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217B1 - 계류용 탄성 장치 - Google Patents

계류용 탄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217B1
KR101838217B1 KR1020170143979A KR20170143979A KR101838217B1 KR 101838217 B1 KR101838217 B1 KR 101838217B1 KR 1020170143979 A KR1020170143979 A KR 1020170143979A KR 20170143979 A KR20170143979 A KR 20170143979A KR 101838217 B1 KR101838217 B1 KR 10183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appearance
elastic members
main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건민
양주석
Original Assignee
강건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건민 filed Critical 강건민
Priority to KR1020170143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2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 F16F3/04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composed only of 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계류용 탄성 장치는, 수중 바닥에 설치된 앵커(20)와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10)를 연결하여 계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유체(10)에 연결된 로프(30)와 상기 앵커(20) 사이에 연결되는 탄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20)가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에 개구부(114)가 형성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타측 내부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 거리만큼 출몰하는 제1 출몰부(120), 상기 제1 출몰부(120)의 타측 내부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 거리만큼 출몰하며, 타측에 로프(30)가 연결되는 제2 출몰부(130), 상기 본체(110)의 내주면 전후에 각각 이격 설치된 방사상의 제1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16, 118)와, 상기 제1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16, 118)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제1 출몰부(12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제1 대향 탄성체 고정구(128)와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 및 상기 제1 출몰부(120)의 내주면 양단에 이격 설치된 방사상의 제2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24, 126)와, 상기 제2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24, 126)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제2 출몰부(13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제2 대향 탄성체 고정구(138)와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류용 탄성 장치 {ELASTIC APPARATUS FOR MOORING}
본 발명은 계류용 탄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체에 연결된 로프와 앵커 사이에 연결되어 수위에 따라 부유체가 원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나 강 등에 설치된 부유식 수상구조물(이하, "부유체"라 한다)은 고정구조물에 로프 등의 계류라인을 연결하여 잡아주는 계류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바다나 강 등에 설치되는 부유체는, 예를 들어, 요트항만 선착장, 해양 접안시설, 각종 부잔교, 수상 및 수중공원, 수상주택, 가두리양식장, 소형계류장,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등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바, 이러한 부유체는 바다나 강 등에서 발생하는 조수 간만의 차이나 홍수 등으로 인해 수위가 변동됨에 따라 좌우 혹은 상하 유동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이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하여 로프와 같은 계류라인으로 계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는 수위가 하강하는 경우 발전효율이 저하되고, 부유체 상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의 손상 우려가 있으므로 더욱 견고한 고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탄성력에 의해 계류하기 위한 탄성체 계류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359999호에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수위차가 커도 원만하게 수용하면서 태양전지 어셈블리가 정해진 영역을 벗어나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용 탄성체 계류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계류로프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모듈에서 병렬 설치된 탄성부재의 변형거리만큼만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탄성력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359999호 (등록일: 2014.01.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부유체의 계류 과정에서 부유체가 좌우 또는 상하로 유동될 때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다단의 출몰부와, 각각의 출몰부마다 탄성계수가 다른 탄성체를 구비하여 출몰부의 신장거리를 크게 할 수 있게 한 계류용 탄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류용 탄성 장치는, 수중 바닥에 설치된 앵커(20)와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10)를 연결하여 계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유체(10)에 연결된 로프(30)와 상기 앵커(20) 사이에 연결되는 탄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20)가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에 개구부(114)가 형성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타측 내부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 거리만큼 출몰하는 제1 출몰부(120); 상기 제1 출몰부(120)의 타측 내부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 거리만큼 출몰하며, 타측에 로프(30)가 연결되는 제2 출몰부(130); 상기 본체(110)의 내주면 전후에 각각 이격 설치된 방사상의 제1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16, 118)와, 상기 제1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16, 118)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제1 출몰부(12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제1 타측 탄성체 고정구(128)와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 및 상기 제1 출몰부(120)의 내주면 양단에 이격 설치된 방사상의 제2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24, 126)와, 상기 제2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24, 126)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제2 출몰부(13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제2 타측 탄성체 고정구(138)와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출몰부(130)의 타측 내부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 거리만큼 출몰하는 제3 출몰부(140); 및 상기 제2 출몰부(130)의 내주면 양단에 이격 설치된 방사상의 제3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34, 136)와, 상기 제3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34, 136)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제3 출몰부(14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제3 대향 탄성체 고정구(146)와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출몰부(140)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출몰부(140)의 단 수에 따라 상기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가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와, 상기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 및 상기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 < 상기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 < 상기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 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와 상기 제2 출몰부(130)의 대향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2 출몰부(120, 130)의 최대 인출 길이를 한정하는 인출길이 조절부재(180)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길이 조절부재(18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개구 형성된 제2 가이드(182); 상기 제2 가이드(182)의 개구 형성된 내부에서 출몰하며, 단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1 축부(184); 상기 제2 가이드(182)와 대향된 상기 제2 출몰부(130)의 내부에 타단이 고정되며, 일단은 개구 형성된 제1 가이드(190); 상기 제1 가이드(190)의 개구 형성된 내부에서 출몰하며, 상기 제1 축부(184)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선 형성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단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2 축부(188); 및 상기 제1, 2 축부(184, 188)의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내주면 양단에 반대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나선 체결되며, 회전시 상기 제1, 2 축부(184, 188)의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18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류용 탄성 장치는, 본체 내부에서 출몰하는 다단의 출몰부를 구비하고, 본체와 출몰부 및 이웃한 출몰부와 출몰부의 사이에 탄성계수가 다른 전, 후방 탄성체를 각각 구비하여 로프 당김시 선단부터 인출되도록 하고, 로프가 느슨해지면 후단부터 인입되도록 하여 출몰부의 신장거리를 크게 할 수 있으면서 탄성체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하며, 출몰부의 최대 인출 길이를 인출길이 조절부재를 통해 한정하므로 탄성체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계류용 탄성 장치가 부유체를 부유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계류용 탄성 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계류용 탄성 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계류용 탄성 장치에서 인출길이 조절부재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계류용 탄성 장치에서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탄성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탄성 장치(100)가 적용되는 부유체 계류라인은 수면에 부유되며, 그 상부에 태양광 모듈 등과 같은 태양광 발전장치(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된 부유체(10)와, 수중 바닥에 설치된 앵커(20)와, 부유체(10)와 앵커(20)의 사이를 연결한 로프(30), 및 로프(30)와 앵커(20)의 사이를 연결한 탄성 장치(100)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탄성 장치(100)는 앵커(20)가 일측에 연결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 거리만큼 출몰하는 제1 출몰부(120)와, 제1 출몰부(1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 거리만큼 출몰하는 제2 출몰부(130)와, 제2 출몰부(13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 거리만큼 출몰하며, 타측에 로프(30)가 연결되는 제3 출몰부(140)와, 본체(110)와 제1 출몰부(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출몰부(1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와, 제1 출몰부(120)와 제2 출몰부(1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2 출몰부(1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와, 제2 출몰부(130)와 제3 출몰부(1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3 출몰부(1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 및 제1, 2, 3 출몰부(120, 130, 140)의 최대 인출 길이를 한정하는 인출길이 조절부재(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탄성 장치(100)는 출몰부가 제1 출몰부(120), 제2 출몰부(130) 및 제3 출몰부(140) 이렇게 3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단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본체(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2 기준 우측에 개구부(114)가 형성되고, 폐쇄된 좌측에는 앵커(20)가 연결되도록 고리(112)가 설치된다.
본체(110)는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 등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양쪽으로 분할될 수 있다.
본체(110)의 내주면 일측과 타측에는 대향된 제1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16, 118)가 각각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제1 출몰부(1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10)의 개구부(114) 내부에 위치되며, 도 2 기준 우측에 제1 전방 개구부(122a)가 형성되고, 좌측에 제1 후방 개구부(122b)가 형성된다.
제1 출몰부(120)는 제1 후방 개구부(122b)가 형성된 단부가 본체(110)의 개구부(114)를 통해 삽입되어 설정 거리만큼 출몰하게 된다.
제1 출몰부(120)는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 등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양쪽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출몰부(120)의 내주면 일측과 타측에는 대향된 제2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24, 126)가 각각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출몰부(120)의 외주면 중 제1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16, 118)의 사이마다 제1 대향 탄성체 고정구(128)가 대응되게 설치된다.
제2 출몰부(1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출몰부(120)의 제1 전방 개구부(122a) 내부에 위치되며, 도 2 기준 우측에 제2 전방 개구부(132a)가 형성되고, 좌측에 제2 후방 개구부(132b)가 형성된다.
제2 출몰부(130)는 제2 후방 개구부(132b)가 형성된 단부가 제1 출몰부(120)의 제1 전방 개구부(122a)를 통해 삽입되어 설정 거리만큼 출몰하게 된다.
제2 출몰부(130)는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 등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양쪽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2 출몰부(130)의 내주면 일측과 타측에는 대향된 제2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24, 126)가 각각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2 출몰부(130)의 외주면 중 제2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24, 126)의 사이마다 제2 대향 탄성체 고정구(138)가 대응되게 설치된다.
제3 출몰부(1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출몰부(130)의 제2 전방 개구부(132a) 내부에 위치되며, 도 2 기준 폐쇄된 좌측에 로프(30)와 연결되도록 고리(142)가 설치되고, 우측에는 개구부(144)가 형성된다.
제3 출몰부(140)는 개구부(144)가 형성된 단부가 제2 출몰부(130)의 제2 전방 개구부(132a)를 통해 삽입되어 설정 거리만큼 출몰하게 된다.
제3 출몰부(140)는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 등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양쪽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3 출몰부(140) 내주면 일측과 타측에는 대향된 제3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34, 136)가 각각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3 출몰부(140)의 외주면 중 제3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34, 136)의 사이마다 제3 대향 탄성체 고정구(146)가 대응되게 설치된다.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는 본체(110)의 내주면에 설치된 제1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16, 118)의 대향면과, 제1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16, 118)의 대향면과 마주보는 제1 출몰부(120)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1 대향 탄성체 고정구(128)의 전후면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어 제1 출몰부(1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는 어느 하나가 압축된 상태이면 다른 하나는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16, 118)와 제1 대향 탄성체 고정구(128)의 사이에 신장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는 제1 출몰부(120)가 본체(110)에서 인출 또는 인입된 상태에서 당겨진 로프(30)가 느슨해지면 제1 출몰부(120)가 원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의 탄성계수는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의 탄성계수보다 크므로 로프(30)가 당겨지면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보다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가 먼저 신장 및 압축되거나 압축 및 신장된다.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는 제2 출몰부(130)의 내주면에 설치된 제2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24, 126)의 대향면과, 제2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24, 126)의 대향면과 마주보는 제2 출몰부(130)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2 대향 탄성체 고정구(138)의 전후면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어 제2 출몰부(13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는 어느 하나가 압축된 상태이면 다른 하나는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24, 126)와 제2 대향 탄성체 고정구(138)의 사이에 신장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는 제2 출몰부(130)가 제1 출몰부(120)에서 인출 또는 인입된 상태에서 당겨진 로프(30)가 느슨해지면 제2 출몰부(130)가 원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의 탄성계수는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의 탄성계수보다 크므로 로프(30)가 당겨지면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보다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가 먼저 신장 및 압축되거나 압축 및 신장된다.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는 제3 출몰부(140)의 내주면에 설치된 제3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34, 136)의 대향면과, 제3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34, 136)의 대향면과 마주보는 제3 출몰부(140)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3 대향 탄성체 고정구(146)의 전후면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어 제3 출몰부(14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는 어느 하나가 압축된 상태이면 다른 하나는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3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34, 136)와 제3 대향 탄성체 고정구(146)의 사이에 신장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는 제3 출몰부(140)가 제2 출몰부(130)에서 인출 또는 인입된 상태에서 당겨진 로프(30)가 느슨해지면서 원위치되면 제3 출몰부(130)가 원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의 탄성계수는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와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 대비 탄성계수가 가장 작으므로 로프(30)가 당겨지면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 및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 순서로 신장 및 압축되거나 압축 및 신장된다.
인출길이 조절부재(180)는 본체(110)와 제3 출몰부(140)의 대향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2, 3 출몰부(120, 130, 140)의 최대 인출 길이를 한정한다.
이를 위해 인출길이 조절부재(180)는 제1 가이드(182), 제1 축부(184), 제2 가이드(190), 제2 축부(188) 및 길이조절부(18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가이드(182)는 도 4 기준 본체(110)의 우측 내벽면에 고정되는 원통 형상으로 좌측은 개구 형성되며, 삽입된 제1 축부(184)가 분리되지 않도록 개구 형성된 내주면 단부에 턱이 돌출 형성된다.
제1 가이드(182)는 본체(110)의 내벽면에 일체 또는 별도로 제작한 후 용접 등으로 접합하거나 나선 체결 등의 방식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축부(184)는 우측단이 제1 가이드(18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좌측단은 길이조절부(186)에 나선 체결되도록 나선이 형성된다. 제1 축부(184)의 우측단은 직경이 확장 형성되어 턱에 의해 제1 가이드(182)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제2 가이드(190)는 도 4 기준 제3 출몰부(140)의 좌측 내벽면에 고정되는 원통 형상으로 우측은 개구 형성되며, 삽입된 제2 축부(188)가 분리되지 않도록 개구 형성된 내주면 단부에 턱이 돌출 형성된다.
제2 가이드(190)는 제3 출몰부(140)의 내벽면에 일체 또는 별도로 제작한 후 용접 등으로 접합하거나 나선 체결 등의 방식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축부(188)는 좌측단이 제2 가이드(19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우측단은 길이조절부(186)에 나선 체결되도록 나선이 형성된다. 제2 축부(188)의 좌측단은 직경이 확장 형성되어 턱에 의해 제2 가이드(19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제2 축부(188)의 단부에 형성된 나선은 제1 축부(184)의 단부에 형성된 나선과 나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길이조절부(186)의 회전 방향에 맞게 제1, 2 축부(184, 188)가 일률적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길이조절부(18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홀이 관통 형성되어 홀 일측에 제1 축부(184)의 나선 방향과 대응되는 나선홈이 형성되고, 홀 타측에 제2 축부(188)의 나선 방향과 각각 대응되는 나선홈이 형성된다.
길이조절부(186)에는 제1 축부(184)와 제2 축부(188)의 나선 각각이 나선홈에 각각 체결될 때 제1 축부(184)와 제2 축부(188)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제1 축부(184)와 제2 축부(188)의 나선 각각에 풀림방지 너트가 부가될 수 있다.
이렇게, 길이조절부(186)는 일방향 회전시 제1, 2 축부(184, 188)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고, 타방향 회전시 제1, 2 축부(184, 188)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류용 탄성 장치(100)에 의해 부유체(10)를 계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중 바닥에 설치된 앵커(20)와,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10)의 바닥 양쪽을 연결한 로프(30)의 단부 사이에 계류용 탄성 장치(100)의 본체(110)에 설치된 고리(112)와, 제3 출몰부(140)에 설치된 고리(142)를 각각 연결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수 간만의 차이나 홍수 등으로 인해 수위가 변동됨에 따라 부유체(1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유동하면, 좌측 탄성 장치(100) 중 본체(110)에서 좌측 탄성 장치(100)의 제3 출몰부(140), 제2 출몰부(130) 및 제1 출몰부(120)의 순서로 순차 인출되고, 우측 탄성 장치(100)의 제3 출몰부(140), 제2 출몰부(130) 및 제1 출몰부(120)의 순서로 본체(110) 내부로 순차 인입된다.
이는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의 탄성계수가 가장 작고,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의 탄성계수가 중간이고,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의 탄성계수가 가장 크므로 로프(30)의 당김시 좌측 탄성 장치(100)는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 및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 순으로 본체(110)에서 인출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로프(30)가 느슨해지는 우측 탄성 장치(100)는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 및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 순으로 본체(110) 내부로 인입된다.
다음으로, 수위가 안정되어 좌측 탄성 장치(100)의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와,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 및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의 복원력에 의해 부유체(10)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유동하면, 로프(30)가 느슨해지는 좌측 탄성 장치(100)는 제3 출몰부(140), 제2 출몰부(130) 및 제1 출몰부(120)의 순서로 본체(110) 내부로 인입되고, 로프(30)가 당겨지는 우측 탄성 장치(100)는 제3 출몰부(140), 제2 출몰부(130) 및 제1 출몰부(120)의 순서로 인출된다.
결국, 다단으로 구비된 제1 출몰부(120), 제2 출몰부(130) 및 제3 출몰부(140)의 인출 또는 인입시 탄성계수가 다른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 및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에 의해 제1 출몰부(120)가 먼저 인출되기 시작하여 제1 출몰부(120)가 끝까지 인출(도 5 참조)되면 제2 출몰부(130)가 후속으로 인출되며, 제2 출몰부(130)가 끝까지 인출(도 6 참조)되면 제3 출몰부(140)가 후속으로 인출(도 7 참조)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출몰부(120), 제2 출몰부(130) 및 제3 출몰부(140) 전체가 본체(11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탄성 장치(100)의 부피가 감소되지만, 제1 출몰부(120), 제2 출몰부(130) 및 제3 출몰부(140) 전체가 본체(110)에서 인출되면 제1 출몰부(120), 제2 출몰부(130) 및 제3 출몰부(140)의 전체 길이에 대한 탄성력을 부유체(10)에 제공하게 된다.
더욱이, 인출길이 조절부재(180)의 구성 중 제1 축부(184)의 나선과 제2 축부(188)의 나선이 길이조절부(186)의 양단에 나선 체결된 상태에서 제1 축부(184)와 제2 축부(188)가 제1 가이드(182)와 제2 가이드(190)의 내부에서 인출되므로 제1 축부(184)와 제2 축부(188)의 단부에 형성된 확장부가 제1 가이드(182)와 제2 가이드(190)의 단부에 형성된 턱에 걸릴 때까지 본체(110)와 제3 출몰부(140)가 벌어진다.
한편, 본체(110)에서 제3 출몰부(140)의 최대 인출 길이가 인출길이 조절부재(180)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이는 제1 출몰부(120), 제2 출몰부(130) 및 제3 출몰부(140)의 인출 길이를 늘리기 위해 길이조절부(186)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길이조절부(186)와 나선 체결된 제1 축부(184) 및 제2 축부(188)의 체결 정도가 작아지게 되면서 제1 가이드(182)와 제2 가이드(190)의 거리가 멀어진다[도 4(b) 참조]. 반대로, 본체(110)와 제3 출몰부(140)의 인출 길이를 줄이기 위해 길이조절부(186)를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길이조절부(186)와 나선 체결된 제1 축부(184) 및 제2 축부(188)의 체결 정도가 커지게 되면서 제1 가이드(182)와 제2 가이드(190)의 거리가 좁아진다[도 4(a) 참조].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부유체
20: 앵커
30: 로프
100: 탄성 장치
110: 본체
112: 고리
114: 개구부
116, 118: 제1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
120: 제1 출몰부
122a, 122b: 제1 전, 후방 개구부
124, 126: 제2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
128: 제1 대향 탄성체 고정구
130: 제2 출몰부
132a, 132b: 제2 전, 후방 개구부
134, 136: 제3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
138: 제2 대향 탄성체 고정구
140: 제3 출몰부
142: 고리
144: 개구부
146: 제3 대향 탄성체 고정구
150, 152: 제1 전, 후방탄성체
160, 162: 제2 전, 후방탄성체
170, 172: 제3 전, 후방탄성체
180: 인출길이 조절부재
182, 190: 제1, 2 가이드
184, 188: 제1, 2 축부
186: 길이조절부

Claims (4)

  1. 수중 바닥에 설치된 앵커(20)와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10)를 연결하여 계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유체(10)에 연결된 로프(30)와 상기 앵커(20) 사이에 연결되는 탄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20)가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에 개구부(114)가 형성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타측 내부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 거리만큼 출몰하는 제1 출몰부(120);
    상기 제1 출몰부(120)의 타측 내부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 거리만큼 출몰하며, 타측에 로프(30)가 연결되는 제2 출몰부(130);
    상기 제2 출몰부(130)의 타측 내부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 거리만큼 출몰하는 제3 출몰부(140);
    상기 본체(110)의 내주면 전후에 각각 이격 설치된 방사상의 제1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16, 118)와, 상기 제1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16, 118)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제1 출몰부(12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제1 대향 탄성체 고정구(128)와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
    상기 제1 출몰부(120)의 내주면 양단에 이격 설치된 방사상의 제2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24, 126)와, 상기 제2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24, 126)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제2 출몰부(13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제2 대향 탄성체 고정구(138)와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 및
    상기 제2 출몰부(130)의 내주면 양단에 이격 설치된 방사상의 제3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34, 136)와, 상기 제3 일, 타측 탄성체 고정구(134, 136)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제3 출몰부(14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제3 대향 탄성체 고정구(146)와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출몰부(140)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출몰부(140)의 단 수에 따라 상기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가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용 탄성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와, 상기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 및 상기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3 전, 후방탄성체(170, 172) < 상기 제2 전, 후방탄성체(160, 162) < 상기 제1 전, 후방탄성체(150, 152) 순으로 구성되는 계류용 탄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와 상기 제2 출몰부(130)의 대향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2 출몰부(120, 130)의 최대 인출 길이를 한정하는 인출길이 조절부재(180)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길이 조절부재(18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개구 형성된 제1 가이드(182);
    상기 제1 가이드(182)의 개구 형성된 내부에서 출몰하며, 단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1 축부(184);
    상기 제1 가이드(182)와 대향된 상기 제2 출몰부(130)의 내부에 타단이 고정되며, 일단은 개구 형성된 제2 가이드(190);
    상기 제2 가이드(190)의 개구 형성된 내부에서 출몰하며, 상기 제1 축부(184)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선 형성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단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2 축부(188); 및
    상기 제1, 2 축부(184, 188)의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내주면 양단에 반대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나선 체결되며, 회전시 상기 제1, 2 축부(184, 188)의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1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용 탄성 장치.
KR1020170143979A 2017-10-31 2017-10-31 계류용 탄성 장치 KR101838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79A KR101838217B1 (ko) 2017-10-31 2017-10-31 계류용 탄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79A KR101838217B1 (ko) 2017-10-31 2017-10-31 계류용 탄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217B1 true KR101838217B1 (ko) 2018-03-13

Family

ID=6166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979A KR101838217B1 (ko) 2017-10-31 2017-10-31 계류용 탄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2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0241A (zh) * 2018-10-09 2018-12-11 扬州飞天弹簧有限公司 一种抗塑性变形的弹簧及其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3962A (ja) * 2007-01-29 2008-08-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浮体の係留装置
KR101171441B1 (ko) 2009-12-02 2012-08-08 조영철 계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3962A (ja) * 2007-01-29 2008-08-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浮体の係留装置
KR101171441B1 (ko) 2009-12-02 2012-08-08 조영철 계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0241A (zh) * 2018-10-09 2018-12-11 扬州飞天弹簧有限公司 一种抗塑性变形的弹簧及其制造方法
CN108980241B (zh) * 2018-10-09 2023-11-10 扬州飞天弹簧有限公司 一种抗塑性变形的弹簧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1249B1 (ko) 해양 구조물의 벽 요소에 대해 설치 가능한 환형 씰 부재
RU24788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спользующее энергию морских волн
US6476512B1 (en) Electricity generating wave pipe (or EGWaP)
KR101838217B1 (ko) 계류용 탄성 장치
US9656728B2 (en) Method for deploying and recovering a wave energy converter
EP2381151B1 (en) Deformable tubular seal member
RU2517634C2 (ru) Якорная система
JP2009281344A (ja) 潮力発電装置
KR20180108195A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설비
EP2000628A2 (en) Bend Stiffener
KR102083576B1 (ko) 수상 부유 시설물용 계류장치
CN217918337U (zh) 一种海上抗风浪的波动浮体阵列
EP3384574A1 (en) Bend limiting device for a cable connected to a floating marine installation or vessel
KR20190023499A (ko) 해저케이블 고정장치
KR20150035897A (ko) 파력발전유닛 및 파력발전방법
JP2023516544A (ja) 海底ラインクランプ組立体
CN110829338A (zh) 一种水下缆保护装置
KR102429989B1 (ko) 앵커부재를 구비한 수중 에너지 저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10370066B2 (en) Separable buoy
CN217706209U (zh) 一种水上漂浮式光伏电站的浮体连接件以及连接螺栓
CN217706210U (zh) 一种水上漂浮式光伏电站的浮体连接件
KR101632001B1 (ko) 수상 태양광 구조물
CN217918338U (zh) 一种水上漂浮式浮体以及浮体拉耳
JP6797397B2 (ja) 越波式波力利用装置及び越波式波力利用施設
JP6979585B2 (ja) 太陽光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