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648B1 -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648B1
KR102178648B1 KR1020160138259A KR20160138259A KR102178648B1 KR 102178648 B1 KR102178648 B1 KR 102178648B1 KR 1020160138259 A KR1020160138259 A KR 1020160138259A KR 20160138259 A KR20160138259 A KR 20160138259A KR 102178648 B1 KR102178648 B1 KR 102178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information
vehicle
vehicle informati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4574A (ko
Inventor
진석식
박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인전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인전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인전장
Priority to KR1020160138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64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60K2350/1096
    • B60K2350/3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방법은 자동차의 캔 통신, I/O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차 정보별로 기준이 되는 표준 클러스터 정보를 다수의 상이한 클러스터 유형별로 매핑해서 구비한다. 그래서, 이에 따라 사용 중인 자동차 정보의 표준 클러스터 정보와 사용중 클러스터 정보의 차이값의 정도에 따라 클러스터가 불량인지 또는 양호한지를 클러스터 유형별로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서, 클러스터에 다양한 자동차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운전자 상태 감지를 통해 주행 중인 차량 운전을 서포트 함으로써 안전 운전을 도모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방법{METHODS FOR VERIFYING AUTOMOTIVE CLUSTER THROUGH INFORMATION ANALYSI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자동차의 클러스터를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 EV의 국내 시장은 기술개발 초기단계이지만, 최근 EV의 등록, 운행을 위한 제도 개선 및 양산화를 위한 선행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그리고, 이러한 EV 시장은 타 전략기술 분야와의 융합 가능성 및 파급 효과가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EV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수적인 만큼 EV의 필수 장착품인 모터, 배터리, BMS 등과 같은 핵심 부품의 기술개발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이와 관련된 기술개발 수준은 현재 세계적인 수준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참고적으로, 그 BMS는 Battery Management System의 약어이다.
그리고, BEV는 대용량 배터리와 모터의 단순한 구조를 갖지만, 대용량 배터리의 에너지양에 의해 주행거리가 정해지게 되어 운전자는 항상 충전 에너지양을 주의 깊게 체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주목할만하게도 RE-EV는 BEV 시스템에 배터리 충전을 위한 발전시스템이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이는 보다 복잡한 패키징과 제어를 요구하는 요인이 되지만, 값비싼 배터리를 추가 탑재하지 않고 BEV의 단점인 짧은 주행거리를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RE-EV는 배터리의 가용잔존용량-State of Charge; 이하 SOC- 상태에 따라 발전 시스템 동작을 통한 배터리를 충전시켜, 차량의 총 주행가능 거리를 기존의 내연 기관 차량 수준으로 확대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RE-EV 등의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종래 클러스터에는 모터를 이용하여 속도와 RPM 등을 표시하지만, 전기차 등과 같은 친환경 차량 운전시 운전자가 꼭 알아야할 연료 정보 등은 표시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차량 정보 등이 실제적으로 차량 주행시에 적합한 예를 들어, 운전자의 정상적인 주행인지 또는 졸음 운전인지 등의 여부를 반영하지는 못하기도 한다.
이러한 배경의 기술이 되는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의 특허문헌이다.
(특허문헌 1) KR10-2007-0077663 A
참고로, 이러한 특허문헌은 차량 상태와 운전자 선택에 따라 정보의 내용 및 형태를 유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의 개발할 클러스터 자체의 검증의 기술과는 연관성이 적고, 이러한 기술의 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다.
그리고, 주목할만하게도 종래 클러스터에는 모터를 이용하여 속도와 RPM 등을 표시하지만, 전기차 등과 같은 친환경 차량 운전시 운전자가 꼭 알아야할 연료 정보 등 은 표시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삭제
개시된 내용은, 친환경 차량의 차량 운행 정보 및 운전자 상태 정보를 클러스터에 디지털로 표시하고, 운전자 상태를 감지하여 운전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 방법을 제안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클러스터는 졸음운전 감지 및 경고, 운전자 상태 감지 및 경고를 비롯한 차량 및 운전자의 상태, 차량 주행 정보를 차량 ECU 및 센서를 통해 전달받아 클러스터에서 모니터링하고 차량 정보 디스플레이 및 경고하는 차량 상태 및 운전자 지원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 방법은 자동차의 CAN 통신, I/O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해 클러스터를 검증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클러스터에 다양한 자동차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운전자 상태 감지를 통해 주행 중인 차량 운전을 서포트 함으로써 안전 운전을 도모 할 수 있다.
다른 프로그램과 호환, 융합 연계가 용이한 클러스터 검증 방법을 제공한다.
도 1a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예시
도 1b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방법이 적용된 차량 클러스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3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을 위한 스마트 차량 제어 유닛과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R0001980
[부처명]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관리 전문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연구사업명] 그린전기자동차 차량부품 개발 및 연구기반조성 사업
[연구과제명] 연비향상을 위한 RE-EV용 엔진발전과 연동한 통합 주행제어 시스템 개발
[기여율] 1/1
[주관기관] ㈜세인전장
[연구기간] 2012.09.01 ~ 2016.08.31
도 1a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클러스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스마트 클러스터는 실시예에 따른 오라클 자바 플랫폼을 적용한 차별화된 디지털 스마트 클러스터를 제안한다.
그리고, 지능형 자동자의 운행정보 및 그린 자동차의 에너지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클러스터를 제안한다.
또한, 지능형 주행 제어 통합 단말기와 연계/통합된 플랫폼을 개발한다.
이에 더하여 자동차용 멀티미디어 임배디드 플랫폼을 개발한다.
본 개시에 따른 스마트 클라스터는 졸음운전 감지 및 경고, 운전자 상태 감지 및 경고를 비롯한 차량 상태및 운전자 지원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차량 및 운전잔의 상태, 차량 주행 등의 정보를 차량 ECU 및 센서 등을 통해 전달받아 클러스터에서 모니터링하고 디스플레이 및 경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한 N-SCREEN 기능을 제공하고 서로 다른 앱 및 드라이버를 연동하여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아울러 그래픽 디바이스와 함께 CAN 통신 시뮬레이션, CAN 통신 해킹 기술 등 자동차에 필요한 임베디드 기술을 제안한다.

도 1b는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보분석을 통해 클러스터를 검증하는 클러스터 검증 방법이 적용된 차량 클러스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클러스터는 자동차의 캔 통신, I/O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차 정보를 입력받는 제1 인터페이스부(101) 및 그 자동차 정보의 분석을 통해 클러스터를 검증하는 제어부(103)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그 제어부(103)에 의한 클러스터 검증 정보와 클러스터의 자체 정보를 표시하도록 전달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10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101)는 자동차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컴포넌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인터페이스하여, 차량 컴포넌트로부터 다양한 자동차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그 자동차 정보는 자동차의 캔 통신, I/O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 그 차량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차량 제어 유닛 등이다. 그리고, 그 제1 인터페이스부(101)는 그 자동차 정보의 분석을 통해 클러스터 검증할 차량 정보도 입력받는다.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102)는 클러스트링을 하는 차량 정보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 차량 정보와 클러스터 검증 정보를 상기 차량 정보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03)는 자동차의 캔 통신, I/O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차 정보별로 기준이 되는 표준 클러스터 정보를 다수의 상이한 클러스터 유형별로 매핑해서 구비한다. 그래서, 사용 중인 자동차 정보의 표준 클러스터 정보와 실제 사용 중인 클러스터 정보의 차이값의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클러스터를 검증한다. 이러한 경우, 그 제어부(103)는 그 클러스터 검증시, 다수의 상이한 클러스터 유형별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자동차의 CAN 통신, I/O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해 클러스터를 검증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클러스터에 다양한 자동차 상태정보를 표시하고, 운전자 상태 감지를 통해 주행 중인 차량 운전을 서포트 함으로써 안전 운전을 도모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보분석을 통해 클러스터를 검증하는 클러스터 검증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 검증 방법은 먼저 자동차의 캔 통신, I/O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차 정보별로 기준이 되는 표준 클러스터 정보를 다수의 상이한 클러스터 유형별로 매핑해서 등록한다(S201).
그리고, 이러한 경우 그 자동차의 캔 통신은 하이젝킹해서 캔 통신의 정보를 수집한다. 그 하이젝킹은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제어기와 사용 중인 아날로그형 클러스터 간의 통신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래서, 사용 중인 캔 통신에 따른 클러스터 통신 유형의 정보를 수집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 이를 위해, 아날로그 클러스터 통신 유형별로 미리 설정된 제어기와 아날로그 클러스터 간의 신호 종류와 형식 및 순서를 포함한 신호 특성 정보를 정해서 등록한다.
그래서, 이러한 미리 설정된 제어기와 사용 중인 아날로그 클러스터 간의 통신을 하이젝킹한다. 이에 따라 이렇게 하이젝킹된 미리 설정된 제어기와 사용 중인 아날로그 클러스터 간의 통신에 따른 신호 특성 정보와 등록된 신호 특성 정보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하이젝킹된 미리 설정된 제어기와 사용 중인 아날로그 클러스터 간의 통신에 따른 신호 특성 정보와 그의 아날로그 클러스터 통신 유형의 등록된 신호 특성 정보가 동일한 경우, 사용 중인 클러스터 통신 유형으로 판별한다.
반면, 하이젝킹된 미리 설정된 제어기와 사용 중인 아날로그 클러스터 간의 통신에 따른 신호 특성 정보와 그의 아날로그 클러스터 통신 유형의 등록된 신호 특성 정보가 상이한 경우, 사용 중이지 않는 클러스터 통신 유형으로 판별한다.
그리고, 다음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 중인 자동차 정보를 검출한다(S202).
그래서, 그 사용 중인 자동차 정보의 표준 클러스터 정보와 실제 사용 중인 클러스터 정보를 비교한다(S203).
상기 비교 결과, 그 사용 중인 자동차 정보의 표준 클러스터 정보와 사용중 클러스터 정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차이값 이상인 경우 불량 클러스터로 판별한다.
반면, 그 사용 중인 자동차 정보의 표준 클러스터 정보와 사용중 클러스터 정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차이값 미만인 경우 양호 클러스터로 판별한다(S204).
그리고,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클러스터, 디지털 칵핏, CID 등의 클러스터 유형별로 판별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사용 중인 클러스터 유형에 맞게 클러스터의 검증이 이루어져서 면밀한 차량 정보의 주행에 적합한 여부를 판별한다. 추가적으로, 또한 그 클러스터 유형은 차량 정보의 양, 크기, 차량 정보의 유형, 속성, 형태 등에 의해 상이하게 종합적으로 분류된다.
그래서, 자동차 정보분석을 통해 클러스터를 검증하므로, 클러스터에 다양한 자동차 상태정보를 표시하고, 운전자 상태 감지를 통해 주행 중인 차량 운전을 서포트 함으로써 안전 운전을 도모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자동차의 캔 통신, I/O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차 정보별로 기준이 되는 표준 클러스터 정보를 다수의 상이한 클러스터 유형별로 매핑해서 구비한다. 그래서, 이에 따라 사용 중인 자동차 정보의 표준 클러스터 정보와 사용중 클러스터 정보의 차이값의 정도에 따라 클러스터가 불량인지 또는 양호한지를 클러스터 유형별로 검증한다.
따라서, 이러한 자동차 정보분석을 통해 클러스터를 검증하므로, 클러스터에 다양한 자동차 상태정보를 표시하고, 운전자 상태 감지를 통해 주행 중인 차량 운전을 서포트 함으로써 안전 운전을 도모한다.

한편, 일실시예는 이에 연계해서, 그 자동차 정보 분석에 의한 클러스터 검증시, 졸음운전 감지 및 경고, 운전자 상태 감지 및 경고를 비롯한 차량 상태및 운전자 지원이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는 그러한 불량한 클러스터로 판별된 경우, 경고 알람을 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차량 및 운전자의 상태, 차량 주행 등의 정보를 차량 ECU 및 센서 등을 통해 전달받아 클러스터에서 모니터링하고 디스플레이 및 경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경우 오라클 자바 플랫폼을 적용한 차별화된 디지털 스마트 클러스터로 된다. 또는, 지능형 자동자의 운행정보 및 그린 자동차의 에너지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클러스터로 된다.
그리고, 이러한 클러스터는 지능형 주행 제어 통합 단말기와 연계/통합된 플랫폼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도 3은 이러한 플랫폼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을 위한 스마트 차량 제어 유닛과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량 제어 유닛과 시스템은 RE-EV용 전기차 차량 제작시, 그린 환경차량 개발용 공통 플랫폼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을 적용하므로 RE-EV용 엔진발전과 연동해서 통합 주행제어를 한다.
이러한 경우, 그 통합 주행시, 연장형 전기차, 하이브리드, 프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종류의 전기차 제작시 이러한 차량 제어기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그래서, 그 플랫폼에 의해 일실시예의 클러스터 검증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플랫폼은 차량 총괄제어기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그래서, 이러한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차종 대응을 위한 플랫폼 구축을 한다.
그리고, 한편 이러한 스마트 차량 제어 유닛을 중심으로 통신과 하드웨어 구축이 됨으로써, 다양한 차량 형태, 즉 승용차, 승합차, 트럭 등의 다양한 차량 형태 상황에도 차량 총괄제어기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확대 적용해서 사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플랫폼과 프레임워크 등과 연계해서 연비향상을 위한 RE-EV용 엔진발전과 연동한 통합 주행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이러한 스마트 클라스터는 졸음운전 감지 및 경고, 운전자 상태 감지 및 경고를 비롯한 차량 상태및 운전자 지원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①은 그 스마트 차량 제어 유닛으로 메인 총괄제어기이고, ②는 EM-ECU로 엔진 제어를 위한 엔진 관리 ECU이다.
그리고, ③은 발전기를 위한 GCU-Generator Control Unit이고, ④는 모터/인버터를 위한 MCU-Motor Control Unit와 인버터이다.
또한, ⑤는 밧데리 관리를 위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이고, ⑥은 브레이크를 위한 Electro Hydraulic Brak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이다.
부가적으로 그리고, 또한 ⑩은 급속 충전을 위한 On-Board Charger이고, ⑪은 LDC-Low DC/DC Converter이며, ⑫는 모니터링이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삭제

Claims (2)

  1. 자동차의 캔 통신, I/O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차 정보별로 기준이 되는 표준 클러스터 정보를 다수의 상이한 클러스터 유형별로 매핑해서 등록하는 제 1 단계;
    사용 중인 자동차 정보를 검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자동차 정보의 표준 클러스터 정보와 실제 사용 중인 클러스터 정보를 비교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 2 단계의 자동차 정보의 표준 클러스터 정보와 사용중 클러스터 정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차이값 이상인 경우 불량 클러스터로 판별하고 미만인 경우 양호 클러스터로 클러스터 유형별로 판별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 후에,
    상기 제 4 단계에 의해 불량한 클러스터로 판별된 경우, 경고 알람을 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인터페이스부는 자동차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컴포넌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인터페이스하여, 차량 컴포넌트로부터 다양한 자동차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자동차 정보는 자동차의 캔 통신, I/O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인터페이스부는 자동차 정보의 분석을 통해 클러스터 검증할 차량 정보를 입력받고
    제2 인터페이스부는 클러스터링을 하는 차량 정보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 정보와 클러스터 검증 정보를 상기 차량 정보 표시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의 캔 통신, I/O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차 정보 별로 기준이 되는 표준 클러스터 정보를 다수의 상이한 클러스터 유형별로 매핑함으로써, 사용 중인 자동차 정보의 표준 클러스터 정보와 실제 사용 중인 클러스터 정보의 차이값의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클러스터를 검증하고
    상기 클러스터에 자동차 상태정보를 표시하고, 운전자 상태 감지를 통해 주행 중인 차량 운전을 서포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방법.
  2. 삭제
KR1020160138259A 2016-10-24 2016-10-24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방법 KR102178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259A KR102178648B1 (ko) 2016-10-24 2016-10-24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259A KR102178648B1 (ko) 2016-10-24 2016-10-24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574A KR20180044574A (ko) 2018-05-03
KR102178648B1 true KR102178648B1 (ko) 2020-11-27

Family

ID=6224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259A KR102178648B1 (ko) 2016-10-24 2016-10-24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6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695A (ko) *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아이비스 디지털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209B1 (ko) * 2019-08-22 2021-09-13 주식회사 이에스피 디지털 클러스터의 차량 주행정보 및 운전자 정보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594U (ko) * 1996-04-12 1997-11-10 차량 클러스터에 장착된 경고 발생 장치
KR20120042303A (ko) * 2010-10-25 2012-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진단용 프로토콜을 이용한 사양 설정 계기판 및 그 사양 설정 방법
KR101692054B1 (ko) * 2015-02-13 2017-01-03 주식회사 이에스피 디지털 클러스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695A (ko) *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아이비스 디지털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39071B1 (ko) * 2021-09-27 2023-06-02 주식회사 아이비스 디지털 클러스터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574A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3304B2 (en) Enhanced electric drive mode having predicted destinations to reduce engine starts
CN103895522B (zh) 混合动力车辆和用于其的控制方法
CN106347356B (zh) 通过电网和发动机充电的电动车辆
EP2586663A1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US202101389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operation of a motor vehicle
CN106257299B (zh) 用于诊断环保型车辆的电动机的退磁的方法
US11447012B2 (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remaining range in a motor vehicle
CN105667328A (zh) 一种电动汽车无线充电方法
KR20140114175A (ko) 충전기의 동작 방법
CN106515495B (zh) 一种电动汽车充电桩以及充电系统
US20140107887A1 (en) Vehicle with fault isolation and response control
CN106092609A (zh) 电动汽车测试评价的多信息融合测试系统和方法
CN110696632A (zh) 一种汽车制动回馈方法、装置及车辆
US20210398365A1 (en) Vehicle diagnostic system, vehicle, and method of display of vehicle diagnostic result
KR102178648B1 (ko) 자동차 정보 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검증방법
US95617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efficiency of regenerative braking for environmentally-friendly vehicle
CN106671898A (zh) 一种纯电动汽车整车控制方法及装置
CN105799533A (zh) 一种电动汽车安全控制方法及装置
CN102410936A (zh) 一种电动汽车整车经济性测试系统及其测试方法
JP5275529B1 (ja) 電動車両の表示装置
JP6756783B2 (ja) 車載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
CN103683376A (zh) 电源系统
KR20140062300A (ko) 충전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점검 방법
EP3281819A1 (en) Automotive vehicle with abnormality indication
CN106014744B (zh) 用于车辆的自动停止发动机控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