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227B1 -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 - Google Patents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227B1
KR102103227B1 KR1020190088173A KR20190088173A KR102103227B1 KR 102103227 B1 KR102103227 B1 KR 102103227B1 KR 1020190088173 A KR1020190088173 A KR 1020190088173A KR 20190088173 A KR20190088173 A KR 20190088173A KR 102103227 B1 KR102103227 B1 KR 10210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mber
horizontal screw
bar
driving gear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어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어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어볼트
Priority to KR102019008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60P3/38Sleeping arrangements, e.g. living or sleeping accommodation on the roof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승하강되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앙에 구비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중앙회전축; 상기 중앙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회전축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부; 상기 중앙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부의 작동에 따른 회전력이 전달되는 수평스크류바; 상기 수평스크류바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스크류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스크류바 상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하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고, 그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이동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Apparatus for Roof Top Tent POP-UP}
본 발명은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탑 텐트를 받치는 여러 구성들의 밸런스가 정교하게 유지되어 충분한 하중을 지탱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충분한 강성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을 벗어나 레저활동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레저용품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 중 차량의 루프 위에 텐트를 설치하여 마치 이동식 주택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루프탑 텐트가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루프탑 텐트는 레저와 자동차 문화를 조화시킨 것으로서, 대형 트레일러나 캠핑카와는 달리 간편하게 자동차의 루프에 늘 장착한 상태에서 운행하고 필요에 따라 편리하면서 신속하게 설치하여 텐트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근자에 들어 점점 사용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도 캠핑 인구가 점차 늘어, 뉴스자료 등을 통해 소개된 국내 캠핑인구는 600만명으로 추산되며, 캠핑관련 시장의 규모는 추정계산을 통해서 10조 규모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 규모에 비해 국내 캠핑용품 및 기구들의 대부분은 외산브랜드를 카피하는 수준으로, 제품의 구성요소들 대부분이 이를 모방한 범위에서 벗어나질 못하여 품질면에서 유럽이나 미국제품에 대응하는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루프탑 텐트는 구조를 살펴보면, 대체로 스프링 쇼바 방식을 이용한 관절방식으로써, 수직하중이 매우 적고 4점 발랜스가 무너지면 텐트개방이 어렵기 때문에 환풍기 설치나 지붕내부 외부수납 등 제한사항이 많고 풍압에도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밸런스가 정교하게 유지되지 못하면 쉽게 무너지기 때문에 루프 상단에 짐을 적재할 수 없었다.
이에 루프탑 텐트를 포기하고 차량 루프 상단에 짐을 적재하거나, 또는 짐 적재를 포기하고 루프탑 텐트를 설치할 수 밖에 없었을 뿐 아니라, 지지대에 연결된 쇼바에 의해 4면부 출입구를 사용하지 못하고 2면부 출입구만 가능하였으므로, 이에 따르는 불편함이 있었다.
KR 제10-1748407호 (2017.06.12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루프탑 텐트를 받치는 4개의 축의 밸런스가 정교하게 유지되고, 구조상 상당한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짐 적재가 가능한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4면부 개방 및 출입이 가능해 측부 어닝을 설치하고도 후면부에서 진출입이 가능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의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의 경우 이동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것에 비해 본 발명은 이동부재 자체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다 안정적인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승하강되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앙에 구비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중앙회전축; 상기 중앙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회전축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부; 상기 중앙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부의 작동에 따른 회전력이 전달되는 수평스크류바; 상기 수평스크류바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스크류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스크류바 상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하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고, 그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이동바;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첫째, 루프탑 텐트를 받치는 4개의 축의 밸런스가 정교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구조상 상당한 하중을 지탱할 수 있기 때문에 짐 적재가 가능하고,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4면부 개방 및 출입이 가능해 측부 어닝을 설치하고도 후면부에서 진출입이 가능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가 전개되기 전 상태도,
도 2는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구동기어부를 중심으로 한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와 도 6은 이동부재의 작동과 레일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과 도 8은 이른바 팝업 중인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팝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이동부재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상부프레임에서 이동부재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가 전개되기 전 상태도이고, 도 2는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하부프레임(110), 상부프레임(112), 중앙회전축(130), 구동기어부(140), 수평스크류바(150), 이동부재(160) 및 승강이동바(170)를 포함하는데,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루프탑 텐트를 개폐하기 위한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100)를 제공하며, 이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100)는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0)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부프레임(112)을 구비한다.
상부프레임(112)과 하부프레임(110)은 FRP를 이용한 하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반드시 어떤 특정의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부프레임(110)의 중앙에는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중앙회전축(130)이 구비되고, 중앙회전축(130)의 양단에는 중앙회전축(130)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부(140)가 양측에 설치된다.
구동기어부(140)는 중앙회전축(130)의 양단 즉, 하부프레임(110)의 양측에 위치하게 되며, 이와 같은 한 쌍의 구동기어부(140)는 중앙회전축(130)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됨으로써, 구동기어부(140)의 작동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지지 않고 일정한 힘이 균등하게 분배되어 상부프레임(112)을 동시에 승하강시키게 된다.
중앙회전축(13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기어부(140)에 연결되어 구동기어부(140)의 작동에 따른 회전력이 전달되는 수평스크류바(150)와, 수평스크류바(150)에 체결되어 수평스크류바(150)의 회전에 따라 수평스크류바(150) 상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는 이동부재(160)와, 하단이 이동부재(160)에 연결되고, 그 상단은 상부프레임(112)의 일지점에 결합되어 이동부재(160)의 이동에 따라 상부프레임(112)을 승강시키는 승강이동바(170)를 포함한다.
즉, 중앙회전축(13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은 별도의 모터 혹은 별도의 회전공구에 의해 제공되는데, 이 중앙회전축(130)이 회전하여 구동기어부(140)에 회전력이 전달되면, 수평스크류바(150)가 회전하고, 이 수평스크류바(150)의 회전으로 인해 이동부재(160)가 중앙회전축(13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프레임(112)이 상승하고, 이동부재(160)가 중앙회전축(130)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프레임(112)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1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60)는 상부프레임(112)에 설치된 힌지고정부(190)를 매개로 결합되고, 하부프레임(110)에는 수평스크류바(150)를 지지하는 베어링지지부재(18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수평스크류바(150)와 이동부재(160), 승강이동바(170)는 중앙회전축(130)을 기준으로 양측에 2개씩 설치되어, 총 4개가 설치된다.
각각 4개가 설치되어야 이동부재(160)의 이동시 힘이 편중되지 않고 균등하게 분해되어 상부프레임(112)의 승하강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지지 않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구동기어부를 중심으로 한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회전축(130)은 구동기어부(14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채 외부로 노출된 부위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별도의 공구란 사용자가 수동으로 중앙회전축(130)을 회전시키는 공구를 의미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부재(160)가 중앙회전축(13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부프레임(112)은 승강되고, 이동부재(160)가 중앙회전축(130)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부프레임(112)은 하강된다.
즉, 상부프레임(112)의 일측면에는 구동기어부(140)의 구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삽입가능한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는 걸림턱(132a)이 형성된 구동부 잠금장치(132)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기어부(140)는 중앙회전축(130)의 일단에 설치된 제1구동기어(141)와, 제1구동기어(141)와 대응되는 위치에 중앙회전축(130)의 타단에 설치된 제2구동기어(142, 도 4 참조)와, 제1 구동기어(141)의 양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맞물리고 수평스크류바(150)의 단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제1 종동기어(143a)(143b)와, 제2 구동기어(142)의 양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맞물리고 수평스크류바의 단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제2 종동기어(144a)(144b)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제1 구동기어(141)와 제2구동기어(142)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부(140) 내에서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구동기어(141)(142)의 양측에 맞물린 한 쌍의 종동기어가 각각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수평스크류바(150)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며,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을 갖는 수평스크류바에 의하여, 수평스크류바에 체결된 4개의 이송부재(160)가 동일한 폭으로 벌어지거나 모아지도록 이송된다.
이때,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각각은 베벨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해당 기어는 그 형상에 구속되지 않고,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기어라면 다양하게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이동바(170)는 회전브라켓(300)을 매개로 이동부재(16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회전브라켓은 이동부재(160)에 대해 회전봉 또는 나사결합봉(32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이동부재(160)가 중앙회전축(13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프레임(112)이 승강시, 회전된 회전브라켓(300)과 이동부재(160)의 상부면과의 접촉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브라켓(30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구성은 상부프레임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상부프레임에 적용된 기술적 구성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즉, 승강이동바(170)는 힌지고정부(190)에 대해 회전브라켓(300)을 매개로 회전하되, 회전브라켓(300)의 일측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턱(310)이 구비되어 힌지고정부(190)와 걸림턱(310)에 의해 승강이동바(17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승강이동바(170)가 세워진 후 상기 상부프레임(112)임이 이루는 각도가 90°를 넘어가지 않고, 수직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회전브라켓(300)의 일측에는 걸림턱(310)이 형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회전브라켓(300)과 힌지고정부(19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는 있으나, 더욱 그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별도의 걸림턱(31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관계 중 이른바 팝업 중인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동부재(160)의 이동으로 점차 상부프레임(112)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9는 팝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는 별도의 드라이버 공구 또는 DC모터를 이용하여 중앙 회전축(130)을 회전시키면, 구동기어부(140)의 제1구동기어(141)가 회전하면서 양측의 종동기어(143a)(143b)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동시에 제2구동기어(142)가 회전하면서 제2구동기어에 맞물린 양측이 종동기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이와 같은 종동기어의 동작에 의해 4개의 수평스크류바(150)가 회전한다.
이때, 좌우에 위치한 한 쌍의 스크류바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4개의 이동부재(160)는 동일한 폭으로 스크류바(150)상에서 이동한다.
이동부재(160)가 이동함에 따라 4개의 승강이동바(170)와 상부프레임(112)의 저면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면서, 상부프레임(112)을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중앙 회전축(130)이 반대로 회전하면 구동기어부(140)의 종동기어의 회전방향이 상술한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면서 상부프레임(112)이 원래의 위치로 하강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스프링 쇼바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4개의 지지대가 정확하게 동일한 하중을 지탱하며, 정교하게 동일한 높이로 승강함으로써, 사용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4개의 축이 충분한 하중을 지탱하므로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평 스크류 바(150)를 통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 하였고, 승강동작이 정교하여 치수 정밀도가 매우 높으므로, 정교하게 루프탑 텐트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스크류바(150)의 회전시 이동부재(160)가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레일(200)이 추가된다.
이 레일(200)이 형성됨으로써 수평스크류바(150)의 회전시 이동부재(160)가 안정적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작동되는데, 더 나아가 베어링 지지부재(180)에 고정되는 가이드바(152)를 더 포함함으로써 더욱 더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부재(16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일종의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부프레임(110)에는 수평스크류바(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한 레일(200)을 더 포함되는데, 더 나아가 일종의 가이드바(152)를 더 포함됨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동부재(160) 형상 역시 반드시 어떤 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심플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가이드바(15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바(152) 측으로 연장된 뒤 연장된 끝 부분에 가이드바(152)에 끼워진 채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홀(153)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 도 3,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스크류바(150)의 회전시 이동부재(160)가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부프레임(110)에는 수평스크류바(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한 레일(200) 또는 가이드바(152)가 포함된다.
그리고, 이동부재(160)에는 레일연결구(161)가 결합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60)의 측면에 볼트 결합으로 'ㄴ' 자 형상으로 절곡된 레일연결구(161)가 마련되고, 이 레일연결구(161)는 다시 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이동구(162)에 결합되어 있다.
레일이동구(162)에는 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200)을 따라 이동홈에 의해 레일이동구(162)가 이동하면서 이에 레일연결구(161)를 매개로 연결된 이동부재(160)가 이동하게 되는데, 레일(200)을 통한 이동으로 보다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에 대하여 예시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하부프레임 112: 상부프레임
130: 중앙회전축 140: 구동기어부
150: 수평스크류바 160: 이동부재
170: 승강이동바 180: 베어링지지부재

Claims (10)

  1.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승하강되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앙에 구비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중앙회전축;
    상기 중앙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회전축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부;
    상기 중앙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부의 작동에 따른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양 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수평스크류바;
    상기 한 쌍의 수평스크류바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스크류바 상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수평스크류바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된 베어링지지부재; 및
    그 하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고, 그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이동바;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이동바는 회전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중앙회전축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이 승강시, 회전된 상기 회전브라켓과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회전브라켓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승강이동바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힌지고정부에 대해 회전브라켓을 매개로 회전하되, 상기 회전브라켓의 일측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턱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고정부와 상기 걸림턱에 의해 상기 승강이동바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평스크류바의 회전시 상기 이동부재가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수평스크류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한 레일이 더 포함되되,
    상기 이동부재에는 레일연결구가 결합되고, 상기 레일연결구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이동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회전축은 상기 구동기어부의 내부로 삽입된 뒤 외부로 노출되되, 노출된 부위를 통해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중앙회전축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상부프레임은 승강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중앙회전축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상부프레임은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구동부 잠금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부는 상기 중앙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된 제1구동기어와, 상기 제1구동기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중앙회전축의 타단에 설치된 제2구동기어와,
    상기 제1구동기어 및 상기 제2구동기어 각각의 양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맞물리고 상기 수평스크류바의 단부에 끼워질 수 있는 한 쌍의 제1종동기어 및 제2종동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제1종동기어 및 제2종동기어가 각각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스크류바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평스크류바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수평스크류바에 체결된 이동부재가 동일한 폭으로 벌어지거나 모아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기어와 상기 제2구동기어 및 상기 제1종동기어와 상기 제2종동기어는 베벨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스크류바의 회전시 상기 이동부재가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바 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뒤 연장된 부분에 상기 가이드바에 끼워진 채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
KR1020190088173A 2019-07-22 2019-07-22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 KR10210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173A KR102103227B1 (ko) 2019-07-22 2019-07-22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173A KR102103227B1 (ko) 2019-07-22 2019-07-22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227B1 true KR102103227B1 (ko) 2020-04-23

Family

ID=7047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173A KR102103227B1 (ko) 2019-07-22 2019-07-22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2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577A (ko) 2020-06-01 2021-12-08 김범수 자동 루프탑 텐트가 구비된 차량
KR102358082B1 (ko) * 2020-09-14 2022-02-07 차홍철 캠핑용 카라반
KR20230140006A (ko) 2022-03-29 2023-10-06 석용희 텐트락킹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루프탑텐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25B1 (ko) * 2013-11-27 2015-07-14 최병찬 루프 탑 텐트 설치용 리프팅장치
KR101748407B1 (ko) 2015-07-21 2017-06-16 박병섭 접철식 확장형 루프탑 텐트
KR101771155B1 (ko) * 2016-03-31 2017-08-24 오린태 루프탑 텐트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25B1 (ko) * 2013-11-27 2015-07-14 최병찬 루프 탑 텐트 설치용 리프팅장치
KR101748407B1 (ko) 2015-07-21 2017-06-16 박병섭 접철식 확장형 루프탑 텐트
KR101771155B1 (ko) * 2016-03-31 2017-08-24 오린태 루프탑 텐트의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577A (ko) 2020-06-01 2021-12-08 김범수 자동 루프탑 텐트가 구비된 차량
KR102358082B1 (ko) * 2020-09-14 2022-02-07 차홍철 캠핑용 카라반
KR20230140006A (ko) 2022-03-29 2023-10-06 석용희 텐트락킹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루프탑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227B1 (ko) 루프탑 텐트 팝업 장치
KR102403573B1 (ko) 자동 루프탑 텐트가 구비된 차량
KR20160123590A (ko)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WO2010015062A1 (en) Improved actuator for expandable trailer
CN208791125U (zh) 高空作业平台的延伸作业平台
CN212131870U (zh) 工程质量监理平台
US3884520A (en) Drive mechanism for collapsible camping vehicles
CN104495639A (zh) 一种起重机及使用该起重机的厢式货车
CN113446904B (zh) 一种盾牌收展装置
US3273934A (en) Folding travel trailer
CN116122593A (zh) 一种基于装配式建筑的变电站施工装置
CN213806427U (zh) 自动化抹灰施工的抹墙机
KR101536625B1 (ko) 루프 탑 텐트 설치용 리프팅장치
CN211597317U (zh) 一种方便运输的装配式建筑房屋屋顶支架结构
CN112431389A (zh) 刮刀装置及找平机器
KR102175669B1 (ko) 캠퍼밴 팝업장치
CN211421928U (zh) 集装箱房屋可调支撑机构
CN215829971U (zh) 一种用于室外建筑和室内装饰的建筑平台
CN214697181U (zh) 一种建筑装修施工临时电缆支撑装置
CN215533322U (zh) 一种门板展示装置
CN218318515U (zh) 一种集装箱底架结构
CN218264899U (zh) 一种带有防护功能的建筑施工用支撑平台
CN218623011U (zh) 一种可调节遮阳角度曲臂遮阳篷
CN210319170U (zh) 一种吊装结构的屏幕安装架
CN113719145B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