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812B1 -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812B1
KR102176812B1 KR1020200040962A KR20200040962A KR102176812B1 KR 102176812 B1 KR102176812 B1 KR 102176812B1 KR 1020200040962 A KR1020200040962 A KR 1020200040962A KR 20200040962 A KR20200040962 A KR 20200040962A KR 102176812 B1 KR102176812 B1 KR 102176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oil
weight
natural emulsifier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상화
홍인기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0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9Solubiliser, Solubilis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폴리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부;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천연 유화제는 레몬껍질가루 및 스클레로튬검(Sclerotium gum)을 포함함에 따라, 천연 유화제를 사용하면서도 이수 현상이 없어 안정한 유화 제형을 구현할 수 있는,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OF O/W EMULSION CONTAINING NATURAL EMULSIFIER}
본 발명은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면서도 이수 방지 효과를 구현하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의 혼용을 위한 계면활성제로 구성된다. 특히, 계면활성제는 수상성분 내에 유상성분을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하거나, 유상성분 내에 수상성분을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유중수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유화 제형의 구현과 유화 제형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계면활성제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선형알킬벤젠설폰산염(LAS, Liner Alkylbenzene Sulfonate) 등의 합성 계면활성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된 합성 계면활성제는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의 혼용 효과가 우수한 이점이 있으나, 피부에 자극적이며 아토피, 알러지 등의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어, 최근에는 이들의 사용을 배제한 천연 물질에서 유래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활발하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47443호에서는 친수부가 큰 당류계 계면활성제와 친수부가 작은 당류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및 천연 유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천연 유화제를 사용하는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은, 천연 유화제의 경우에는 기존의 합성 계면활성제 보다 유화력이 낮아,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의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의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할 뿐 아니라, 저온 조건에서 제형 내에서 수분이 유출되는 이수 현상이 발생되어 사용감 및 화장료 조성물 자체의 특성이 저하되면서도 화장료 조성물이 변질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유화력이 우수한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여 이수 현상이 없으면서도 안정한 유화 제형을 유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4744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면서도 이수 현상 방지 및 제형 안정성이 구현된,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폴리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부;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천연 유화제는 레몬껍질가루 및 스클레로튬검(Sclerotium gum)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에리스리톨 0.1 ~ 2.0 중량%, 천연 유화제 0.1 ~ 2.5 중량%, 폴리올 1.0 ~ 20.0 중량%, 오일 0.1 ~ 30.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및 폴리올을 1 : 1 ~ 5 : 14 ~ 3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유화제는 상기 천연 유화제 총 중량 기준으로 레몬껍질가루 50.0 ~ 65.0 중량% 및 스클레로튬검 35.0 ~ 5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해바라기씨 오일, 유자씨 오일, 헤이즐넛 오일, 호호바 오일, 살구씨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유화력이 우수한 천연 유화제와 폴리올 및 에리스리톨을 포함함으로써, 저온에서의 이수 현상이 없으면서도 안정한 유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저온에서 이수 현상의 발생이 없으며, 상온 및 고온에서 층분리 등의 발생 없이 안정한 유화 제형을 유지할 수 있는 바,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험예 1에 따르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험예 1에 따르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험예 1에 따르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험예 1에 따르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험예 1에 따르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험예 1에 따르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험예 1에 따르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험예 1에 따르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험예 1에 따르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비교예 8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험예 1에 따르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비교예 9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험예 1에 따르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비교예 10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험예 1에 따르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비교예 11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험예 1에 따르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간략히 호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폴리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부;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천연 유화제는 레몬껍질가루 및 스클레로튬검(Sclerotium gum)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력이 우수한 천연 유화제와 폴리올 및 에리스리톨을 포함함으로써, 이수 현상이 없으면서도 안정한 유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력이 우수한 천연 유화제와 폴리올 및 에리스리톨을 특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저온에서 이수 현상의 발생이 없으며, 고온에서 층분리 등의 발생 없이 안정한 유화 제형을 유지할 수 있어, 제형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수 현상 발생, 층분리 등의 제형 안정성 저하에 따르는 사용감 저하, 화장료 조성물의 변질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폴리올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한다.
에리스리톨(Erythritol)은 글루코오스의 효모 발효로 생상되는 당 알코올의 하나로, C4H10O4 의 분자식을 가지며, 해조류, 균류, 지의류, 포도주, 청주, 간장, 된장 등에 존재한다. 에리스리톨은 일반적으로 감미료, 향미증진제 등의 식품첨가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에리스리톨을 포함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이수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제형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에리스리톨을 0.1 ~ 2.0 중량%, 구체적으로는 0.1 ~ 1.5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0.2 ~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에리스리톨을 0.1 ~ 2.0 중량%로 포함할 때, 우수한 이수 현상 방지 효과 및 제형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에리스리톨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에리스리톨을 2.0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에리스리톨을 0.1 ~ 2.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이수 현상 방지 효과 및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천연 유화제는 레몬껍질가루 및 스클레로튬검(Sclerotium gum)을 포함하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선형알킬벤젠설폰산염(LAS, Liner Alkylbenzene Sulfonate) 등 합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을 대체하면서도 우수한 유화력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몬껍질가루 및 스클레로튬검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유화력을 가지는 천연 유화제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여 이수 현상이 없으면서도 안정적인 유화 제형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스클레로튬검은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점증제의 역할만을 하나, 레몬껍질가루와 함께 사용될 시에는 점증제 역할을 하면서도 화장료 조성물을 유화하여, 안정적인 유화 제형을 구현할 수 있다.
더 상세히, 본 출원인은 레몬껍질가루 및 스클레로튬검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유화 제형의 구현이 어려움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두 성분을 함께 사용할 때에만 우수한 유화력을 구현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출원인은 천연 유화제가 상기 천연 유화제 총 중량 기준으로 레몬껍질가루 50.0 ~ 65.0 중량% 및 스클레로튬검 35.0 ~ 50.0 중량%로 포함할 때, 우수한 유화력을 구현하여 이수 현상이 없으면서도 더욱 안정적인 유화 제형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레몬껍질가루는 레몬의 껍질을 건조 및 분쇄한 것으로, 레몬의 껍질을 건조 및 분쇄하여 수득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천연 유화제는 상기 천연 유화제 총 중량 기준으로 레몬껍질가루를 50.0 ~ 65.0 중량%, 구체적으로는 55.0 ~ 6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57.0 ~ 6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천연 유화제가 상기 천연 유화제 총 중량 기준으로 레몬껍질가루를 50.0 ~ 65.0 중량%로 포함할 때, 유화가 제대로 이루어져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이수 현상이 없으면서도, 안정적인 유화 제형을 구현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천연 유화제가 총 중량 기준으로 레몬껍질가루를 50.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레몬껍질가루를 65.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천연 유화제 총 중량 기준으로 레몬껍질가루를 50.0 ~ 65.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천연 유화제의 유화 효과가 저하되며,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및 이수 현상 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클레로튬검은 Sclerotium rolfssii 균으로 수득된 폴리사카라이드검으로서, 글루코오스모너머로 구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클레로튬검은 유화안정제, 피부컨디셔닝제, 수용성 점증제 등으로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천연 유화제는 상기 천연 유화제 총 중량 기준으로 스클레로튬검을 35.0 ~ 50.0 중량%, 구체적으로는 40.0 ~ 45.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40.0 ~ 4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천연 유화제가 상기 천연 유화제 총 중량 기준으로 스클레로튬검을 35.0 ~ 50.0 중량%로 포함할 때, 유화가 제대로 이루어져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이수 현상이 없으면서도, 안정적인 유화 제형을 구현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천연 유화제가 총 중량 기준으로 스클레로튬검을 35.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스클레로튬검을 50.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천연 유화제 총 중량 기준으로 스클레로튬검을 35.0 ~ 50.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천연 유화제의 유화 효과가 저하되며,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및 이수 현상 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천연 유화제를 0.1 ~ 2.5 중량%, 구체적으로는 0.5 ~ 2.5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1.0 ~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천연 유화제를 0.1 ~ 2.5 중량%로 포함할 때, 우수한 이수 현상 방지 효과 및 제형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천연 유화제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천연 유화제를 2.5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천연 유화제를 0.1 ~ 2.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이수 현상 방지 효과 및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올은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을 포함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이수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제형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올을 1.0 ~ 20.0 중량%, 구체적으로는 3.0 ~ 18.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5.0 ~ 1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올을 1.0 ~ 20.0 중량%로 포함할 때, 우수한 이수 현상 방지 효과 및 제형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올을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폴리올을 20.0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올을 1.0 ~ 20.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이수 현상 방지 효과 및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및 폴리올을 1 : 1 ~ 5 : 14 ~ 3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및 폴리올을 상기된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이수 방지 효과 및 제형 안정성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및 폴리올을 1 : 3 ~ 4 : 14 ~ 3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및 폴리올을 상기된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이수 방지 효과 및 제형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한다.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오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오일은 해바라기씨 오일, 유자씨 오일, 헤이즐넛 오일, 호호바 오일, 살구씨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오일은 해바라기씨 오일 및 유자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0.1 ~ 30.0 중량%, 구체적으로는 1.0 ~ 20.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3.0 ~ 1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0.1 ~ 30.0 중량%로 포함할 때, 안정적인 유화 제형을 가지면서도 사용감 및 보습감이 우수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오일을 30.0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0.1 ~ 30.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제형 안정성, 사용감 및 보습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된 성분 이외에 방부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첨가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공지된 모든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표 1[단위 : 중량%]의 조성에 따라 수상부, 유상부 및 소듐벤조에이트(방부제)를 혼합하여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세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상부를 혼합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이를 약 75 ℃로 가온하였다. 또한, 별도의 반응기에 유상부를 혼합한 뒤 이를 약 75 ℃로 가온하였다. 이 후, 상기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한 다음,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약 3,000 rpm 으로 5 분 동안 교반하면서 예비 유화한 후, 약 6,000 rpm 으로 5 분 동안 교반하면서 본 유화를 실시하여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이 때, 예비 유화와 본 유화는 모두 약 75 ℃에서 실시되었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약 45 ℃로 냉각한 다음, 상기 혼합물에 소듐벤조에이트를 추가로 투입하고, 45 ℃를 유지하면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약 6,000 rpm 으로 3 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35 ℃로 냉각함으로써,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20035062945-pat00001
이 때, 상기 표 1에서 천연 유화제로는, 천연 유화제 총 중량 기준으로 레몬껍질가루 57 중량% 및 스클레로튬검 43 중량%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내지 6
표 2[단위 : 중량비]에 따라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및 글리세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예 2 내지 6에서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및 글리세린의 총 혼합량은 9.5 중량%로 동일하게 유지하였으며, 세 성분의 총 혼합량을 9.5 중량%로 유지하면서 표 2와 같이 각 성분의 혼합 비율만을 변경하여 실시예 2 내지 6에 따르는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035062945-pat00002
[ 비교예 ]
비교예 1
천연 유화제 2.0 중량%를 대신하여, 스클레로튬검 2.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내지 7
표 3[단위 : 중량%]의 조성으로 각 성분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035062945-pat00003
비교예 8 내지 11
표 4[단위 : 중량비]에 따라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및 글리세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비교예 8 내지 11 에서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및 글리세린의 총 혼합량은 9.5 중량%로 동일하게 유지하였으며, 세 성분의 총 혼합량을 9.5 중량%로 유지하면서 표 4와 같이 각 성분의 혼합 비율만을 변경하여 비교예 8 내지 11 에 따르는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035062945-pat00004
[ 실험예 ]
실험예 1 : 저온에서의 이수 현상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영하 5 ℃(- 5 ℃)로 유지되는 인큐베이터 안에 4 주 동안 보관 한 뒤, 이의 이수 현상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이 때,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수 현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로 표기하였으며, 이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로 표기하였다. 한편, 유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수 현상의 평가가 어려운 경우에는 '-'로 표기하였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의 도면을 함께 첨부하였으며, 관련 도면을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35062945-pat00005
표 5의 결과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이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 2, 3, 5, 6, 7, 9, 10 및 11 의 경우에는 이수 현상이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1 내지 13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실시예 1 및 2의 경우에는 이수 현상이 확인되지 않으나, 비교예 2, 3, 5, 6, 7, 9, 10 및 11 의 경우에는 물이 상측으로 분리되어 나와 있는 이수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 4 및 8의 경우에는 유화 자체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이수 현상의 평가가 어려웠다.
실험예 2 : 온도에 따른 제형의 변화 평가
(1) 저온 : 상기 실험예 1과 같다.
(2) 고온 :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40 ℃로 유지되는 인큐베이터 안에 4 주 동안 보관 한 뒤, 이의 제형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50 ℃ 에서 제형의 변화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3) 사이클 :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온도가 25 ℃ → 영하 5 ℃ → 25 ℃ → 40 ℃ 로 조절되는 인큐베이터 안에 총 4 주(각 온도별 1주) 동안 보관 한 뒤, 이의 제형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한편, 하기 표 6에서 '제형 안정성'은 고온, 저온 및 사이클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한, 해당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여부를 종합한 것이다.
Figure 112020035062945-pat00006
표 6의 결과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은 저온과 고온에서 안정한 제형을 가질 뿐 아니라, '25 ℃ → 영하 5 ℃ → 25 ℃ → 40 ℃'의 순서로 온도가 변화하는 조건에서도 이수 현상 등의 문제 없이, 안정한 제형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2, 3, 5, 6, 7, 9, 10 및 11 의 화장료 조성물은 고온에서는 안정한 제형을 유지하였으나, 저온에서 이수 현상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은 저온에서 이수 현상이 없으면서도 고온과 사이클의 조건에서도 안정한 제형을 유지하는 바, 화장료 조성물로서 적합함을 의미한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저온에서 이수 현상이 발생되는 바, 화장료 조성물로서 부적합함을 의미한다.
한편, 비교예 1, 4 및 8의 경우에는 유화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음에 따라, 온도의 따른 제형의 변화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폴리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부;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천연 유화제는
    레몬껍질가루 및 스클레로튬검(Sclerotium gum)을 포함하되,
    상기 에리스리톨, 천연 유화제 및 폴리올을 1 : 1 ~ 5 : 14 ~ 30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에리스리톨 0.1 ~ 2.0 중량%, 천연 유화제 0.1 ~ 2.5 중량%, 폴리올 1.0 ~ 20.0 중량%, 오일 0.1 ~ 30.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유화제는
    상기 천연 유화제 총 중량 기준으로 레몬껍질가루 50.0 ~ 65.0 중량% 및 스클레로튬검 35.0 ~ 50.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해바라기씨 오일, 유자씨 오일, 헤이즐넛 오일, 호호바 오일, 살구씨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40962A 2020-04-03 2020-04-03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176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962A KR102176812B1 (ko) 2020-04-03 2020-04-03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962A KR102176812B1 (ko) 2020-04-03 2020-04-03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812B1 true KR102176812B1 (ko) 2020-11-10

Family

ID=7354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962A KR102176812B1 (ko) 2020-04-03 2020-04-03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8134A1 (en) * 2021-04-27 2022-11-03 Shandong Benzhen Cosmetics Co., Ltd Oil-in-water emulsions and uses thereof in resisting infantile eczem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443A (ko) 2012-10-12 2014-04-22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유화제를 사용하는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2261A (ko) * 2014-07-23 2016-02-03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량의 유분을 포함하면서 피부개선효과가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KR20190099449A (ko) * 2016-12-20 2019-08-27 발린스 오르개닉 오일스, 엘.엘.씨. 에멀션화된 지방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443A (ko) 2012-10-12 2014-04-22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유화제를 사용하는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2261A (ko) * 2014-07-23 2016-02-03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량의 유분을 포함하면서 피부개선효과가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KR20190099449A (ko) * 2016-12-20 2019-08-27 발린스 오르개닉 오일스, 엘.엘.씨. 에멀션화된 지방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8134A1 (en) * 2021-04-27 2022-11-03 Shandong Benzhen Cosmetics Co., Ltd Oil-in-water emulsions and uses thereof in resisting infantile eczem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900B2 (en) Method for preparing multilayer lamellar liquid crystal emulsion including intercellular lipids
KR101529480B1 (ko) 나노 에멀젼 제조방법
KR101898244B1 (ko)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663141B1 (ko) 캡슐을 포함하는 이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342755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combination of surfactants
JP2009126791A (ja) 多価アルコール中油型乳化化粧料
US547856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table complex multiple emulsions of the water-oil water systems
JPH06506392A (ja) 安定なマルチプルエマルジョン
KR102176812B1 (ko)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JP2003095956A (ja) 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
KR20180023537A (ko)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11262653A (ja) 水中油型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5255669A (ja) 水中油型日焼け止め化粧料
KR100479587B1 (ko)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JP4722683B2 (ja) 皮膚用乳化組成物
KR20200084153A (ko) 고체 유성 성분을 안정화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101532938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CN111712225B (zh) 稳定高含量的油的水包油型化妆料组合物
KR102509002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17099B1 (ko) 킬레이팅 효과가 있는 폴리머를 이용한 알진 캡슐 붕해용 화장료 조성물
CN107592808A (zh) 化妆品纳米乳液
KR102423954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0570497B1 (ko) 나노크기의 다중액정막으로 캡슐화된 순수 레티놀을포함하는 주름방지용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N106102698B (zh) 包含表面活性剂和亲水性活性成分的组合物
US20170296453A1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dispersion,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use thereof for skin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