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380B1 -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380B1
KR101889380B1 KR1020160073060A KR20160073060A KR101889380B1 KR 101889380 B1 KR101889380 B1 KR 101889380B1 KR 1020160073060 A KR1020160073060 A KR 1020160073060A KR 20160073060 A KR20160073060 A KR 20160073060A KR 101889380 B1 KR101889380 B1 KR 101889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ld
pedestal
tak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581A (ko
Inventor
김장현
Original Assignee
김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현 filed Critical 김장현
Priority to KR1020160073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380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6Shoulder or burr prevention, e.g. fine-bla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4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 B21D45/04Ejecting devices interrelated with motion of tool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부품과 제2부품이 각각 별도로 배출되도록 제1취출유닛과 제2취출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수 있는 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인블랭킹 금형 설비의 작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파인블랭킹 금형의 일측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금형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금형에서 제1부품이 취출되면 좌우 이동하여 상기 제1부품을 밀어내는 제1취출유닛; 상기 이동유닛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유닛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하부금형에서 취출된 제2부품을 밀어내는 제2취출유닛;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의 작동방법{Ejecting device linked equipment}
본 발명은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크랩과 제품이 각각 별도로 분리 배출되는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인블랭킹은 한번의 블랭킹 공정에서 제품의 전체 두께에 걸쳐 필요로 하는 고운 전단면과 양호한 제품 정밀도를 얻는 프레스 가공 공정이다.
여기서 파인(FINE)이라는 말은 정밀하고 양호한 표면을 얻는다는 뜻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블랭킹(BLANKING)공정은 제품을 얻기 위한 전단 공정이므로 프레스 전단면은 더 이상의 기계 가공이 필요 없는 완성 전단면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파인블랭킹 공정은 다음과 같은 작동원리에 의해 행하여진다. 우선, 전단이 시작되기 전에 상부금형에 설치되어 있는 브이(V)링으로 상부금형와 하부금형 사이에 있는 재료에 전단선 바깥쪽 윤곽을 따라 '∨'홈을 내려찍어 횡방향으로 재료의 이동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블랭킹펀치 아래쪽에 있는 카운터펀치가 전단되는 제품 밑면을 받쳐 종방향의 변형을 차단하면서 전단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재료를 고정 클램핑(Clamping)한 상태에서 전단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밀한 치수와 매끄러운 전단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 블랭킹에서는 카운터펀치가 다이구멍을 통과하면서 전단이 된 제품을 아래로 떨어뜨리는 것이 일반적이나, 파인블랭킹에서는 블랭킹펀치가 다이구멍을 통과하지 않고 재료 두께만큼만 내려가 전단이 되며 전단된 제품은 카운터펀치에의해 하부금형 상면으로 복귀시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블로워(Air blower)나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금형 밖으로 취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에어블로워에 의한 가공 제품의 취출은 프레스의 상하 운동에 따라 완성된 제품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에어블로워를 이용한 방법 또한 공기의 압축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과 동력이 필요하게 되어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동시 발생하는 압축공기에 의한 소음(약 200dB)에 의해 작업환경이 열악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어블로워를 가공품에 분사할 경우 가공품이 일정한 위치로 취출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가공품 및 가공후의 스크랩(Scrap) 등이 비산하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에어블로워에서 분산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가공품은 불특정 방향으로 비산하게 되며, 이로 인해서 먼저 가공되어 분리된 가공품은 물론 스크랩을 비롯한 다른 구조물에 부딪혀 가공 제품의 일부가 찍히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등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파인블랭킹의 특성상 가공제품이 별도의 후가공 없이 가공을 완료하게 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킴은 물론 불량이 발생되어 생산성을 저해 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계적인 장치에 의한 가공 제품의 취출은 에어플로우를 이용한 취출방식에 비해 안정적으로 가공 제품을 취출할수 있지만, 금형 및 제품의 손상없이 가공 제품의 취출하기 위한 기구적 장치의 구성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구조 또한 복잡하여 작동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259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부품과 제2부품이 각각 별도로 배출되도록 제1취출유닛과 제2취출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파인블랭킹 금형의 일측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금형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금형에서 제1부품이 취출되면 좌우 이동하여 상기 제1부품을 밀어내는 제1취출유닛; 상기 이동유닛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유닛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하부금형에서 취출된 제2부품을 밀어내는 제2취출유닛; 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금형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제1취출유닛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제1부품을 수거유닛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안내레일; 상기 이동유닛의 후방에서 상기 금형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제2취출유닛에 위해 배출되는 상기 제2부품을 수거유닛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안내레일;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 장착되며, 모터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제1가이드수단; 상기 제1가이드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볼스크류를 따라 전,후진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제1취출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제1취출유닛은, 상기 지지대의 고정 장착되는 받침대; 상기 지지대에 상기 받침대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제2가이드수단; 상기 제2가이드수단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받침대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대으로 취출된 상기 제1부품을 타측으로 밀어내는 제1취출바; 를 포함한다.
상기 제2취출유닛은, 상기 받침대의 전방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취출바; 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에는 전,후방에는 각각 상방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를 구비한 설비의 작동방법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파인블랭킹 금형; 상기 금형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하는 이동유닛, 상기 상부금형에서 제1부품이 취출되면 좌우 이동하여 상기 제1부품을 밀어내는 제1취출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하부금형에서 취출된 제2부품을 밀어내는 제2취출유닛으로 이루어진 취출장치; 을 포함하는 파인블랭킹 금형 설비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하사점 도달시 상기 이동유닛으로 신호를 보내어 상기 이동유닛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유닛이 금형에 도달하면 상기 금형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상부금형에 있는 제1부품을 상기 제1취출유닛으로 배출하고, 상기 하부금형에 있는 상기 제2부품을 상방향으로 배출하는 단계; 상기 이동유닛을 후진시키면서 상기 하부금형으로 배출된 상기 제2부품을 상기 제2취출유닛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유닛의 후진이 완료되면 상기 금형에 1사이클 작동 신호를 보내고, 동시에 상기 제1취출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제1부품을 측방향으로 밀어내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의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이동유닛(210)의 전,후 작동시 상기 제1부품(10)과 제2부품(20)을 각각 별도로 배출되도록 제1취출유닛(230)과 제2취출유닛(240)이 구비됨으로써,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인블랭킹 금형 설비는 금형(100)의 1사이클 작동시 상기 제1취출유닛(230)이 동시에 작동됨으로써, 제1부품(10)과 제2부품(20)이 별도 배출되면서도 전체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를 구비한 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의 이동유닛(220)이 전진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의 제2취출유닛(240)에 의해 제2부품(20)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의 제1취출유닛(230)이 작동하여 제1부품(10)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를 구비한 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의 이동유닛(220)이 전진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의 제2취출유닛(240)에 의해 제2부품(20)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의 제1취출유닛(230)이 작동하여 제1부품(10)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를 구비한 설비는,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으로 이루어진 파인블랭킹 금형(100)과, 금형(100)의 1사이클 작동시 생성되는 제1부품(10)과 제2부품(20)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취출장치(200) 및 금형(100)과 상기 취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금형(100)은 일반 프레스 가공 공정으로는 구현이 불가능한 형상 및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는 금형으로서, V링에 의한 압입력, 블랭킹 펀치에 의한 전단력 및 카운터펀칭의 힘에 의해 제품을 가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금형(100) 상기 하부금형(120)이 하사점에 도달할 때 상기 취출장치(200)에 의해 제1부품(10) 및 제2부품(20)이 취출되는데, 상기 제1부품(10)은 상기 상부금형(110)에서 취출되고, 상기 제2부품(20)은 상기 하부금형(120)에서 취출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부품(10)은 스크랩이고, 상기 제2부품(20)은 제품이 되는 부분이다.
상기 취출장치(200)는 구체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210), 이동유닛(220), 제1취출유닛(230), 제2취출유닛(240), 제1안내레일(250) 및 제2안내레일(2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상기 이동유닛(2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금형(100)의 일측에서 상기 하부금형(120)의 높이와 근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상기 하부금형(120)과 함께 상하 이동되게 연결되는데, 이는 후술할 상기 제2취출유닛(240)과 상기 하부금형(12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하부금형(12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높이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하부금형(120)이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와의 높이차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후술할 상기 제2취출유닛(240)과 상기 하부금형(120)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제2취출유닛(240)이 상기 하부금형(120)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이동유닛(22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취출유닛(230)과 상기 제2취출유닛(240)을 금형(100) 방향으로 전,후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유닛(220)은 볼스크류(221), 제1가이드수단(222), 지지대(2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스크류(22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긴 축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부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볼스크류(22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하부에 장착된 서보모터(M)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벨트풀리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제1가이드수단(222)은 상기 볼스크류(221)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가이드수단(222)은, 일반적인 LM가이드로 이루어지는데, LM가이드는 직선형 레일을 따라 접촉점이 한점으로 된 볼이 구르면서 블록을 직선으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제1가이드수단(222)은 후술할 상기 지지대(223)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고, 흔들림이나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지지대(223)는 양단이 상기 제1가이드수단(222)과 연결되며, 가운데 부분이 상기 볼스크류(221)와 연결되어 상기 볼스크류(221)의 회전시 상기 볼스크류(221)를 따라 전,후진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대(223)는 상기 볼스크류(221)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221)를 따라 직선 운동하게 되면서, 양단이 상기 제1가이드수단(222)에 의해 지지되어 전,후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223)의 전방 상부에는 상기 제1취출유닛(230)이 장착된다.
상기 제1취출유닛(230)은 상기 상부금형(110)에서 제1부품(10)이 취출되면 좌우 이동하여 상기 제1부품(10)을 밀어내는 장치로서, 구체적으로 받침대(231), 제2가이드수단(232) 및 제1취출바(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231)는 상기 지지대(223)의 상부 전방에 장착되며, 좌우 폭이 넓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받침대(231)는 상기 이동유닛(220)에 의해 상기 상부금형(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금형(110)으로부터 제1부품(10)이 취출되는 것을 받아내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231)의 전,후 및 우측 테두리에는 상방향으로 이탈방지부(231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부(231a)는 상기 받침대(231)에 취출된 상기 제1부품(1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상기 제2가이드수단(232)은 상기 받침대(231)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대(223)에 고정되며, 상기 받침대(231)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2가이드수단(232)은 상기 제1가이드수단(222)과 마찬가지로 LM가이드로 이루어지며, 공압에 의해 블록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취출바(233)는 상기 받침대(231)의 우측에 배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취출바(233)는 일단이 상기 제2가이드수단(232)의 블록에 고정되어 상기 제2가이드수단(23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타단은 상기 받침대(2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좌우 이동시 상기 받침대(231)의 상부에 놓인 제1부품(10)을 좌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취출유닛(240)은 상기 이동유닛(220)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하부금형(120)에서 취출된 제2부품(20)을 밀어내는 것으로, 상기 받침대(231)의 전방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취출유닛(240)은 고정부재(241)와 제2취출바(24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241)는 사각형의 납작한 판 형상으로, 상기 받침대(231)의 전방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받침대(231)의 하방향으로 약간 돌출된다.
상기 제2취출바(242)는 좌우 방향으로 긴 납작한 판 형상이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취출바(242)에는 상하로 긴 장공(242a)이 형성되는데, 상기 장공(241a)에 의해 상기 제2취출바(242)는 상기 고정부재(241)에 상하 높이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제2취출바(242)는 상기 고정부재(241)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장공(241a)에 볼트로 결합되어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취출바(242)의 높이는 상기 하부금형(120)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조절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231)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금형(120)으로 진입시 상기 하부금형(120)의 상면과 접하여 회전되는 안내롤러(235)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롤러(235)는 상기 받침대(231)가 처지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제2취출바(242)와 상기 하부금형(120) 사이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제1안내레일(250)은 상기 이동유닛(220)의 좌측에서 금형(100)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1안내레일(250)은 상기 제1취출유닛(230)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제1부품(10)이 자중에 의해 수거유닛(미도시)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제2안내레일(260)은 납작한 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유닛(220)의 후방에서 금형(100)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2안내레일(260)은 상기 제2취출유닛(240)에 위해 상기 하부금형(120)에서 밀려 내려온 상기 제2부품(20)이 자중에 의해 수거유닛(미도시)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은 금형(100)과 상기 취출장치(200)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아래에서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100)과 상기 취출장치이 작동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100)의 1사이클 작동이 완료되어 금형(100)이 하사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은 상기 이동유닛(220)으로 신호를 보내어 상기 이동유닛(220)을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금형(100)의 하사점은 상기 하부금형(120)이 하강하여 상기 상부금형(110)과 이격된 상태를 말하며, 상기 이동유닛(220)은 상기 상부금형(110)과 상기 하부금형(120) 사이로 전진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유닛(220)이 상기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 사이에 도달하면, 금형(100)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상부금형(110)에 있는 제1부품(10)을 상기 제1취출유닛(230)으로 배출하고, 상기 하부금형(120)에 있는 상기 제2부품(20)을 상방향으로 취출하게 된다.
여기에서 금형(100)이 하사점에 도달하게 될 때 상기 상부금형(110)에는 상기 제1부품(10)이 물려 있게 되고, 상기 하부금형(120)에는 상기 제2부품(20)이 물려있게 되는데, 상기 이동유닛(220)이 전진한 후에 상기 금형(100)이 작동하여 상기 제1부품(10)을 하부로 취출시키고 상기 제2부품(20)을 상부로 취출하게 된다.
상기 제1부품(10)과 상기 제2부품(20)이 취출된 후,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은 상기 이동유닛(220)을 후진 작동하도록 신호를 보내고, 상기 이동유닛(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취출유닛(240)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120)으로 배출된 상기 제2부품(20)이 상기 제2안내레일(260)로 이동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유닛(220)의 후진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은 금형(100)에 1사이클 작동 신호를 보내고, 동시에 상기 제1취출유닛(230)을 작동시켜 상기 제1부품(10)을 좌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제1안내레일(25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인블랭킹 금형 설비의 상기 취출장치(200)는, 상기 이동유닛(210)의 전,후 작동시 상기 제1부품(10)과 제2부품(20)을 각각 별도로 배출되도록 제1취출유닛(230)과 제2취출유닛(240)이 구비됨으로써,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인블랭킹 금형 설비는 금형(100)의 1사이클 작동시 상기 제1취출유닛(230)이 동시에 작동됨으로써, 제1부품(10)과 제2부품(20)이 별도 배출되면서도 전체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 제1부품 20 : 제2부품
100 : 금형 110 : 상부금형
120 : 하부금형 200 : 취출장치
210 : 베이스플레이트 220 : 이동유닛
221 : 볼스크류 222 : 제1가이드수단
223 : 지지대 230 : 제1취출유닛
231 : 받침대 231a : 이탈방지부
232 : 제2가이드수단 233 : 제1취출바
240 : 제2취출유닛 241 : 고정부재
242 : 제2취출바 242a : 장공
250 : 제1안내레일 260 : 제2안내레일

Claims (7)

  1.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파인블랭킹 금형의 일측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금형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금형에서 취출된 제1부품을 좌우 이동하여 밀어내는 제1취출유닛;
    상기 이동유닛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유닛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하부금형에서 취출된 제2부품을 밀어내는 제2취출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 장착되며, 모터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제1가이드수단;
    상기 제1가이드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볼스크류를 따라 전,후진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취출유닛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받침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제2가이드수단;
    상기 제2가이드수단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받침대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대로 취출된 상기 제1부품을 타측으로 밀어내는 제1취출바;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금형으로 진입시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과 접하여 회전되는 안내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취출유닛은,
    상기 받침대의 전방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취출바;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취출바에는 상하로 긴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는 상기 제2취출바를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시키는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의 측부에서 상기 금형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제1취출유닛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제1부품을 수거유닛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안내레일;
    상기 이동유닛의 후방에서 상기 금형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제2취출유닛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제2부품을 수거유닛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안내레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7. 삭제
KR1020160073060A 2016-06-13 2016-06-13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의 작동방법 KR101889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60A KR101889380B1 (ko) 2016-06-13 2016-06-13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60A KR101889380B1 (ko) 2016-06-13 2016-06-13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581A KR20170140581A (ko) 2017-12-21
KR101889380B1 true KR101889380B1 (ko) 2018-08-20

Family

ID=6093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060A KR101889380B1 (ko) 2016-06-13 2016-06-13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0082A (zh) * 2019-05-09 2019-06-28 苏州优瑞信电子科技有限公司 自动拉料裁切机
KR102291043B1 (ko) * 2019-12-09 2021-08-20 주식회사 진양정밀 타발 금형의 제품 취출장치
CN110976616B (zh) * 2019-12-27 2021-07-16 太仓惠群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工件收纳装置的冲裁模具
CN116809828A (zh) * 2023-08-28 2023-09-29 南宫市精强连杆有限公司 一种连杆锻造自动线边料切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381A (ja) * 1999-03-03 2000-09-12 Amada Co Ltd ワークシュ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932Y1 (ko) 2006-06-09 2006-09-12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파인블랭킹 프레스 부품 고속취출장치
EP2444172B1 (de) * 2010-10-20 2013-04-24 Feintool Intellectual Property AG Vorrichtung zum Austragen von Feinstanz- bzw. Feinschneidteilen aus einem Werkzeug einer Pres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381A (ja) * 1999-03-03 2000-09-12 Amada Co Ltd ワークシュ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581A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380B1 (ko) 설비연동형 제품 및 스크랩 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의 작동방법
KR101843193B1 (ko) 정밀 펀칭된 각각의 미세 블랭킹 부분을 프레스의 툴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장치
US7325581B2 (en) Apparatus for punching and welding or bonding workpieces
KR101737743B1 (ko) 버 제거기능을 가지는 평와셔 제조장치
CN110102665B (zh) 一种具有连续供给功能的汽车挡泥板加工装置
JP2008504971A (ja) 打抜き加工部品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4161878A (ja) プレス型のスクラップ排出装置
US10343202B2 (en) Method for synchronously processing dual belt materials
CN108856617B (zh) 结构改良的冲锻设备
JP2015199124A (ja) 切削加工用ダイ
KR101498997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및 벤딩 장치
CN111729965B (zh) 一种电机端盖冲压模具
KR20160135946A (ko) 트리밍장치
EP143358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eramic products
CN108704999B (zh) 一种汽车零部件快速冲压成型设备
KR100801113B1 (ko) 자동차 도어 웨더스트립 결합바의 펀칭 및 벤딩 동시성형기
CN110586736A (zh) 半自动冲压系统
KR200494199Y1 (ko)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CN104972528A (zh) 一种新型自动开榫机
CN209998474U (zh) 铝型材切割自动分离装置
KR20160004074U (ko) 트리밍장치의 트리밍작동부
CN109530596B (zh) 一种锻造模具
JPH0237263B2 (ja) Jidopuresu
CN108568472A (zh) 一种防跳废料冲压模具
CN114054580B (zh) 一种电动多工位冲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