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494B1 - 공간형성금형장치 - Google Patents

공간형성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494B1
KR102179494B1 KR1020200045918A KR20200045918A KR102179494B1 KR 102179494 B1 KR102179494 B1 KR 102179494B1 KR 1020200045918 A KR1020200045918 A KR 1020200045918A KR 20200045918 A KR20200045918 A KR 20200045918A KR 102179494 B1 KR102179494 B1 KR 102179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frame
molding
produc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김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영 filed Critical 김주영
Priority to KR1020200045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1/0026Welding of thi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18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screw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82Dust eliminating means; Mould or press ram clea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틀에 맞는 판재 압착시 이탈되지 않고 판재 상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압착하여 성형하기 위한 공간성형금형부와, 온도가 일정한 냉각수를 주입하며, 온도가 높아진 냉각수를 배출하여 용접작업 중 제품에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켜주면서 용접이 완료되도록 하기 위한 저항식용접지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간형성금형장치{Product processing system including space forming mold equipment}
본 발명은 공간형성금형장치와 저항식용접지그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 틀에 맞는 판재를 넣어 공간을 형성하도록 압착하여 성형하며, 성형되는 제품 또는 타 제품을 냉각시킴으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간형성금형장치와 저항식용접지그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일정 폭의 금속판을 감은 재료)을 재료로 해서, 감긴 코일을 평평한 금속판으로 펴고, 그 금속판을 블랭킹 가공한 다음, 그 블랭킹 가공된 소재를 프레스, 용접 등의 가공을 거쳐 설계된 제품을 제조한다.
그리고 프레스는 금속판 소재에 힘을 가해서 소성 변형시켜 굽힘·전단·단면수축 등의 가공을 하는 기계이고, 프레스 가공(프레스 가공을 간단히 프레스라고도 한다.)의 종류에는 커터(cutter)로 소정의 모양으로 절단하는 절단가공, 다이(die)와 펀치(punch)로 필요한 모양을 따내는 따내기가공(블랭킹, blanking), 소재에 구멍을 뚫어내는 피어싱(piercing, 펀칭(punching)이라고도 한다), 소재를 필요한 모양으로 구부리는 굽힘가공(벤딩,bending), 원통·각통 등과 같은 바닥이 있고 이음매가 없는 용기를 만드는 드로잉 가공(drawing) 등이 있다.
한편, 이러한 프레스 가공은 다른 금형을 가지는 다수의 프레스를 순차로 거치면서 최종 제품(또는, 부품)이 만들어지고, 필요에 따라 용접기를 통해 추가 가공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런데 하나의 프레스에 의해 가공된 소재는 큰 용기에 수거되어 다음의 프레스로 옮겨지는데, 수거하는 소재는 프레스에서 용기로 떨어지면서 불규칙적으로 쌓이기 때문에, 다음 프레스 가공을 위해 별도의 장치나 인력(수작업)을 통해서 쌓아서 정렬해야 하며, 정렬된 소재는 다시 프레스가 설치된 곳으로 이동하여, 프레스 금형에 위치하고 가공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설치와 이동에 따른 과정으로 전체 가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공간이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90154호
본 발명은 원형 틀에 맞는 판재를 넣어 공간을 형성하도록 압착하여 성형하며, 성형되는 제품 또는 타 제품을 냉각시킴으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생산과 생산된 제품의 용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제품성형이 완료되는 금형을 고압 공기 분사와 고압 세척액 분사를 하여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제품을 가압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금형제품을 쉽게 배출하도록 하여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외부의 슬라이드 가압장치 없이도 금형 자체 가압하여 제품 상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냉각수의 주입과 배출량을 실시간 확인하도록 하는 구성과 냉각수의 교체주기를 알려주도록 하는 구성과 냉각수의 실시간 온도를 제어하도록 하며, 작업자의 작업높이에 맞게 승하강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며, 작업 위치에 따라 제품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형 틀에 맞는 판재 압착시 이탈되지 않고 판재 상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압착하여 성형하기 위한 공간성형금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성형금형부는, 원자재가 안착되고, 안착된 원자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성형베이스수단; 및 원자재의 가압 상태에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성형펀칭수단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베이스수단은, 성형베이스수단 하부로 형성되는 하부베이스판; 하부베이스판을 기준으로 이동되도록 하부베이스판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하부완충패널; 하부베이스판을 기준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하부완충패널 간의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부베이스판과 하부완충패널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하부완충스프링; 하부베이스판에서 하부완충패널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부베이스판과 하부완충패널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하부가이드바; 성형을 위한 상부성형틀과 접촉되도록 하부완충패널 상부로 형성되는 하부성형틀; 자재가 안착되도록 하부성형틀 상면에 형성되는 자재안착면; 하부성형틀에 안착된 자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부성형틀 상면 둘레로 형성되는 자재단턱; 하부베이스판 측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상부베이스판이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부베이스판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완충바; 상부베이스판에 형성되는 가이드삽입부재와 가이드완충바 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가이드완충바 상부로 형성되는 가이드베어링; 하부베이스판 측으로 이동되는 상부베이스판 간의 결합압력을 줄여주기 위해 가이드완충바 둘레로 형성되는 가이드완충스프링; 하부베이스판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성형베이스수단 상부로 형성되는 상부베이스판; 성형을 위한 하부성형틀과 접촉되도록 상부베이스판 하부로 형성되는 상부성형틀; 자재단턴 상면에 접촉되어 자재를 가압하도록 상부성형틀 하부로 형성되는 자재가압틀; 가이드완충바가 삽입 슬라이드 되도록 상부베이스판 양측으로 가이드완충바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펀칭수단은, 자재에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해 자재를 타격하기 위해 하부성형틀 중앙으로 형성되는 하부펀칭부재; 상부베이스판의 슬라이드 접촉시 하부성형틀에서 밀리지 않도록 일측이 하부펀칭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하부베이스판에 고정 형성되는 펀칭부재축; 하부펀칭부재에 의해 타격시 자재가 밀려지도록 상부성형틀 중앙에 형성되는 펀칭틀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형성금형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은, 제품 성형후 자재안착면에 잔류되는 금속분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성형세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성형세척부는, 하부베이스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세척프레임; 노즐프레임이 회전가능하도록 세척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기립힌지; 일측이 기립힌지와 결합되며, 기립힌지를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노즐프레임; 노즐프레임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하부베이스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기립실린더; 일측이 기립실린더와 연결되고, 타측이 노즐프레임과 연결되어 기립실린더의 작동시 노즐프레임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부재; 자재안착면 측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노즐프레임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에어분사노즐; 자재안착면 측으로 방청 및 세척을 위한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해 노즐프레임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세척액분사노즐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형성금형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은, 자재안착면에서 성형되는 제품을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자동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배출부는, 배출핀이 관통 슬라이드 되도록 하부성형틀과 하부완충패널 일측으로 관통형성되는 핀슬라이드홈; 핀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핀슬라이드홈에 삽입 수용되어 일측이 핀작동실린더와 연결 형성되는 배출핀; 배출핀을 자재안착면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하부베이스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작동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형성금형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은, 제품 성형을 위해 상부베이스판을 하부베이스판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가압작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작동부는, 하부베이스판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축; 스크류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부베이스판 양측으로 스크류와 대응되는 위치상에 형성되는 스크류부재; 스크류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하부베이스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모터; 스크류모터의 작동으로 상부성형틀과 하부성형틀의 접촉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상부성형틀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가압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온도가 일정한 냉각수를 주입하며, 온도가 높아진 냉각수를 배출하여 용접작업 중 제품에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켜주면서 용접이 완료되도록 하기 위한 저항식용접지그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항식용접지그부는, 지면에 고정 형성되는 안착프레임; 냉각수가 흐르도록 저항식용접지그부 하부로 형성되는 하부냉각틀; 하부냉각틀을 지지하도록 일측이 하부냉각틀에 고정되고, 타측이 안착프레임에 고정 형성되는 하부지지대; 냉각수가 흐르도록 저항식용접지그부 상부로 형성되는 상부냉각틀; 용접을 위한 제품이 안착되도록 상부냉각틀 상부로 형성되는 안착단; 냉각수를 주입하기 위해 결합되는 하부냉각틀과 상부냉각틀 일측으로 형성되는 주입노즐; 순환되는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해 결합되는 하부냉각틀과 상부냉각틀 타측으로 형성되는 배출노즐; 주입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상부냉각틀 일측면과 하부냉각틀 일측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냉각수순환관; 일측에서 주입되는 냉각수가 순환하여 주입노즐측으로 냉각수가 재진입하지 않도록 상부냉각틀과 하부냉각틀 일측으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차단벽을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항식용접지그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은, 주입되는 냉각수와 배출되는 냉각수의 양을 감지하고,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며, 냉각수의 교체주기를 알려주기 위한 냉각수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감지부는, 주입노즐 일측으로 형성되는 주입냉각유량계; 배출노즐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냉각유량계; 주입노즐을 통해 주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주입노즐 일측으로 형성되는 냉각온도제어수단; 냉각수의 교체시기를 알려주기 위해 상부냉각틀 일측으로 형성되는 냉각수교체알림수단; 냉각수순환관을 통해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부냉각틀 일측으로 형성되는 실시간온도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저항식용접지그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은, 저항식용접지그부에 제품 안착시 일정 탄성을 갖으며, 제품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고정부는, 안착프레임 상부로 고정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제품이 안착되도록 고정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 탄성스프링이 고정되도록 고정플레이트 상부와 안착플레이트 하부로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부재; 무게를 지지하며,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된 플레이트부재와 안착플레이트에 형성된 플레이트부재 간의 형성되는 탄성스프링; 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제품의 무게에 따라 변형되는 탄성스프링을 감지하도록 탄성스프링 일측으로 형성되는 무게감지센서; 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제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실린더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바; 제품측으로 고정바가 전진되도록 일측이 고정바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안착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저항식용접지그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은, 제품을 자성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한 마그네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부는, 제품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마그네틱플레이트; 마그네틱작동바의 작동에 의해 자성이 발생되도록 마그네틱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마그네틱부재; 마그네틱부재 상에 자성을 발생시키기 위해 마그네틱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틱작동바; 마그네틱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제품이 자성발생시 밀착접촉에 의해 손상되지d않도록 마그네틱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제품손상방지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저항식용접지그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은, 작업 높이에 따라 저항식용접지그부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지그승하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그승하강부는, 안착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프레임고정패널; 제품이 안착되어 승하강되도록 프레임고정패널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그안착패널; 지그안착패널 상에 안착되는 제품을 감지하기 위해 지그안착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안착감지센서; 지그안착패널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프레임고정패널 상부로 형성되는 승하강실린더; 지그안착패널의 높낮이를 감지하도록 프레임고정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높낮이조절센서; 승하강실린더를 작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안착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절발판를 포함하며, 상기 저항식용접지그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은, 제품을 회전시켜 용접하기 위한 지그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그회전부는, 안착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 제품이 안착되어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플레이트 상부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회전패널; 회전패널이 회전플레이트 상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패널 하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패널롤러; 회전패널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도록 회전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 형성되는 회전모터; 회전패널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하기 위해 회전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속도제어센서; 회전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안착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속도제어발판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형 틀에 맞는 판재를 넣어 공간을 형성하도록 압착하여 성형하며, 성형되는 제품 또는 타 제품을 냉각시킴으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생산과 생산된 제품의 용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품성형이 완료되는 금형을 고압 공기 분사와 고압 세척액 분사를 하여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금형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품을 가압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금형제품을 쉽게 배출하도록 하여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외부의 슬라이드 가압장치 없이도 금형 자체 가압하여 제품 상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작업현장에 구애받지 않고 제품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냉각수의 주입과 배출량을 실시간 확인하도록 하는 구성과 냉각수의 교체주기를 알려주도록 하는 구성과 냉각수의 실시간 온도를 제어하도록 하며, 작업자의 작업높이에 맞게 승하강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며, 작업 위치에 따라 제품이 회전되도록 하여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공간형성금형장치와 저항식용접지그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의 공간형성금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공간형성금형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성형세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공간형성금형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공간형성금형장치의 도다른 실시예인 가압작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공간형성금형장치와 저항식용접지그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의 저항식용접지그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저항식용접지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냉각수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 저항식용접지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탄성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 저항식용접지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마그네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 저항식용접지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지그승하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 저항식용접지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지그회전부를 나타낸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공간형성금형장치와 저항식용접지그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10)의 공간성형금형부(1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간성형금형부(100)는 원형 틀에 맞는 판재를 압착하는 경우 틀에서 이탈되지 않고 판재 상에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재를 압착하여 성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성형금형부(100)는, 성형베이스수단(110)과 성형펀칭수단(150)을 포함한다.
상기 성형베이스수단(110)은 판 형태의 원자재가 안착되며, 안착되는 원자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압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베이스수단(110)은 하부베이스판(111), 하부완충패널(112), 하부완충스프링(113), 하부가이드바(114), 하부성형틀(115), 자재안착면(116), 자재단턱(117), 가이드완충바(118), 가이드베어링(119), 가이드완충스프링(120), 상부베이스판(130), 상부성형틀(131), 자재가압틀(132), 가이드삽입부재(13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베이스판(111)은 성형베이스수단(110) 하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사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압착 수단 일측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베이스판(111)은 슬라이드 압착수단(미도시)에 고정되며, 타측에서 상부베이스판(130)이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완충패널(112)은 하부베이스판(111)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완충패널(112)은 하부베이스판(111)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완충스프링(113)은 하부베이스판(111)과 하부완충패널(1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완충스프링(113)은 하부베이스판(111)을 기준으로 움직이는 하부완충패널(112) 간의 완충작용을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완충스프링(113)은 가압되는 힘을 완충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가이드바(114)는 하부베이스판(111)과 하부완충패널(112)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베이스판(111)에서 하부완충부재의 완충작용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가이드바(114)는 하부완충스프링(113)과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순차형성되는 것으로, 하부가이드바(114) 형성시 일측은 하부완충스프링(113)이 형성되며, 하부완충스프링(113) 일측으로는 하부가이드바(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성형틀(115)은 상부성형틀(131)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성형틀(115)은 하부완충패널(112) 상부로 볼트수단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재안착면(116)은 하부성형틀(115)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원자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재안착면(116)은 원자재가 밀착되도록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원자재와 완전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자재단턱(117)은 자재안착면(116)에 안착되는 원자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부성형틀(115) 상면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재단턱(117)은 원자재가 하부성형틀(115)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재단턱(117)은 자재안착면(116)보다 일정 높이로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완충바(118)는 하부베이스판(111) 측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상부베이스판(130)이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완충바(118)는 하부베이스판(111)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베어링(119)은 가이드완충바(118)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상부베이스판(130)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삽입부재(133)가 원활하게 슬라이드 되어 마찰을 줄여주기 위해 상기 가이드완충바(118)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가이드완충바(118) 상부로 형성되는 가이드베어링(119)이 상부베이스판(130)에 형성되는 가이드삽입부재(133)에 삽입시 마찰을 줄여 슬라이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완충스프링(120)은 가이드완충바(118) 둘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완충스프링(120)은 하부베이스판(111) 측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상부베이스판(130)과의 결합시 발생되는 압력을 줄여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베이스판(130)은 하부베이스판(111)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베이스판(130)은 하부베이스판(111)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베이스판(130)은 슬라이드 압착수단 일측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슬라이드 압착수단 일측에 상부베이스판(130)이 결합되며, 타측에 하부베이스판(111)이 결합되어 슬라이드 압착수단의 작동시 하부베이스판(111) 측으로 상부베이스판(130)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압착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성형틀(131)은 하부성형틀(115)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성형틀(131)은 상부베이스판(130) 하부로 볼트수단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재가압틀(132)은 자재단턱(117) 상면에 접촉되어 자재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자재가압틀(132)은 상부성형틀(131)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자재가압틀(132)은 상부성형틀(131)과 볼트수단에 의해 결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삽입부재(133)는 가이드완충바(118)에 삽입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삽입부재(133)는 상부베이스판(130) 양측으로 가이드완충바(118)와 대응되는 위치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펀칭수단(150)은 성형베이스수단(110)에 안착된 원자재를 가압하여 일측을 타격함으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펀칭수단(150)은 하부펀칭부재(151), 펀칭부재축(152), 펀칭틀(15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펀칭부재(151)는 자재에 공간 형성을 위해 자재를 타격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펀칭부재(151)는 하부성형틀(115)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펀칭부재(151)는 펀칭부재축(152)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베이스판(130)의 가압시 하부베이스판(111) 측으로 하부성형틀(115)이 밀려 남으로 고정되는 하부펀칭부재(151)가 자재를 타격하도록 함으로 자재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칭부재축(152)은 하부펀칭부재(151)가 하부베이스판(111) 상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펀칭부재축(152)은 일측이 하부베이스판(111)에 고정되며, 타측은 하부펀칭부재(151) 일측과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칭틀(153)은 하부펀칭부재(151)에 의해 타격되어 밀려 형성되는 자재의 일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펀칭틀(153)은 상부성형틀(131)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펀칭틀(153)은 상부성형틀(131)에서 일정깊이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하부펀칭부재(151)에 의해 일측으로 밀려나는 원자재의 형태를 잡아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공간형성금형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성형세척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성형세척부(200)는 제품 성형후 자재안착면(116)에 잔류되는 금속분진 또는 금속 이물질을 제거하며, 자재안착면(116)의 방청을 위해 세척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세척부(200)는 세척프레임(210), 기립힌지(220), 노즐프레임(230), 기립실린더(240), 회전부재(221), 에어분사노즐(250), 세척액분사노즐(26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프레임(210)은 하부베이스판(1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프레임(210)은 하부베이스판(111)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립힌지(220)는 세척프레임(2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노즐프레임(230)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립힌지(220)는 힌지방식으로 노즐프레임(230)이 세척프레임(210)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프레임(230)은 일측이 기립힌지(220)와 연결 형성되어 기립힌지(220)를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회전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립실린더(240)는 노즐프레임(230)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기립실린더(240)는 일측이 하부베이스판(111)에 고정되며, 타측인 실린더 축은 회전부재(221)와 연결되어 노즐프레임(230)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221)는 일측이 기립실린더(240)의 실린더 축과 연결되고, 타측이 노즐플레임에 연결 형성되어 기립실린더(240)의 작동시 회전부재(221)가 노즐프레임(230)을 밀어 줌으로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분사노즐(250)은 자재안착면(116) 측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에어분사노즐(250)은 노즐프레임(230)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액분사노즐(260)은 자재안착면(116) 측으로 방청과 세척을 위한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세척액분사노즐(260)은 노즐프레임(230)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액분사노즐(260)을 통한 세척액 분사는 에어분사노즐(250)을 통한 공기 세척이 완료된 후 세척액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 공간형성금형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배출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배출부(300)는 자재안착면(116)에서 성형이 완료되는 제품을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배출부(300)는 핀슬라이드홈(310), 배출핀(320), 핀작동실린더(330)를 포함한다.
상기 핀슬라이드홈(310)은 배출핀(320)이 관통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슬라이드홈(310)은 상호 결합되는 하부성형틀(115)과 하부완충패널(112) 일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핀(320)은 핀슬라이드홈(3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핀(320)은 핀슬라이드홈(310)에 삽입 수용되어 일측의 핀작동실린더(330)가 작동시 자재안착면(116)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작동실린더(330)는 배출핀(320)을 자재안착면(116)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작동실린더(330)는 일측이 하부베이스판(111) 일측에 고정 형성되며, 타측은 배출핀(320) 일측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작동실린더(330)는 제품성형이 완료되어 하부베이스판(111)을 기준으로 상부베이스판(130)의 분리와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 공간형성금형장치의 도다른 실시예인 가압작동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작동부(400)는 제품 성형을 위해 상부베이스판(130)을 하부베이스판(111)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제품 성형 완료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작동부(400)는 슬라이드 압착수단(미도시)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작동부(400)는 스크류축(410), 스크류부재(420), 스크류모터(430), 가압센서(440)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축(410)은 하부베이스판(111)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스크류부재(420)가 형성되는 상부베이스판(130)이 하부베이스판(111)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부재(420)는 스크류축(410)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부재(420)는 상부베이스판(130) 양측으로 스크류축(410)과 대응되는 위치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부재(420)가 스크류축(410)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스크류부재(420)가 형성되는 상부베이스판(130)이 스크류축(410)이 형성되는 하부베이스판(111)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모터(430)는 스크류축(410)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모터(430)는 하부베이스판(1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모터(430)는 각각의 스크류축(4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모터(430)는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센서(440)는 스크류모터(430)의 작동시 상부성형틀(131)과 하부성형틀(115)의 접촉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센서(440)는 상부성형틀(131)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센서(440)는 설정되는 정보에 따라 스크류모터(43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압력값이 이하일 경우 스크류모터(430)가 작동하여 상부성형틀(131)과 하부성형틀(115)이 접촉되도록 하며, 설정되는 정보 이상일 경우 스크류모터(430)가 작동하여 상부성형틀(131)과 하부성형틀(115)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 공간형성금형장치와 저항식용접지그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10)의 저항식용접지그부(5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저항식용접지그부(500)는 온도가 일정한 냉각수를 주입하고, 열을 흡수한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작업 중 제품에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켜주면서 용접이 완료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식용접지그부(500)는 안착프레임(510), 하부냉각틀(520), 하부지지대(521), 상부냉각틀(530), 안착단(531), 주입노즐(540), 배출노즐(550), 냉각수순환관(560), 차단벽(570)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프레임(510)은 지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냉각틀(530)과 하부냉각틀(520)이 조립되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냉각틀(520)은 냉각수가 흐르도록 저항식용접지그부(500) 하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냉각틀(520)은 상부냉각틀(530)과 맞물려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지지대(521)는 하부냉각틀(520)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대(521)는 일측이 하부냉각틀(520) 하부와 고정 형성되며, 타측은 안착프레임(510) 상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지지대(521)는 제품의 무게가 다양함을 감안하여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일정 각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무게에 따른 제품이 일측으로만 치우쳐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냉각틀(530)은 냉각수가 흐르도록 저항식용접지그부(500)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냉각틀(530)은 하부냉각틀(520)과 맞물려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단(531)은 용접을 위한 제품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단(531)은 일정 높이로 상부냉각틀(53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노즐(540)은 냉각수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주입노즐(540)은 상부냉각틀(530)과 하부냉각틀(520)의 결합시 일측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노즐(540)은 일측이 외부에 형성되는 냉각수순환장치(미도시)의 주입측과 연결 형성되며, 타측은 상부냉각틀(530)과 하부냉각틀(520)의 결합된 일측 방향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노즐(550)은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노즐(550)은 상부냉각틀(530)과 하부냉각틀(520)의 결합시 타측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노즐(550)은 일측이 외부에 형성되는 냉각수순환장치(미도시)의 배출측과 연결 형성되며, 타측은 상부냉각틀(530)과 하부냉각틀(520)의 결합된 타측 방향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순환관(560)은 상부냉각틀(530)과 하부냉각틀(520)의 결합시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수순환관(560)은 상부냉각틀(530) 일측면에 반원의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냉각틀(520) 일측면에 반원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냉각틀(530)과 하부냉각틀(520)의 결합시 하나의 냉각수순환관(5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벽(570)은 일측에서 주입되는 냉각수가 순환되어 주입노즐(540)측으로 냉각수가 재진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단벽(570)은 상부냉각틀(530)과 하부냉각틀(520) 일측으로 상호대응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주입노즐(540)로부터 주입되는 냉각수가 냉각수순환관(560)을 따라 배출노즐(550)로 배출되는 것으로, 주입노즐(540)과 배출노즐(550) 사이인 상부냉각틀(530)과 하부냉각틀(52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 저항식용접지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냉각수감지부(6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수감지부(600)는 주입되는 냉각수와 배출되는 냉각수의 양을 감지하며, 주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순환되는 냉각수의 교체주기를 알려주며, 실시간으로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감지부(600)는 주입냉각유량계(610), 배출냉각유량계(620), 냉각온도제어수단(630), 냉각수교체알림수단(640), 실시간온도제어수단(650)을 포함한다.
상기 주입냉각유량계(610)는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냉각수의 주입량을 표시해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주입냉각유량계(610)는 주입노즐(54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냉각유량계(610)는 주입되는 유량을 조절하여 설정함으로, 설정되는 냉각수량으로만 주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냉각유량계(620)는 냉각수순환관(560)으로부터 순환되는 냉각수가 배출노즐(550)을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의 배출량을 표시해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냉각유량계(620)는 배출노즐(55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냉각유량계(620)는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여 설정함으로, 설정되는 냉각수량으로만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온도제어수단(630)은 주입노즐(540)을 통해 주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설정하여, 설정된 온도로 냉각수 온도를 조절하여 냉각수를 냉각수순환관(560) 측으로 주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온도제어수단(630)은 주입노즐(54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냉각수 온도조절을 위한 냉매제가 포함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교체알림수단(640)은 냉각수의 교체시기를 색이나 숫자 등으로 표시하여 알려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수교체알림수단(640)은 상부냉각틀(530) 일측으로 형성되어 냉각수순환관(560)을 통해 순환 이동되는 냉각수를 감지하여 표시해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간온도제어수단(650)은 냉각수순환관(560)을 통해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실시간온도제어수단(650)은 상부냉각틀(53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간온도제어수단(650)은 상부냉각틀(530) 일측으로 형성되어 상부냉각틀(530)에 미세홀이 형성되어 미세홀을 따라 이동되는 냉각수가 실시간온도제어수단(650) 내로 유입되어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며, 설정되는 온도보다 높은 경우 실시간온도제어수단(650)에서 상부냉각틀(530)을 관통하여 냉각수순환관(560) 상에 형성되는 냉매바를 이용하여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낮춰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 저항식용접지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탄성고정부(7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고정부(700)는 제품의 안착시 제품에 일정 탄성을 갖도록 하며, 제품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고정부(700)는 고정플레이트(710), 안착플레이트(720), 플레이트부재(730), 탄성스프링(740), 무게감지센서(750), 고정바(760), 고정실린더(77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710)는 안착프레임(510) 상부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710)는 안착프레임(510) 상에서 볼트수단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720)는 제품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플레이트(720)는 고정플레이트(7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플레이트(720)는 탄성스프링(740)에 의해 고정플레이트(7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재(730)는 안착플레이트(720)와 고정플레이트(710) 측으로 탄성스프링(740)이 고정 형성될 수 있도록 안착플레이트(720)의 하부와 고정플레이트(710)의 상부로 각각 대응되는 위치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스프링(740)은 고정플레이트(710) 상에 형성되는 플레이트부재(730)와 안착플레이트(720) 상에 형성되는 플레이트부재(730) 간에 연결 형성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스프링(740) 일측은 고정플레이트(710) 상에 형성되는 플레이트부재(730)에 결합되고, 탄성스프링(740)의 타측은 안착플레이트(720) 상에 형성되는 플레이트부재(7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스프링(740)은 안착플레이트(720)에 안착되는 제품의 무게를 지지하며, 충격 등에 의한 진동을 감쇄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감지센서(750)는 안착플레이트(720)에 안착되는 제품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무게감지센서(750)는 제품의 무게에 따라 변형되는 탄성스프링(740)을 감지하도록 탄성스프링(74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바(760)는 안착플레이트(720)에 안착되는 제품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바(760)는 고정실린더(770)의 작동으로 실린더 축이 제품 측으로 전진하도록 하여 고정바(760)를 밀어 제품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실린더(770)는 제품측으로 고정바(760)가 전진되도록 하거나, 용접 완료시 제품을 배출하기 위해 고정바(760)가 초기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실린더(770)는 안착프레임(5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 저항식용접지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마그네틱부(8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마그네틱부(800)는 제품에 자성을 가하여 자성에 의해 고정하여 용접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부(800)는 마그네틱플레이트(810), 마그네틱부재(820), 마그네틱작동바(830), 제품손상방지패드(840)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틱플레이트(810)는 제품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마그네틱플레이트(810)는 안착프레임(5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부재(820)는 마그네틱플레이트(81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마그네틱작동바(830)의 작동시 마그네틱부재(820)가 자성을 갖도록 하여 제품을 고정시켜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부재(820)는 단일개 또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자성의 강약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작동바(830)는 마그네틱부재(820) 상의 자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마그네틱작동바(830)는 마그네틱플레이트(810) 일측으로 형성되어 일측방향으로 작동시 마그네틱부재(820) 상의 자성이 발생되도록 하여 제품을 고정시켜주며, 타측방향으로 작동시 마그네틱부재(820) 상의 자성이 해제되어 제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손상방지패드(840)는 마그네틱플레이트(810) 상면에 부착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손상방지패드(840)는 제품이 자성에 의해 마그네틱플레이트(810)에 밀착 접촉시 제품이 마그네틱플레이트(810)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손상방지패드(840)는 두께가 얇은 합성수지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자성에 의해 제품이 부착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 저항식용접지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지그승하강부(9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그승하강부(900)는 작업 높이에 따라 저항식용접지그부(50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그승하강부(900)는 하부냉각틀(520)이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승하강부(900)는 프레임고정패널(910), 지그안착패널(920), 안착감지센서(930), 승하강실린더(940), 높낮이조절센서(950), 조절발판(96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고정패널(910)은 안착프레임(5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고정패널(910)은 안착프레임(510) 상에서 볼트수단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안착패널(920)은 제품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품이 안착되거나, 하부냉각틀(520)이 안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안착패널(920)은 프레임고정패널(9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감지센서(930)는 지그안착패널(920) 상에 안착되는 제품 또는 하부냉각틀(520)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감지센서(930)는 지그안착패널(9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실린더(940)는 프레임고정패널(910)을 기준으로 지그안착패널(92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승하강실린더(940)는 일측이 프레임고정패널(910)에 고정되며, 타측은 지그안착패널(920) 하부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실린더(940)는 지그안착패널(920)의 승하강시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조절센서(950)는 지그안착패널(920)의 높낮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높낮이조절센서(950)는 프레임고정패널(9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발판(960)은 승하강실린더(94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절발판(960)은 안착프레임(510) 일측으로 형성되어 용접 작업의 높이 따라 조절발판(960)을 1회 밟음에 승하강실린더(940)가 작동되어 지그안착패널(920)이 상승되도록 하며, 조절발판(960)을 2회 밟음에 하강실린더가 작동되어 지그안착패널(920)이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 저항식용접지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지그회전부(1000)를 나타낸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그회전부(1000)는 다방향의 용접이 가능하도록 제품을 회전시켜 용접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회전부(1000)는 회전플레이트(1100), 회전패널(1200), 패널롤러(1300), 회전모터(1400), 속도제어센서(1500), 속도제어발판(160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100)는 안착프레임(5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1100)는 회전패널(1200)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패널(1200)은 제품이 안착되어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패널(1200)은 회전플레이트(1100) 상부로 일정 높이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롤러(1300)는 회전패널(1200)을 회전플레이트(1100) 상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롤러(1300)는 회전패널(1200) 하부로 복수개 형성되어 회전플레이트(1100) 상면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롤러(1300)는 회전패널(1200)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시 회전플레이트(1100) 상에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모터(1400)는 회전패널(1200)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모터(1400)는 회전플레이트(1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모터(1400)의 모터축에 회전패널(1200)이 연결 형성되고, 회전모터(1400)가 회전플레이트(1100)를 관통하여 일측이 회전플레이트(1100)에 고정되는 것으로, 회전모터(1400)의 작동시 회전패널(1200)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제어센서(1500)는 회전패널(1200)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속도제어센서(1500)는 회전플레이트(110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제어센서(1500)는 속도제어발판(1600)을 통해 속도를 높이거나 낮춰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제어발판(1600)은 회전모터(14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속도제어발판(1600)은 1회, 2회, 3회 등의 발판을 밟음에 따라 회전속도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패널(1200)의 회전속도를 속도제어발판(1600)을 통한 제어는 제품을 용접함에 동시에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품가공시스템
100 : 공간성형금형부 110 : 성형베이스수단
111 : 하부베이스판 112 : 하부완충패널
113 : 하부완충스프링 114 : 하부가이드바
115 : 하부성형틀 116 : 자재안착면
117 : 자재단턱 118 : 가이드완충바
119 : 가이드베어링 120 : 가이드완충스프링
130 : 상부베이스판 131 : 상부성형틀
132 : 자재가압틀 133 : 가이드삽입부재
150 : 성형펀칭수단 151 : 하부펀칭부재
152 : 펀칭부재축 153 : 펀칭틀
200 : 성형세척부 210 : 세척프레임
220 : 기립힌지 221 : 회전부재
230 : 노즐프레임 240 : 기립실린더
250 : 에어분사노즐 260 : 세척액분사노즐
300 : 자동배출부 310 : 핀슬라이드홈
320 : 배출핀 330 : 핀작동실린더
400 : 가압작동부 410 : 스크류축
420 : 스크류부재 430 : 스크류모터
440 : 가압센서
500 : 저항식용접지그부 510 : 안착프레임
520 : 하부냉각틀 521 : 하부지지대
530 : 상부냉각틀 531 : 안착단
540 : 주입노즐 550 : 배출노즐
560 : 냉각수순환관 570 : 차단벽
600 : 냉각수감지부 610 : 주입냉각유량계
620 : 배출냉각유량계 630 : 냉각온도제어수단
640 : 냉각수교체알림수단 650 : 실시간온도제어수단
700 : 탄성고정부 710 : 고정플레이트
720 : 안착플레이트 730 : 플레이트부재
740 : 탄성스프링 750 : 무게감지센서
760 : 고정바 770 : 고정실린더
800 : 마그네틱부 810 : 마그네틱플레이트
820 : 마그네틱부재 830 : 마그네틱작동바
840 : 제품손상방지패드
900 : 지그승하강부 910 : 프레임고정패널
920 : 지그안착패널 930 : 안착감지센서
940 : 승하강실린더 950 : 높낮이조절센서
960 : 조절발판
1000 : 지그회전부 1100 : 회전플레이트
1200 : 회전패널 1300 : 패널롤러
1400 : 회전모터 1500 : 속도제어센서
1600 : 속도제어발판

Claims (2)

  1. 원형 틀에 맞는 판재 압착시 이탈되지 않고 판재 상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압착하여 성형하기 위한 공간성형금형부를 포함하는 공간형성금형장치와 저항식용접지그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간성형금형부는,
    원자재가 안착되고, 안착된 원자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성형베이스수단; 및
    원자재의 가압 상태에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성형펀칭수단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베이스수단은,
    성형베이스수단 하부로 형성되는 하부베이스판;
    하부베이스판을 기준으로 이동되도록 하부베이스판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하부완충패널;
    하부베이스판을 기준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하부완충패널 간의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부베이스판과 하부완충패널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하부완충스프링;
    하부베이스판에서 하부완충패널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부베이스판과 하부완충패널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하부가이드바;
    성형을 위한 상부성형틀과 접촉되도록 하부완충패널 상부로 형성되는 하부성형틀;
    자재가 안착되도록 하부성형틀 상면에 형성되는 자재안착면;
    하부성형틀에 안착된 자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부성형틀 상면 둘레로 형성되는 자재단턱;
    하부베이스판 측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상부베이스판이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부베이스판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완충바;
    상부베이스판에 형성되는 가이드삽입부재와 가이드완충바 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가이드완충바 상부로 형성되는 가이드베어링;
    하부베이스판 측으로 이동되는 상부베이스판 간의 결합압력을 줄여주기 위해 가이드완충바 둘레로 형성되는 가이드완충스프링;
    하부베이스판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성형베이스수단 상부로 형성되는 상부베이스판;
    성형을 위한 하부성형틀과 접촉되도록 상부베이스판 하부로 형성되는 상부성형틀;
    자재단턴 상면에 접촉되어 자재를 가압하도록 상부성형틀 하부로 형성되는 자재가압틀;
    가이드완충바가 삽입 슬라이드 되도록 상부베이스판 양측으로 가이드완충바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펀칭수단은,
    자재에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해 자재를 타격하기 위해 하부성형틀 중앙으로 형성되는 하부펀칭부재;
    상부베이스판의 슬라이드 접촉시 하부성형틀에서 밀리지 않도록 일측이 하부펀칭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하부베이스판에 고정 형성되는 펀칭부재축;
    하부펀칭부재에 의해 타격시 자재가 밀려지도록 상부성형틀 중앙에 형성되는 펀칭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형성금형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은,
    제품 성형후 자재안착면에 잔류되는 금속분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성형세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성형세척부는,
    하부베이스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세척프레임;
    노즐프레임이 회전가능하도록 세척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기립힌지;
    일측이 기립힌지와 결합되며, 기립힌지를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노즐프레임;
    노즐프레임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하부베이스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기립실린더;
    일측이 기립실린더와 연결되고, 타측이 노즐프레임과 연결되어 기립실린더의 작동시 노즐프레임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부재;
    자재안착면 측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노즐프레임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에어분사노즐;
    자재안착면 측으로 방청 및 세척을 위한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해 노즐프레임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세척액분사노즐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형성금형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은,
    자재안착면에서 성형되는 제품을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자동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배출부는,
    배출핀이 관통 슬라이드 되도록 하부성형틀과 하부완충패널 일측으로 관통형성되는 핀슬라이드홈;
    핀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핀슬라이드홈에 삽입 수용되어 일측이 핀작동실린더와 연결 형성되는 배출핀;
    배출핀을 자재안착면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하부베이스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작동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형성금형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은,
    제품 성형을 위해 상부베이스판을 하부베이스판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가압작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작동부는,
    하부베이스판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축;
    스크류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부베이스판 양측으로 스크류와 대응되는 위치상에 형성되는 스크류부재;
    스크류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하부베이스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모터;
    스크류모터의 작동으로 상부성형틀과 하부성형틀의 접촉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상부성형틀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가압센서를 포함하는 공간형성금형장치와 저항식용접지그장치를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


  2. 삭제
KR1020200045918A 2020-04-16 2020-04-16 공간형성금형장치 KR102179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918A KR102179494B1 (ko) 2020-04-16 2020-04-16 공간형성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918A KR102179494B1 (ko) 2020-04-16 2020-04-16 공간형성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494B1 true KR102179494B1 (ko) 2020-11-16

Family

ID=73680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918A KR102179494B1 (ko) 2020-04-16 2020-04-16 공간형성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4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8956A (zh) * 2022-05-09 2022-07-29 冯彬 一种抗菌不锈钢餐具冲压成型生产线及其工艺
KR102488681B1 (ko) * 2022-07-04 2023-01-18 삼진전자(주) 액상 실리콘 멀티웨이 토출 시스템
CN116422754A (zh) * 2023-06-14 2023-07-14 常州瑞德丰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电池铝盖板整形冲压装置
CN117259532A (zh) * 2023-09-26 2023-12-22 昆山永思强模具有限公司 一种具有防卡料功能的模具
CN117282832A (zh) * 2023-10-09 2023-12-26 无锡市钜盛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智能型动力电池用铝型材成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110A (ko) * 1998-10-27 2000-05-15 전주범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쉬링킹공정용 상부 쉬링킹금형의 세팅기
KR100590154B1 (ko) 2004-04-21 2006-06-19 태화정공 주식회사 가압 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110A (ko) * 1998-10-27 2000-05-15 전주범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쉬링킹공정용 상부 쉬링킹금형의 세팅기
KR100590154B1 (ko) 2004-04-21 2006-06-19 태화정공 주식회사 가압 용접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8956A (zh) * 2022-05-09 2022-07-29 冯彬 一种抗菌不锈钢餐具冲压成型生产线及其工艺
KR102488681B1 (ko) * 2022-07-04 2023-01-18 삼진전자(주) 액상 실리콘 멀티웨이 토출 시스템
CN116422754A (zh) * 2023-06-14 2023-07-14 常州瑞德丰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电池铝盖板整形冲压装置
CN117259532A (zh) * 2023-09-26 2023-12-22 昆山永思强模具有限公司 一种具有防卡料功能的模具
CN117282832A (zh) * 2023-10-09 2023-12-26 无锡市钜盛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智能型动力电池用铝型材成型装置
CN117282832B (zh) * 2023-10-09 2024-03-01 无锡市钜盛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智能型动力电池用铝型材成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494B1 (ko) 공간형성금형장치
CN107398715A (zh) 披头和套筒的压装脱模机构
KR101840605B1 (ko) 플라스틱 절곡기
KR102176779B1 (ko) 도색장치
KR102276404B1 (ko) 저항식용접지그장치
KR101889380B1 (ko)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의 작동방법
KR101658986B1 (ko) 파이프 성형장치
JPS6338284B2 (ko)
KR102114333B1 (ko) 프레스 성형장치
CN104438178A (zh) 自动清洗工装
JP6953346B2 (ja) シート状軟質材の切断装置
CN204320707U (zh) 自动清洗工装
CN116213170A (zh) 一种建筑材料喷涂设备
CN110919835A (zh) 一种混凝土预制构件拉毛机械
KR101255158B1 (ko) 피어싱 금형장치
KR102176780B1 (ko) 프레스장치
CN114918299A (zh) 一种铝合金的冲压设备
KR20160074727A (ko) 프레스 성형장치
CN207502252U (zh) 马歇尔电动击实仪
KR200447178Y1 (ko) 압연공정용 냉각 장치
CN220146613U (zh) 家电零部件极冷极热成型模具
JP6685629B1 (ja) 竪型射出成形機の金型段取装置と設置台の組合わせ
CN217168097U (zh) 一种机械电气自动化的除锈设备
KR200451566Y1 (ko) 스케일 제거 장치
CN210231146U (zh) 一种冲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