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669B1 - 캠퍼밴 팝업장치 - Google Patents

캠퍼밴 팝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669B1
KR102175669B1 KR1020190095879A KR20190095879A KR102175669B1 KR 102175669 B1 KR102175669 B1 KR 102175669B1 KR 1020190095879 A KR1020190095879 A KR 1020190095879A KR 20190095879 A KR20190095879 A KR 20190095879A KR 102175669 B1 KR102175669 B1 KR 102175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rotation
rotation shaft
gea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어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어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어볼트
Priority to KR1020190095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60P3/38Sleeping arrangements, e.g. living or sleeping accommodation on the roof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캠퍼밴 팝업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승하강되면서 개폐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평회전축, 상기 수평회전축의 양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평회전축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이송회전축, 상기 이송회전축에 연장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바, 상기 이송스크류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스크류바 상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그 하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고, 그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승하강시키는 승강이동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캠퍼밴 팝업장치{Apparatus for campervan POP-UP}
본 발명은 캠퍼밴 팝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구성들의 밸런스가 정교하게 유지되어 충분한 하중을 지탱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충분한 강성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캠퍼밴 팝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을 벗어나 레저활동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레저용품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 중에 차량의 루프를 개방한 후 팝업구조를 설치하고 덥개로 마감하여, 루프 팝업시 차량 내부에서 서서 이동이 가능하고 내부는 취침이 가능한 구조로 캠퍼밴의 일체형 팝업 구조가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캠퍼밴 팝업 구조는 차량용 루프탑 텐트와 자동차를 일체화 시킨 것으로써, 기존에 루프탑 텐트로 인한 운행중 풍압 증가, 차량의 중심이 상향되어 전도위험성이 높아지는 운행 불안감을 제거하고, 또 캠핑시 차량 내부 공간을 확대함으로써 근자에 들어 점점 사용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도 캠핑 인구가 점차 늘어, 뉴스자료 등을 통해 소개된 국내 캠핑인구는 600만명으로 추산되며, 캠핑관련 시장의 규모는 추정계산을 통해서 10조 규모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 규모에 비해 국내 캠핑용품 및 기구들의 대부분은 외산브랜드를 카피하는 수준으로, 제품의 구성요소들 대부분이 이를 모방한 범위에서 벗어나질 못하여 품질면에서 유럽이나 미국제품에 대응하는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캠퍼밴 팝업 구조를 살펴보면, 대체로 스프링 쇼바 방식을 이용한 관절방식으로써, 계절의 온도편차에 따른 성증저하 및 운행 중 지속적인 충격과 진동등에 의해 내구성 저하등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붕의 상단에 태양광 패널 설치 및 짐 적재시 좌우 밸런스가 무너지거나, 하중을 견디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2점 발란스 기능만으로 충분히 구현될 수 있고, 작동상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캠퍼밴 팝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KR 제10-1748407호 (2017.06.12 등록)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구조와 간단한 작동 방식에 의해 안정적으로 그 구조가 유지될 수 있고, 발란스가 충분히 맞추어져 실제 사용하는 사용자가 안정감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새로운 방식의 캠퍼밴 팝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캠퍼밴 팝업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승하강되면서 개폐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평회전축, 상기 수평회전축의 양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평회전축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이송회전축, 상기 이송회전축에 연장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바, 상기 이송스크류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스크류바 상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그 하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고, 그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승하강시키는 승강이동바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첫째, 2개의 축의 밸런스가 정교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팝업의 구조의 개폐가 내부 구동부에서만 작동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개폐가 불가능하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구동부에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개폐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모터 고장이나 배터리 소모로 인하여 작동이 불가능할때는 수동 공구를 이용하여 개폐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넷째, 구조상 상당한 하중을 지탱할 수 있기 때문에 짐 적재가 가능하고,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어 개방시 풍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높은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팝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차량 내부에서 별도의 회전공구를 이용하여 팝업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팝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제 차량에 장착되어 팝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중앙구동기어부의 내부 사시도,
도 6과 도 7은 서브구동기어부의 내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이동부재를 중심으로 한 사시도,
도 9는 고정구 중심으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회동제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이른바 팝업 상태가 완성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캠퍼밴 팝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팝업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차량 내부에서 별도의 회전공구를 이용하여 팝업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팝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실제 차량에 장착되어 팝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5는 중앙구동기어부(400)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각각 서브구동기어부(500)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이동부재(800)를 중심으로 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하부프레임(100), 상부프레임(200), 수평회전축(300), 이송회전축(600), 이송스크류바(700), 이동부재(800) 및 승강이동바(900)를 포함한다.
상부프레임(200)과 하부프레임(100)은 FRP를 이용한 하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반드시 어떤 특정의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부프레임(200)은 하부프레임(100)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승하강되면서 개폐된다. 즉,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부프레임(200)과 하부프레임(100)은 회전봉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회전공구를 이용하여 이하 설명할 회전공급기어(320)를 회전시키면 상부프레임(200)이 소정 각도로 승강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별도의 회전공구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제공한다고 하였지만, 별도의 모터와 모터에 연결된 작동버튼을 통해 구동력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하부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된 수평회전축(300)이 개시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회전축(300)은 정역방향(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회전공급기어(320)와 회전매개기어(310)의 맞물림 회전에 의해 수평회전축(300)의 회전한다.
중앙구동기어부(400)가 개시된다. 중앙구동기어부(400)는 다양한 회전결합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면상 수직으로 형성된 회전공급기어(320)와 이에 맞물린 회전매개기어(310)로 구성된다.
또한, 회전공급기어(320)와 회전매개기어(310)가 설치될 수 있는 일종의 하우징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형상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수평회전축(300)이 거치된 채 회전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본 발명에 채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회전축(300)은 양 측에 설치된 베벨기어구에 의해 거치된 채 회전한다.
한편, 도 6과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평회전축(300)의 양측에 설치되어 수평회전축(30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서브구동기어부(500)가 개시된다.
서브구동기어부(500) 역시 중앙구동기어부(400)와 마찬가지로 어떤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앙회전축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이 이하 설명할 이송회전축(600)에 전달되는 구조라면 본 발명에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브구동기어부(500)는 수평기어(330,350)와 이에 맞물린 이송기어(340,360)로 구성된다.
이 수평기어는 제1수평기어(330)와 제2수평기어(350)로 양측에 설치되고, 이송기어 역시 이에 대응하여 제1이송기어(340)와 제2이송기어(360)가 양측에 설치된다.
수평기어(330,350)와 이에 맞물린 이송기어(340,360)가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안에도 역시 별도의 베벨기어구에 의해 수평회전축(300)이 거치된 채 회전하고, 이송회전축(600) 역시 거치된 채 회전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수평회전축(300)의 회전력이 이송회전축(600)으로 전달되고, 이에 연동하여 이송스크류바(700)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재(800)가 이동하면서 상부프레임(200)이 소정 각도로 승강된다.
이송스크류바(700)가 개시된다. 즉, 도 1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바(700)는 이송회전축(600)에 연장 연결되어 이송회전축(600)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즉, 이송회전축(600)이 소정길이 만큼 연장 형성된 뒤, 이송스크류바(700)가 연장 형성되는데, 이송스크류바(700)의 양 끝단에는 베어링부재(제1베어링부재(410), 제2베어링부재(420))가 설치되고, 이동부재(800) 역시 이송스크류바(700)에 체결된다.
이동부재(800)는 이하 설명할 이송너트구(제1이송너트구(830), 제2이송너트구(840,도면 부호 미도시))가 이송스크류바(700)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어 이송스크류바(700)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재(800) 역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송스크류바(700)의 양 끝단에는 제1베어링부재(410)와 제2베어링부재(420)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1베어링부재(410)와 제2베어링부재(420)는 회전 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있지만, 더 나아가 이동부재(800)의 스토퍼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이하 설명할 회동제한구(612) 이외에 제2베어링부재(420)에 의해 이동부재(800)가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끔하여 소정 각도로 상부프레임(200)이 승강되어 이른바 팝업 상태를 이루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회전매개기어, 회전공급기어, 수평기어 및 이송기어는 베벨기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베벨기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기어라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부재(800)가 소개된다.
이동부재(800)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바(700)에 체결되어 이송스크류바(700)의 회전에 따라 이송스크류바(700) 상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한다.
이동부재(800) 역시 어떤 하나의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송스크류바(700)를 따라 회전력이 제공되어 이동할 수 있는 구조라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그 하단이 이동부재(800)에 연결되고, 그 상단은 상부프레임(200)의 일지점에 연결되어 이동부재(800)의 이동에 따라 상부프레임(200)이 하부프레임(100)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승하강시키는 승강이동바(900)가 개시된다.
승강이동바(900)는 이하 설명하겠지만, 양 측에 2개가 설치되는데, 이동부재(800)가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여 상부프레임(200)의 승하강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지지 않게 된다.
도 5를 참조로 회전공급기어(320)와 이에 맞물린 회전매개기어(310)로 구성될 수 있는 중앙구동기어부(400)와 회전공급기어(320)와 이에 맞물린 회전매개기어(310)가 안착된 내부 하우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평회전축(300)에는 회전매개기어(310)가 설치되고, 회전매개기어(310)와 맞물림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공급기어(320)가 설치된다.
이때, 회전매개기어(310)가 도 5 상에는 회전공급기어(320)를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하는데, 이 경우에는 제1수평기어(330)와 제2수평기어(350) 역시 각각의 하우징 내부에서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회전매개기어(310)가 한개인 경우 즉 구동력이 한개일 때에 본 발명의 작동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동일한 위치에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회전매개기어(310)가 도 5 상에 수평회전축(300)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다면 이에 대응하여 제1수평기어(330)와 제2수평기어(350) 역시 각각의 하우징 내부에서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더 나아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나란히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회전축(300a,300b)이 개시된다.
이때, 한 쌍의 수평회전축(300a,300b) 양 끝단에는 한 쌍의 회전매개기어(310a.310b)가 설치되고, 회전매개기어(310a.310b)와 맞물림되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회전공급기어(320)가 한 쌍의 회전매개기어(310a.310b)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한 쌍의 수평회전축(300a,300b) 각각이 회전매개기어(310a.310b)에 관통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매개기어(310)가 2개가 설치되는 경우, 즉 구동력이 2개일 때에는 제1수평기어(330)는 하우징 내부에서 좌측에 위치하고, 제2수평기어(350)는 하우징 내부에서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다시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이송회전축(600)은 제1이송회전축(610)과 제2이송회전축(620)으로 구성된다.
이때,수평회전축(300)에는 제1수평기어(330)가 설치(도면상 제1이송기어(340)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되고, 제1수평기어(330)와 맞물림되어 제1이송회전축(610)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제1이송기어(340)가 설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평기어(350)가 설치되는데, 마찬가지로 도면상 제2이송기어(360)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며, 제2수평기어(350)와 맞물림되어 제2이송회전축(620)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제2이송기어(360)가 설치된다.
결국, 회전공급기어(320)가 회전되면 회전매개기어(310)가 회전하고, 그 회전에 의해 제1수평기어(330)와 제2수평기어(350)가 회전하며, 각각에 맞물린 제1이송기어(340)와 제2이송기어(360)가 회전하면서 이에 대응하여 제1이송회전축(610)과 제2이송회전축(620)의 회전을 통해 구동력이 전달된다.
다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로 이송스크류바(700)와 이동부재(800)를 중심으로 주면 구성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스크류바(700)는, 제1이송회전축(610)에 연장 연결된 제1이송스크류바(710)와 제2이송회전축(620)에 연장 연결된 제2이송스크류바(720)로 구성된다.
즉, 제1,2이송회전축(600)이 소정길이로 연장 형성된 뒤에 다시 소정길이로 제1,2이송스크류바(700)가 연장 형성된다.
이동부재(800) 역시 제1이송스크류바(710)에 체결되는 제1이동부재(810)와 제2이송스크류바(720)에 체결되는 제2이동부재(820)로 구성되는데, 제1이동부재(810)와 제2이동부재(820) 각각의 내부에는 제1이송스크류바(710)와 제2이송스크류바(720)를 따라 나사 맞물림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1이송너트구(830)와 제2이송너트구(84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2이송너트구 내부에는 제1,2이송스크류바(7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림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2이송스크류바(700)의 회전에 따라 이 제1,2이송너트구와 이를 포함하는 제1,2이동부재(800)가 제1,2이송스크류바(70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물론, 제1이송너트구(830)와 제2이송너트구(840)의 형상은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을 참조로 승강이동바(900) 중심으로 구현된 구성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이동바(900)는 이동부재(800)에 체결된 하부브라켓(911,921)과, 고정구(110)를 매개로 상부프레임(200)에 설치된 상부브라켓(611,613)에 대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승강이동바(900)는, 제1이동부재(810)에 제1브라켓(91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승강이동바(910)와, 상기 제2이동부재(820)에 제2브라켓(92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승강이동바(920)로 구성된다.
제1,2 브라켓은 각각 제1,2승강이동바가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데, 그 회전방식은 어떤 하나의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핀결합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00)에는 제1이동부재(810)와 제2이동부재(820)가 이동할 수 있는 각각의 수평레일(930,9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수평레일은 제1수평레일(930)과 제2수평레일(940)로 구성되는데, 이송스크류바(700)의 회전시 이동부재(800)가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레일이 추가될 수 있고, 이 레일이 형성됨으로써 이송스크류바(700)의 회전시 이동부재(800)가 안정적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이동한다.
즉,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부재(8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일종의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부프레임(100)에는 이송스크류바(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한 레일을 더 포함한다.
이때, 제1이동부재(810)의 하부에는 제1수평레일(9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1슬라이딩구(931)가 설치되고, 제2이동부재(820)의 하부에도 역시 제2수평레일(9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2슬라이딩구(94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스크류바의 나사산과 나사산의 길이 즉, 피치는 15mm 이상 30m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치되는 차량에 따라 그 피치 길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mm로 설정하는 경우 최적의 효과가 구현된다.
이어서 제1이송스크류바(710)의 양 끝단에는 제1베어링부재(410)와 제2베어링부재(4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와 동일하게 제2이송스크류바(720)의 양 끝단에도 제3베어링부재(430)와 제4베어링부재(4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부재는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하지만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른바 팝업 작동의 피니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종의 스토퍼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로 본 발명의 고정구(110)를 중심으로 그 주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프레임(200)에는 고정구(110)가 설치되고, 고정구(110)에 결합된 제1상부브라켓(61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제1승강이동바(900)가 체결되고, 제1승강이동바(900)의 끝단에는 제1회동제한구(612)가 형성되어 제1회동제한구(612)와 제1상부브라켓(611)의 면접촉에 의해 제1승강이동바(90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고정구(110)에 결합된 제2상부브라켓(61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제2승강이동바(900)가 체결되고, 제2승강이동바(900)의 끝단에는 제2회동제한구(614)가 형성되어 제2회동제한구(614)와 제2상부브라켓(613)의 면접촉에 의해 제2승강이동바(90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2상부브라켓과 제1,2승강이동바(900)는 그 일예로 핀결합에 의해 회전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승강이동바(900) 끝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일종의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회동제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제한구의 측면과 각각의 상부브라켓과의 면접촉에 의해 승강이동바(90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캠퍼밴 팝업장치에 대하여 예시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 하부프레임 200 : 상부프레임
300 : 수평회전축 600 : 이송회전축
700 ; 이송스크류바 800 : 이동부재
900 : 승강이동바

Claims (9)

  1.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승하강되면서 개폐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평회전축;
    상기 수평회전축의 양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평회전축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되, 상기 상부프레임이 안정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이송회전축;
    상기 이송회전축에 연장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바;
    상기 이송스크류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스크류바 상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그 하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고, 그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승하강시키는 승강이동바; 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송스크류바에 체결되고,
    상기 이동부재 내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바를 따라 나사 맞물림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송너트구가 설치되되, 상기 이송너트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연동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송스크류바의 회전에 따른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이송스크류바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별도의 수평레일이 설치되고, 이동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안정적인 수평 이동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별도의 슬라이딩구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송스크류바의 양단에는 베어링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바의 회전을 유도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스토퍼 기능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승강이동바는 상기 이동부재에 체결된 하부브라켓과, 고정구를 매개로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상부브라켓에 대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승강이동바의 끝단에는 그 단면이 직육면체 형상인 회동제한구가 상기 승강이동바의 길이방향과 소정 각도로 경사진 채 형성되어 상기 회동제한구의 일측면이 상기 상부브라켓의 면접촉에 의해 상기 승강이동바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퍼밴 팝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축에는 회전매개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매개기어와 맞물림되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회전공급기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퍼밴 팝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축과 상기 이송회전축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수평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수평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기어와 직교방향으로 맞물림되고 상기 이송회전축에 설치되어 이송회전축의 회전을 유도하는 이송기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퍼밴 팝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매개기어, 회전공급기어, 수평기어 및 이송기어는 베벨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평기어와 상기 이송기어는 각각 상기 수평회전축과 상기 이송회전축에 관통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퍼밴 팝업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95879A 2019-08-07 2019-08-07 캠퍼밴 팝업장치 KR10217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79A KR102175669B1 (ko) 2019-08-07 2019-08-07 캠퍼밴 팝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79A KR102175669B1 (ko) 2019-08-07 2019-08-07 캠퍼밴 팝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669B1 true KR102175669B1 (ko) 2020-11-06

Family

ID=7357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879A KR102175669B1 (ko) 2019-08-07 2019-08-07 캠퍼밴 팝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6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2454B2 (ja) * 1993-07-21 2002-07-1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ルーフ昇降装置
US20060125268A1 (en) * 2004-02-20 2006-06-15 Kunz James R Articulating mount for an in-vehicle display
KR101536625B1 (ko) * 2013-11-27 2015-07-14 최병찬 루프 탑 텐트 설치용 리프팅장치
CN204899422U (zh) * 2015-07-09 2015-12-23 刘日森 车顶帐篷的电动开合机构
KR101748407B1 (ko) 2015-07-21 2017-06-16 박병섭 접철식 확장형 루프탑 텐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2454B2 (ja) * 1993-07-21 2002-07-1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ルーフ昇降装置
US20060125268A1 (en) * 2004-02-20 2006-06-15 Kunz James R Articulating mount for an in-vehicle display
KR101536625B1 (ko) * 2013-11-27 2015-07-14 최병찬 루프 탑 텐트 설치용 리프팅장치
CN204899422U (zh) * 2015-07-09 2015-12-23 刘日森 车顶帐篷的电动开合机构
KR101748407B1 (ko) 2015-07-21 2017-06-16 박병섭 접철식 확장형 루프탑 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37603B (zh) 万向关节
US6729590B2 (en) Leveling device
US7383786B2 (en) Active platform for a boat
KR102103227B1 (ko)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
CN106123435B (zh) 冰箱及其搁物架
KR102175669B1 (ko) 캠퍼밴 팝업장치
CN104064870B (zh) 品字型阵列天线自动俯仰装置
CN110745749B (zh) 电力施工升降设备
WO2016106761A1 (zh) 翻转机构及柜式翻转床
CN212131870U (zh) 工程质量监理平台
CN109907445A (zh) 一种罗马伞的伞面摆角和收绳机构
CN217003925U (zh) 电动升降可移动推车
FR2741421A1 (fr) Dispositif de support a inclinaison reglable et notamment a conservation de son horizontalite
CN107023500B (zh) 一种旋转驱动收纳的便携式电扇
CN208698335U (zh) 一种可折叠便携式美术画板
CN210714491U (zh) 一种指梁间距调节装置及钻修井机二层台
CN208589108U (zh) 一种可调整显示屏位置的金融自助设备
CN209398130U (zh) 重型窄筐滑轮
CN210242835U (zh) 一种便于携带的环境监测用支架
CN209687380U (zh) 竖向旋转的栅栏门
CN218583776U (zh) 一种球团矿焙烧炉
GB2264636A (en) Extendable table
CN221799520U (zh) 一种平移门窗用滑轮组件
CN111719612B (zh) 一种动力臂回转装置及挖掘机
CN115095255B (zh) 一种具有防坠落功能的一体式平开窗装配式附框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