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299B1 - 계류 장치 - Google Patents

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299B1
KR102176299B1 KR1020190051331A KR20190051331A KR102176299B1 KR 102176299 B1 KR102176299 B1 KR 102176299B1 KR 1020190051331 A KR1020190051331 A KR 1020190051331A KR 20190051331 A KR20190051331 A KR 20190051331A KR 102176299 B1 KR102176299 B1 KR 102176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astic body
pipe
coupled
elastic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동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산업(주) filed Critical 동신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051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605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1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inserts or auxiliary extension or exterior elements, e.g. for rig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8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5Resilient passive elements to be placed in line with mooring or towing chains, or line connections, e.g. dampers or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들의 내구성이 개선되고 안정적으로 수상구조물을 고정시키는 계류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류장치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탄성부, 상기 제1탄성부를 커버하여 밀봉하고 고정구조물과 연결되는 커버부 및 일단은 상기 제1탄성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탄성부와 커버부를 관통하며 전방으로 연장되어 수상구조물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 일단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가 탄성 수축하거나 원위치로 이동하며 확장된다.

Description

계류 장치{MOORING APPARATU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 또는 수중에 설치된 수상구조물을 수중의 고정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착장, 해양접안시설, 부잔교, 방파제, 수상 및 수중공원, 수상주택, 수상골프장, 인공섬, 수상레저시설 및 수상발전소를 포함하는 수상구조물이 설치되는 바다 또는 강에는 조수간만이나 홍수 등으로 수위가 변동되기 때문에 상기 수상구조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계류장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계류장치들은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된 탄성체의 손상이 발생하면 작동이 불능되고,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체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분해 후 손상된 부분의 교체가 필요하여 장시간의 정비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계류장치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은 수중에서 탄성력의 저하현상이 발생되고, 염수부식에 의해 내구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단점이 있어 수중에서 탄성력을 장시간 유지시키고 내부식성이 강한 계류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1441호는 계류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8215호는 부유체 횡동요 억제를 위한 접이식 수중 계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수중에서 장시간 탄성력을 유지하고, 정비성이 개선되며, 내부식성이 높은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1441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8215호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들의 내구성이 개선되고 안정적으로 수상구조물을 고정시키는 계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계류장치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탄성부, 상기 제1탄성부를 커버하여 밀봉하고 고정구조물과 연결되는 커버부 및 일단은 상기 제1탄성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탄성부와 커버부를 관통하며 전방으로 연장되어 수상구조물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 일단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가 탄성 수축하거나 원위치로 이동하며 확장된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는 원기둥 형태의 고분자 탄성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1 탄성부의 연장 방향을 향해 연장된 스프링이 인서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는 외측에 상기 커버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주름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계류장치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탄성부의 후방쪽에 삽입되는 제2탄성부 및 일단은 상기 제2탄성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탄성부 및 커버부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구조물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계류장치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탄성부, 상기 제1탄성부를 커버하며 고정구조물과 연결되고, 일측 및 타측 각각에 내부 및 외부를 연결하는 슬라이딩홈들이 각각 형성되는 커버부 및 일단은 상기 제1탄성부의 후방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 양측에서 상기 슬라이딩홈들 각각을 지나 상기 커버부 외부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며 수상구조물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 일단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가 탄성 수축하거나 원위치로 이동하며 확장된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는 원기둥 형태의 고분자 탄성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1 탄성부의 연장 방향을 향해 연장된 스프링이 인서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는 외측에 상기 커버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주름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계류장치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탄성부의 후방쪽에 삽입되는 제2탄성부 및 일단은 상기 제2탄성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홈들을 지나 상기 커버부의 외부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며 상기 고정구조물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류장치는 복수의 탄성부들이 내부에 형성되어 수위변동에 따라 탄력적이고 부드럽게 확장 또는 수축 변형되며 정비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계류장치의 탄성부들 각각은 성형이 쉽고 탄성력 및 방수성이 뛰어난 발포 고분자 소재로 제작되고, 내부에 스프링이 인서트되어 해수에 의한 스프링의 부식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계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계류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계류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사시도.
도 7 및 8들은 도 1의 계류장치의 분해사시도들.
도 9는 도 6의 계류장치의 다른 상태들을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사시도 및 일측면도들.
도 11은 도 10의 계류장치의 다른 상태들을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계류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계류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장치(30)는 커버부(40), 제1 탄성부(50), 제2 탄성부(60), 제1 연결부(70) 및 제2 연결부(80)들을 포함한다.
커버부(40)는 파이프(42) 및 고정커버(44, 46)들을 포함한다.
커버부(40)의 일단은 전방에 해당하는 제1 방향(11)쪽에서 후방을 둘러싸는 캡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중공(1)을 둘러싸며 원통형으로 제1 방향(11)과 반대쪽인 제2 방향(12)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제2 방향(12)으로 연장되며 중공(1)을 밀봉하는 캡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파이프(42)의 일단은 제1 방향(11)쪽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중공(1)을 둘러싸고, 타단은 제2 방향(12)을 향해 원통형을 유지하며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고정커버(44)의 일측은 제1 방향(11)쪽에서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은 일측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제2 방향(1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파이프(42)의 일단 외측면 일부분을 둘러싸며 파이프(42)와 밀착 결합된다.
고정커버(46)의 일측은 파이프(42) 타단의 제2 방향(12)쪽에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은 일측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제1 방향(1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파이프(42)의 타단 외측면 일부분을 둘러싸며 파이프(42)와 밀착 결합된다.
고정커버(44, 46)들 각각은 파이프(42)의 일단 및 타단 각각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고정커버(44, 46)들 각각의 타측 내측면은 파이프(42)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중공(1)을 밀봉한다.
제1 탄성부(50)는 제1 탄성체(52) 및 제1 스프링(54)들을 포함한다.
제1 탄성부(50)는 제1 방향(11)에 해당하는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원기둥 형태를 유지하면서 제2 방향(1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내부에는 스프링인 인서트되며, 탄성력이 높은 발포 고분자 소재로 제작된다.
구체적으로, 제1 탄성체(52)는 일단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방향(11)쪽 중공(1)에 삽입되고, 타단은 원기둥 형태를 유지하면서 중공(1)에서 파이프(42)의 중앙쪽까지 제2 방향(1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1 스프링(54)은 제1 탄성체(52)의 중앙에 인서트되어 일단은 제1 탄성체(52)의 일단 안쪽에 위치하고, 타단은 제2 방향(12)을 향해 연장되어 제1 탄성체(52)의 타단 안쪽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탄성부(50)는 제1 탄성체(52)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제1 스프링(54)을 통해 탄성력이 확보되고, 제1 탄성체(52)에 의해 중공(1)으로 유입될 수 있는 해수에 의한 제1 스프링(54)의 부식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제2 탄성부(60)는 제2 탄성체(62) 및 제2 스프링(64)들을 포함한다.
제2 탄성부(60)는 제2 방향(12)에 해당하는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원기둥 형태를 유지하면서 제1 방향(1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내부에는 스프링인 인서트되며, 탄성력이 높은 발포 고분자 소재로 제작된다.
구체적으로, 제2 탄성체(62)는 일단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방향(12)쪽 중공(1)에 삽입되고, 타단은 원기둥 형태를 유지하면서 중공(1)에서 파이프(42)의 중앙쪽까지 제1 방향(1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제1 탄성체(5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2 스프링(64)은 제2 탄성체(62)의 중앙에 인서트되어 일단은 제2 탄성체(62)의 일단 안쪽에 위치하며, 타단은 제1 방향(11)을 향해 연장되어 제2 탄성체(62)의 타단 안쪽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2 탄성부(60)는 제2 탄성체(62)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제2 스프링(64)을 통해 탄성력이 확보되고, 제2 탄성체(62)에 의해 중공(1)으로 유입될 수 있는 해수에 의한 제2 스프링(64)의 부식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제1 연결부(70)는 제1 클램프(72), 너트(73, 75)들 및 로드(74)들을 포함한다.
제1 연결부(70)의 일단은 제1 탄성부(50)의 타단과 밀착되면서 제1 탄성부(5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제1 탄성부(50) 및 커버부(40)의 일단을 관통하면서 제1 방향(11)으로 연장되어 수상구조물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클램프(72)의 일단은 파이프(42)의 일단쪽 일측에 편향된 위치에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소정의 거리만큼 제1 방향(11)을 향해 연장되며 타측을 향해 'U'자 형태로 절곡된 후 다시 소정의 거리만큼 제2 방향(12)을 향해 원기둥 형태를 유지하며 연장된다.
제1 클램프(72)의 타단은 제1 클램프(72)의 중앙부에서 제1 클램프(72)의 일단과 평행하도록 제2 방향(1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원기둥 형태로 연장된다.
너트(73)는 제1 클램프(72)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배치되고, 너트(73)의 일측 및 타측 일부분들 각각은 제1 클램프(72)의 일단 및 타단 각각과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로드(74)의 일단은 너트(73)를 관통하여 너트(73)와 나사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방향(12)을 향해 연장되어 고정커버(44) 및 제1 탄성체(52)를 관통하고, 제1 스프링(54)의 안쪽에서 제2 방향(12)을 향해 연장되어 제1 탄성체(52)의 타단 외부까지 연장된다.
제1 탄성체(52)의 타단쪽 중공(1)으로 노출된 로드(74)의 타단 외측면 일부분은 외측을 향해 환형태로 확장되어 제1 탄성체(52)의 타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로드(74)의 타단 중앙 일부는 제2 방향(12)을 향해 연장되어 너트(75)와 나사 결합된다.
너트(75)는 제1 탄성체(52)의 타단쪽으로 노출된 로드(74)의 타단 일부분을 둘러싸면서 로드(74)와 나사 결합되고, 너트(75)의 풀림 방지를 위해 너트(75) 및 로드(74) 사이의 밀착면은 용접될 수 있다.
제2 연결부(80)는 제2 클램프(82), 너트(83, 85)들 및 로드(84)들을 포함한다.
제2 연결부(80)의 일단은 제2 탄성부(60)의 타단과 밀착되면서 제2 탄성부(6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제2 탄성부(60) 및 커버부(40)의 타단을 관통하면서 제2 방향(12)으로 연장되어 고정구조물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클램프(82)의 일단은 파이프(42)의 일단쪽 일측에 편향된 위치에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소정의 거리만큼 제2 방향(12)을 향해 연장되며 타측을 향해 'U'자 형태로 절곡된 후 다시 소정의 거리만큼 제1 방향(11)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된다.
제2 클램프(82)의 타단은 제2 클램프(82)의 중앙부에서 제2 클램프(82)의 일단과 평행하도록 제1 방향(1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원기둥 형태로 연장된다.
너트(83)는 제2 클램프(82)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배치되고, 너트(83)의 일측 및 타측 일부분들 각각은 제2 클램프(82)의 일단 및 타단 각각과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로드(84)의 일단은 너트(83)를 관통하여 너트(83)와 나사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1)을 향해 연장되어 고정커버(46) 및 제2 탄성체(62)를 관통하며, 제2 스프링(64)의 안쪽에서 제1 방향(11)을 향해 연장되어 제2 탄성체(62)의 타단까지 연장된다.
제2 탄성체(62)의 타단쪽 중공(1)으로 노출된 로드(84)의 타단 외측면 일부분은 외측을 향해 환 형태로 확장되어 제2 탄성체(62)의 타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로드(84)의 타단 중앙 일부는 제1 방향(11)을 향해 연장되어 너트(85)와 결합된다.
너트(85)는 제2 탄성체(62)의 타단쪽으로 노출된 로드(84)의 타단 일부분을 둘러싸면서 로드(84)와 나사 결합되고, 너트(85)의 풀림 방지를 위해 너트(85) 및 로드(84) 사이의 밀착면은 용접될 수 있다.
수위변화에 의해 수상구조물의 위치가 변화하면, 제1 클램프(72)가 제1 방향(11)을 향해 이동하고, 로드(74)가 제1 탄성체(52) 및 제1 스프링(54)을 제1 방향(11)쪽으로 수축시킨다.
이때, 수축되는 제1 탄성체(52) 및 제1 스프링(54)에 의해 고정커버(44, 46)들 및 파이프(42)가 제1 방향(1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제2 탄성체(62) 및 제2 스프링(64)은 제2 방향(12)쪽으로 수축된다.
따라서, 제2 탄성부(60)는 제1 탄성부(50)의 수축이 급격하게 발생되고 제1 클램프(72)가 제1 방향(11)을 향해 급격히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클램프(72)에 연결된 와이어 또는 라인이 수위변화에 의해 급격하게 이동하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탄성부(60)는 제1 탄성부(50)의 기능이 상실된 경우 제1 탄성부(50)의 정비를 위해 비상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1 탄성부(50) 역시 제2 탄성부(60)의 기능이 상실된 경우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계류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32)는 제1 탄성부(55)의 제1 탄성체(56) 및 제2 탄성부(65)의 제2 탄성체(66)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3들의 계류장치(3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장치(32)는 제1 탄성부(55) 및 제2 탄성부(65)를 포함한다.
제1 탄성부(55)는 제1 탄성체(56) 및 제1 스프링(54)들을 포함한다.
제1 탄성부(55)의 일단은 중공(1)의 제1 방향(11)쪽 내부에 삽입되어 외측면이 파이프(42)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타단은 제2 방향(1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파이프(42)의 중앙쪽 중공(1)에 위치한다.
제1 탄성부(55)의 외측면에는 단면이 반원형태이고, 제1 탄성부(55)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제1 탄성부(55)의 안쪽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링 형태의 골들이 제1 탄성부(55)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탄성부(55)의 내부에는 제1 탄성부(55)의 연장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스프링이 인서트 되고, 인서트된 상기 스프링은 제1 탄성부(55)의 탄성력을 확보시키는 동시에 해수에 의한 부식이 방지된다.
제1 탄성체(56)의 일단은 중공(1)의 제1 방향(11)쪽에 삽입되어 외측면이 파이프(42)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타단은 제2 방향(1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로드(74) 타단의 환 형태로 확장된 일부분과 밀착된다.
제1 탄성체(56)의 외측면에는 단면이 반원형태이고, 제1 탄성체(56)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제1 탄성체(56)의 안쪽을 향해 함몰되면서 형성되는 링 형태의 골들이 제1 탄성체(56)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탄성체(56)의 외측에 형성된 골들 사이에는 링 형태의 돌출부들이 상기 골들 사이에 형성되고, 제1 탄성체(56)는 탄성력이 우수한 발포 고분자 소재로 제작된다.
제2 탄성부(65)는 제2 탄성체(66) 및 제2 스프링(64)들을 포함한다.
제2 탄성부(65)의 일단은 중공(1)의 제2 방향(12)쪽 내부에 삽입되어 외측면이 파이프(42)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파이프(42)의 중앙쪽에서 제1 탄성부(55)의 타단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2 탄성부(65)의 외측면에는 단면이 반원형태이고, 제2 탄성부(65)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제2 탄성부(65)의 안쪽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링 형태의 골들이 제2 탄성부(65)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2 탄성부(65)의 내부에는 제2 탄성부(65)의 연장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스프링이 인서트 되고, 인서트 된 상기 스프링은 제2 탄성부(65)의 탄성력을 확보시키는 동시에 해수에 의한 부식이 방지된다.
제2 탄성체(66)의 일단은 중공(1)의 제2 방향(12)쪽에 삽입되어 외측면이 파이프(42)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로드(84) 타단의 환 형태로 확장된 일부분과 밀착된다.
제2 탄성체(66)의 외측면에는 단면이 반원형태이고, 제2 탄성체(66)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제2 탄성체(66)의 안쪽을 향해 함몰되며 형성되는 링 형태의 골들이 제2 탄성체(66)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2 탄성체(66)의 외측에 형성된 골들 사이에는 링 형태의 돌출부들이 상기 골들 사이에 형성되고, 제2 탄성체(66)는 탄성력이 우수한 발포 고분자 소재로 제작된다.
따라서, 계류장치(32)는 외측에 주름과 유사하도록 복수의 골들 및 돌출부들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탄성부(55, 65)들을 통해 탄성력은 확보하면서, 부피는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계류장치(32)는 제1 탄성부(55) 또는 제2 탄성부(65)들 중 어느 하나의 작동이 불능한 상태에서도 다른 하나의 작동이 가능하므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안정적으로 장시간 기능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계류장치(30, 32)들은 도 12에 후술될 체결로드(217, 219)들과 유사하게 제1 클램프(72) 및 고정커버(44)를 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체결로드들이 고정커버(44)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 및 8들은 도 1의 계류장치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6 내지 8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장치(100)는 커버부(200), 제1 탄성부(420), 제2 탄성부(440) 및 제1 연결부(500)를 포함한다.
계류장치(100)는 수상에 부유하거나 고정되는 수상구조물의 하부에 상부에 위치하는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와이어 또는 로프를 통해 수중 바닥에 고정된 고정구조물에 연결되어 상기 수상구조물이 표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상구조물 및 고정구조물 각각과 연결되는 계류장치(100)의 일단 및 타단 일부분은 수위변동 또는 기후에 따라 계류장치(100)의 연장방향으로 확장 또는 수축하면서 와이어 또는 로프에 발생되는 장력을 완화시킨다.
커버부(200)는 파이프(205) 및 고정판(210, 215)들을 포함한다.
파이프(205)의 일단은 계류장치(100)의 일단에서 제1 공간(101)을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계류장치(100)의 타단쪽 방향인 제2 방향(12)을 향해 제2 공간(102)을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연장된다.
파이프(205)의 일단 가장자리에는 제1 플랜지(220)들 각각이 파이프(205)의 일단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의 일단은 파이프(205)의 일단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인접한 파이프(205)의 외측면과 수직한 방향을 향해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파이프(205)의 타단 가장자리에는 제2 플랜지(230)들 각각이 파이프(205)의 타단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의 일단은 파이프(205)의 일단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인접한 파이프(205)의 외측면과 수직한 방향을 향해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파이프(205)의 일단쪽 일측에는 파이프(205)의 일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플랜지(220)들 사이에서 파이프(205)의 일측면 중앙을 관통하여 제1 공간(101) 및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제1슬라이딩홈(222)이 형성된다.
제1슬라이딩홈(222)은 파이프(205)의 일측 가장자리 중앙에서 제2 방향(12)을 향해 파이프(205)의 중앙부 직전까지 연장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1, 1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파이프(205)의 일단쪽 타측에는 파이프(205)의 타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플랜지(220)들 사이에서 파이프(205)의 타측면 중앙을 관통하여 제1 공간(101) 및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제1슬라이딩홈(224)이 형성된다.
제1슬라이딩홈(224)은 파이프(205)의 타측 가장자리 중앙에서 제2 방향(12)을 향해 파이프(205)의 중앙부 직전까지 연장되어 제2 방향(12)과 반대방향인 제1 방향(11) 또는 제2 방향(1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제1슬라이딩홈(222, 224)들 각각은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제1 공간(10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동일한 형태로 파이프(205)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관통하여 제1 공간(101)을 파이프(205)의 일단 양측쪽 외부공간과 연결시킨다.
파이프(205)의 제2 방향(12)쪽 일측에는 파이프(205)의 일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 플랜지(230)들 사이에서 파이프(205)의 일측면 중앙을 관통하여 제2 공간(102) 및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제2슬라이딩홈(232)이 형성된다.
제2슬라이딩홈(232)은 파이프(205)의 일측 가장자리 중앙에서 제1 방향(11)을 향해 파이프(205)의 중앙부 직전까지 연장되어 제1슬라이딩홈(222)과 이격되며, 제1 또는 제2 방향(11, 1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파이프(205)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홈(222) 및 제2슬라이딩홈(232)들 각각은 파이프(205)의 일측 중앙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파이프(205)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홈(224) 및 제2슬라이딩홈(234)들 각각은 파이프(205)의 타측 중앙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파이프(205)의 제2 방향(12)쪽 타측에는 파이프(205)의 타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 플랜지(230)들 사이에서 파이프(205)의 타측면 중앙을 관통하여 제2 공간(102) 및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제2슬라이딩홈(234)이 형성된다.
제2슬라이딩홈(234)은 파이프(205)의 타측 가장자리 중앙에서 제1 방향(11)을 향해 파이프(205)의 중앙부 직전까지 연장되어 제1슬라이딩홈(224)과 이격되고, 제1 방향(11) 또는 제2 방향(1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제2슬라이딩홈(232, 234)들 각각은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제2 공간(10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동일한 형태로 파이프(205)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관통하여 제2 공간(102)을 파이프(205)의 타단 양측쪽 외부공간과 연결시킨다.
고정판(210)은 파이프(205)의 제1 방향(11)쪽에 환 형태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들 각각이 제1 플랜지(220)들 각각과 결합구(225)들을 통해 면결합되면서 파이프(205)의 일단에 결합되며, 제1 공간(101)에 삽입되는 제1 탄성부(420)가 제1 공간(101)에서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판(210)의 내측면 내경의 길이는 파이프(205)의 내경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므로, 고정판(210)이 파이프(205)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판(210)의 내측면 일부분은, 파이프(205)의 내측면과 밀착된 제1 탄성부(420)가 제1 방향(11)을 향해 이동하여 제1 공간(10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판(210)은 가이드(212, 214)들을 포함한다.
가이드(212)의 일단은 고정판(210)의 일측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측을 향해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후 반원형태로 돌출되어 곡면을 형성하며, 타단에는 제1 또는 제2 방향(11, 12)을 향해 연장되어 가이드(212)를 관통하는 제1통공이 형성된다.
가이드(214)의 일단은 고정판(210)의 타측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타측을 향해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후 반원형태로 돌출되어 곡면을 형성하며, 타단에는 제1 또는 제2 방향(11, 12)을 향해 연장되며 가이드(212)를 관통하는 제2통공이 형성된다.
고정판(215)은 파이프(205)의 제2 방향(12)쪽에 환 형태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들 각각이 제2 플랜지(230)들 각각과 결합구(235)들을 통해 면결합되면서 파이프(205)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2 공간(102)에 삽입되는 제2 탄성부(440)가 제2 공간(102)에서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판(215)의 내측면 내경의 길이는 파이프(205)의 내경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므로, 고정판(215)이 파이프(205)의 타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판(215)의 내측면 일부분은 파이프(205)의 내측면과 밀착된 제2 탄성부(440)가 제2 방향(12)을 향해 이동하여 제2 공간(10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판(215)은 가이드(216, 218)들을 포함한다.
가이드(216)의 일단은 고정판(215)의 일측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측을 향해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후 반원형태로 돌출되어 곡면을 형성하며, 타단에는 제1 또는 제2 방향(11, 12)을 향해 연장되어 가이드(216)를 관통하는 제3통공이 형성된다.
가이드(216)의 일단은 고정판(215)의 타측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타측을 향해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후 반원형태로 돌출되어 곡면을 형성하며, 타단에는 제1 또는 제2 방향(11, 12)을 향해 연장되며 가이드(216)를 관통하는 제4통공이 형성된다.
제1 탄성부(420)는 제1 탄성체(422), 너트(423, 424)들 및 제1 스프링(425)들을 포함한다.
제1 탄성부(420)는 제1 공간(101)에서 제1 방향(11)쪽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원기둥 형태로 제2 방향(1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고탄성 발포 고분자 소재로 제작된다.
제1 탄성체(422)의 일단은 고정판(210)과 원기둥 형태로 밀착되고, 타단은 제2 방향(1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이동판(550)과 밀착된다.
제1 탄성체(422)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의 중앙에는 너트(423, 424)들 각각이 인서트되고, 제1 탄성체(422)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해당하는 안쪽 중앙에는 제1 탄성체(42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스프링(425)이 인서트된다.
제1 스프링(425)의 일단은 너트(423)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내측면이 너트(423)와 용접을 통해 결합되고, 타단은 나선 형태로 제2 방향(12)을 향해 연장되어 내측면이 너트(424)의 외측면과 용접을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스프링(425)은 제1 탄성체(422)의 내부에 인서트되어 해수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고, 제1 탄성체(422) 또는 제1 스프링(425) 중 어느 하나의 탄성력이 저하된 경우에도 나머지 하나가 탄성력을 유지시키므로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제1 연결부(500)는 프레임(520), 로드(530, 535)들, 제1 클램프(540) 및 이동판(550)들을 포함한다.
제1 연결부(500)의 일단은 커버부(200)의 제1 공간(101)에서 제1 탄성부(420)와 결합되고, 커버부(200)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커버부(200)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어 고리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연결부(500)의 타단이 수상구조물에 연결되어 제1 방향(11)으로 이동하면, 제1 탄성부(420)는 제1 방향(11)쪽으로 수축하여 제1 연결부(500)의 일단이 제2 방향(12)을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킨다.
프레임(520)의 일단은 가이드(212, 216)들 각각을 관통하는 상기 제1 및 제3 통공들을 연결하는 연장선상과 마주하도록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 일부분에서 로드 형태로 파이프(205)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및 제4 통공들을 연결하는 연결선상과 마주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이동판(550)은 결합부(552, 554)들을 포함한다.
이동판(55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탄성체(422)의 타단과 밀착되고, 일측 및 타측 중앙에는 각각 결합부(552, 554)들이 형성된다.
결합부(552)는 이동판(550)의 일측에서 제1 탄성체(4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212)의 제1 통공 및 가이드(216)의 제3 통공 사이의 연결선상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후술될 로드(530)의 일단과 결합된다.
결합부(554)는 이동판(550)의 타측에서 제1 탄성체(4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214)의 제2 통공 및 가이드(218)의 제4 통공 사이의 연결선상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후술될 로드(535)의 일단과 결합된다.
로드(530)의 일단은 결합부(552)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원기둥형 로드 형태로 제1 방향(11)을 향해 연장되어 가이드(212)의 제1 통공을 지나 프레임(520)의 일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로드(535)의 일단은 결합부(554)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원기둥형 로드 형태로 제1 방향(11)을 향해 연장되어 가이드(214)의 제2 통공을 지나 프레임(520)의 타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클램프(540)는 프레임(520) 중앙부의 제2 방향(12)쪽에서 제1너트와 나사 결합되고, 중앙부는 제1 방향(11)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며 프레임(520)을 관통한 후 파이프(205)의 타측을 향해 반원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2 방향(12)쪽으로 연장되어 프레임(5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1 클램프(54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제2 방향(12)쪽으로 연장되어 제2너트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너트들을 제1 클램프(540)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분리시키는 작업을 통해 제1 클램프(540)를 프레임(520)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클램프(540)에 연결된 수상구조물이 수위변화 또는 기후에 의해 이동하면서 제1 클램프(540)를 제1 방향(11)을 향해 당기면, 프레임(520), 로드(530, 535)들 및 이동판(550)이 제1 방향(11)을 향해 이동하면서 제1 탄성체(422)를 제1 방향(11)을 향해 수축시킨다.
제2 탄성부(440)는 제2 탄성체(442), 너트(443, 444)들 및 제2 스프링(445)들을 포함한다.
제2 탄성부(440)는 제2 공간(102)에서 제2 방향(12)쪽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원기둥 형태로 제1 방향(1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고탄성 발포 고분자 소재로 제작된다.
제2 탄성체(442)의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판(215)과 밀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이동판(650)과 밀착된다.
제2 탄성체(442)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의 중앙에는 너트(443, 444)들 각각이 인서트되고, 제2 탄성체(442)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해당하는 중앙에는 제2 탄성체(44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스프링(445)이 인서트된다.
제2 스프링(445)의 일단은 너트(443)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내측면이 너트(443)와 용접을 통해 결합되고, 타단은 나선 형태로 제1 방향(11)을 향해 연장되어 내측면이 너트(444)의 외측면과 용접을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제2 스프링(445)은 제2 탄성체(442)의 내부에 인서트되어 해수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고, 제2 탄성체(442) 또는 제2 스프링(445) 중 어느 하나의 탄성력이 저하된 경우에도 나머지 하나가 탄성력을 유지시키므로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제2 연결부(600)는 프레임(620), 로드(630, 635)들, 제2 클램프(640) 및 이동판(650)들을 포함한다.
제2 연결부(600)의 일단은 커버부(200)의 제2 공간(102)에서 제2 탄성부(440)의 타단과 면결합되고, 커버부(200)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제2 방향(12)을 향해 연장되어 고리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연결부(600)의 타단이 고정구조물에 연결되어 제2 방향(12)으로 이동하면, 제2 탄성부(440)는 제2 방향(12)쪽으로 수축하여 제2 연결부(600)의 일단은 제1 방향(11)을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복원력이 발생된다.
프레임(620)의 일단은 가이드(212, 216)들 각각을 관통하는 상기 제1 및 제3 통공들을 연결하는 연결선상과 마주하도록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 일부분에서 로드 형태로 파이프(205)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및 제4 통공들을 연결하는 연결선상과 마주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이동판(650)은 결합부(652, 654)들을 포함한다.
이동판(65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 탄성체(442)의 타단과 밀착되고, 일측 및 타측 중앙에는 각각 결합부(652, 654)들이 형성된다.
결합부(652)는 이동판(650)의 일측에서 제2 탄성체(44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212)의 제1 통공 및 가이드(216)의 제3 통공 사이의 연결선상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후술될 로드(630)의 일단과 결합된다.
결합부(654)는 이동판(650)의 타측에서 제2 탄성체(44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214)의 제2 통공 및 가이드(218)의 제4 통공 사이의 연결선상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후술될 로드(635)의 일단과 결합된다.
로드(630)의 일단은 결합부(652)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원기둥형 로드 형태로 제2 방향(12)을 향해 연장되어 가이드(216)의 제3 통공을 지나 프레임(620)의 일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로드(635)의 일단은 결합부(654)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원기둥형 로드 형태로 제2 방향(12)을 향해 연장되어 가이드(218)의 제4 통공을 지나 프레임(620)의 타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클램프(640)는 프레임(620) 중앙부의 제1 방향(11)쪽에서 너트와 나사 결합되고, 중앙부는 제2 방향(12)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며 프레임(620)을 관통한 후 파이프(205)의 타측을 향해 반원 형태로 절곡되면서 제1 방향(11)쪽으로 연장되어 프레임(6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2 클램프(64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제1 방향(11)쪽으로 연장되어 너트와 나사 결합되고, 제2 클램프(640)의 일단 및 타단과 각각 결합되는 상기 너트들을 제2 클램프(640)에서 각각 분리시키는 작업을 통해 제2 클램프(640)를 프레임(620)부터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물의 수위변화 또는 기후에 의해 커버부(200)가 제1 방향(11)쪽으로 이동하면 고정판(215)이 제1 방향(11)을 향해 이동하면서 제2 탄성체(442)를 제1 방향(11)을 향해 수축시킨다.
도 9는 도 6의 계류장치의 다른 상태들을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프(540)에 상기 수상구조물이 연결되고, 제2 클램프(640)에 상기 고정구조물이 연결된 경우, 수위변화 또는 기후에 따라 제1 클램프(540)가 제1 방향(11)쪽으로 이동하면, 프레임(520)은 로드(530, 535)들과 함께 제1 방향(11)을 향해 이동한다.
로드(530, 535)들이 제1 방향(11)으로 이동하면서 이동판(550)이 함께 제1 방향(11)을 향해 이동하고, 제1 탄성체(422) 및 제1 스프링(425)들은 제1 방향(11)쪽으로 수축하며, 제1 탄성체(422) 및 제1 스프링(425)들이 수축된 만큼 제1 공간(101)에는 빈공간이 형성된다.
제1 탄성체(422) 및 제1 스프링(425)들이 수축되는 과정에서 파이프(205) 역시 제1 탄성체(422) 및 제1 스프링(425)들의 수축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제1 방향(1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제2 탄성체(442) 및 제2 스프링(445) 또한 제1 방향(11)을 향해 수축한다.
제1 방향(11)쪽으로 수축된 제1 탄성체(422) 및 제1 스프링(425)들 각각은 밀착된 이동판(550)을 제2 방향(12)을 향해 밀어내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다시 수위변화 또는 기후에 의해 제1 클램프(540)와 연결된 와이어 또는 로프가 느슨해지면 이동판(550)은 제2 방향(12)쪽 원위치로 이동한다.
반대로, 제1 탄성체(422) 및 제1 스프링(425)들이 제1 방향(11)쪽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수위가 증가하여 상기 수상구조물이 더 상승하면, 이동판(550)은 제1 방향(11)쪽으로 이동한다.
이동판(550)의 제1 방향(11)쪽 이동으로 수축 한계점에 도달한 제1 탄성체(422) 및 제1 스프링(425)들은 수축이 정지된 상태에서 고정판(210) 및 파이프(205)를 제1 방향(11)을 향해 이동시켜 제2 스프링(445) 및 제2 탄성체(442)를 제1 방향(11)쪽으로 수축시킨다.
파이프(205) 및 고정판(215)들이 제1 방향(11)쪽으로 이동하고, 제2 탄성체(442) 및 제2 스프링(445)들이 제1 방향(11)쪽으로 수축되면서, 제1 및 제2슬라이딩홈(224, 234)들의 사이를 경계로 제1 공간(101)과 분리되는 제2 공간(102)에 빈공간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탄성체(422, 442)들과 제1 및 제2 스프링(425, 445)들이 수축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된 제1 공간(101) 및 제2 공간(102)의 빈공간 크기는 증가하고, 제1슬라이딩홈(222, 224)과 제2슬라이딩홈(232, 234)들 각각을 통해 서로 연결된 제1 공간(101) 및 제2 공간(102)의 빈공간에는 물이 유입된다.
서로 연결된 제1 공간(101) 및 제2 공간(102)의 빈공간에 해수가 유입되면서 과도한 수위변동이 발생하여도 제1 탄성체(422) 및 제1 스프링(425)이 제2 방향(12)쪽으로 원상복귀 하는 과정에서 해수의 압력이 제1 탄성체(422) 및 제1 스프링(425)들의 급격한 제2 방향(12)쪽 이동을 감소시키므로, 연결된 수상구조물이 급격히 하강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수축된 제2 스프링(445) 및 제2 탄성체(442)들 역시 서로 연결된 제1 공간(101) 및 제2 공간(102)의 빈공간에 유입된 해수의 압력에 의해 원상태로 확장하는 속도가 감소하므로 수위가 하강하더라도 계류장치(100)에 연결된 수상구조물이 계류장치(100)에 의해 급격히 하강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계류장치(100)는 제1 클램프(540)를 제1 방향(11)쪽으로 당기는 힘 또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제1 탄성체(422) 및 제1 스프링(425)들의 수축만으로 탄력적으로 제1 클램프(540)를 당기는 힘을 완충시키므로, 제2 탄성체(442) 및 제2 스프링(445)들의 불필요한 사용이 제한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계류장치(100)는 제1 클램프(540)를 제1 방향(11)쪽으로 당기는 힘 또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제1 탄성체(422) 및 제1 스프링(425)들 뿐만 아니라 제2 탄성체(442) 및 제2 스프링(445)들의 수축을 통해 탄력적으로 수위변화에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계류장치(100)는 제1 탄성체(422) 또는 제1 스프링(425) 중 어느 하나의 교체를 위해 제1 탄성체(422) 또는 제1 스프링(425) 중 어느 하나를 파이프(205)에서 분리시키는 경우, 단순히 고정판(210)을 파이프(205)와 분리시키고, 로드(530, 535)들을 이동판(550)과 분리시키는 작업만으로 편리하게 제1 탄성체(422) 또는 제1 스프링(425) 중 어느 하나를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판(210)을 파이프(205)와 분리시키고, 로드(530, 535)들을 이동판(550)과 분리시킨 후 이동판(550)을 제1슬라이딩홈(222, 224)들을 따라 제1 방향(11)을 향해 이동시키면 제1 탄성체(422) 및 제1 스프링(425)들을 편리하게 외부로 분리시켜 정비 또는 교체가 가능하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사시도 및 일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계류장치의 다른 상태들을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120)는 제1 탄성부(720)의 제1 탄성체(722) 및 제2 탄성부(740)의 제2 탄성체(742)들을 제외하면, 도 6 내지 9들의 계류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11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장치(120)는 제1 탄성부(720) 및 제2 탄성부(740)들을 포함한다.
제1 탄성부(720)는 제1 탄성체(722)를 포함하고, 제2 탄성부(740)는 제2 탄성체(742)를 포함한다.
제1 탄성부(720)는 도 6 내지 9들의 계류장치(100)의 제1 탄성체(422)를 대신해 제1 스프링(425)이 인서트된 제1 탄성체(722)를 포함하고, 제1 탄성체(722)는 커버부(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외측에 복수의 주름들이 형성된다.
제1 탄성체(722)의 일단은 고정판(210)과 밀착되고, 타단은 제2 방향(1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이동판(550)과 밀착된다.
제1 탄성체(722)의 외측에 형성된 상기 주름들 각각은 제1 또는 제2 방향(11, 12)을 향해 서로 균일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름들 각각의 사이에는 단면이 반원인 링 형태로 제1 탄성체(722)의 안쪽으로 함몰되는 골이 형성된다.
제1 탄성체(722)의 상기 골들에는 제1슬라이딩홈(222, 224)들을 통해 해수가 유입되고, 갑작스러운 수위상승으로 제1 탄성체(722)가 제1 방향(11)쪽으로 수축하는 경우, 해수가 제1슬라이딩홈(222, 224)들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과정때문에 제1 탄성체(722) 및 제1 스프링(425)이 급격히 제1 방향(11)으로 수축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1 탄성체(722)가 제1 방향(11)쪽으로 수축되고 상기 주름들 각각이 인접한 상기 골들 각각으로 이동하면서 변형하므로, 제1 탄성체(722)의 수축으로 제1 탄성체(722)의 외측면이 제1 공간(101)쪽 파이프(205)의 내측면을 압박하여 파이프(205)가 파손되거나 제1슬라이딩홈(222, 224)들이 상하부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탄성부(740)는 도 6 내지 9들의 계류장치(100)의 제2 탄성체(442)를 대신해 제2 스프링(445)이 인서트된 제2 탄성체(742)를 포함하고, 제2 탄성체(742)는 커버부(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외측에 복수의 주름들이 형성된다.
제2 탄성체(742)의 일단은 고정판(215)과 밀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이동판(650)과 밀착된다.
제2 탄성체(742)의 외측에 형성된 주름들 각각은 제1 또는 제2 방향(11, 12)을 향해 서로 균일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제2 탄성체(742)의 주름들 각각의 사이에는 단면이 반원인 링 형태로 제2 탄성체(742)의 안쪽으로 함몰되는 골이 형성된다.
제2 탄성체(742)의 상기 골들에는 제2슬라이딩홈(232, 234)들을 통해 해수가 유입되고, 갑작스러운 수위상승으로 제2 탄성체(742)가 제1 방향(11)쪽으로 수축하는 경우, 해수가 제2슬라이딩홈(232, 234)들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과정때문에 제2 탄성체(742) 및 제2 스프링(445)이 급격히 제1 방향(11)으로 수축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2 탄성체(742)가 제1 방향(11)쪽으로 수축되고 제2 탄성체(742)의 주름들 각각이 인접한 상기 골들 각각으로 이동하면서 변형하므로, 제2 탄성체(742)의 수축으로 제2 탄성체(742)의 외측면이 제2 공간(102)쪽 파이프(205)의 내측면을 압박하여 파이프(205)가 파손되거나 제2슬라이딩홈(232, 234)들이 상하부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140)는 체결부(800, 810, 820)들, 제1 연결부(500)의 로드(536, 537)들 및 고정판(210)의 체결로드(217, 219)들을 제외하면, 도 6 내지 9들의 계류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계류장치(140)는 체결부(800, 810, 820)들을 더 포함하고, 제1 연결부(500)는 도 1 내지 4들의 계류장치(100)의 제1 연결부(500)와 달리 로드(530, 535)들 각각을 대신해 로드(536, 537)들 각각을 포함한다.
계류장치(140)는 수위변동에 따라 1차적으로 변형되는 제1 탄성부(420)의 잦은 수축 또는 확장 변형에 의해 제1 탄성부(420)의 기능이 상실된 경우, 간단한 작업을 통해 제1 탄성부(420)의 기능은 중지시키고 제2 탄성부(440)의 탄성 변형 기능만 사용할 수 있다.
로드(536)의 일단은 결합부(552)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원기둥형 로드 형태로 제1 방향(11)을 향해 연장되어 가이드(212)의 제1 통공을 지나 프레임(520)의 일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가이드(212)의 제1 통공 안쪽에서 가이드(212)의 제2 방향(12)쪽에 해당하는 로드(536)의 외측면 중앙까지 로드(536)를 둘러싸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산은 제1 탄성부(420)가 탄성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통공 안쪽부터 가이드(212)의 제2 방향(12)쪽 로드(536)의 중앙쪽까지 형성된다.
로드(537)의 일단은 결합부(554)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원기둥형 로드 형태로 제1 방향(11)을 향해 연장되어 가이드(214)의 제2 통공을 지나 프레임(520)의 타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가이드(214)의 상기 제2 통공 안쪽에서 가이드(214)의 제2 방향(12)쪽에 해당하는 로드(537)의 외측면 중앙까지 로드(537)를 둘러싸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산은 제1 탄성부(420)가 탄성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통공 안쪽부터 가이드(214)의 제2 방향(12)쪽 로드(537)의 중앙쪽까지 형성된다.
체결부(800)는 가이드(212) 및 결합부(552)의 사이에서 로드(536)를 둘러싸는 너트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3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부(800)는 상기 제1나사산과 맞물리며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제1 방향(11)쪽 일측면이 가이드(212)와 밀착되고, 가이드(212) 및 체결부(800)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1 클램프(540)가 제1 방향(11)을 향해 이동하면, 고정판(210) 및 파이프(203)가 제1 방향(11)으로 이동하면서 제2 탄성부(440)가 수축된다.
체결부(810)는 가이드(214) 및 결합부(554)의 사이에서 로드(537)를 둘러싸는 너트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제2나사산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4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부(810)는 상기 제2나사산과 맞물리며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제1 방향(11)쪽 일측면이 가이드(214)와 밀착되고, 가이드(214) 및 체결부(810)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1 클램프(540)가 제1 방향(11)을 향해 이동하면, 고정판(210) 및 파이프(203)가 제1 방향(11)으로 이동하면서 제2 탄성부(440)가 수축된다.
고정판(210)을 체결로드(217, 219)들을 더 포함한다.
체결로드(219)는 제1 클램프(540)의 일단과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제1 클램프(540)의 일단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고정판(210)의 제1 방향(11)쪽에 결합되고, 외측면에는 제1 클램프(540)의 일단에 결합된 상기 제1너트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체결로드(219) 및 제1 클램프(540)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너트의 제1 또는 제2 방향(11, 12)쪽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너트를 회전시켜 제2 방향(12)을 향해 상기 제1너트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1너트는 체결로드(219)의 일부분과 나사결합되어 체결로드(219) 및 제1 클램프(540)의 일단 일부분을 연결한다.
체결로드(217)는 제1 클램프(540)의 타단과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제1 클램프(540)의 타단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고정판(210)의 제1 방향(11)쪽에 결합되고, 외측면에는 제1 클램프(540)의 타단에 결합된 상기 제2너트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체결로드(217) 및 제1 클램프(540)의 타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너트의 제1 또는 제2 방향(11, 12)쪽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너트를 회전시켜 제2 방향(12)을 향해 상기 제2너트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2너트는 체결로드(217)의 일부분과 나사결합되어 체결로드(217) 및 제1 클램프(540)의 타단 일부분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너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체결로드(219, 217)들 각각을 제1 클램프(54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연결시키거나 체결로드(219, 217)들 각각을 제1 클램프(540)의 일단 및 타단 각각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너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체결로드(219, 217)들 각각을 제1 클램프(54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제1 클램프(540)가 제1 방향(11)을 향해 이동시키면 고정판(210) 및 파이프(203)가 제1 방향(11)을 향해 이동하므로 기능을 상실한 제1 탄성부(420)는 변형되지 않고 제2 탄성부(440)만 탄성 변형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 32, 100, 120, 140: 계류장치 200: 커버부
50, 55, 420, 720: 제1 탄성부
60, 65, 440, 740: 제2 탄성부
70, 500: 제1 연결부 80, 600: 제2 연결부
800, 810: 체결부

Claims (4)

  1.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 탄성부;
    상기 제1 탄성부의 전면에 밀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탄성부를 둘러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에 전후방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들이 형성되며, 고정구조물과 연결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 전후방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는 로드들, 원형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탄성부의 후방에 결합되며 양측 일부분은 상기 슬라이딩홈들 각각을 지나 상기 로드들 각각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판 및 상기 고정판의 전방에서 상기 로드들과 결합되는 제1 클램프를 구비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들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부가 탄성 수축되거나 원위치로 이동하며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는,
    원기둥 형태의 고분자 탄성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1 탄성부의 연장 방향을 향해 연장된 스프링이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는,
    외측에 상기 커버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주름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탄성부의 후방쪽에 삽입되는 제2 탄성부; 및
    일단은 상기 제2 탄성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탄성부 및 커버부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구조물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















KR1020190051331A 2019-05-02 2019-05-02 계류 장치 KR102176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31A KR102176299B1 (ko) 2019-05-02 2019-05-02 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31A KR102176299B1 (ko) 2019-05-02 2019-05-02 계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299B1 true KR102176299B1 (ko) 2020-11-09

Family

ID=7342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331A KR102176299B1 (ko) 2019-05-02 2019-05-02 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2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140U (ko) * 1987-12-09 1989-06-15
US5450808A (en) * 1994-08-22 1995-09-19 Beagan; James L. Device to secure a vessel at a fixed distance from a dock
KR20010105873A (ko) * 2000-05-19 2001-11-29 이계안 자동차의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KR101171441B1 (ko) 2009-12-02 2012-08-08 조영철 계류장치
KR101778215B1 (ko) 2016-08-11 2017-09-26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부유체 횡동요 억제를 위한 접이식 수중 계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140U (ko) * 1987-12-09 1989-06-15
US5450808A (en) * 1994-08-22 1995-09-19 Beagan; James L. Device to secure a vessel at a fixed distance from a dock
KR20010105873A (ko) * 2000-05-19 2001-11-29 이계안 자동차의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KR101171441B1 (ko) 2009-12-02 2012-08-08 조영철 계류장치
KR101778215B1 (ko) 2016-08-11 2017-09-26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부유체 횡동요 억제를 위한 접이식 수중 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041B2 (en) Wave power generator systems
US7245041B1 (en) Ocean wave energy converter
US5553976A (en) Fluid riser between seabed and floating vessel
JP2006206006A (ja) 浮体の係留方法
US20110042955A1 (en) Marine energy extraction systems and units
KR102176299B1 (ko) 계류 장치
Luxmoore et al. Analytical performance assessment of a novel active mooring system for load reduction in marine energy converters
US7896576B2 (en) Enhanced wave power generators
KR102162397B1 (ko) 태양광발전을 위한 수상구조물
KR102162066B1 (ko) 무천공 태양광발전 수상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113218474A (zh) 一种海洋潮汐的水位监测装置
JP2007253752A (ja) 杭式係留装置
KR101528318B1 (ko) 파력 및 조류력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KR101815251B1 (ko) 수상구조물용 부력관의 밀폐용 연결소켓과 이를 이용한 부력조립체
KR101734646B1 (ko) 파도의 고저차를 이용한 캡슐형 압전 발전기
KR102501451B1 (ko) 일체형 해양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838217B1 (ko) 계류용 탄성 장치
JP5840194B2 (ja) 浮体構造物の係留装置
JP6302776B2 (ja) 浮体係留装置
KR102138802B1 (ko) 부유식 구조물
JP2543960Y2 (ja) 浮沈式オイルフェンスの先端シール装置
KR20190009011A (ko) 자동 팽창식 부력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KR102337087B1 (ko) 완충 계류 로프
CN210927037U (zh) 一种海底电缆铺设承压式管道
CN217781910U (zh) 一种空心不锈钢漂浮船用靠岸停泊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