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220B1 - 추첨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추첨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220B1
KR102180220B1 KR1020190094194A KR20190094194A KR102180220B1 KR 102180220 B1 KR102180220 B1 KR 102180220B1 KR 1020190094194 A KR1020190094194 A KR 1020190094194A KR 20190094194 A KR20190094194 A KR 20190094194A KR 102180220 B1 KR102180220 B1 KR 102180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tery
coupled
hole
receiving
b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800A (ko
Inventor
김보람
Original Assignee
김보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람 filed Critical 김보람
Priority to KR1020190094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2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5/00Generating random numbers; Lottery apparatus
    • G07C15/001Generating random numbers; Lottery apparatus with ball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 실시예의 볼 추출장치는 추첨볼들의 혼합이 원할하고 추첨볼들중 하나의 추첨볼 선택이 신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추첨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며, 외부의 이물질이 수용함으로 진입을 방지하여 수용함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추첨볼 추출장치{Apparatus for extraction a ball}
본 발명은 추첨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추첨볼들의 혼합이 원할하고 추첨볼들중 하나의 추첨볼 선택이 신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추첨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며, 외부의 이물질이 수용함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용함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추첨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로또 복권은 1~45까지 번호가 각각 표면에 적힌 동일 크기의 45개의 볼을 혼합하고 무작위로 6개의 볼을 추출하여 당첨번호를 결정하게 된다. 로또 복권의 구매자는 로또 복권의 판매점에서 6개의 당첨예상번호를 슬립(slip)용지에 기입해서 직접 선택하거나, 6개의 당첨예상번호를 컴퓨터에 의해 자동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또 복권의 구매자는 6개의 당첨예상번호를 직접 또는 자동 선택하여야 하는데, 구매자의 편의를 위해 실물 로또 번호 추첨기와 같은 방식으로 투명한 중공 구 형상의 수용함 안에 45개의 볼을 넣고 그 중에 6개의 볼을 추출하는 모형 로또 번호 추첨기가 제안되고 있다.
일 예의 복권 게임장치가 한국특허공개 제10-2005-0028768호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로또 복권 게임 장치(1)는 하우징(5)과, 상기 하우징(5)의 정면 방향 수평면에는 추첨공(10)을 수납하고 있는 추첨부(20)와, 추첨부(20)로부터 안내된 추첨공(10)들의 고유번호를 판독하는 판독부(30)와, 로또 복권 게임이 종료되어 추첨된 추첨공(10)을 다시 상기 추첨부(20)로 회송시키는 이송부(40)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추첨부(20)는 1 내지 45 의 고유 숫자 정보를 각각 가지고 있는 45 개의 추첨공(10)들을 수납한 구(求) 형상의 룰렛(21)과, 상기 룰렛(21)을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룰렛 회전모터(22)와, 상기 룰렛(21) 및 룰렛 회전모터(22)를 지지하고 있는 룰렛 프레임(21a)과, 상기 회전모터(22)가 회전함에 따라서 룰렛(21) 내부에서 임의 방향으로 운동하는 추첨공(10)을 말단에 부설된 밀대받이(24)에 안착시켜 안착된 상기 추첨공(10)을 안내관(25)으로 밀어올리는 밀대(23)와, 일측 개구는 상기 안내관(25)와 연결되어 안내관(25)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낙하한 추첨공(10)을 순차적으로 수납하며, 타측 개구에는 수납실문개폐모터(28)에 의하여 개폐되는 수납실문(27)을 형성한 추첨공수납실(26)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게임장치는 구 형상의 룰렛(21)을 회전모터(22)로 회전시켜서 추첨공(10)을 혼합시키므로 안내관(25) 및 회송문(45)과 같은 고정된 요소들과 간섭되고 추첨공(10)의 혼합이 원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밀대(23)를 승강시키는 구조이므로 승강시 밀대받이(24)로부터 가벼운 추첨공(10)이 낙하되어 재작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추첨공(10)을 이송벨트(42)에 의해 회수하므로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 다른 예의 추첨기가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80135호에 개시되고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추첨기(100)는 볼(110)들과, 수용함(120)과, 송풍기(130)와, 배출 안내부재(140)와, 감지기(150)와, 배출 셔터기구(160)와, 안내기구(170), 및 회수 셔터기구(180)를 포함한다.
이 추첨기(100)는 송풍기(130)에 의한 공기공급에 의해서 수용함(120) 내의 볼(110)들이 혼합되게 되는데, 수용함(120)이 밀폐된 구조이면 공급된 공기가 압축되어 볼(110)들의 혼합이 원할하지 못하게 되므로 안내레일(171)(172)로 구성된 안내기구(170)에 의해서 외부와 연통된 구조로 하여서 송풍기(1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먼지와 같은 이물질들이 볼(110)들의 표면에 묻거나 셔터기구(180)를 통하여 수용함(120) 내부로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05-0028768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801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추첨볼들의 혼합이 원할하고 추첨볼들중 하나의 추첨볼 선택이 신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추첨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한 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의 이물질이 수용함으로 진입을 방지하여 수용함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추첨볼 추출장치는,
각각 표면에 다른 번호가 표시되고 동일 크기로 이루어진 복수의 추첨볼;
상기 추첨볼들을 수용하는 수용함과;
상기 수용함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용함에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워와;
상기 수용함의 상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하나의 추첨볼을 통과시킬 수 있는 직경의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는 제1연통공과, 상기 제1연통공과 이격되어 제2연통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추첨공보다 작은 크기의 배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연통공에 대응되는 직경 크기로서 상기 추첨공이 수용되는 수용캡이 형성된 이동판과;
상기 수용캡을 상기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연통공 사이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제2연통공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캡으로부터 낙하되는 추첨볼들을 안내하며 하향 경사지고 투명한 대기관과;
상기 대기관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함으로 추첨볼들을 회수시키는 회수관과;
상기 대기관과 회수관 사이를 개폐시키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개폐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수용캡에 상기 추첨볼 진입되었음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의 감지에 따라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원판, 상기 제1원판에 편심되게 결합된 제1연동핀과, 일단이 상기 수용함의 외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연동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장공이 형성된 제1레버와, 일단이 수용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동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추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2원판, 상기 제2원판에 편심되게 결합된 제3연동핀과, 일단이 상기 수용함의 외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연동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장공이 형성된 제2레버와, 일단이 상기 셔터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연동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추첨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함은 상반구와 하반구가 복수의 스페이서 의해서 갭을 형성하면서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의 하단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추첨볼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 실시예의 볼 추출장치는 수용함(100)의 갭(104)과 수용캡(310)의 배기공(311)을 통하여 여러방향으로 고압의 에어가 배기됨으로써, 에어의 배기방향으로 추첨볼(10)들이 유동되고 충돌되어 추첨볼(10)들의 혼합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수용캡(310)의 배기공(311)으로 배기되는 에어 흐름에 의해서 상기 배출관(120)으로 1개의 추첨볼(10)이 신속하게 흡입되며, 수용함(100)내의 에어공급에 의해서 배출관(120)내로 진입한 추첨볼(10)을 에어압으로 밀어서 수용캡(310)에 수용시키게 되므로 추첨볼 선택이 신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추첨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장치는 수용함(100)에 갭(104)을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고압의 에어가 갭(104)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는 구조이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수용함(100)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수용캡(310)에 하나의 추첨볼(10)을 수용하여 이동되는 동안 제1연통공(201)을 덮개부(320)가 차단하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수용함(100)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용함(1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복권 게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른 추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추첨볼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추출장치의 동작 단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추첨볼 추출장치는 추첨볼들의 혼합이 원할하고 추첨볼들중 하나의 추첨볼 선택이 신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추첨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며, 외부의 이물질이 수용함으로 진입을 방지하여 수용함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추첨볼 추출장치는 로또복권방에 비치하여서, 로또 구매자가 본 발명 실시예의 추출장치를 작동하여 얻어진 볼 번호를 슬립(slip)용지에 기입해서 로또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추첨볼 추출장치를 나타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각각 표면에 다른 번호가 표시되고 동일 크기로 이루어진 복수의 추첨볼(10)과, 상기 추첨볼(10)들을 수용하는 수용함(100)과, 상기 수용함(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용함(100)에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워(115)와, 상기 수용함(100)의 상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하나의 추첨볼(10)을 통과시킬 수 있는 직경의 배출관(120)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함(100)은 상반구(101)와 하반구(102)가 복수의 스페이서(103)에 의해서 갭(gap; 104)을 형성하면서 결합되어 형성되며, 외부에서 추첨볼(10)들의 혼합상태를 관측할 수 있도록 투명소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관(120)의 하단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추첨볼(1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추출장치는 상기 배출관(12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배출관(120)과 연통되는 제1연통공(201)과, 상기 제1연통공(201)과 이격되어 제2연통공(202)이 형성된 고정판(200)과; 상기 고정판(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추첨공(10)보다 작은 크기의 배기공(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연통공(201)(202)에 대응되는 직경 크기로서 상기 추첨공(10)이 수용되는 수용캡(310)이 형성된 이동판(300)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판(300)은 상기 수용캡(310)이 상기 제1연통공(201)과 상기 제2연통공(202) 사이에서 이동수단에 의해서 왕복이동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수용캡(310)이 상기 제2연통공(202)에 대응된 위치에 있을때, 상기 제1연통공(201)을 차단하도록 상기 이동판(300)에는 덮개부(320)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2연통공(202)에는 상기 수용캡(310)으로부터 낙하되는 추첨볼(10)들을 안내하며 하향 경사지고 투명한 대기관(130)이 연결되고, 상기 대기관(130)에는 상기 수용함(100)으로 추첨볼(10)들을 회수시키는 회수관(140)이 연결되며, 상기 대기관(130)과 회수관(140) 사이에는 셔터(150)가 작동수단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수용캡(310)에 장착되어 상기 추첨볼(10)이 진입되었음을 감지하는 제1센서(312)와, 상기 제1센서(312)의 감지에 따라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제1모터(400)와, 상기 제1모터(40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원판(410), 상기 제1원판(410)에 편심되게 결합된 제1연동핀(411)과, 일단이 상기 수용함(100)의 외측에 제1힌지(412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연동핀(41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장공(412a)이 형성된 제1레버(412)와, 일단이 수용캡(3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장공(41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동핀(413)을 구비한다.
상기 작동수단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제2모터(500)와, 상기 제2모터(50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2원판(510), 상기 제2원판(510)에 편심되게 결합된 제3연동핀(511)과, 일단이 상기 수용함(100)의 외측에 제2힌지(512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연동핀(51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장공(512a)이 형성된 제2레버(512)와, 일단이 상기 셔터(15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장공(51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연동핀(513)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추첨볼 추출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블로워(115)를 작동시키면 에어공급관(110)을 통하여 수용함(100)에 고압의 에어가 공급되며, 공급된 에어는 추첨볼(10)들을 부상시키면서 혼합시킨다.
이때 수용함(100)에 공급된 에어는 상기 수용캡(310)의 배기공(311)과 갭(10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에어의 배출경로로 인하여 추첨볼(10)들은 더욱 혼합이 원할해진다.
에어의 공급으로 교란되는 추첨볼(10)들은 에어의 배기 경로를 따라 이동도하게 되는데, 상기 갭(104)을 통해 배기되는 에어 경로를 따른 추첨공(10)들은 수용함(100) 내벽에 충돌되어 다시 수용함(100) 내부측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취함으로써 더욱 교란이 심해지게 되며, 상기 수용캡(310)의 배기공(311)을 통해 배기되는 에어 경로를 따른 추첨볼(10)들중 선택된 하나의 추첨볼(10)만이 배출관(120)으로 진입되게 된다.
상기 배출관(120)으로 진입된 추첨볼(10)은 수용함(100)내의 에어압에 의해서 상기 수용캡(310)에 충돌되어 수용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센서(312)가 작동되어 상기 제1모터(400)를 가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모터(400)의 가동으로 제1원판(410) 및 제1연동핀(411)이 회전되면, 상기 제1레버(412)가 제1힌지(412b)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수용캡(310)에 고정된 제2연동핀(413)이 상기 제1장공(412a)에 슬라이딩 연동되어 상기 이동판(300)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원판(410)이 1회전될때 상기 이동판(300)은 1회 왕복 이동되게 되며, 제1센서(312)의 감지시 제1모터(400)의 가동으로 제1원판(410)이 1회전되도록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이때 수용캡(310)이 상기 제2연통공(202)에 대응되는 위치에 될때 상기 수용캡(310)에 수용된 추첨볼(10)은 낙하되어 상기 투명한 대기관(130)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셔터(150)에 의해서 정지되어 대기관(130)내에 머므르게 된다.
한편, 상기 추첨볼(10)이 수용캡(3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판(300)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이동판(300)의 덮개부(320)는 상기 제1연통공(201)을 차단하여 수용함(100)내의 추첨볼(10)들의 이탈을 방지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판(300)의 이동시에는 상기 블로워(115)의 작동을 멈추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덮개부(320)는 구성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판(300)이 왕복이동되면서 수용함(100)내의 추첨볼(10)들을 1개씩 수용캡(310)에 수용하여 상기 대기관(130)으로 이동시킨다.
예컨데, 로또추첨과 같이 6개의 추첨볼(10)들이 상기 대기관(130)에 이동되게 되면, 이용자는 투명한 상기 대기관(130)을 통하여 추첨된 추첨볼(10)들의 번호를 슬립(slip)용지로 옮겨 표시한다. 이어서 일정시간 후에 상기 제2모터(500)를 가동하여 상기 셔터(150)를 개방하여서 상기 대기관(130)내의 추첨볼(10)들을 회수관(140)을 통하여 상기 수용함(100)으로 회수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의 볼 추출장치는 수용함(100)의 갭(104)과 수용캡(310)의 배기공(311)을 통하여 여러방향으로 고압의 에어가 배기됨으로써, 에어의 배기방향으로 추첨볼(10)들이 유동되고 충돌되어 추첨볼(10)들의 혼합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수용캡(310)의 배기공(311)으로 배기되는 에어 흐름에 의해서 상기 배출관(120)으로 1개의 추첨볼(10)이 신속하게 흡입되며, 수용함(100)내의 에어공급에 의해서 상기 배출관(120)내로 진입한 추첨볼(10)을 에어압으로 밀어서 수용캡(310)에 수용시키게 되므로 추첨볼 선택이 신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추첨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장치는 수용함(100)에 갭(104)을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고압의 에어가 갭(104)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는 구조이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수용함(100)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수용캡(310)에 하나의 추첨볼(10)을 수용하여 이동되는 동안 제1연통공(201)을 덮개부(320)가 차단하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수용함(100)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용함(1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10...추첨볼 100...수용함
104...갭(Gap) 115...블로워
120...배출관 130...대기관
140...회수관 150...셔터
200...고정판 201...제1연통공
202...제2연통공 300...이동판
310...수용캡 311...배기공
320...덮개부 400...제1모터
500...제2모터

Claims (5)

  1. 각각 표면에 다른 번호가 표시되고 동일 크기로 이루어진 복수의 추첨볼(10);
    상기 추첨볼(10)들을 수용하는 수용함(100)과;
    상기 수용함(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용함(100)에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워(115)와;
    상기 수용함(100)의 상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하나의 추첨볼(10)을 통과시킬 수 있는 직경의 배출관(120)과;
    상기 배출관(12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배출관(120)과 연통되는 제1연통공(201)과, 상기 제1연통공(201)과 이격되어 제2연통공(202)이 형성된 고정판(200)과;
    상기 고정판(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추첨공(10)보다 작은 크기의 배기공(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연통공(201)(202)에 대응되는 직경 크기로서 상기 추첨공(10)이 수용되는 수용캡(310)이 형성된 이동판(300)과;
    상기 수용캡(310)을 상기 제1연통공(201)과 상기 제2연통공(202) 사이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제2연통공(202)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캡(310)으로부터 낙하되는 추첨볼(10)들을 안내하며 하향 경사지고 투명한 대기관(130)과;
    상기 대기관(130)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함(100)으로 추첨볼(10)들을 회수시키는 회수관(140)과;
    상기 대기관(130)과 회수관(140) 사이를 개폐시키는 셔터(150)와;
    상기 셔터(150)를 개폐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수용캡(310)에 장착되어 상기 추첨볼(10)이 진입되었음을 감지하는 제1센서(312)와, 상기 제1센서(312)의 감지에 따라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제1모터(400)와, 상기 제1모터(40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원판(410), 상기 제1원판(410)에 편심되게 결합된 제1연동핀(411)과, 일단이 상기 수용함(100)의 외측에 제1힌지(412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연동핀(41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장공(412a)이 형성된 제1레버(412)와, 일단이 수용캡(3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장공(41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동핀(413)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첨볼 추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제2모터(500)와, 상기 제2모터(50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2원판(510), 상기 제2원판(510)에 편심되게 결합된 제3연동핀(511)과, 일단이 상기 수용함(100)의 외측에 제2힌지(512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연동핀(51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장공(512a)이 형성된 제2레버(512)와, 일단이 상기 셔터(15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장공(51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연동핀(513)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첨볼 추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용함(100)은 상반구(101)와 하반구(102)가 복수의 스페이서(103)에 의해서 갭(104)을 형성하면서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120)의 하단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추첨볼(1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첨볼 추출장치.
  5. 삭제
KR1020190094194A 2019-08-02 2019-08-02 추첨볼 추출장치 KR102180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194A KR102180220B1 (ko) 2019-08-02 2019-08-02 추첨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194A KR102180220B1 (ko) 2019-08-02 2019-08-02 추첨볼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800A KR20200016800A (ko) 2020-02-17
KR102180220B1 true KR102180220B1 (ko) 2020-11-18

Family

ID=6967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194A KR102180220B1 (ko) 2019-08-02 2019-08-02 추첨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2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263A (ko) 2021-04-14 2022-10-21 윤치영 압축공기를 이용한 근력강화 놀이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47B2 (ja) * 1992-03-16 1995-04-05 ▲邦▼巖 小林 ビンゴゲーム用ボール抽出装置
KR20050028768A (ko) 2003-09-19 2005-03-23 최종철 즉석 추첨식 복권 게임 장치
KR20170080135A (ko) 2015-12-31 2017-07-10 이기윤 번호 추첨기
KR101985090B1 (ko) * 2017-09-06 2019-09-03 이창섭 볼 추첨기 및 이에 구비된 볼 추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263A (ko) 2021-04-14 2022-10-21 윤치영 압축공기를 이용한 근력강화 놀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800A (ko)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3093B2 (en) Using real playing cards for online gaming
US20160317905A9 (en) Card Shuffler
TW200938282A (en) Token game machine
KR102180220B1 (ko) 추첨볼 추출장치
KR20170080135A (ko) 번호 추첨기
JP2009240632A (ja) 遊技台の計数ユニット
CN102223930A (zh) 物理抽签装置和具有该物理抽签装置的游戏装置
JP2003520613A (ja) グリッドスキルアミューズメントゲーム又は取り出し装置
KR102240960B1 (ko) 로또 게임볼 추출장치
KR20190142919A (ko)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JP4528646B2 (ja) 抽選装置
KR101985090B1 (ko) 볼 추첨기 및 이에 구비된 볼 추출장치
KR101431569B1 (ko) 경품 진열장이 구비되는 게임기
JP3943957B2 (ja) 遊技機の扉構造
JP5097643B2 (ja) ゲーム機
CN109087451A (zh) 转盘装置以及扭蛋机
JPH06502038A (ja) 自動カップ回収装置におけるカップのマーキングを検査するための装置
KR100561151B1 (ko) 메달 게임기 및 메달 반송 장치
JP4350099B2 (ja) 台間メダル貸機のメダル供給装置
JP3801520B2 (ja) 自動精米装置
JP2011240045A (ja) ゲーム装置
JP5923782B2 (ja) 遊技台
JPH07148315A (ja) 弾球遊技機の振分装置
JP2561606B2 (ja) 景品放出ゲーム機
KR101493150B1 (ko) 공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