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150B1 - 서식 작성 방법 및 관련 단말기 - Google Patents

서식 작성 방법 및 관련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150B1
KR102179150B1 KR1020177003434A KR20177003434A KR102179150B1 KR 102179150 B1 KR102179150 B1 KR 102179150B1 KR 1020177003434 A KR1020177003434 A KR 1020177003434A KR 20177003434 A KR20177003434 A KR 20177003434A KR 102179150 B1 KR102179150 B1 KR 102179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input
created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518A (ko
Inventor
징강 펭
Original Assignee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43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4Form filling;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서식 작성 방법 및 관련 단말기가 개시된다. 방법은 제1 단말기에 의해, 제2 단말기가 생성한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하는 단계와,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작성될 아이템을 획득하는 단계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정보 아이템과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그리고/또는 제1 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 및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제2 단말기로 하여금 서식을 작성하기 위해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서버로부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식 작성 방법 및 관련 단말기{FORM FILLING METHOD AND RELATED TERMINAL}
관련 특허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서식 작성 방법 및 관련 단말기(Form Filling Method and Related Terminal)"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14년 8월 14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410400299.X호에 대해 외국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에 따라 그 전체가 참조로서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정보 처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식 작성 방법 및 관련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많은 응용 시나리오에서, 사용자는 제공될 해당 서비스를 주문하기 위해 서식을 작성해야 한다. 예로서, 등록 또는 로그인과 같은 인증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 사용자는 신원 정보를 서식에 입력해야 한다. 관련 생활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 사용자는 사용자의 주소 정보를 서식에 입력해야 한다.
서식 작성의 통상적인 접근 방식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서식에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복잡한 사용자 작업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기존의 많은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자동으로 서식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로서, 사용자가 신원 검증을 처음 수행할 때, 사용자가 입력한 신원 정보가 저장된다. 다음 번에 사용자가 신원 검증을 수행할 때, 서식은 저장된 신원 정보에 따라 작성되어 자동 검증이 구현된다.
서식 정보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이러한 접근 방식에서, 서식 정보는 해당 서비스를 궁극적으로 제공하는 단말기에 저장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낮은 보안을 유발하며, 특히 공용 단말기에서 거의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접근 방식은 융통성이 떨어지며 다양한 응용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없다. 예로서, 사용자가 특정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처음 로그인하거나 특정 단말기를 사용하여 서식을 처음 작성할 때, 서식은 그러한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없다.
이 요약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설명되는 개념의 발췌를 간단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요약은 청구 발명의 모든 중요한 특징 또는 본질적인 특징을 식별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으며, 청구 발명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의 보조물로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도 의도하지 않는다. 예로서, 용어 "기술"은 위의 상황에 의해 그리고 본 발명 전체에서 허용되는 바와 같이 장치, 시스템, 방법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이한 시나리오에서 자동 서식 작성을 구현하고 융통성 및 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한 서식 작성 방법 및 관련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방안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하는 단계 -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2 단말기에서 작성될 아이템을 포함함 -;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상기 작성될 아이템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정보 아이템과 상기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그리고/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 및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서식을 작성하기 위해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식 작성 방법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서버는 서식 정보를 작성하도록 구성되는 지정 서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상기 작성될 아이템의 정보 속성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상기 정보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가 상기 정보 속성과 매칭되는지를 판단하고,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 자동 포맷 조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사용자에게 수동 수정을 행하도록 촉구하고, 매칭이 획득될 때까지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 및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를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장치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장치, 가입자 식별 모듈(SIM) 카드, 레코더, 자이로스코프 및 카메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는 상기 작성될 서식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작성될 서식은 상기 작성될 아이템이 속하는 서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 단말기가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상기 제2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아이템을 포함하여, 제1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하고,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정보 아이템과 상기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그리고/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 및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서식을 작성하기 위해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식 작성 방법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서버는 서식 정보를 작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지정 서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가 획득될 때까지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서식을 작성한 후에 후속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제2 서버에 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상기 제2 서버에 제출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는 상기 작성될 서식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작성될 서식은 상기 작성될 아이템이 속하는 서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식 작성 단말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제1 단말기이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스캐닝된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제2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아이템을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유닛 -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임 -;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정보 아이템과 상기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그리고/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 유닛; 및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 및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서식을 작성하기 위해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송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서버는 서식 정보를 작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전용 서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상기 작성될 아이템의 정보 속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획득 유닛은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상기 정보 속성을 더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가 상기 정보 속성과 매칭되는지를 판단하고,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 자동 포맷 조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사용자에게 수동 수정을 행하도록 촉구하고, 성공적인 매칭 시에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 및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를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 유닛에 통지하기 위한 매칭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전송 유닛이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수정하기 위한 제1 수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장치는 GPS 장치, SIM 카드, 레코더, 자이로스코프 및 카메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는 상기 작성될 서식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작성될 서식은 상기 작성될 아이템이 속하는 서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식 작성 단말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제2 단말기이다. 상기 제2 단말기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유닛 -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상기 제2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아이템을 포함하여, 제1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하고,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정보 아이템과 상기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그리고/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 및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 및 상기 서식을 작성하기 위해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작성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서버는 서식 정보를 작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전용 서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작성 유닛은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가 획득될 때까지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는 상기 제1 서버로부터의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의 상기 획득을 반복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작성 유닛이 상기 서식을 작성한 후에 후속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제2 서버에 제출하기 위한 제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출 유닛이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상기 제2 서버에 제출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콘텐츠를 수정하기 위한 제2 수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는 상기 작성될 서식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작성될 서식은 상기 작성될 아이템이 속하는 서식이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 방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2 단말기 상에서 서식을 작성하기를 원할 때, 제2 단말기는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제2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아이템을 포함하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한다. 제1 단말기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하여 그 안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하는 것만이 필요하고,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정보 아이템과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그리고/또는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하고,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 및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제2 단말기가 서식의 작성을 완료하기 위해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서버로부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서식의 정보가 제2 단말기에 저장될 필요가 없으므로 보안이 향상되며, 제2 단말기가 공용 단말기인 경우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단말기는 작성될 아이템이 어떻게 변경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저장된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또는 보조 장치를 통해 작성될 아이템에 해당하는 정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상이한 응용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처음 로그인하거나 제2 단말기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도 서식 정보가 자동으로 완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단말기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단말기의 개략 구조도이다.
많은 응용 시나리오에서, 사용자는 제공될 해당 서비스를 주문하기 위해 서식에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예로서, 등록 또는 신원 인증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 사용자는 신원 정보를 서식에 입력해야 한다. 관련 생활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예로서, 사용자가 살고 있는 주소에서 날씨 또는 주변 상점 정보와 관련하여 정보가 제공될 때), 사용자는 사용자 주소 정보를 서식에 입력해야 한다.
비교적 일반적인 서식 작성 접근 방식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서식을 작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비교적 복잡한 사용자 작업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현재, 다수의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최근에 서식 정보를 자동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로서, 사용자가 처음으로 신원 인증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완성한 신원 정보가 저장된다. 다음 번에 사용자가 신원 인증을 수행할 때, 저장된 신원 정보에 기초하여 서식 정보가 작성되며, 따라서 자동 인증이 구현된다.
그러한 서식 정보의 자동 저장 방법의 경우, 서식 정보는 최종적으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저장해야 한다. 예로서, 사용자가 단말기 A를 사용하여 신원 인증을 수행할 때, 신원 정보는 그에 따라 단말기 A에 저장된다. 다른 사용자는 단말기 A를 사용할 때 신원 인증에 사용된 사용자의 신원 정보를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안이 낮아지고, 특히 공용 단말기에서는 거의 사용 불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유형의 접근 방식은 융통성이 떨어지며, 다수의 상이한 응용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없다. 예로서, 사용자가 처음으로 신원 인증을 수행하거나 특정 단말기를 사용하여 처음으로 서식을 완성하는 경우, 단말기는 사용자의 서식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접근 방식을 통해 서식 작성이 달성될 수 없다.
서식 정보의 자동 저장의 접근 방식 외에도, 서버에 사용자의 서식 정보를 저장하는 다른 서식 작성 접근 방식이 존재한다. 그러나 서버는 다수의 사용자의 서식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각각의 사용자는 여전히 작업 중에 수동으로 각각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입력해야 하며, 따라서 완전 자동 작성이 구현되지 못한다. 또한, 이 접근 방식은 서버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며, 이는 서버에 부담을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이한 시나리오에서 서식의 자동 작성을 구현하여 융통성 및 보안을 개선하기 위한 서식 작성 방법 및 관련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고 포괄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명백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서식 작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 예시적인 방법에서, 실행 엔티티는 제1 단말기이다.
예시적인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01에서,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한다.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제2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단말기에서 서식을 작성해야 할 때, 제2 단말기는 제1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될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한다. 제1 단말기는 단일 사용자에만 대응하므로 고도의 프라이버시를 갖는다. 예로서, 제1 단말기는 이동 전화 또는 PAD와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거나,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일 수 있다. 제2 단말기에는 제한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공용 단말기일 수 있다.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인터넷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로서 2차원 코드, 바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할 때,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직접 스캐닝할 수 있다. 제1 단말기가 쉽게 이동되지 못할 수 있는 시나리오에서, 제2 단말기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인쇄할 수 있고, 이어서 제1 단말기는 인쇄된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할 수 있다.
제2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는 이때 작성되어야 하는 서식을 식별할 수 있고, 작성될 서식은 입력될 아이템이 속하는 서식을 지칭한다. 동작 소스 식별자는 서식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다수의 사용자가 다수의 서식을 동시에 작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로서, 제2 단말기에서 다수의 페이지가 동시에 열릴 수 있으며, 각각의 페이지는 작성될 서식에 대응할 수 있다. 각각의 페이지 상의 작성될 서식의 각각의 동작 소스 식별자는 각각의 페이지의 세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따라서 각각의 동작 소스 식별자는 특정 서식에 대응한다. 동작 소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특정 시나리오의 요구 사항(예로서, 디지털 객체 식별자가 인쇄된 후, 디지털 객체 식별자 내의 동작 소스 식별자는 일반적으로 항상 이용 가능한 상태에 있어야 함)을 충족시킬 수 있다. 예로서, 동작 소스 식별자는 제2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매체 액세스 제어(MAC) 주소 등)를 포함할 수 있거나, 무작위로 생성되고 사전 설정 길이를 충족시키는 고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될 아이템은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제2 단말기의 작성될 서식에 입력해야 하는 정보 아이템을 지칭한다. 예로서, 사용자가 제2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등록을 수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이름, 생일, 나이, 주소, 이동 전화 번호 및 얼굴 사진 등과 같은 정보 아이템을 제2 단말기의 서식에 입력해야 한다.
S102에서, 제1 단말기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입력될 아이템을 획득한다.
제1 단말기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디코딩하여 디지털 객체 식별자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단말기의 디코딩 방법은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하기 위한 제2 단말기의 인코딩 방법에 대응한다. 예로서, 제2 단말기가 고속 응답(QR) 인코딩 규칙에 따라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하면, 제1 단말기는 이 방법 블록에서 QR 디코딩 규칙에 따라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S103에서, 제1 단말기는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정보 아이템과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그리고/또는 제1 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는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접근 방식으로 획득한다.
제1 획득 접근 방식에서, 제1 단말기는 정보 아이템과 정보 콘텐츠 사이의 (예로서,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응 관계를 미리 저장하고,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획득한다. 표 1은 일례로서 사용된다. 작성될 아이템이 이름 및 나이일 경우,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획득되는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는 각각 "Zhang San" 및 "32"이다.
Figure 112017012791495-pct00001
제2 획득 접근 방식에서, 제1 단말기는 완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제1 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보조 장치는 GPS 장치, SIM 카드, 레코더, 자이로스코프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소 정보는 GPS 장치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동 전화 번호는 SIM 카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 사진 정보로 사용되는 이미지 정보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음성 정보, 예로서 흔히 사용되는 음성 제어 명령 또는 신원 인식 음성은 레코더를 통해 기록될 수 있다. 수평 또는 수직 동작 습관 등과 같은 사용자의 동작 습관은 자이로스코프를 통해 기록될 수 있다.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작성될 아이템을 획득한 후에, 작성될 각각의 아이템에 대응하는 각각의 정보 콘텐츠에 대해 제1 획득 접근 방식 또는 제2 획득 접근 방식이 사용될지가 사전 설정 획득 모드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각각의 정보 콘텐츠에 대하여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대응하는 유효 기한이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일부 정보 콘텐츠가 다른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각각의 정보 콘텐츠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획득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로서, 정보 아이템 "나이"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가 정보 아이템 "생일"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17012791495-pct00002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 및/또는 보조 장치를 통해 정보 콘텐츠를 획득함으로써, 본 발명은 단말기를 통해 다수의 상이한 응용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로서, 로그인, 등록, 신원 인증 및 생활 서비스 획득 등과 같은 임의의 시나리오에서 제1 단말기를 통해 서식 작성이 수행될 수 있다. 서식 안에 작성되는 아이템이 매번 다르지만, 정보 콘텐츠는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있거나, 상이한 서식의 작성을 보장하도록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S104에서, 제1 단말기는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 및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제2 단말기가 서식을 작성하기 위해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서버로부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단말기는 제1 서버로부터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능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단말기가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 및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한 후에, 제1 서버는 이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한 후, 제2 단말기는 제1 서버에 저장된 상기 정보가 획득될 때까지 제1 서버가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지를 획득하려고 주기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제2 단말기가 정보를 획득한 후에, 제1 서버는 정보 누설을 피하기 위해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단말기는 서식을 작성하기 위해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최종 획득하여, 후속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2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후속 동작은 주로 신원 인증, 로그인, 등록 등과 같은 인증 동작 및 서비스 획득 동작(예로서, 주소 정보에 기초한 생활 서비스 획득)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2 단말기에서 서식을 작성하기를 원할 때, 제2 단말기는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제2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아이템을 포함하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한다. 제1 단말기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하여 그 안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하는 것만이 필요하고,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정보 아이템과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그리고/또는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하고,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 및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제2 단말기가 서식을 작성하기 위해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서버로부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자의 서식의 정보가 제2 단말기에 저장될 필요가 없고, 특정 정도의 프라이버시를 갖는 제1 단말기에 저장되므로 보안이 향상되며, 제2 단말기가 공용 단말기인 경우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단말기는 작성될 아이템이 어떻게 변경되는지에 관계없이 저장된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또는 보조 장치를 통해 작성될 아이템에 해당하는 정보 콘텐츠를 능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상이한 응용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처음 로그인하거나 제2 단말기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실시예를 이용하여 서식 정보가 자동으로 작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는 고유 사용자 정보 콘텐츠만을 저장하며, 사용자 선택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완전 자동 작성을 달성한다. 또한, 서버 내의 모든 사용자의 서식 정보의 저장이 필요 없으므로 서버의 부담이 완화된다.
2.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통해 신원 인증, 등록, 로그인, 사용자 식별 및 생활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상이한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객체 식별자의 융통성으로 인해, 크로스 플랫폼, 다목적 및 다중 시나리오 서식 작성이 편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객체 식별자 기술은 종종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상황에서, 스캐닝하는 당사자는 스캐닝되는 당사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대의 접근 방식을 취하며, 통상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서, 스캐닝되는 당사자가 스캐닝하는 당사자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므로, 스캐닝되는 당사자가 자동으로 서식을 작성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서버는 인증 및 서비스 획득과 관련된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서식 작성을 위해 설정된 전용 서버일 수 있다. 즉, 모든 제1 단말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정보를 제1 서버로 전송하고, 제1 서버는 이를 제2 단말기에 제공하여 서식 작성을 수행하게 하며, 이는 프라이버시 및 보안을 향상시킨다. 또한, 전용 서버는 제1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과 결합하여 제2 단말기에 자동 작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를 위한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및 작성 서버의 세트의 개발이 필요하지 않다. 제1 단말기는 정보 콘텐츠를 제1 서버로 전송할 때 작성될 해당 아이템도 전송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단말기는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올바르게 서식 안에 작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와 미리 협의한 작성 규칙에 따라 제1 서버로 정보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는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가 작성될 아이템의 순서로 전송되는 것에 미리 합의한다.
서식을 작성할 때, 각각의 정보 아이템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제한, 예로서 문자 유형, 길이 등 또는 아이템이 필수인지와 같은 포맷 제한을 가지며, 제2 단말기는 또한 생성되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가 작성될 아이템의 각각의 정보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정보 속성은 각각의 정보 아이템에 대한 제한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방법은 제1 단말기가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작성될 아이템의 각각의 정보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제1 단말기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가 작성될 아이템의 각각의 정보 속성과 매칭되는지를 판단하고,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 자동 포맷 조정을 수행하거나 사용자에게 수동 수정을 행하도록 촉구하고, 정보 콘텐츠가 각각의 정보 속성과 매칭될 때까지 S104에서 제1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 블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콘텐츠가 각각의 정보 속성과 매칭되는지를 판단할 때, 각각의 정보 속성은 부울 표현으로 분해될 수 있고, 정보 콘텐츠는 계산을 위해 부울 표현 내에 넣어진다. 계산 결과가 부정이면, 이것은 미스매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로 정보 콘텐츠를 전송하기 전에, 제1 단말기는 그 안에 정보 콘텐츠를 미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송할 정보 콘텐츠가 오류가 있거나 누락되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잘못되거나 누락된 정보 콘텐츠가 존재하면,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수정되고, 수정된 콘텐츠가 제1 서버로 전송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서식 작성 방법은 제1 단말기의 관점에서 소개된다. 이하에서는 제2 단말기의 관점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식 작성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실행 엔티티는 제2 단말기이다.
일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01에서, 제2 단말기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한다.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제2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아이템을 포함하여, 제1 단말기로 하여금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하고, 입력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정보 아이템과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그리고/또는 제1 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하고, 입력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 및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가 제2 단말기 상에서 서식을 작성해야 할 때, 제2 단말기는 제1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될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한다.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제2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고 제1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제2 단말기에 의해 인쇄될 수 있으며, 인쇄된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제1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된다.
제2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는 이때 작성될 서식을 식별할 수 있다. 작성될 서식은 작성될 아이템이 속하는 서식을 지칭한다. 동작 소스 식별자는 서식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다수의 사용자가 다수의 서식을 동시에 작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동작 소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특정 시나리오의 요구 사항(예로서, 디지털 객체 식별자가 인쇄된 후, 디지털 객체 식별자 내의 동작 소스 식별자는 일반적으로 항상 이용 가능해야 함)을 충족시킬 수 있다.
작성될 아이템은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제2 단말기의 작성될 서식에 넣어야 하는 정보 아이템을 지칭한다. 예로서, 사용자가 제2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등록을 수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이름, 생일, 나이, 주소, 이동 전화 번호 및 얼굴 사진 등과 같은 정보 아이템을 제2 단말기의 서식에 넣어야 한다.
S202에서, 제2 단말기는 서식의 작성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서버로부터 입력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획득한다.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에 의해 제1 서버로부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가 획득될 때까지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에 의해 제1 서버로부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려는 시도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단말기는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최종 획득하여 서식의 작성을 완료하고, 이어서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제2 서버에 제출하여, 제2 서버가 인증 동작 또는 서비스 획득 등과 같은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단말기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제2 서버에 제출하기 전에, 정보 콘텐츠가 제2 단말기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작성될 정보 콘텐츠가 잘못되었거나 누락되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수정될 수 있고, 수정된 정보 콘텐츠가 제2 서버에 제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버는 서식 정보를 작성하도록 설정된 전용 서버일 수 있다.
이 예시적인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 대응하며,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관련 부분이 참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정 응용 시나리오가 예시적인 구현을 이용하여 설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식 작성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시를 위해 제1 단말기가 이동 전화이고, 제2 단말기가 데스크탑 컴퓨터이며, 디지털 객체 식별자가 2차원 코드인 설명이 제공된다.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301에서, 데스크탑 컴퓨터는 사용자가 멤버십을 위해 등록할 필요가 있을 때 QR 인코딩 규칙을 통해 2차원 코드를 생성한다. 2차원 코드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동작 소스 식별자, 사용자 멤버십 등록을 위해 작성될 아이템 및 작성될 아이템의 정보 속성을 포함한다.
동작 소스 식별자가 데스크탑 컴퓨터의 IP 주소이고 작성될 아이템이 이름, 생일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면, 생성된 2차원 코드는 다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name, type = character string & length <= 8 characters>, <birth date, type = date>, <address information, type = address> ...} + IP address: 127.127.168.230
S302에서, 사용자는 이동 전화를 사용하여 데스크탑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2차원 코드를 스캐닝한다. 2차원 코드는 데스크탑 컴퓨터에 의해 인쇄되어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S303에서, 이동 전화는 QR 디코딩 규칙을 통해 2차원 코드로부터 데스크탑 컴퓨터의 동작 소스 식별자, 작성될 아이템 및 작성될 아이템의 정보 속성을 파싱한다.
S304에서, 이동 전화는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정보 아이템과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그리고/또는 이동 전화의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한다.
각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접근 방식은 사전 설정 획득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작성될 아이템이 이름, 생일 및 위치 정보인 것이 여전히 일례로서 사용된다. 이동 전화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응 관계를 저장하면,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정보 콘텐츠 Zhang San 및 1982-09-04가 얻어지고, GPS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주소 정보가 획득된다.
S305에서, 이동 전화는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속성을 각각 부울 표현으로 분해하고, 계산을 위해 각각의 정보 콘텐츠를 부울 표현에 넣는다. 표현의 계산 결과가 부정인 경우, 자동 포맷 조정이 수행되거나, 모든 표현의 계산 결과가 긍정이 될 때까지 사용자에게 수동으로 수정하도록 촉구한다. 이 경우, 이것은 모든 정보 콘텐츠가 각각의 정보 속성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S306에서, 이동 전화는 인터페이스 호출 요청을 통해 작성될 아이템,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 및 데스크탑 컴퓨터의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에 제출하며, 제1 서버의 주소는 이동 전화 내에 미리 구성되어 있다.
S307에서, 제1 서버는 인터페이스 호출 요청을 수신하면 제1 서버에 작성될 아이템,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 및 데스크탑 컴퓨터의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저장한다.
S308에서, 데스크탑 컴퓨터는 입력 대기 상태에 들어가고, 주기적으로 제1 서버의 질의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2차원 코드를 생성한 후 데스크탑 컴퓨터의 동작 소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1 서버가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작성될 해당 아이템뿐만 아니라 정보 콘텐츠도 저장할지를 질의하고, 그렇지 않으면 인터페이스의 다음의 주기적 호출을 계속 기다리고, 긍정이면 제1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얻는다. 이때, 제1 서버는 그 안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S309에서, 데스크탑 컴퓨터는 제1 서버로부터 획득된 작성될 아이템 및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에 기초하여 서식을 완성한다.
S310에서, 데스크탑 컴퓨터는 사용자가 작성된 정보 콘텐츠의 오류 또는 누락을 발견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작성된 정보 콘텐츠에 대한 추가, 삭제 또는 재입력과 같은 수정 동작을 수행한다.
S311에서, 데스크탑 컴퓨터는 작성될 아이템 및 대응하는 수정된 정보 콘텐츠를 제2 서버에 제출하여, 제2 서버가 S312에서 그의 분해 및 저장을 수행하고, 서비스 요구 사항에 따라 후속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 대응하는 서식 작성 단말기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이 실시예의 서식 작성 단말기는 제1 단말기(400)이다. 이 실시예의 제1 단말기(4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2), 입출력 인터페이스(40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6) 및 메모리(40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08)는 휘발성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로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플래시 RAM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08)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일례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을 사용하여 정보의 저장을 달성할 수 있는 영구 또는 비영구적 유형, 이동식 또는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는 상변화 메모리(P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다른 유형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래밍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고속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내부 저장 기술,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다른 광학 저장소, 자기 카세트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비전송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변조된 데이터 신호 및 반송파와 같은 일시적인 매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408)는 프로그램 유닛(410) 및 프로그램 데이터(4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유닛(410)은 제1 획득 유닛(414), 제2 획득 유닛(416) 및 전송 유닛(4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획득 유닛(414)은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제2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아이템을 스캐닝된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스캐닝된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제2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객체 식별자이다.
사용자가 제2 단말기에서 서식을 작성해야 할 때, 제2 단말기는 제1 단말기(400)에 의해 스캐닝될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한다. 제1 단말기(400)는 단일 사용자에만 대응하므로 고도의 프라이버시를 갖는다. 예로서, 제1 단말기는 이동 전화 또는 IPAD와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거나,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일 수 있다. 제2 단말기에는 제한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공용 단말기일 수 있다.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할 때, 제1 단말기(400)는 제2 단말기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직접 스캐닝할 수 있다. 제1 단말기(400)가 쉽게 이동될 수 없는 시나리오에서, 제2 단말기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인쇄할 수도 있고, 제1 단말기(400)는 인쇄된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할 수 있다.
제2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는 이때 작성되어야 하는 서식을 식별할 수 있고, 작성될 서식은 작성될 아이템이 속하는 서식을 지칭한다. 동작 소스 식별자는 서식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다수의 사용자가 다수의 서식을 동시에 작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동작 소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특정 시나리오의 요구 사항(예로서, 디지털 객체 식별자가 인쇄된 후, 디지털 객체 식별자 내의 동작 소스 식별자는 일반적으로 항상 이용 가능한 상태에 있어야 함)을 충족시킬 수 있다.
작성될 아이템은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제2 단말기의 작성될 서식에 넣어야 하는 정보 아이템을 지칭한다. 예로서, 사용자가 제2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등록을 수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이름, 생일, 나이, 주소, 이동 전화 번호 및 얼굴 사진 등과 같은 정보 아이템을 제2 단말기의 서식에 넣어야 한다.
제1 획득 유닛(414)은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디코딩하여 디지털 객체 식별자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단말기(400)의 디코딩 방법은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하기 위한 제2 단말기의 인코딩 방법에 대응한다. 예로서, 제2 단말기가 고속 응답(QR) 인코딩 규칙에 따라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하면, 제1 단말기(400)는 QR 디코딩 규칙에 따라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획득 유닛(416)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정보 아이템과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그리고/또는 제1 단말기(400)의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획득 유닛(416)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적어도 2개의 모드를 갖는다.
제1 획득 접근 방식에서, 제1 단말기(400)는 정보 아이템과 정보 콘텐츠 사이의 (예로서,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응 관계를 미리 저장하고, 제1 획득 유닛(416)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획득한다.
제2 획득 접근 방식에서, 제2 획득 유닛(416)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제1 단말기(400)의 보조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보조 장치는 GPS 장치, SIM 카드, 레코더, 자이로스코프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작성될 아이템을 획득한 후에, 작성될 각각의 아이템에 대응하는 각각의 정보 콘텐츠에 대해 제1 획득 접근 방식 또는 제2 획득 접근 방식이 사용될지가 사전 설정 획득 모드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각각의 정보 콘텐츠에 대하여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대응하는 유효 기한이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일부 정보 콘텐츠가 다른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각각의 정보 콘텐츠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획득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로서, 정보 아이템 "나이"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가 정보 아이템 "생일"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획득될 수 있다.
전송 유닛(418)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 및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제2 단말기가 서식 작성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서버로부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단말기(400)가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 및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한 후에, 제1 서버는 이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한 후, 제2 단말기는 제1 서버에 저장된 상기 정보가 획득될 때까지 제1 서버가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지를 획득하려고 주기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제2 단말기가 정보를 획득한 후에, 제1 서버는 정보 누설을 피하기 위해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단말기는 서식을 작성하기 위해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최종 획득하여, 후속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2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후속 동작은 주로 신원 인증, 로그인, 등록 등과 같은 인증 동작 및 서비스 획득 동작(예로서, 주소 정보에 기초한 생활 서비스 획득)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서식에 정보를 넣을 때, 각각의 정보 아이템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제한, 예로서 문자 유형, 길이 등 또는 아이템이 필수인지와 같은 포맷 제한을 가지며, 제2 단말기는 또한 생성되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가 작성될 아이템의 각각의 정보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정보 속성은 각각의 정보 아이템에 대한 제한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획득 유닛(414)은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작성될 아이템의 각각의 정보 속성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400)는 매칭 유닛(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칭 유닛(420)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가 작성될 아이템의 각각의 정보 속성과 매칭되는지를 판단하고,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 자동 포맷 조정을 수행하거나 사용자에게 수동 수정을 행하도록 촉구하고, 정보 콘텐츠가 각각의 정보 속성과 매칭될 때까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 및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정보 콘텐츠가 각각의 정보 속성과 매칭되는지를 판단할 때, 각각의 정보 속성은 부울 표현으로 분해될 수 있고, 정보 콘텐츠는 계산을 위해 부울 표현 내에 넣어진다. 계산 결과가 부정이면, 이것은 미스매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송 유닛(418)이 제1 서버로 정보 콘텐츠를 전송하기 전에, 제1 단말기(400)에 정보 콘텐츠가 미리 표시될 수 있다. 제1 단말기(400)는 제1 수정 유닛(4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송할 정보 콘텐츠가 오류가 있거나 누락되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제1 수정 유닛(422)은 또한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수정할 수 있고, 전송 유닛(418)은 수정된 콘텐츠를 제1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서버는 인증 및 서비스 획득과 관련된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서식 작성을 위해 설정된 전용 서버일 수 있다. 전송 유닛(418)은 정보 콘텐츠를 제1 서버로 전송할 때 작성될 해당 아이템도 전송하여, 제2 단말기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올바르게 서식 안에 넣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송 유닛(418)은 제2 단말기와 미리 협의한 작성 규칙에 따라 제1 서버로 정보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기(400) 및 제2 단말기는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가 작성될 아이템의 순서로 전송되는 것에 미리 합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 대응하는 서식 작성 단말기의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이 실시예의 서식 작성 단말기는 제2 단말기(500)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말기(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02), 입출력 인터페이스(50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6) 및 메모리(50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08)는 휘발성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로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플래시 RAM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08)는 이전의 설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일례이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508)는 프로그램 유닛(510) 및 프로그램 데이터(5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유닛(510)은 생성 유닛(514) 및 작성 유닛(516)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 유닛(514)은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제2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아이템을 포함하여, 제1 단말기로 하여금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하고,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정보 아이템과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그리고/또는 제1 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하고,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 및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가 제2 단말기(500) 상에서 서식을 작성해야 할 때, 제2 단말기(500)는 제1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될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한다.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제2 단말기(5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고 제1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제2 단말기(500)에 의해 인쇄될 수 있으며, 인쇄된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제1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된다.
제2 단말기(500)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는 이때 작성될 서식을 식별할 수 있다. 작성될 서식은 작성될 아이템이 속하는 서식을 지칭한다. 동작 소스 식별자는 서식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다수의 사용자가 다수의 서식을 동시에 작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동작 소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특정 시나리오의 요구 사항(예로서, 디지털 객체 식별자가 인쇄된 후, 디지털 객체 식별자 내의 동작 소스 식별자는 일반적으로 항상 이용 가능해야 함)을 충족시킬 수 있다.
작성될 아이템은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제2 단말기(500)의 작성될 서식에 넣어야 하는 정보 아이템을 지칭한다. 예로서, 사용자가 제2 단말기(500)를 통해 사용자 등록을 수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이름, 생일, 나이, 주소, 이동 전화 번호 및 얼굴 사진 등과 같은 정보 아이템을 제2 단말기(500)의 서식에 넣어야 한다.
작성 유닛(516)은 서식의 작성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서버로부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제1 서버는 서식 정보를 작성하도록 구성되는 전용 서버일 수 있다.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서버로부터 작성 유닛(516)에 의해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가 획득될 때까지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작성 유닛(516)에 의해 제1 서버로부터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려는 시도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성 유닛(516)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최종 획득하여 서식을 작성한다. 제2 단말기(500)는 제출 유닛(5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출 유닛(518)은 작성 유닛(516)이 서식을 작성한 후에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제2 서버에 제출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제2 서버는 인증 동작 또는 서비스 획득 등과 같은 후속 동작을 수행한다.
제출 유닛(518)이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제2 서버에 제출하기 전에, 정보 콘텐츠가 제2 단말기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작성될 정보 콘텐츠가 잘못되었거나 누락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러한 경우, 제2 수정 유닛(520)은 작성될 아이템에 대응하는 정보 콘텐츠를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수정하고, 수정된 정보 콘텐츠를 제2 서버에 제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기(500)는 제2 수정 유닛(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단말기 실시예에 대응하며,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설명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관련 부분이 참조될 수 있다.
이 분야의 기술자는 전술한 시스템, 기기 및 유닛의 상세한 작동 프로세스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 및 용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반복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기기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로서, 설명된 기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로서, 유닛의 분할은 논리적 기능의 분할일 뿐이며,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가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되거나, 일부 특징이 무시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몇몇 인터페이스, 기기 또는 유닛 사이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 기계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개별 구성 요소로서 설명되는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유닛으로서 표시되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단일 위치에 위치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의 해결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단일 처리 유닛으로서 통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닛 각각은 물리적으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개 이상의 유닛이 단일 유닛으로서 통합될 수 있다.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통합 유닛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의 성질, 기존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해결책의 전부 또는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팅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방법 블록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과 같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주어지지만, 이 분야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해결책이 여전히 변경될 수 있거나 일부 기술적 특징에 대해 등가적인 대체가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변경 및 대체는 대응하는 기술적 해결책의 특성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게 하지 않는다.

Claims (21)

  1. 제1 단말기에 의해, 제2 단말기가 생성한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하는 단계 -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입력될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을 포함함 - 와,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및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서식을 작성하기 위해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 -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의 각각의 하나 이상의 정보 속성을 더 포함함 - 와,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정보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와,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가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정보 속성과 매칭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는 서식 정보를 입력하도록 설정되는 전용 서버를 포함하는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정보 속성 중 대응하는 하나와 매칭되지 않는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자동 포맷 조정을 수행하거나, 사용자에게 수동 수정을 수행하도록 촉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의 각각이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정보 속성 중 대응하는 하나와 매칭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및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를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기 전에 사용자의 지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장치, 가입자 식별 모듈(SIM) 카드, 레코더, 자이로스코프,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는 작성될 상기 서식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작성될 상기 서식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이 속하는 서식을 포함하는
    방법.
  10.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실행가능 명령어는 제1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1 단말기로 하여금:
    제2 단말기가 생성한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하는 것 -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입력될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을 포함함 - 과,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을 획득하는 것과,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획득하는 것과,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및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서식을 작성하기 위해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고,
    상기 동작은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의 하나 이상의 정보 속성 중 대응하는 하나와 매칭되지 않는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자동 포맷 조정을 수행하거나, 사용자에게 수동 수정을 수행하도록 촉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의 각각의 하나 이상의 정보 속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정보 속성을 획득하는 것과,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가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정보 속성과 매칭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의 각각이 상기 각각의 하나 이상의 정보 속성 중 대응하는 하나와 매칭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및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를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기 전에 사용자의 지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장치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장치, 가입자 식별 모듈(SIM) 카드, 레코더, 자이로스코프,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6.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생성 유닛 -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상기 시스템에 입력될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상기 시스템과 다른 제1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하고,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그리고/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통해 획득하고,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및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 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작성될 상기 서식을 완성하기 위해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작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작성 유닛은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가 획득될 때까지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주기적으로 시도하도록 더 구성되는
    시스템.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유닛이 작성될 상기 서식을 완성한 후에 후속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제2 서버에 제출하는 제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출 유닛이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상기 제2 서버에 제출하기 전에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제2 수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는 작성될 상기 서식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작성될 상기 서식은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이 속하는 서식을 포함하는
    시스템.
  21. 제1 단말기에 의해, 제2 단말기가 생성한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스캐닝하는 단계 -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는 작성될 서식의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입력될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함 - 와,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부터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 및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입력될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 및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를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서버로 하여금 상기 동작 소스 식별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03434A 2014-08-14 2015-08-13 서식 작성 방법 및 관련 단말기 KR102179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400299.X 2014-08-14
CN201410400299.XA CN105337950B (zh) 2014-08-14 2014-08-14 一种表单填充方法及相关终端
PCT/US2015/045130 WO2016025756A1 (en) 2014-08-14 2015-08-13 Form filling method and related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518A KR20170043518A (ko) 2017-04-21
KR102179150B1 true KR102179150B1 (ko) 2020-11-18

Family

ID=5528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434A KR102179150B1 (ko) 2014-08-14 2015-08-13 서식 작성 방법 및 관련 단말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39145B2 (ko)
EP (1) EP3180714A4 (ko)
JP (1) JP6533282B2 (ko)
KR (1) KR102179150B1 (ko)
CN (1) CN105337950B (ko)
HK (1) HK1219363A1 (ko)
SG (2) SG11201700985TA (ko)
WO (1) WO20160257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883A (ko) * 2013-12-09 2015-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6384255B (zh) * 2016-10-13 2020-05-2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创建信息码推广信息的方法和装置
EP3552347A4 (en) 2016-12-12 2020-08-12 Trusona, Inc. PROCEDURES AND SYSTEMS FOR NETWORK-ACTIVATED ACCOUNT CREATION USING OPTICAL RECOGNITION
CN108664510A (zh) * 2017-03-31 2018-10-16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获取方法和装置
CN108629699B (zh) * 2018-05-15 2023-04-18 中国平安人寿保险股份有限公司 数据上传方法、数据上传设备、存储介质及装置
CN109308350A (zh) * 2018-09-26 2019-02-05 平安普惠企业管理有限公司 格式表单自动填充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9766891B (zh) * 2018-12-14 2020-11-10 北京上格云技术有限公司 获取设备设施信息的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684623A (zh) * 2018-12-28 2019-04-26 贵州小爱机器人科技有限公司 辅助填表设备、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749534A (zh) * 2019-10-30 2021-05-04 北京国双科技有限公司 一种表单的填充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CN114282560A (zh) * 2021-12-23 2022-04-0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扫码方法、装置和终端、计算机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5099792B (zh) * 2022-08-24 2022-12-20 中科科界(北京)科技有限公司 项目申报表单的审核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010349B (zh) * 2023-09-28 2023-12-19 杭州今元标矩科技有限公司 基于神经网络模型的表单填充方法、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4602A1 (en) * 2011-05-05 2012-11-08 Vsig.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document identification and certification
KR101578172B1 (ko) 2015-03-16 2015-12-17 (주)엠피피가이드 전자 문서 교환 관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6242B2 (en) * 1999-08-31 2003-10-21 Accenture Llp View configurer in a presentation services patterns environment
JP2002324199A (ja) 2001-04-26 2002-11-08 Chiharu Kumaki プリペイド式クレジットカードによる商決済システム
CA2491435A1 (en) * 2002-07-01 2004-01-08 Rovenet,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nd using automated forms
JP2004259191A (ja) 2003-02-27 2004-09-16 Seiko Epson Corp ユーザ登録申請システム、ユーザ登録対象機器、携帯用端末及びユーザ登録申請方法
US20110153728A1 (en) * 2009-12-17 2011-06-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nchronization of sporadic web poll traffic
WO2011154844A2 (en) 2010-06-11 2011-12-15 Jeffrey Laporte Mobile retail loyalty network
KR20120005364A (ko) 2010-07-08 2012-01-16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전자 주소, 및 전자문서 유통 시스템
US20120063684A1 (en) 2010-09-09 2012-03-15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form filling
US9043386B2 (en) * 2010-10-06 2015-05-26 Hbr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collaborative form filling
KR101223576B1 (ko) 2011-03-04 2013-01-17 주식회사 보이스아이 바코드 기반 오프라인 서식기입 장치 및 방법
US9400806B2 (en) * 2011-06-08 2016-07-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triggered transactions
WO2012174680A1 (en) 2011-06-24 2012-1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dentity based automated form filling
JP5817320B2 (ja) 2011-08-16 2015-11-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ユーザ登録システム及びユーザ登録方法
GB201119375D0 (en) * 2011-11-10 2011-12-21 Merburn Ltd Financial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N102571950B (zh) * 2011-12-31 2014-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媒体内容提供与获取方法、服务器及用户终端
CN103310329A (zh) * 2012-03-09 2013-09-18 胡伟 日程信息添加系统、方法、手机及其日程信息添加方法
CN103544136B (zh) * 2012-07-09 2018-05-08 上海博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表单自动录入方法
CN103631810A (zh) * 2012-08-27 2014-03-12 上海博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扫描的表单填充方法
CN102857579B (zh) * 2012-09-27 2014-06-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KR101485931B1 (ko) 2012-11-08 2015-01-23 주식회사 하나은행 창구 거래 신청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885073B (zh) * 2013-01-11 2017-10-24 奴格里夫有限公司 用于生成数字版本的系统和方法
US20140201102A1 (en) 2013-01-15 2014-07-17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form filling and validation
WO2014138430A2 (en) * 2013-03-06 2014-09-12 Marvell World Trade Ltd. Secure simple enrollment
WO2014210612A1 (en) * 2013-06-28 2014-12-31 Quickmii Corporation Automatically uploading user profile information
CN103455338A (zh) * 2013-09-22 2013-12-18 广州中国科学院软件应用技术研究所 一种数据获取方法及装置
US10257341B2 (en) * 2013-11-01 2019-04-09 Ebay Inc. Using a smartphone for remote interaction with visual user interfaces
CN103531810B (zh) 2013-11-05 2016-01-13 南京工业大学 一类芳香杂环酮类化合物的锂离子二次电池正极材料及应用
CN104660643A (zh) * 2013-11-25 2015-05-27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请求响应方法、装置及分布式文件系统
US9785627B2 (en) 2014-01-23 2017-10-10 Xerox Corporation Automated form fill-in via form retrieval
US20150248391A1 (en) 2014-02-28 2015-09-03 Ricoh Company, Ltd. Form auto-filling using a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4602A1 (en) * 2011-05-05 2012-11-08 Vsig.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document identification and certification
KR101578172B1 (ko) 2015-03-16 2015-12-17 (주)엠피피가이드 전자 문서 교환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37950A (zh) 2016-02-17
WO2016025756A1 (en) 2016-02-18
US10839145B2 (en) 2020-11-17
JP6533282B2 (ja) 2019-06-19
CN105337950B (zh) 2019-02-19
HK1219363A1 (zh) 2017-03-31
JP2017534093A (ja) 2017-11-16
US20160048494A1 (en) 2016-02-18
SG11201700985TA (en) 2017-03-30
SG10201901201WA (en) 2019-03-28
EP3180714A1 (en) 2017-06-21
EP3180714A4 (en) 2018-03-28
KR20170043518A (ko) 201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150B1 (ko) 서식 작성 방법 및 관련 단말기
US10748054B2 (en) Two-dimensional code information query method, server, client, and system
KR102050936B1 (ko) 자원 공유 방법, 단말기 및 저장 매체
USRE48430E1 (en) Two-dimensional code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US10764304B2 (en) User location check method, controlled device access method, controlled device, and user terminal
CA286399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friend, and storage medium
US98197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14020110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form filling and validation
CN104468531A (zh) 敏感数据的授权方法、装置和系统
US20210089737A1 (en) Service process starting method and apparatus
US10602021B2 (en) Authentication sett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9228148A1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11931835A (zh) 一种图像识别方法、装置及系统
CN114237890A (zh) 应用的协同展示方法、装置、服务器、终端和程序产品
CN107992255B (zh) 一种生成图像的方法及服务器
CN114840576A (zh) 数据标准匹配方法及装置
CN103688253A (zh) 评论方法、计算机程序产品以及评论系统
CN114302207A (zh) 一种弹幕显示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20210185033A1 (en) Website Verification Service
CN109697343A (zh) 验证方法及系统、计算机系统
US12003497B2 (en) Website verification service
KR102506566B1 (ko) 유언장 작성 방법 및 장치
CN116112485A (zh) 一种云端资源使用方法及相关设备
US1015417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suppressing fradulent usage of an image processing appartus by a third party
CN117908736A (zh) 交互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