람을 송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경고 알람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에서 송출되거나 멀티쿠커(1)에 구비된 스피커, 화면출력장치 등을 통해 소리, 시각 정보로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일정 시간에 공지 알람이 사용자 단말기(2) 또는 멀티쿠커(1)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측정값 분석부(530)에서는 조리 과정 중간의 일정 단계에서 음식 재료 더 부가해야 되는 경우, 카운팅된 경과 시간이 재료 부가를 위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기(2) 또는 멀티쿠커(1)에서 알람을 출력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측정값 분석부(530)는 상기 제어 데이터의 조리 시간과 카운팅 된 경과 시간을 비교하여 조리가 완료되기 일정 시간 전, 요리 완성에 대한 알람을 미리 출력하여 사용자가 미리 상차림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 사용되는 알람음은 사용자가 각각 설정할 수 있으며, 각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음이 사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용기(100)와 내부용기(300)가 서로 체결된 상태일 때, 상기 내부용기(300)가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더욱 안전한 상태에서 멀티쿠커(1)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홈(610), 스위치홈(620) 및 안전돌기(630)를 포함하는 잠금부(60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홈(610)은 상기 외부용기(100)의 상부 끝단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상태로 상기 외부용기(100)의 외주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스위치홈(620)은 상기 가이드홈(610)의 일측 끝단에서 연장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벽에는 상기 인덕션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스위치(65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스위치홈(620)은 일측이 상기 가이드홈(61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외부용기(100)의 외주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650)는 가압시 상기 인덕션부(200)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스위치홈(620)의 내벽측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홈(620)의 하면 일측에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걸림턱(640)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650)는 상기 걸림턱(640)과 상기 스위치홈(620)의 끝단 사이에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안전돌기(630)는 상기 내부용기(300)의 손잡이(310) 하면측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끝단은 상기 스위치홈(6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610) 내에 의해 상기 내부용기(300)의 회전이 안내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안전돌기(630)가 상기 가이드홈(6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용기(300)를 회전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돌기(630)의 끝단이 회전에 의해 점차 상기 스위치홈(62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스위치(650)는 가압되면서 상기 인덕션부(200)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전돌기(630)는 억지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턱(640)을 통과하면서 상기 스위치홈(620)에 완전히 안착된 상태가 되며, 이후 상기 걸림턱(640)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300)외 외부용기(100)가 안정적으로 체결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용기(300)가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조리가 시작되도록 하며, 상기 안전돌기(630)가 상기 스위치홈(62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내부용기(300)가 상기 외부용기(10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인덕션부(200)의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함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며,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하기에서는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을 이용한 조리 제어 방법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1. 레시피 준비단계
레시피 준비단계는 사용자 단말기(2)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 종류의 레시피를 선택하여 멀티쿠커(1)의 제어부(500)로 전송하되, 필요한 요리 재료를 사용자 단말기(2)에 출력하는 과정이다.
부연하면, 상기 레시피 준비단계에서는 애플리케이션 내에 저장된 요리 레시피 중 하나의 요리 레시피를 선택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요리 레시피 정보를 작성하여 입력하면서 요리 레시피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인덕션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부(500)로 동작 명령을 전달하여 멀티쿠커(1)가 조리 시작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하며, 이후, 선택된 요리 레시피를 멀티쿠거의 제어부(500)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가 직접 요리 레시피 정보를 작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리 순서에 따른 조리 온도 및 시간 정보를 직접 입력하도록 이루어지며, 해당 레시피 정보는 저장되어 다음에도 사용가능하게 한다.
한편, 레시피의 선택 또는 입력이 이루어지며, 해당 레시피에서 요구하는 요리 재료와 각 재료의 필요 중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화면으로 출력되며, 상기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하게 내부용기(300)에 재료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요리 재료 중 나중에 공급해야하는 재료에 대해서는 별도로 표시하여 출력한다.
2. 레시피 분석단계
레시피 분석단계는 상기 멀티쿠커(1)의 제어부(500)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리 레시피를 전달받아 요리 레시피를 분석하여 인덕션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도출하는 과정이다.
부연하면, 상기 레시피 분석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전달받은 요리 레시피의 조리 과정을 분석하여 각 과정의 조리시 필요한 조리 온도 및 시간를 판별하여 제어 데이터로 도출한다.
하기에서는, A요리의 레시피가 1, 2, 3 단계의 과정을 포함하고, 1단계에서 최초 동작시에서 a의 온도로 도달시까지 가열, 2단계에서 a의 온도로 a시간 동안 가열, 이후 2단계에서 a의 온도보다 높은 b의 온도로 b시간 동안 가열, 3단계에서 b온도보다 낮은 c의 온도로 c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각 단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의 일예를 바탕으로 상술하면, 상기 레시피 분석단계는 상기 인덕션부(200)가 최초 동작부터 a의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동작이 이루어지고, 이후, a의 온도를 a시간 동안 유지하면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뒤, 이후 b의 온도로 b시간 동안 조리될 수 있도록 가온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며, 이후 c의 온도로 c시간 동안 조리될 수 있도록 감온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로직을 형성하여 제어 데이터로 도출하게 된다.
즉, 상기 레시피 분석단계는 설정된 레시피에 따라 인덕션부(200)가 제어될 수 있도록 각 과정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도출하는 과정이다.
3. 조리 시작 단계
조리 시작 단계는 상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인덕션부(200)가 조리 동작을 실시하도록 하는 과정으로서, 조리 시작시, 각 단계별 예상 조리 시간, 총 예상 조리 시간 등이 사용자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조리 시작 단계는 상기 내부용기(300)가 체결된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상기 인덕션부(200)가 동작되면서 조리를 시작하게 된다.
상술하면, 상기 조리 시작 단계는 상기 내부용기(300)의 안전돌기(630)가 스위치홈(620)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스위치(65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인덕션부(200)가 자동으로 조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4. 조리완료 판단단계
조리완료 판단단계는 상기 조리 시작 단계 이후,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온도값, 경과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제어 데이터의 각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부연하면, 먼저 상기 조리 시작 단계 이후, 상기 내부용기(300)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되며, 측정된 온도가 a의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 데이터의 1단계 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판단값을 전달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인덕션부(200)가 a의 온도로 계속 해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카운팅된 조리 시간이 a시간에 도달하면, 측정 온도와 조리 시간이 설정된 제어 데이터에 부합하게 되는 바, 측정값 분석부(530)에서는 2단계 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판단값을 전달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3단계 과정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게 되며, 측정된 온도값과 카운팅된 조리 시간이 c온도 c시간에 부합하게 되면, 3단계 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판단값을 전달하게 된다.
3단계 과정이 완료되면 조리가 완료된 것인 바, 상기 제어부(500)는 멀티쿠커(1) 및 사용자 단말기(2)로 조리 완료에 대한 알림 공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인덕션부(200)가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3단계 과정, 즉, 제어 데이터의 마지막 조리 과정에서 조리가 완료되기 일정 시간 전에 미리 알림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조리완료 판단단계는 상기 제어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온도값, 카운팅 되는 조리 시간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면서 제어 데이터의 각 조리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이다.
한편, 상기의 조리 과정 중, 일정 과정 중에 요리 재료의 투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설정된 시간에 공지 알람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로 요리 레시피를 선택하게 되면, 요리 레시피를 분석하여 조리 데이터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요리에 시간을 쏟을 수 없는 사람이나, 요리를 잘 하지 못하는 사람이 편리하게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2)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조리 과정 중 다양한 상황에서 공지 알람이 출력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조리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 : 멀티쿠커 2 : 사용자 단말기
100 : 외부용기 110 : 조작부
200 : 인덕션부 300 : 내부용기
310 : 손잡이 311 ; 연결부
312 : 걸림부 313 : 그립홈
320 : 열전달 방지부
400 : 뚜껑 410 : 밀폐돌기
500 : 제어부 510 : 양방향 통신부
520 : 레시피 분석부 530 : 측정값 분석부
600 ; 잠금부 610 : 가이드홈
620 : 스위치홈 630 : 안전돌기
640 : 걸림턱 650 : 스위치
S : 열감지 센서 S1 : 제 1센서
S2 : 제 2센서 S3 : 제 3센서

Claims (10)

  1. 멀티쿠커(1)와 사용자 단말기(2)를 포함하는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멀티쿠커(1)는,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부용기(100);
    상기 외부용기(100)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는 인덕션부(200);
    자성을 갖되, 열전도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용기(100)의 내측으로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되, 내부에 요리 재료가 수용 가능한 냄비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내부용기(300);
    상기 내부용기(30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며,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열감지 센서(S)가 반경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구비되는 뚜껑(400); 및
    상기 외부용기(100)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전달받은 요리 레시피에 따라 상기 인덕션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2)는,
    복수 개의 요리 레시피를 저장하고, 상기 요리 레시피 중 선택된 요리 레시피를 멀티쿠커(1)의 제어부(500)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조리 상황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열감지 센서(S)는,
    상기 뚜껑(40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 1센서(S1);
    상기 제 1센서(S1)보다 상대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제 2센서(S2); 및
    상기 제 2센서(S2)와 상기 뚜껑(400)의 외주둘레 사이에 구비되는 제 3센서(S3);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센서(S1)는 상기 내부용기(300)의 내부에서 중심부에 위치한 음식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 3센서(S3)는 상기 내부용기(300)의 내부에서 외주둘레측에 인접하게 위치한 음식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 2센서(S2)는 상기 제 1센서(S1)와 제 3센서(S3) 사이에 배치된 음식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며,
    제어부(5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요리 레시피를 전달받거나 멀티쿠커(1)의 조리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하는 양방향 통신부(510);
    상기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전달받은 요리 레시피를 분석하여 제어 데이터를 결정 도출하는 레시피 분석부(520); 및
    상기 열감지 센서(S)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값을 전달받되, 조리 시작시부터 경과 시간을 카운팅하여 기록하며, 상기 제어 데이터의 각 과정 별로 설정된 온도, 설정 조리 시간과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온도값, 카운팅된 경과 시간을 비교하여 각 과정의 조리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값을 저장하는 측정값 분석부(530);
    를 포함하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온도값은,
    상기 제 1센서(S1), 제 2센서(S2) 및 제 3센서(S3)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의 평균값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용기(100)와 내부용기(300)가 서로 체결된 상태일 때, 상기 내부용기(300)가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잠금부(600)가 상기 외부용기(100)와 내부용기(300)의 사이에 더 구비되며,
    상기 잠금부(600)는,
    상기 외부용기(100)의 상부 끝단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상태로 상기 외부용기(100)의 외주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홈(610);
    상기 가이드홈(610)의 일측 끝단에서 연장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벽에는 상기 인덕션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스위치(650)가 구비되는 스위치홈(620);
    상기 내부용기(300)의 손잡이(310) 하면측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끝단은 상기 스위치홈(6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610) 내에 의해 상기 내부용기(300)의 회전이 안내되게 하는 안전돌기(630);
    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650)는 가압시 상기 인덕션부(200)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300)의 손잡이(310)는,
    상기 외부용기(100)와의 체결 및 분리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10)에는,
    절곡된 부분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끝단이 삽입 배치되도록 하는 그립홈(313)이 형성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 분석부(530)는,
    상기 제어 데이터의 설정 조리 시간과 카운팅 된 경과 시간을 비교하여 조리가 완료되기 일정 시간 전, 요리 완성에 대한 알람을 미리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쿠커(1)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에서 상기 요리 레시피의 선택이 완료되면, 전원이 자동으로 공급되면서 대기모드가 되도록 하며, 이후 선택된 상기 요리 레시피가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9. 삭제
  10. 청구항 1 내지 3, 청구항 7 및 8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을 이용한 조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2)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 종류의 레시피를 선택하여 멀티쿠커(1)의 제어부(500)로 전송하되, 필요한 요리 재료를 사용자 단말기(2)에 출력하는 레시피 준비단계;
    상기 멀티쿠커(1)의 제어부(500)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리 레시피를 전달받아 요리 레시피를 분석하여 인덕션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도출하는 레시피 분석단계;
    상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인덕션부(200)가 조리 동작이 실시되도록 하는 조리 시작 단계;
    상기 조리 시작 단계 이후,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온도값, 경과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제어 데이터의 각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리완료 판단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제어 방법.

KR1020190029733A 2019-03-15 2019-03-15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 KR102180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733A KR102180317B1 (ko) 2019-03-15 2019-03-15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733A KR102180317B1 (ko) 2019-03-15 2019-03-15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911A KR20200109911A (ko) 2020-09-23
KR102180317B1 true KR102180317B1 (ko) 2020-11-18

Family

ID=7270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733A KR102180317B1 (ko) 2019-03-15 2019-03-15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3663A (ko) 2022-11-03 2024-05-10 코웨이 주식회사 조리기기 제어장치,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세트 및 조리기기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417U (ko) * 1997-06-27 1999-01-25 윤종용 주서믹서기
KR20050033125A (ko) 2003-10-06 2005-04-12 주식회사 성철사 쿠커의 조리온도 제어방법
KR101128722B1 (ko) * 2009-12-30 2012-03-23 주식회사 리홈 내솥 내부 압력의 비정상적인 누출에 대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기 압력 밥솥
KR101181717B1 (ko) * 2010-01-27 2012-09-19 홍진표 커피로스터
KR200465367Y1 (ko) * 2011-03-28 2013-02-15 문제구 조리용 냄비
KR101987340B1 (ko) * 2017-07-21 2019-06-10 박의권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저울 일체형 조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911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0794B (zh) 電動廚房用具
TWI590793B (zh) 電動廚房用具
TWI590795B (zh) 電動廚房用具
TWI667003B (zh) 電動家用器具及操作此家用器具之方法
CN103207581B (zh) 电热烹饪器具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US20240008674A1 (en) Cooking system with error detection
US20190125120A1 (en) Cooking system for tracking a cooking device
EP3608593B1 (en) Cooking system comprising an oven and an external computing means,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system
US20180310759A1 (en) Control system for cooking
CN107468048A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CN106575469B (zh) 辅助家电设备的使用的系统
KR20160012849A (ko) 지능형 전기레인지
CN109343393A (zh) 一种烹饪器具的控制方法及烹饪器具
JP2017512366A (ja) 通信機能付き誘導調理テーブルおよびテーブル上の通信機能付き調理器具の探索および追跡の方法
CN106618158A (zh) 烹饪控制方法、烹饪控制系统及烹饪装置
CN109419336A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
CN108415298B (zh) 一种控制方法及装置
KR102180317B1 (ko)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
CN203217307U (zh) 电热烹饪器具的控制装置
US10364989B2 (en) Range hood, stove and cooker integrated control system
WO2019209371A1 (en) Cooking system for tracking a cooking device
US20220239521A1 (en)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with a domestic appliance by a mobile computer device, mobile computer device and domestic appliance
WO2019166356A1 (en) A meal preparation device
KR100892157B1 (ko) 전기밥솥 표시 제어방법
CN107942735A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及装置、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