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821B1 -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821B1
KR102179821B1 KR1020190066474A KR20190066474A KR102179821B1 KR 102179821 B1 KR102179821 B1 KR 102179821B1 KR 1020190066474 A KR1020190066474 A KR 1020190066474A KR 20190066474 A KR20190066474 A KR 20190066474A KR 102179821 B1 KR102179821 B1 KR 102179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speed
sensitivity
initial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계주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6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타이어 제동 초속도에 의한 민감도를 일정속도 셋 이상을 설정하고, 설정된 각각의 속도를 통해 제동되는 값을 가중 평균하여 속도 민감도가 반영된 조정 평균 제동력을 상기 설정값들 중 중간값을 제동 초속도 값으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일정속도는 초속도 80kph, 100kph, 120kph 3가지 속도와 그 결과를 가중평균하여 속도 민감도가 반영된 조정 평균 제동력을 100kph 제동 초속도 값으로 계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Braking performance test method reflecting sensitivity of tire braking initial velocity}
본 발명은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타이어 제동 초속도에 의한 민감도를 일정속도 셋 이상을 설정하고, 설정된 각각의 속도를 통해 제동되는 값을 가중 평균하여 속도 민감도가 반영된 조정 평균 제동력을 상기 설정값들 중 중간값을 제동 초속도 값으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수많은 부품과 철재로 이루어진 무거운 차체를 받쳐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위해 두꺼운 고무층인 트레드(Tread), 타이어의 골격을 이루는 카카스(Carcass) 등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정지 상태의 수직 하중 외에도 제동할 때나 움직일 때 변화하는 하중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고도의 기술력이 집약된다.
이와 같은 차량 및 타이어 제동성능은 안전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모든 자동차 회사, 타이어 회사 그리고 제동과 관련된 부품회사들이 제동 성능 시험을 하고 있고, 이는 법규화 되어 있다.
제동평가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제동 초속도와 종속도에 의해 제동거리를 계산하고 있다.
통상 100kph에서 0까지 제동거리를 측정하고 그것을 평균 제동력(average braking force(μ))만 표현하고 비교 평가한다.
예를 들어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100kph에서 0kph로 속도가 변화되되, 이러한 시험을 10회 정도하면서 제동거리 및 평균 제동력 성능을 측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평균 제동력(μ)은 아래와 같은 식에 의해 계산되어지고 있다.
Figure 112019057728676-pat00001
또한, 타이어의 제동평가에 있어서 초속도에 의한 영향이 있다. 좋은 타이어는 높은 속도와 낮은 속도에서의 평균 제동력의 차이가 둔감하다. 좋지 못한 타이어는 매우 민감하다.
현재 통상 100kph 하나의 제동 초속도에서 시험을 하고 있음으로 속도에 의한 정확한 타이어의 평균 제동력이 표현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제동 초속도에 의한 평균 제동력 반영하여 제동 성능을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제동 시험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488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타이어 제동 초속도에 의한 민감도를 일정속도 셋 이상을 설정하고, 설정된 각각의 속도를 통해 제동되는 값을 가중 평균하여 속도 민감도가 반영된 조정 평균 제동력을 상기 설정값들 중 중간값을 제동 초속도 값으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이어 제동 초속도에 의한 민감도를 일정속도 셋 이상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각각의 속도를 통해 제동되는 값을 가중 평균하여 속도 민감도가 반영된 조정 평균 제동력을 상기 설정값들 중 중간값을 제동 초속도 값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정속도는, 초속도 80kph, 100kph, 120kph 3가지 속도와 그 결과를 가중평균하여 속도 민감도가 반영된 조정 평균 제동력을 100kph 제동 초속도 값으로 계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00kph 가중 평균 제동력(μ)은 아래의 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9057728676-pat00002
본 발명의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에 의하면, 제동 초속도에 의한 타이어 제동 성능 민감도 반영하여 정확한 제동 성능 계산 가능하여 보다 정확한 시험결과 값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뢰성이 높은 타이어를 생산할 수 있어 안전성이 보장된 운전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을 통해 속도에 따른 평균 제동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은 타이어 제동 초속도에 의한 민감도를 일정속도 셋 이상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각각의 속도를 통해 제동되는 값을 가중 평균하여 속도 민감도가 반영된 조정 평균 제동력을 상기 설정값들 중 중간값을 제동 초속도 값으로 계산하게 된다.
즉, 상기한 일정속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속도 80kph, 100kph, 120kph 3가지 속도와 그 결과를 가중평균하여 속도 민감도가 반영된 조정 평균 제동력을 100kph 제동 초속도 값으로 계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평균 제동력(μ)은 아래의 식과 같이 계산될 수 있으며, 종래의 평균 제동력을 구하는 식과 동일하다.
Figure 112019057728676-pat00003
한편, 상기 100kph 가중 평균 제동력(μ)은 아래의 식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112019057728676-pat00004
즉, 상기 수식 및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타이어 제동 성능은 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민감해지고 평균 제동력도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μ120kph에서 가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동 초속도에 의한 민감도를 표현하기 위해 제동 초속도 80kph, 100kph, 120kph 3가지 속도와 그 결과를 가중평균하여 속도 민감도가 반영된 조정 평균 제동력을 100kph 제동 초속도 값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과 달리 제동 초속도에 의한 민감도를 표현하기 위해 제동 초속도 80kph,100kph,120kph 3가지 속도와 그 결과를 가중평균하여 속도 민감도가 반영된 조정 평균 제동력을 100kph 제동 초속도 값으로 계산하게 되는 것이다.
Figure 112019057728676-pat00005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을 실시예를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의 표와 같이 2종류의 타이어를 시험 평가 하였다.
Figure 112019057728676-pat00006
A 타이어는 전반적으로 평균제동력이 B 타이어에 비해 다소 부족하나 속도의 민감도가 낮고 120kph에서 오히려 양호해 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제동 초속도에 의한 영향도를 반영하면 A타이어의 성능은 다소 양호해지며 정확한 타이어 제동 성능을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9057728676-pat00007
Figure 112019057728676-pat00008
위 두 종류의 타이어를 통한 민감도가 반영된 제동성능의 차이는 아래의 테이블처럼 민감도 반영 전 B 타이어 수준이 A 타이어 대비 105%에서 반영 후, 103%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9057728676-pat00009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동 초속도에 의한 민감도가 잘 반영되어 정확한 타이어 제동 성능을 계산 할 수 있도록 시험 방법이며, 이를 계산하기 위한 수식을 통해 계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타이어 제동 초속도에 의한 민감도를 일정속도 셋 이상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각각의 속도를 통해 제동되는 값을 가중 평균하여 속도 민감도가 반영된 조정 평균 제동력을 상기 설정된 속도들 중 중간값을 제동 초속도 값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속도는,
    초속도 80kph, 100kph, 120kph의 3가지 속도이며, 그 결과를 가중평균하여 속도 민감도가 반영된 조정 평균 제동력을 100kph 제동 초속도 값으로 계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평균 제동력은 아래의 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
    Figure 112020074073579-pat00010

    μ100kph(weighted) : 조정 평균 제동력(속도가 100kph일 때 가중 평균 제동력)
    μ80kph : 속도가 80kph일 때 평균 제동력
    μ100kph : 속도가 100kph일 때 평균 제동력
    μ120kph : 속도가 120kph일 때 평균 제동력
KR1020190066474A 2019-06-05 2019-06-05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 KR102179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74A KR102179821B1 (ko) 2019-06-05 2019-06-05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74A KR102179821B1 (ko) 2019-06-05 2019-06-05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821B1 true KR102179821B1 (ko) 2020-11-17

Family

ID=7364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474A KR102179821B1 (ko) 2019-06-05 2019-06-05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82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574A (ja) * 1999-06-14 2000-12-26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制動性能の推定方法
JP2012002755A (ja) * 2010-06-18 2012-01-05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氷上制動性能の評価方法
JP2012167974A (ja) * 2011-02-14 2012-09-06 Meidensha Corp 回転体速度/加速度の計測・制御装置
JP2014512522A (ja) * 2011-03-18 2014-05-22 ブリヂストン アメリカズ タイヤ オペレイ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 停止距離性能効率を分析する方法
KR101494887B1 (ko) 2013-02-27 2015-02-24 자동차부품연구원 타이어의 제동성능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JP2018119814A (ja) * 2017-01-23 2018-08-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制動性能評価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574A (ja) * 1999-06-14 2000-12-26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制動性能の推定方法
JP2012002755A (ja) * 2010-06-18 2012-01-05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氷上制動性能の評価方法
JP2012167974A (ja) * 2011-02-14 2012-09-06 Meidensha Corp 回転体速度/加速度の計測・制御装置
JP2014512522A (ja) * 2011-03-18 2014-05-22 ブリヂストン アメリカズ タイヤ オペレイ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 停止距離性能効率を分析する方法
KR101494887B1 (ko) 2013-02-27 2015-02-24 자동차부품연구원 타이어의 제동성능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JP2018119814A (ja) * 2017-01-23 2018-08-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制動性能評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7833B2 (en) Running-resistance control device
CN105890914B (zh) 电动汽车续航里程测试方法及装置
Schuring et al. A model for combined tire cornering and braking forces
US10114113B2 (en) Ultrasound range correction
US10352758B2 (en) Apparatus for estimating vehicle mass using tire air pressure and method thereof
EP2535724B1 (en) Acceleration/deceleration detection system
CN107655700A (zh) 一种道路滑行阻力的确定方法及装置
Goncharenko et al. Elastic characteristics of ultralow-pressure tyres under different loading regimes. Part 1: vertical and lateral loads
KR102179821B1 (ko) 타이어 제동 초속도의 민감도를 반영한 제동 성능 시험방법
CN110220535A (zh) 车辆仪器表测试方法、装置、系统、设备和存储介质
CN105431849B (zh) 用于仿真汽车轮胎的滚动半径的方法
CN112729725B (zh) 车辆动态密封指数确定方法、装置、介质、设备及车辆
KR101544885B1 (ko)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03712909B (zh) 路面摩擦系数与摩擦噪声的同步测试方法
JP6790866B2 (ja) タイヤの制動性能評価方法
CN104015575A (zh) 汽车安全监测装置
Sina et al. Introducing the modified tire power loss and resistant force regarding longitudinal slip
JP2017187404A (ja) ゴムの歪み予測方法
CN110160803B (zh) 汽车离合器的性能测试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Chan et al. Development of a 3-D quasi-static tyre model for on-road and off-road vehicle dynamics simulations: Part I–on-road flexible tyre model
KR102211079B1 (ko) 타이어에 의한 차량의 실내 소음 예측 장치 및 방법
Yang et al. Incorporating inflation pressure into UniTire model for pure cornering
KR102178056B1 (ko) 확률값을 이용한 타이어 시험방법
KR20200137159A (ko) 타이어의 직선 수막현상 시험방법
JP2017161231A (ja) ゴムの歪み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